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65Y1 - 채분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채분기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665Y1 KR200489665Y1 KR2020180001503U KR20180001503U KR200489665Y1 KR 200489665 Y1 KR200489665 Y1 KR 200489665Y1 KR 2020180001503 U KR2020180001503 U KR 2020180001503U KR 20180001503 U KR20180001503 U KR 20180001503U KR 200489665 Y1 KR200489665 Y1 KR 2004896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ront contact
- beehive
- contact portion
- fix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341 apicultur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4043 Melolonth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80 Urtic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152 poll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티로폼재로 이루어지는 벌통의 소문 상단에 힌지핀과 지지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채분기를 벌통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턱이 상향 돌출되어 벌통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소문 입구에 설치되는 채분기를 고정하도록 벌통의 전면에 지지되는 채분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벌통의 전면에 설치되는 채분기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벌통의 사이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채분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용 채분기(이하, '채분기'라 함)는 꿀과 함께 유충벌의 성장과 발육이나 성충벌의 정상적인 활동을 기할 수 있도록 화분을 채집하는 것으로, 이는 대부분이 벌통의 벌출입구인 소문(小門)에 설치되어 외역에서 화분을 채집하여 돌아온 벌들이 채분기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분농의 화분하(花粉荷)가 떨어지면서 그 하부에 설치된 수거함으로 모으는 방식으로 채집한다.
이러한 채분기는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어 외역에서 화분을 채집하여 돌아온 일벌들이 채분기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분농의 화분하(花粉荷)가 떨어지면서 그 하부에 설치된 설합으로 모으는 방식으로 채집한다.
한편, 이러한 채분기가 설치되는 벌통은 전통적으로 목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 등의 취급이 어렵고, 별도의 보온, 방습 및 방음 장치 들을 구비해야 함에 따라 관리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되며 벌통이 썩기 쉬워서 벌들의 수명이 단축되고, 벌꿀의 질이 저하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벌통 대신 등록실용신안 20-0470128 등에 제안된 바와 같이 보온성이 우수한 스티로폼제 벌통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티로폼제 벌통의 경우 그 소문에 채분기를 설치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1)의 소문 상단에 나사 등을 고정한 상태의 힌지핀(22)에 지지구(20)를 회동가능하게 구비하고, 그 지지구(20)를 회전시켜 채분기(10) 상단의 지지턱(13) 전방을 가압하여 벌통(1)에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힌지핀(22)이 고정되는 벌통(1)이 스티로폼제로 이루어져 있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함에 따라 지지구(20)가 채분기(10) 상단의 지지턱(13)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약해 채분기(10)가 벌통(1)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티로폼재로 이루어지는 벌통의 소문 상단에 힌지핀과 지지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채분기를 벌통에 고정할 수 있는 채분기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사이즈의 벌통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정이 가능한 길이 가변식 채분기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벌통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턱이 상향 돌출되어 벌통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소문 입구에 설치되는 채분기를 고정하는 채분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분기 고정장치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채분기의 지지턱의 전면을 감싸는 제1전방밀착부의 일단에 상기 벌통 일측면에 지지가능한 제1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틀과,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전방밀착부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장공형상의 가이드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전방밀착부의 일단에 상기 벌통 타측면에 지지가능한 제2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틀과, 상기 제1전방밀착부에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방밀착부를 결합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틀은 전체적으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전방밀착부의 일단에 제1지지부가 직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틀은 전체적으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전방밀착부의 일단에 제2지지부가 직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방밀착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전방밀착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부재의 결합부가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방밀착부의 상하단에는 상기 제2전방밀착부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2전방밀착부가 전후방으로 안내되도록 안내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틀의 제1지지부 단부에는 벌통의 일측면을 파고드는 제1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틀의 제2지지부 단부에는 벌통의 타측면을 파고드는 제2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방밀착부에는 볼트 형상의 힌지핀이 구비되어 채분기의 지지턱의 전면 일부를 가압하는 지지구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티로폼재로 이루어지는 벌통의 소문 상단에 별도의 힌지핀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제1전방밀착부로 채분기의 지지턱의 전면을 감싸 지지함으로서 채분기를 벌통에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벌통의 전면에 힌지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벌토의 파손 우려가 없고, 제1 및 제2고정틀의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벌통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1전방밀착부에 채분기의 지지턱의 전면을 가압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채분기의 구조에 따라 제1전방밀착부 또는 지지구로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로폼재 벌통에 채분기를 일반적인 고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채분기 고정장치를 이용한 채분기이 고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채분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채분기 고정장치를 이용한 채분기이 고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채분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채분기 고정장치를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채분기 고정장치(100)는 벌통(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소문(1a) 입구에 설치되는 채분기(10)가 벌통(1)의 소문(1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벌통(1)은 전면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1b)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b)의 상측에 일벌이 출입하는 소문(1a)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a)에는 소문(1a) 입구에 설치되는 채분기(10)의 하부가 지지된다.
