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01B1 -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01B1
KR102031701B1 KR1020190031644A KR20190031644A KR102031701B1 KR 102031701 B1 KR102031701 B1 KR 102031701B1 KR 1020190031644 A KR1020190031644 A KR 1020190031644A KR 20190031644 A KR20190031644 A KR 20190031644A KR 102031701 B1 KR102031701 B1 KR 10203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lant
tray
brush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호반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반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호반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9003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2Automatic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5Cutting; Inser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기 위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한 방향으로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할 수 있도록 좌우 왕복 운동을 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에 기재된 삽수절단기로 삽수를 절단하는 방법으로,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트레이를 이송컨베이어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식물이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브러쉬를 통해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는 눕힘단계; 좌우 왕복 운동을 하는 커터를 통해 상기 브러쉬에 의해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절단된 삽수 및 트레이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식물의 삽목 또는 접목을 위하여 재료가 되는 식물의 줄기나 가지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SCION CUTTER AND METHOD OF CUTTING SCION}
본 발명은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의 삽목 또는 접목을 위하여 재료가 되는 식물의 줄기나 가지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목이라 함은 식물의 영양기관인 가지나 잎을 잘라낸 후 다시 심어서 식물을 얻어내는 재배 방식으로, 식물의 생식에 관여하지 않는 영양기관을 이용하여 번식을 시키기 때문에 무성생식, 특히 영양생식에 속한다.
동물은 일반적으로 생식세포에서만 발달하여 성체가 되는데 비하여 식물은 모든 세포에서 근본적으로 다시 식물을 재현할 수 있는 능력인 전분화능이 있기 때문에 삽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삽목을 할 식물에서 줄기나 잎의 일부를 잘라 내어 땅이나 모판에 꽂고, 이렇게 했을 때 원래 싹이나 뿌리가 나는 자리가 아닌 자리에서 싹이나 뿌리가 나는 부정아(adventitious bud)나 부정근(adventitious root)이 나면 삽목에 성공한 것으로, 이러한 삽목은 씨앗을 잘 만들지 않는 식물을 경제적인 이유로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즉, 관상용이나 식용으로 사용하고 싶은 식물에서 일정한 유전형질을 계속 이용하고 싶거나 특정 체세포 돌연변이를 번식시키고 싶을 때, 또는 씨앗을 이용해서 키우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어가는 경우에 식물의 줄기나 잎의 일부를 잘라내어 삽목하는 것이다.
또한, 접목이라 함은 같은 식물개체 또는 다른 개체의 조직끼리 접착유합시켜서 생장하는 식물체로 가꾸는 방식으로, 병해의 방지, 저온 신장성, 내병성 및 내서성 강화, 조기생육 촉진, 과실의 상품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잘라낸 싹이나 줄기를 뿌리가 있는 식물의 줄기 등에 접합하면, 접합한 쪽을 삽수, 뿌리가 있는 쪽을 대목이라고 한다.
삽수와 대목이 접촉하는 면에는 초기에 칼루스가 형성되며, 그 후 칼루스 중에 도관, 사관 등의 관다발이 분화하고, 그것에 의해 양 조직을 연결함으로써 물, 양분, 식물호르몬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삽수와 대목은 상호의 성장, 발육에 서로 영향을 주며, 타종간의 접목이 용이함을 접목친화성이라 하고, 활착이 곤란한 경우를 불친화라고 한다.
종래에 이러한 삽목 또는 접목을 위하여 필요한 삽수를 얻는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직접 칼을 사용하여 식물의 줄기나 잎의 일정 부분을 절단해왔다.
