KR20210051916A -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 Google Patents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916A
KR20210051916A KR1020190137804A KR20190137804A KR20210051916A KR 20210051916 A KR20210051916 A KR 20210051916A KR 1020190137804 A KR1020190137804 A KR 1020190137804A KR 20190137804 A KR20190137804 A KR 20190137804A KR 20210051916 A KR20210051916 A KR 20210051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water tank
size
guide stand
f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243B1 (ko
Inventor
이영돈
이치훈
부문수
문영건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2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는 치어 선별분리작업을 이루는 작업대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치어선별을 위한 일정크기의 수조가 구비되는 작업부재와, 상기 작업부재의 수조 상단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한 치어가 공급되는 분리하는 선별부재와, 상기 선별부재 상부에 크기별로 분리된 치어와 용수가 공급되는 유도홀이 구비된 가이드대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대의 출구에는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치어가 각각 수집되는 집어함이 구비된 분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의 이동이 없고 치어의 크기 선별작업 시 작업자의 자세 또한 허리를 편안한 자세로 하게 되므로 육체적 고통이 없으며, 선별된 치어는 크기별로 자동으로 수집되어 작업인력과 소요 경비가 절감되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A fishes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로 성장된 치어들을 더 성장시키기 위하여 양식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선별하며 장시간 작업함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선별작업을 이루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어를 양식함에 있어서 치어들이 목표하는 크기로 성장하면 양식공간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치어들의 성장속도가 늦어 질뿐만 아니라, 수조 내부 오염으로 전체 치어가 일시에 폐사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류를 양식하여 출하·판매하는 과정에서, 장어의 크기에 따른 선별작업을 무인상태에서 장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간편,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고, 장어 선별시 크기에 따른 선별 범위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선별할 수 있으며, 특히 장어 선별시 발생 되는 하자 즉, 장어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과정에서 장어의 표면이 찢기거나 상처가 가해져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등의 불량 발생률을 예방함과 동시에, 단 시간에 많은 양의 선별이 가능하므로 작업성과 효율성이 우수한 장어 선별 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장어선별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79609호( 이하 ‘선발명’이라 함)로 제안된 바 있다.
선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형태로 이루어진 호퍼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출구가 형성되고, 출구가 형성된 내측면에는 출구와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의 격판이 구성되어 유도로가 형성된 투입부와; 원통형의 로울러로 이루어지며 양쪽단 부에는 연결축이 구성되되, 일측부위의 연결축에는 체인 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체인구동방식에 의해 회전되고,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과 스토퍼가 상면 일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된 제 1∼8회전축으로 구성된 선별부와;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내·외판이 겹쳐진 상태로 이루어진 상·하 부 위치조절체가 구성되고, 일측부위에 소정깊이를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부 위치 조절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하부 위치조절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봉으로 구성된 간격조절부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투입부의 호퍼의 일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방으로는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조절을 위한 고정체가 형성되며 하방으로는 보조 몸체가 형성되되, 보조 몸체에는 개폐판이 결합되어 호퍼에 형성된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유입량 조절부와; 공급관으로부터 다수개의 분기관이 연결되고 분기관에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분사공을 통해 하방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된 급수부가 구비된 것이다.
선발명은 장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선별이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시간에 최소의 인력으로 최대한의 장어를 선별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장어선별이 요구되더라도 하나의 선별기에서 장어 선별이 가능하고, 선별에 따른 작업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장어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과정에서, 장어의 표면접촉에 따른 마찰이 없어 접촉에 의한 표면 훼손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품질을 높여 생산에 대한 수익을 증대시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선발명의 장어치어를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투입하고 선별되어 배출되기까지의 구조가 복잡하며 장어크기에 대한 선별을 위해 선별간격을 선별할 때 마다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등록특허 10-0879609 (2009.01.13 등록)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로 성정된 붉바리 어종 치어를 간단한 구조로 선별하도록 하여 작업성과 장비의 취급성이 용이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이동이 없고 작업시 작업자의 자세 또한 허리를 편안한 자세로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된 치어는 크기별로 자동으로 수집되 어 작업인력이 절감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를 개시된다.