이때 상기 채분기(10)는 채분기(10)는 벌통(1)의 전면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1b)에 고정되어 소문(1a)을 일벌이 입출시 채집한 화분을 수거하는 것으로, 벌통(1)의 소문(1a) 전면에 벌들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통공판(11a)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벌통(1)의 전면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1b)에 고정되는 장착통(11)과, 상기 장착통(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일벌이 통공판(11a)의 통공을 통과하는 일벌이 채집한 화분이 떨어지면 모여질 수 있도록 상면으로 수거망(12a)이 설치되는 수거통(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채분기(10)는 상기 장착통(11)의 상단 후측에 벌통(1)의 전면 상측에 지지되는 지지턱(13)이 상향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채분기(10)의 상측에는 상기 채분기(10)의 지지턱(13)을 전방에서 감싸며 상기 벌통(1)의 좌측 양측면에 고정되는 채분기 고정장치(100)가 구비된다.
상기 채분기 고정장치(10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채분기(10)의 지지턱(13)의 전면을 감싸는 제1전방밀착부(112)의 일단에 상기 벌통(1)의 일측면에 지지가능한 제1지지부(114)가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틀(110)과,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장공형상의 가이드공(12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전방밀착부(122)의 일단에 상기 벌통(1)의 타측면에 지지가능한 제2지지부(124)가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틀(120)과,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에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공(122)을 관통하는 볼트부재(130)와, 상기 볼트부재(130)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방밀착부(112,122)를 결합하는 너트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고정틀(110)은 전체적으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전방밀착부(112)의 일단에 제1지지부(114)가 직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틀(120)은 전체적으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전방밀착부(122)의 일단에 제2지지부(124)가 직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고정틀(110)의 제1전방밀착부(112)는 상기 채분기(10)의 지지턱(13)의 후면이 상기 벌통(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턱(13)의 전면을 감싸는 구성으로, 제1고정틀(110)의 제1전방밀착부(112) 전면에는 상기 제2고정틀(120)의 제2전방밀착부(122) 후면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제1전방밀착부(112)와 제2전방밀착부(122)가 부분적으로 중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1지지부(114) 및 제2지지부(12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는 벌통(1)에 채분기 고정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틀(110)과 제2고정틀(120)은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재로 제작함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전방밀착부(112)와 제2전방밀착부(122)가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체결부재인 볼트부재(130)에 너트부재(140)를 나사결합시켜주면서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와 제2전방밀착부(122)가 중첩되는 경우 중첩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부재(130)의 결합부(131)가 관통하는 가이드공(1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130)는 머리부를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에 관통형성한 고정공에 끼워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함으로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131)가 제1전방밀착부(11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공(122a)을 따라 볼트부재(130)가 이동가능하여 제1 및 제2전방밀착부(112,122)의 중첩부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의 상하단에는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가 전후방으로 안내되도록 안내턱(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턱(113)은 제1전방밀착부(112)의 상하단에 전방으로 단순 돌출되거나 전방으로 'ㄱ' 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의 상하단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된다.