그러나 칼을 이용하여 직접 절단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을 다칠 위험성이 있고, 절단하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고 절단 형상이 일정하지 않는 등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빠른 시간 안에 대량의 삽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에 비례하여 작업자가 많이 요구되는 바, 시간과 인력에 대한 부담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6-0003004 U KR 10-0653927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식물을 식재 할 수 있는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식물에서 정확하게 삽수를 절단할 수 있도록 식물의 줄기를 눕혀주는 브러쉬 및 좌우 왕복 운동하는 커터를 구비하여 단시간에 대량의 삽수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시키고, 작업에 필요한 인력도 최소화 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삽수를 절단할 수 있는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기 위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한 방향으로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할 수 있도록 좌우 왕복 운동을 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절단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식물이 식재된 상기 트레이가 상부에서 투입되고, 상기 커터를 통해 삽수가 절단된 나머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되는 식물의 높이 또는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로 교체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되는 식물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조절레버를 통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프레임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에는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삽수만을 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터와 인접하여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된 삽수를 한번에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단부에 다단 형성되어 수거함이 배치되는 수거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에는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삽수가 상기 배출컨베이어에서 수거대로 향하면서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되는 트레이와 동일한 폭이 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트레이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면서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가 투입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에 기재된 삽수절단기로 삽수를 절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트레이를 이송컨베이어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식물이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브러쉬를 통해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는 눕힘단계; 좌우 왕복 운동을 하는 커터를 통해 상기 브러쉬에 의해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절단된 삽수 및 트레이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 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출단계는 절단된 삽수가 배출컨베이어를 거쳐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단부에 다단 형성된 수거대를 통해 일괄 수거되는 삽수수거공정; 및 삽수가 절단되고 남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하부로 배출되는 트레이배출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 하면서 최소한의 인원으로 대량의 삽수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삽수 절단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 비용 역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수절단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실시 예에 따른 삽수절단기의 브러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수절단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삽수절단기의 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삽수절단기의 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삽수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수 절단 방법에서 배출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삽목 또는 접목을 위하여 재료가 되는 식물의 줄기나 가지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삽수절단기(A)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이송컨베이어(200), 브러쉬(300) 및 커터(6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삽수절단기(A)의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복수의 프레임 또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컨베이어(200) 및 브러쉬(300) 그리고 커터(6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상기 본체(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삽수를 절단하기 위해 재료가 되는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식물이 식재된 상기 트레이(T)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상부에서 투입되고, 상기 커터(600)를 통해 삽수가 절단된 나머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통해 이동되면서 상기 커터(600)에 의해 식물의 줄기나 가지에서 삽수를 절단하고, 절단된 삽수와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되어 있는 삽수가 절단된 나머지 식물이 서로 뒤섞이지 않고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삽수가 절단된 나머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만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로 배출되고, 식물에서 절단된 삽수는 후술 할 상기 커터(60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7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와 이송컨베이어(200)가 소정의 각도로 엇갈릴 수 있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사진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트레이(T)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삽수절단기(A)가 갖는 수평 면적을 줄여주어 상기 삽수절단기(A)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러쉬(3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커터(600)를 통하여 식물의 줄기나 가지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삽수가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러쉬(300)는 상기 본체(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하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300)는 상기 브러쉬(300)와 인접하고, 상기 본체(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는 구동모터(400)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하는 상기 브러쉬(300)의 솔에 의해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되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혀줌으로써, 상기 커터(600)에서 정확하고 일률적으로 삽수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00)는 상기 브러쉬(300)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3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러쉬(30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와 상기 브러쉬(30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체인과 같은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브러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브러쉬(300)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러쉬(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투입되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의 높이 또는 종류에 대응하여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혀줄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브러쉬(300)가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브러쉬(300)는 결합수단(N)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줄기나 가지의 일정 부분을 절단하여 삽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가 되는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재료가 되는 식물에서 삽수를 정확하고 일률적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혀주는 상기 브러쉬(300)는 하나의 크기만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러쉬(300) 중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의 높이 또는 종류에 대응하여 가장 적합한 크기의 브러쉬(3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러쉬(300)는 볼트와 너트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 가능한 브라켓 등과 같은 결합수단(N)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결합수단(N)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동되어오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힐 수 있도록 회전하는 상기 브러쉬(300)의 회전축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러쉬(300)는 상기 결합수단(N)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법 외에도,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투입되는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혀줄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프레임(5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프레임(5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의 양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쉬(300)의 양 측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브러쉬(3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프레임(500)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되는 식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브러쉬(300)의 위치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프레임(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L)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줄기나 가지의 일정 부분을 절단하여 삽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가 되는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재료가 되는 식물에서 삽수를 정확하고 일률적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혀주는 상기 브러쉬(3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레버(L)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가변프레임(500)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프레임(500)의 높이 변동에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통해 투입되는 