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741B1 -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741B1
KR101932741B1 KR1020160141694A KR20160141694A KR101932741B1 KR 101932741 B1 KR101932741 B1 KR 101932741B1 KR 1020160141694 A KR1020160141694 A KR 1020160141694A KR 20160141694 A KR20160141694 A KR 20160141694A KR 101932741 B1 KR101932741 B1 KR 10193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xagon
cover unit
half hexagon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938A (ko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비즈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비즈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비즈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741B1/ko
Priority to PCT/KR2016/012788 priority patent/WO2018079902A1/ko
Publication of KR2018004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5/00Other aviculture appliances, e.g. devices for determining whether a bird is about to lay
    • A01K45/007Injecting or otherwise treating hatching eg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꿀자동채취모듈에 수집된 벌꿀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벌꿀자동채취모듈은 하부 커버 유닛, 제1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커버 유닛에 고정되는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 제2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하프 헥사곤의 단부와 상기 제2하프 헥사곤의 단부가 밀착되어 헥사곤이 완성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제2하프 헥사곤의 단부가 상기 제1 하프 헥사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커버 유닛에 결합되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시키는 가동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An automatic honey collecting module and the device in use with it}
본 발명은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꿀자동채취모듈에 수집된 벌꿀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벌꿀은 꿀벌을 이용해서 꽃에서 꽃꿀과 화분을 수집함으로써 얻어지는 산물이다. 감미료의 자급화의 일환으로 설탕의 생산량이 풍부한 여러 나라에서도 양봉을 장려하고 지도하여 벌꿀 증산을 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벌꿀은 감미료로서의 소비량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한편 벌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약용과 영양제로서도 애용되고 있으며, 공업 및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꿀벌은 농작물의 화분매개체로서 농작물의 결실률을 증대시키기도 하며 이와 같이 양봉이 가지는 중요성과 의의는 매우 크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양봉은 매우 장려할 만한 사업인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양봉을 통하여 벌꿀을 채취하는 데에는 매우 복잡한 공정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했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는 벌꿀 내부에 꿀벌들이 집을 짓고 꿀을 모을 수 있게 하는 벌집이 설치되는데, 꿀벌들이 헥사곤 형상의 벌집에 꿀을 가득 채우게 되면 벌통을 해체한 뒤 벌집을 꺼내어 고속 회전기 등에 집에 넣고 원심력을 인가하여 꿀을 채취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미국 공개특허 제2014-0370781호는 원심력으로 채취하지 아니하고 벌집 자체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벌집에 들어있는 벌꿀이 아래로 흘러내리게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국 공개특허 제2014-0370781호는 벌집을 이루는 각 판들이 상단에 회전하는 캠에 연결되어 캠의 회전에 의해 서로 어긋남과 만남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각 판들 자체의 분리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즉, 미국 공개특허 제2014-0370781호의 장치는 벌통 하우징을 이동하여 양봉을 하여야 하는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고, 위치 이동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벌꿀 채취를 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부품의 교체라든지 벌집의 청소 등이 매우 곤란하고 복잡한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는 것이다.
즉, 미국 공개특허 제2014-0370781호의 벌꿀 채취를 위한 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문제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4-0370781호 한국등록특허 제0476713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분리 및 이동 설치가 가능하며 벌꿀의 자동 채취가 매우 용이한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벌꿀자동채취모듈은 하부 커버 유닛, 제1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커버 유닛에 고정되는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 제2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하프 헥사곤의 단부와 상기 제2하프 헥사곤의 단부가 밀착되어 헥사곤이 완성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제2하프 헥사곤의 단부가 상기 제1 하프 헥사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커버 유닛에 결합되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시키는 가동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을 갖는 하우징은 측면에 별도로 돌출된 부분이 없기에 하우징을 측면 대 측면으로 복수 개 붙여서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하우징은 각 파트가 분리 가능한 구조이기에 하우징을 타지역으로 이동하기가 간편하고 분리 세척 또는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꿀받이홈은 하부 커버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를 갖기 때문에 벌꿀자동채취모듈을 기울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꿀 채집이 가능하다.
또한, 벌꿀자동채취모듈이 제1하프 헥사곤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의 양측면으로부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갖고, 제2하프 헥사곤은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의 양측면으로부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갖기 때문에 꿀을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유로를 통해 흐르는 벌꿀을 벌꿀자동채취모듈의 외부로 유출 가능한 개폐 유닛을 갖기 때문에 손쉬운 조작만으로도 꿀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꿀 채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 및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부 및 요홈부의 형상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이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개페 유닛 및 꿀 배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이 설치된 벌꿀자동채취장치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벌꿀자동채취모듈(M)은 상부 커버 유닛, 하부 커버 유닛, 제1측면 커버 유닛, 제2측면 커버 유닛,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 고정바, 가동바, 핸들 및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하프 헥사곤 유닛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 및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을 포함한다.