그리고 안내턱(113)은 상단 또는 하단에만 형성할 수 있지만 좀 더 안정적으로 제2전방밀착부(122)의 상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단 모두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내턱(113)은 제2전방밀착부(122)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제1전방밀착부(112)의 상하단을 전후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위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의 기술변경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볼트부재(130)에는 너트부재(140)가 나사결합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너트부재(140)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이거나 또는 푸는 것이 용이하도록 나비너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틀(110)의 제1지지부(114) 단부에는 벌통(1)의 일측면을 파고드는 제1침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틀(120)의 제2지지부(124) 단부에는 벌통(1)의 타측면을 파고드는 제2침부(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침부(115,125)는 제1 및 제2지지부(114,125) 단부 상하단에서 벌통(1)의 좌우 양측면을 향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부(114,124) 단부 끝단에서 벌통의 좌우 양측면을 향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틀(110,120)의 제1 및 제2지지부(114,124)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침부(115,125)는 스티로폼재 벌통(1)의 좌우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채분기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벌통(1)의 받침부(1b)에 채분기(10)를 설치한 후 채분기 고정장치(100)를 이용해 채분기(10)의 지지턱(13)을 벌통(1)의 전면쪽으로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이를 위해 제1고정틀(110)의 제1전방밀착부(112) 전면에 제2고정틀(120)의 제2전방밀착부(122) 후면을 밀착시켜 제1전방밀착부(112)과 제2전방밀착부(122)를 부분적으로 중첩시키게 되는데 이때 볼트부재(130)가 제2전방밀착부(122)의 가이드공(122a)을 관통시키게 된다.
이후 제1전방밀착부(112)와 제2전방밀착부(12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지지부(114,124) 사이의 간격을 벌통(1)의 폭만큼 조절한 후 너트부재(140)를 조여 제1전방밀착부(112)와 제2전방밀착부(122)가 서로 가압되며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는 제1 및 제2침부(115,125)가 스티로폼재로 이루어지는 벌통(1)의 좌우 양측 표면을 파고들게 되어 채분기 고정장치(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의 단부에 볼트부재(130)가 일체로 고정되고 중간부분에는 볼트 형상의 힌지핀(117)이 구비되어 지지구(118)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전방밀착부(112)가 직접 채분기(10)의 지지턱(13)을 지지하지 않고 상기 지지구(118)를 회동시켜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턱(118)의 전면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채분기 고정장치(100)는 상기 지지턱(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벌통(1)에 고정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저야 할 것이다.
1: 벌통 1a: 소문
10: 채분기 13: 지지턱
100: 채분기 고정장치 110: 제1고정틀
112: 제1전방밀착부 113: 안내턱
114: 제1지지부 115: 제1침부
118: 지지구 120: 제2고정틀
122: 제2전방밀착부 122a: 가이드공
124: 제2지지부 125: 제2침부
130: 볼트부재 140: 너트부재
10: 채분기 13: 지지턱
100: 채분기 고정장치 110: 제1고정틀
112: 제1전방밀착부 113: 안내턱
114: 제1지지부 115: 제1침부
118: 지지구 120: 제2고정틀
122: 제2전방밀착부 122a: 가이드공
124: 제2지지부 125: 제2침부
130: 볼트부재 140: 너트부재
Claims (6)
- 벌통(1)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턱(13)이 상향 돌출되어 벌통(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소문(1a) 입구에 설치되는 채분기(10)를 고정하는 채분기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채분기 고정장치(10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채분기(10)의 지지턱(13)의 전면을 감싸는 제1전방밀착부(112)의 일단에 상기 벌통(1)의 일측면에 지지가능한 제1지지부(114)가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틀(110)과,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장공형상의 가이드공(12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전방밀착부(122)의 일단에 상기 벌통(1)의 타측면에 지지가능한 제2지지부(124)가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틀(120)과,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에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공(122a)을 관통하는 볼트부재(130)와, 상기 볼트부재(130)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방밀착부(112,122)를 결합하는 