식물의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원활하게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혀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커터(600)에서 정확하고 일률적으로 삽수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프레임(5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프레임(500)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조절레버(L)는 핸들과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래크 앤드 피니언(rack & pinion)기어 또는 유압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스위치 또는 센서의 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변프레임(5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터(600)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하는 식물이 상기 브러쉬(300)에 의해 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정확하고 일률적으로 삽수가 절단될 수 있도록 좌우로 왕복 운동하거나, 전기톱과 같이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600)는 상기 브러쉬(300)와 이송컨베이어(200) 사이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상기 커터(6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작동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상단에 놓여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커터(6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작동하는 상기 브러쉬(300)에 의해 한 방향으로 눕혀지고, 그 상태로 상기 커터(600)에 의해 절단되어 원하는 크기의 삽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삽수를 획득하기 위한 재료가 되는 식물이 식재된 상기 트레이(T)를 이동시키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되어 이동하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는 상기 브러쉬(300),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와 상기 브러쉬(300) 사이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300)에 의해 한 방향으로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상기 커터(600)로 구성되어지는 상기 삽수절단기(A)는 절단된 삽수와 남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가 각각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삽수를 절단하고 수거하는 작업의 능률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에는 절단된 삽수 만을 따로 배출시켜 수거하는 배출컨베이어(700)와 수거대(8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T)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계속 이동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는 상기 커터(600)에 의해 절단된 삽수만을 따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상기 커터(600)와 인접하여 동일한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는 삽수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커터(600)에 의해 절단된 삽수를 작업자가 직접 밀어내지 많아도 막힘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는 상기 커터(6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T)가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와 충돌하지 않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에 의해 배출되는 삽수를 수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수거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대(800)는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를 통해 배출되는 삽수를 한번에 용이하게 수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에서 삽수가 배출되는 방향의 단부에 다단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거대(800)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와 수거대(800) 간의 단차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수거함(810)을 배치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를 따라 이동되는 삽수를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으며, 모여진 삽수를 한번에 일괄적으로 수거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삽수와 별도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로 배출되는 상기 트레이(T)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트레이 수거대에 순차적으로 쌓이도록 하여, 삽수 절단 작업 후 정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삽수절단기(A)의 작업 과정은 도3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상부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9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900)은 상기 커터(600)에 의해 절단된 삽수가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를 따라 상기 수거대(800)로 이동되면서 좌우로 이탈하여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900)은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투입되는 상기 트레이(T) 및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는 상기 브러쉬(300)와 동일한 폭이 되도록 한 쌍이 대칭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와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상기 수거대(800)로 이동되는 삽수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수거대(800) 또는 수거대(800)에 배치되는 수거함(810)에서 절단된 삽수들을 정확하게 모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90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상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트레이(T)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투입되어 이동되면서 좌우로 기울어져 상기 브러쉬(300)의 회전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프레임(900)은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 또는 양 측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200) 또는 투입되는 트레이(T) 및 회전하는 브러쉬(300)의 폭이 다를 경우, 상기 트레이(T) 및 브러쉬(300)의 폭에 맞춰 상기 가이드프레임(900)의 폭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슬립타입의 결합홈 또는 일정 간격으로 타공된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삽수절단기(A)를 이용하여 재료가 되는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방법으로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나 가지의 어느 한 부분을 절단하여 삽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가 되는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트레이(T)를 이송컨베이어(200)에 투입하는 투입단계(S200),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동되는 재료가 되는 식물의 줄기를 회전하는 브러쉬(300)를 통해 한 방향으로 눕혀 재료가 되는 식물에서 삽수가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눕힘단계(S300)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와 브러쉬(300) 사이에 이격 구비되어 좌우 왕복 운동하는 커터(600)에 의해 상기 눕힘단계(S300)에서 상기 브러쉬(300)에 의해 눕혀진 재료가 되는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절단단계(S400)를 거쳐 절단된 삽수 및 삽수가 절단되고 남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를 배출하는 배출단계(S500)를 수행하여 줌으로써, 재료가 되는 식물에서 삽수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대량의 삽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단계(S500)는 두 가지 공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는 절단된 삽수만을 일괄적으로 수거하여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에서 절단된 삽수를 따로 골라내거나, 상기 트레이(T)를 하나하나 정리해야 함으로써 발생하는 작업의 번거로움 또는 작업 시간의 증가를 방지하여 삽수 절단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출단계(S500)는 상기 커터(600)에서 절단된 삽수가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단부에 다단 형성된 수거대(800) 또는 상기 수거대(800)에 배치되는 수거함(810)에 일괄 수거되도록 하는 삽수수거공정(S510)과 삽수가 절단되고 남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T)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계속 이동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하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트레이 수거대에 순차적으로 쌓일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배출공정(S520)을 수행하여 절단된 삽수와 삽수 절단 후에 남은 트레이(T)를 각각 분리 배출 가능하도록 하여 삽수 절단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 하면서 최소한의 인원으로 대량의 삽수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삽수 절단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 비용 역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본체 200 : 이송컨베이어
300 : 브러쉬 400 : 구동모터
500 : 가변프레임 600 : 커터
700 : 배출컨베이어 800 : 수거대
810 : 수거함 900 : 가이드프레임
A : 삽수절단기 L : 조절레버
N : 결합수단 S100 : 준비단계
S200 : 투입단계 S300 : 눕힘단계
S400 : 절단단계 S500 : 배출단계
S510 : 삽수수거공정 S520 : 트레이배출공정
T : 트레이

Claims (9)

  1.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기 위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한 방향으로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할 수 있도록 좌우 왕복 운동을 하는 커터;
    상기 커터와 인접하여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삽수만을 따로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된 삽수를 한번에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단부에 다단 형성되어 수거함이 배치되는 수거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식물이 식재된 상기 트레이가 상부에서 투입되고, 상기 커터를 통해 삽수가 절단된 나머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경사를 이루고,
    상기 배출컨베이어에는,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삽수가 상기 배출컨베이어에서 수거대로 향하면서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되는 트레이와 동일한 폭이 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절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되는 식물의 높이 또는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로 교체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되는 식물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조절레버를 통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프레임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절단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트레이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면서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가 투입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절단기.