하부 커버 유닛(200)은 벌꿀자동채취모듈의 하단부를 구성하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복수 개씩 마련되며, 특히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면서 교대로 반복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커버 유닛(200)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 이외에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프 헥사곤 유닛(300)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 및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을 포함한다.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은 복수 개의 제1하프 헥사곤(316)이 형성된 채로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된다.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복수 개의 제2하프 헥사곤(326)이 형성된 채로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 또는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벌꿀자동채취모듈(M)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1하프 헥사곤(316) 단부와 제2하프 헥사곤(326) 단부가 서로 밀착되어 정육각형의 헥사곤이 완성되는 제1위치와 제2하프 헥사곤(326) 단부가 제1하프 헥사곤(316)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된다. 또한,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벌꿀자동채취모듈(M)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3하프 헥사곤(334) 단부와 제2하프 헥사곤(326) 단부가 서로 밀착되어 정육각형의 헥사곤이 완성되는 제1위치와 제2하프 헥사곤(326) 단부가 제3하프 헥사곤(334)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된다.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핸들(400)에 의해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가동바(440)에 결합되며, 가동바(440)의 회전에 의해 벌꿀자동채취모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은 벌꿀자동채취모듈(M)에서 하부 커버 유닛(200)과 상부 커버 유닛(100) 사이에서 고정된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은 하부 커버 유닛(200)과 상부 커버 유닛(100)의 단부를 마감하면서 전체적으로 벌꿀자동채취모듈(M)의 측면을 마감한다.
다시 말해, 벌꿀자동채취모듈(M)에서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 및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하부 커버 유닛(200), 상부 커버 유닛(100), 제1측면 커버 유닛(500) 및 제2측면 커버유닛(600)이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하부 커버 유닛(200)에는 채취된 벌꿀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로를 통해 흐르는 벌꿀을 벌꿀자동채취모듈(M)의 외부로 유출 가능한 개폐 유닛(700)이 마련된다.
고정바(420)는 상부 커버 유닛(100)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에 고정 결합된다. 가동바(440) 역시 상부 커버 유닛(100)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 측면 커버 유닛(600)에 결합된다. 가동바(440)는 고정바(420)와 달리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핸들(400)은 일정 길이 연장된 제1부재(402)와 제1부재(402)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제2부재(404)로 구성된다. 제2부재(404)의 하단에는 두 개의 홀이 형성되며, 두 개의 홀 중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에 형성된 홀(408)에는 가동바(440)가 관통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 형성될 홀(406)에는 고정바(420)가 관통된다.
따라서 핸들(400)을 조작하면,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가동바(440)가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가동바(440)와 결합된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의 분리사시도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부 커버 유닛(100)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 및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의 상단이 결합된다. 상부 커버 유닛(100)은 핸들(400)을 구성하는 제2부재(404)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홀(102)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102)은 제2부재(404)가 홀(102) 내에서 일정 거리 이동(회전)할 수 있도록 제2부재(404)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은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측면에 배치되면서 하부 커버 유닛(200)에 체결된다. 또한,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은 상부 커버 유닛(100)과 체결된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에는 꿀 배출부(510)가 형성된다.
하부 커버 유닛(200)은 전체적으로 단면의 형상이 'U' 자로 형성될 수 있는 꿀받이홈(204)을 갖는다. 꿀받이홈(204)은 하부 커버 유닛(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꿀받이홈(204)으로 떨어진 벌꿀이 꿀 배출부(510)을 향해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하부 커버 유닛(200)의 일측 단부에는 제1체결부(20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체결부(206)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202)는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결합되며, 제2체결부(206)는 제2측면 커버 유닛(600)과 결합된다.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이 제2체결부(206)에 결합된 상태로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고,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00)의 옆으로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이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된다.