본 발명은 치어 선별분리작업을 이루는 작업대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치어선별을 위한 일정크기의 수조가 구비되는 작업부재와, 상기 작업부재의 수조 상단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한 치어가 공급되는 분리하는 선별부재와, 상기 선별부재 상부에 크기별로 분리된 치어와 용수가 공급되는 유도홀이 구비된 가이드대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대의 출구에는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치어가 각각 수집되는 바구니가 구비된 분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따라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작업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수조가 형성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과 타측으로 주수관 및 배수관이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수조의 외형 사이즈에 대응되게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표면에는 그물형태로 된 분리망이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선별부재에서 각 크기로 선별된 치어가 수집되는 폭과 깊이로 유도홀이 형성된 가이드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대는, 상기 작업부재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부재의 중앙 상부와 측변에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작업부재는,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작업대의 지지다리에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대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대에는 바닥에서 구름마찰로 이동되는 캐스터가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선별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작업대의 수조테두리에서 덮개형태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공간에는 뒤틀림방지를 위한 고정대가 가로질러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작업부재의 수조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긴 길이의 측면과 짧은 길이의 측면에는 상기 분리부재의 가이드대가 설치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거치브라켓이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가이드대에 형성되는 유도홀은 그 단면이 반원형이며 상기 가이드대는 일측에 차단판이 설치되고 타측은 출구로 형성되며, 상기 출구의 하단으로 각각의 치어가 수집되는 집어함이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크기로 성정된 붉바리 어종 치어를 선별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로 선별할 수 있어 선별장치의 제작과 장비의 취급성 및 선별방법이 단순하여 장소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이동이 없고 치어의 크기 선별작업 시 작업자의 자세 또한 허리를 편안한 자세로 하게 되므로 육체적 고통이 없으며, 선별된 치어는 크기별로 자동으로 수집되어 작업인력과 소요 경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붉바리 치어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붉바리 치어 선별장치의 분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중 본 발명 중 조절대에 대한 구조를 보인 일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조와 분리부재에 대한 발췌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조와 분리부재사이에 설치되는 선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망과 작업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붉바리 치어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붉바리 치어 선별장치의 분해상태이다.
양식에 의해 산란 상태에서부터 치어로 성장된 붉바리 어류의 치어들이 소정의 크기로 자라면 새로운 양식환경에서 성장되어야 하므로 새로운 양식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는 크기별로 선별하는 분리작업이 요구되는데, 선별분리 작업자들의 육체 피곤함이 감소되며 치어 선별과 선별에 따른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선별장치(100)는 작업장에서 작업높이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대(210)와, 치어 선별작업 하는 동안 치어들에게 생명유지에 필요한 물이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수조(250)가 구비된 작업부재(200)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부재(200)의 상단으로는 양식된 치어가 물과 함께 공급되면 물은 배수되고 치어만 남는 분리망(330)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치어를 크기별로 구분하면서 분리하는 선별부재(300)가 구성된다.
상기 선별부재(300) 상부에는 각각의 크기로 선별된 치어 및 용수가 공급되는 유도홀(413)이 구비된 가이드대(41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대(410)의 출구(415) 측에는 분리 선별된 치어가 각각 수집되는 집어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 분리부재(4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 중 본 발명 중 조절대에 대한 구조를 보인 일부 발췌 하여 단면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작업부재(200)은 작업장 바닥에서 적당한 높이로 들려진 상태로 치어 선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대(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업대(210)는 양식된 치어를 선별작업하기 위한 면적으로 되고 일측과 타측으로 주수관(252) 및 배수관(254)이 구비되어 용수를 저장 및 배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조(250)와, 상기 수조(250)의 저면으로 설치되어 치어선별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높이를 제공하는 지지다리(220)로 형성된다.