  8.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삽수절단기로 삽수를 절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트레이를 이송컨베이어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식물이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브러쉬를 통해 식물의 줄기를 한 방향으로 눕히는 눕힘단계;
    좌우 왕복 운동을 하는 커터를 통해 상기 브러쉬에 의해 눕혀진 식물에서 삽수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절단된 삽수 및 트레이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 절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절단된 삽수가 배출컨베이어를 거쳐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단부에 다단 형성된 수거대를 통해 일괄 수거되는 삽수수거공정; 및
    삽수가 절단되고 남은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하부로 배출되는 트레이배출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수 절단 방법.
KR1020190031644A 2019-03-20 2019-03-20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KR10203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44A KR102031701B1 (ko) 2019-03-20 2019-03-20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44A KR102031701B1 (ko) 2019-03-20 2019-03-20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701B1 true KR102031701B1 (ko) 2019-10-14

Family

ID=6817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44A KR102031701B1 (ko) 2019-03-20 2019-03-20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7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098A (zh) * 2020-07-22 2020-10-23 夏文进 一种苗圃苗木大面积扦插栽培预处理方法
CN112616467A (zh) * 2021-01-11 2021-04-09 天津市农业科学院 一种果树嫁接机器
CN114586555A (zh) * 2022-04-07 2022-06-0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嫁接苗无序切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20U (ja) * 1993-10-15 1995-05-09 三菱農機株式会社 苗木切断装置
JPH09154402A (ja) * 1995-12-11 1997-06-17 Techno Grafting Kenkyusho:Kk 接木装置及び接木方法
KR100653927B1 (ko) 2004-06-01 2006-12-04 배광섭 접목용 절단기
KR20070109926A (ko) * 2006-05-12 2007-11-1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접목묘 제조 장치
KR20160062538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플랜트스퀘어 새싹 수확 장치
KR20160003004U (ko) 2015-02-23 2016-09-01 박기헌 기능성 접목용 절단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20U (ja) * 1993-10-15 1995-05-09 三菱農機株式会社 苗木切断装置
JPH09154402A (ja) * 1995-12-11 1997-06-17 Techno Grafting Kenkyusho:Kk 接木装置及び接木方法
KR100653927B1 (ko) 2004-06-01 2006-12-04 배광섭 접목용 절단기
KR20070109926A (ko) * 2006-05-12 2007-11-1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접목묘 제조 장치
KR20160062538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플랜트스퀘어 새싹 수확 장치
KR20160003004U (ko) 2015-02-23 2016-09-01 박기헌 기능성 접목용 절단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098A (zh) * 2020-07-22 2020-10-23 夏文进 一种苗圃苗木大面积扦插栽培预处理方法
CN111802098B (zh) * 2020-07-22 2021-11-26 广州丽芳园林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苗圃苗木大面积扦插栽培预处理方法
CN112616467A (zh) * 2021-01-11 2021-04-09 天津市农业科学院 一种果树嫁接机器
CN114586555A (zh) * 2022-04-07 2022-06-0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嫁接苗无序切削装置
CN114586555B (zh) * 2022-04-07 2023-04-28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嫁接苗无序切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701B1 (ko) 삽수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삽수 절단 방법
EP2615906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zucht einer oder mehrerer pflanzen
US588165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lanting plantlets
CN102870537A (zh) 油菜移栽法及专用移栽机
CN108293419A (zh) 一种设施定植蔬菜自动化收获机
KR20090106019A (ko) 양파 육묘정식기
KR20180042609A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42258A (ko) 육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식기
CN204392866U (zh) 叶菜有序收获机收集装置
CN202857291U (zh) 一种油菜专用移栽机
CN112425430B (zh) 草莓高架育苗装置
CN212910755U (zh) 一种幼苗栽苗机
Chaudhuri et al. Refinement and adoption of mechanical vegetable transplanters for Indian conditions
US9301437B1 (en) Hedge separ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282611B1 (ko) 채소 정식용 생분해성 육묘포트 절단 및 식부장치
KR102137579B1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JP2717626B2 (ja) 多条連続集合鉢体苗移植機
JP2002171840A (ja) 水耕苗の定植装置
JP2007006847A (ja) 農作物の栽培、収穫、調整方法
JP2007166973A (ja) 接木苗用の育苗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栽培方法
JPH0728618B2 (ja) クローン増殖による種苗の生産方法
KR101945853B1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8521988A (zh) 一种种植业用韭黄栽培箱
CN218897693U (zh) 一种补苗移苗操作台
CN114258833B (zh) 一种蜂糖李的嫁接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