너트부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틀(110)은 전체적으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전방밀착부(112)의 일단에 제1지지부(114)가 직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틀(120)은 전체적으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전방밀착부(122)의 일단에 제2지지부(124)가 직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부재(130)의 결합부(131)가 관통하는 가이드공(1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의 상하단에는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2전방밀착부(122)가 전후방으로 안내되도록 안내턱(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틀(110)의 제1지지부(114) 단부에는 벌통(1)의 일측면을 파고드는 제1침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틀(120)의 제2지지부(124) 단부에는 벌통(1)의 타측면을 파고드는 제2침부(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밀착부(112)에는 볼트 형상의 힌지핀(117)이 구비되어 채분기(10)의 지지턱(13)의 전면 일부를 가압하는 지지구(118)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분기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503U KR200489665Y1 (ko) | 2018-04-04 | 2018-04-04 | 채분기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503U KR200489665Y1 (ko) | 2018-04-04 | 2018-04-04 | 채분기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9665Y1 true KR200489665Y1 (ko) | 2019-10-01 |
Family
ID=6816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503U KR200489665Y1 (ko) | 2018-04-04 | 2018-04-04 | 채분기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66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176B1 (ko) * | 2021-01-12 | 2022-07-14 | 이연화 | 수평 채유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3330U (ko) * | 2014-02-28 | 2015-09-07 | 최황규 | 다기능 벌통 소문 세트 |
KR20150107181A (ko) * | 2014-03-13 | 2015-09-23 | 오승재 | 양봉용 화분채분기 |
KR101794477B1 (ko) * | 2017-05-23 | 2017-11-06 | 이정호 | 양봉용 화분 채분기 |
-
2018
- 2018-04-04 KR KR2020180001503U patent/KR200489665Y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3330U (ko) * | 2014-02-28 | 2015-09-07 | 최황규 | 다기능 벌통 소문 세트 |
KR20150107181A (ko) * | 2014-03-13 | 2015-09-23 | 오승재 | 양봉용 화분채분기 |
KR101794477B1 (ko) * | 2017-05-23 | 2017-11-06 | 이정호 | 양봉용 화분 채분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176B1 (ko) * | 2021-01-12 | 2022-07-14 | 이연화 | 수평 채유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9665Y1 (ko) | 채분기 고정장치 | |
US2851842A (en) | Fence row mower attachment for farm tractors | |
CN209234349U (zh) | 一种桑枝、果树枝、农作物秸秆的剪切装置 | |
FR2604329A1 (fr) | Dispositif de recolte du tournesol adaptable a n'importe quel cueilleur a mais | |
US4961305A (en) | Agricultural implement for harvesting of corn and other grain fruits | |
KR101631464B1 (ko) | 비닐수거기의 수거 롤러에서 비닐 분리장치 | |
EP2740343B1 (de)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Vertikalschneidwerks an einer Erntemaschine | |
KR102405923B1 (ko) | 양봉 벌통용 비 차단 장치 | |
US10159189B2 (en) | Stalk conditioner for a header of an agricultural combine | |
DE3040462A1 (de) | Erntemaschine | |
KR20130037306A (ko) | 원예용 식물 지지장치 | |
CN216650665U (zh) | 一种可拼接折叠组装的瓜果种植辅助架 | |
CN217364350U (zh) | 一种农业用可调式诱虫盘固定装置 | |
CN213245715U (zh) | 收割机及其防缠草组件 | |
KR200443645Y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예취기용 가이드 | |
FR2539948A1 (fr) | Machine a recolter les legumes-feuilles | |
CN108849149A (zh) | 一种y型可拆卸果树避雨大棚 | |
CN216415221U (zh) | 一种具有调节机构的花木修剪装置 | |
KR102632766B1 (ko) | 농사용 쐐기 제거기 | |
JP4346788B2 (ja) | 筍芯止め伐採工具 | |
CN215992115U (zh) | 一种花卉幼苗固定装置 | |
KR102168129B1 (ko) |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 |
CN207995821U (zh) | 蜜蜂巢框耳 | |
FR2541857A1 (fr) | Bec cueilleur a tournesol aerodynamique | |
KR102334572B1 (ko) | 휴대형 과실 수확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