상기 작업부재(200)는, 작업장의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작업대(21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대(230)가 지지다리(220)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220) 하단에는 바닥에서 구름마찰로 이동되는 캐스터(240)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조와 분리부재에 대한 발췌사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작업부재(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리부재(400)는 후술하는 선별부재(300)로부터 크기별로 분류된 치어들이 섞이지 않게 구분하며 수집되도록 하는 데,
상기 분리부재(400)의 가이드대(410)에 형성되는 유도홀(413)은 그 단면이 반원형이며 상기 가이드대(410)는 일측에 차단판이 설치되고 타측은 출구(415)로 형성되며, 상기 출구의 하단으로 각각의 치어가 수집되는 집어함(500)이 설치되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대(410)은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50)의 중앙 상부와, 수조(250)의 측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조(250)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짧은 길이의 양측면에는 상기 분리부재(400)의 가이드대(410)의 설치를 위한 안착홈(257)이 구비된 거치브라켓(255)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거치브라켓(255)은 상기 수조(250)의 좁은폭의 양측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에 안착홈(257)이 형성되되, 상기 수조(250)의 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게 하고, 거치브라켓(255)의 중앙위치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기준편(256)을 세우고, 상기 기준편(256)에 안착홈(257)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거치브라켓(255)은 수조(250)의 넓은폭의 양측면에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에 설치되는 가이드(410)를 받쳐주어 선별되는 치어가 모이일 때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디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조와 분리부재사이에 설치되는 선별부재의 사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양식된 치어를 선별작업하기 위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선별부재(300)의 분리대(310)를 형성하는 프레임(320)에는, 상기 작업대(210)의 수조(250)에 구비되는 테두리(251)에 대응한 크기로 되어 덮개형태를 이루며, 결합 시 상기 수조(250)의 테두리(251)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는 구조와, 선별하기 위해 공급되는 치어의 하중에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충분히 견디도록 하는 결합턱(325)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20)의 표면에는 그물형태로 되어 용수는 제거되고 치어만 남는 분리망(3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20)의 고정간(322) 중간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대() 설치용 안착홈(257)이 구비된 기준편(25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선별장치는, 양식으로 일정크기로 성장된 치어들을 새로운 양식환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선별작업을 할 때 먼저, 작업부재(200)의 작업대(210)에 형성된 지지다리(220)의 조절대(230)을 조작하여 수조(250)의 높이가 선별 작업하기에 적당한 높이가 되게 조절한 후 고정되게 한다.
상기 조절대(230)은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구조의 지지다리(220)의 길이가 조절되어 일치되는 통공으로 조절핸들이 삽입관통되게 조작하는 것으로 수조(250)의 높이가 조절된다.
높이가 조절된 작업대(210)을 선별작업 위치로 이동시켜 구름마찰을 이루는 캐스터(240)이 선정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잠근다.
이후, 상기 수조(250) 위에 선별부재(300)을 결합시키면 상기 분리대(310)의 프레임(320)에 구비된 결합턱(325)가 수조(250)의 테두리 외면을 감싸는 상태가 되어 수조 위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결합상태를 이룬다.
상기 분리대(310)을 수조(250)의 테두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조(250)의 중앙상부와 긴 길이의 측변으로 형성된 거치브라켓(255)에 구비된 안착홈(257)로 분리부재(400)의 가이드대(410)을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선별작업 준비는 완료된다.
상기 선별작업 준비가 완료되면 작업부재(200)의 수조(250)의 주수관()을 통해 용수가 수조(0내부로 채워지게 하고, 불필요한 용수는 배수관()을 통해 수조(250) 밖으로 배출되게 한다.
치어선별을 위한 작업자는 상기 작업부재(200)의 작업대(210) 주변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면 선별작업 대상인 치어를 상기 선별부재(300)의 분리대(31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선별부재(300)의 분리대(310)에 공급되는 치어와 함께 공급된 용수는 분리망(330)을 통해 수조로 배수되고 차어만 분리망(330)에 남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들은 치어를 크기별로 선택 분류하여 수조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대(410)와, 수조 측변에 위치한 가이드대(410)에 각각 이동시키면 선별 분류된 치어는 상기 가이드대(410)의 반원형의 유도홀(413)에 적재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가이드대(410)은 일측이 막혀있고, 타측이 개방된 출구(415)가 구비된 상태이므로 유도홀(413)에 선별 분류되어 적재된 치어를 개방된 출구(415)측으로 밀면 개방된 출구(415)를 통해 집어함(500)으로 수집되는 상태로 붉바리의 치어선별작업은 완료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집어함(500) 수집된 같은 크기의 치어들은 미리 준비된 양식공간으로 이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선별장치 200 : 작업부재 210 : 작업대
220 : 지지다리 230 : 조절대 240 : 캐스터
250 : 수조 251 : 테두리 255 : 거치브라켓
256 : 기준편 257 : 안착홈 300 : 선별부재
310 : 분리대 320 : 프레임 322 : 고정간
325 : 결합턱 330 : 분리망 400 : 분리부재
410 : 가이드대 413 : 유도홀 415 : 출구

Claims (8)

  1. 치어 선별분리작업을 이루는 작업대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치어선별을 위한 일정크기의 수조가 구비되는 작업부재;
    상기 작업부재의 수조 상단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한 치어가 공급되는 분리하는 선별부재;
    상기 선별부재 상부에 크기별로 분리된 치어와 용수가 공급되는 유도홀이 구비된 가이드대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대의 출구에는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치어가 각각 수집되는 집어함이 구비된 분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지지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수조가 형성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과 타측으로 주수관 및 배수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수조의 외형 사이즈에 대응되게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표면에는 그물형태로 된 분리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선별부재에서 각 크기로 선별된 치어가 수집되는 폭과 깊이로 유도홀이 형성된 가이드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대는, 상기 작업부재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중앙 상부와 측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재는,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작업대의 지지다리에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대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대에는 바닥에서 구름마찰로 이동되는 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의 프레임에는,
    상기 작업대의 수조테두리에서 덮개형태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뒤틀림방지를 위한 고정간이 가로질러 설치되고, 그 고정간 중간에 상기 가이드대 받침용 기준편이 설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재의 수조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긴 길이의 측면과 짧은 길이의 측면에는 상기 분리부재의 가이드대가 설치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거치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거치브라켓의 중간에 상기 가이드대용 기준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의 가이드대에 형성되는 유도홀은, 그 단면이 반원형이며 상기 가이드대는 일측에 차단판이 설치되고 타측은 출구로 형성되며, 상기 출구의 하단으로 각각의 선별된 치어가 수집되는 집어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KR1020190137804A 2019-10-31 2019-10-31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KR10234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04A KR102345243B1 (ko) 2019-10-31 2019-10-31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04A KR102345243B1 (ko) 2019-10-31 2019-10-31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16A true KR20210051916A (ko) 2021-05-10
KR102345243B1 KR102345243B1 (ko) 2021-12-29

Family

ID=7591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04A KR102345243B1 (ko) 2019-10-31 2019-10-31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2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09B1 (ko) 2021-06-25 2022-02-14 대한민국 어망에 혼획된 새우류 자동 선별 장치
CN118452139A (zh) * 2024-06-11 2024-08-09 长江大学 一种黄颡鱼规格筛选装置及筛选方法
KR20240150546A (ko) 2023-04-08 2024-10-15 이지훈 벨 리모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00A (ko) * 2000-03-14 2001-10-23 주환용 어류 자동선별장치
KR200257370Y1 (ko) * 2001-08-16 2001-12-24 임수근 어류 자동 선별기
KR100636689B1 (ko) * 2005-08-03 2006-10-20 유근영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20070102023A (ko) * 2006-04-13 2007-10-18 유근영 어류의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9609B1 (ko)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KR102006110B1 (ko) * 2018-10-31 2019-07-31 윤미자 어류 선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00A (ko) * 2000-03-14 2001-10-23 주환용 어류 자동선별장치
KR200257370Y1 (ko) * 2001-08-16 2001-12-24 임수근 어류 자동 선별기
KR100636689B1 (ko) * 2005-08-03 2006-10-20 유근영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20070102023A (ko) * 2006-04-13 2007-10-18 유근영 어류의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9609B1 (ko)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KR102006110B1 (ko) * 2018-10-31 2019-07-31 윤미자 어류 선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09B1 (ko) 2021-06-25 2022-02-14 대한민국 어망에 혼획된 새우류 자동 선별 장치
KR20240150546A (ko) 2023-04-08 2024-10-15 이지훈 벨 리모컨
CN118452139A (zh) * 2024-06-11 2024-08-09 长江大学 一种黄颡鱼规格筛选装置及筛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243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1916A (ko)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JP7272624B2 (ja) 生育システム及び方法
IL225236A (en) A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one or more plants
KR101666986B1 (ko) 인삼씨 낱개분리기 및 인삼씨 파종기
KR102077224B1 (ko) 생산량 증대를 위한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작물재배장치
CN102948385B (zh) 一种黄鳝分格装置
US20150156967A1 (en) Compact hop harvester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CN108513791A (zh) 一种可调节草坪高度的割草机
KR101942402B1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설장치
KR20130012718A (ko) 조립형 종란 자동 난상장치
KR102031701B1 (ko)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KR102142926B1 (ko) 곤충 사육 장치 및 방법
CN116406585A (zh) 一种实现均匀播种的种植装置
KR20120086782A (ko) 마늘쪽 분리기 및 다용도 자동선별기
KR102291280B1 (ko) 육묘판 씨앗 파종기
CN112495783A (zh) 一种大豆种分级筛选的农业机械设备
KR20130106548A (ko) 콩 수확기
JP2013255456A (ja) 栽培装置、栽培システム、栽培方法
AU2018249772B2 (en) Method for cultivating edible fungi
CN205611413U (zh) 一种柚子果苗的培育盆
CN220511963U (zh) 一种养殖鱼分级装置
CN107624428A (zh) 地下农作物种植架
CN216566185U (zh) 一种水产养殖用鱼苗养殖箱
KR200497413Y1 (ko) 홀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