한편,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상단에는 제1-1관통부(312)와 제1-2관통부(314)가 형성되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상단에는 제2-1요홈부(322)와 2-1관통부(324)가 형성된다.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제1-1관통부(312)는 고정바(420)가 관통되며, 제1-2관통부(314)는 가동바(440)가 관통된다. 제1-1관통부(312)의 단면은 고정바(420)의 단면과 동일하며, 제1-2관통부(314)의 단면은 가동바(440)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2관통부(314)는 형성된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즉, 제1-2관통부(314)의 전단부의 높이는 후단부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400)의 조작에 의해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가동바(440)는 제1-2관통부(314)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즉, 가동바(44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은 벌꿀자동채취모듈(M)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제2-1요홈부(322)는 고정바(420)가 관통되며, 제2-1관통부(324)는 가동바(440)가 관통된다. 제2-1관통부(324)의 단면은 일정폭을 가지며, 높이가 동일한 직선 형태의 장공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핸들(400)의 조작에 의해 가동바(440)는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벌꿀자동채취모듈(M) 상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회전하는 가동바(440)는 회전에 의해 2-1관통부(324)의 하단을 가압하며, 이로 인해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을 구성하는 2-1관통부(324)는 하단으로 이동한다.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은 상단에 제3-1요홈부(332)를 형성하며, 제3-1요홈부(332)는 핸들(400)을 구성하는 제2부재(404)가 인입된다. 물론 제2 부재(404)는 고정바(420)와 가동바(440)가 관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3-1요홈부(332)의 하단 역시 제1-2관통부(314)와 동일하게 원호 형상을 갖는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3-1요홈부(332)의 하단의 높이 서로 상이하다. 즉, 제3-1요홈부(332)의 전단부의 높이는 후단부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400)의 조작에 의해 제2부재(404)가 회전하는 경우, 제2부재(404)는 제3-1요홈부(332)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즉, 제2부재(404)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은 벌꿀자동채취모듈(M)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에는 고정바(420)가 고정 체결되는 홈부 및 가동바(440)가 원호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다. 즉,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상단에는 제1-1홈부(미도시)와 제1-1홈부의 하단에 원호 형상의 제1-2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의 상단에는 제2-1홈부(602)와 제2-1홈부(602)의 하단에 원호 형상의 제2-2홈부(604)가 형성된다. 또한,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은 상부 커버 유닛(100)과 체결되는 체결부(610)과 하부 커버 유닛(200)과 체결되는 체결부(606)를 포함한다.
고정바(420)는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제1-1홈부와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의 제2-1홈부(602)에 고정 체결된다. 가동바(440)는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제1-2홈부와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의 제2-2홈부(604)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바(440)는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를 위해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제1-2홈부와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의 제2-2홈부(604)는 가동바(44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는 제2측면 커버 유닛에 형성된 제2-1홈부와 제2-1홈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2홈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측면 커버 유닛 역시 동일한 형상의 제1-1홈부와 제1-2홈부를 형성한다.
핸들(400)은 일정 길이 연장된 제1부재(402)와 제1부재(402)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제2부재(404)로 구성된다. 제2부재(404)의 하단에는 두 개의 홀이 형성되며, 두 개의 홀 중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에 형성된 제2홀(408)에는 가동바(440)가 관통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 형성될 제1홀(406)에는 고정바(420)가 관통된다.
따라서 핸들(400)을 조작하며,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가동바(440)가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가동바(440)와 결합된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2에서는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한 쌍 도시되고 있지만,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쌍들은 하부 커버 유닛(200)에서 반복적으로 마련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의 측면에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배치되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측면에는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이 배치된다. 또한,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의 측면에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배치된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은 하부 커버 유닛(200)의 제1체결부(202)에 결합된다. 한편,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하단부에는 통공된 꿀 배출부(510)가 형성되며, 꿀 배출부(510)는 꿀받이홈(204)과 연통된다.
또한, 제1측면 커버 유닛(500)과 제1체결부(202)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이 유지되는 씰링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 커버 유닛(200)의 단부를 이루는 꿀받이홈(204)은 개폐 유닛(700)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이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되고, 꿀 배출부(504)이 개폐 유닛(700)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이다.
개폐 유닛(700)은 캡 유닛(710) 및 보조 유닛(7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닛(720)은 캡 유닛(710)에 외삽될 수 있으며, 파지하기 용이한 재질로써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유닛(720)은 원형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꿀받이홈(204)에 연통된 꿀 배출부(510)에 연결됨으로써 꿀받이홈(204)의 꿀을 이송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 및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부 및 요홈부의 형상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은 두 개의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위치한 제1-1관통부(312)는 고정바(420)가 관통하며, 하단에 위치한 제1-2관통부(314)는 가동바(440)가 관통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한 제1-2관통부(314)는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이동없이 가동바(440)가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갖는다.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하나의 요홈부와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된다. 상단에 위치한 제2-1요홈부(322)는 고정바(420)가 관통하며, 하단에 위치한 제2-1관통부(324)는 가동바(440)가 관통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한 제2-1관통부(324)는 가동바(440)가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을 갖는다.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은 하나의 요홈부가 형성된다. 제3-1요홈부(332)는 고정바(420)와 가동바(440)가 인입된 핸들(400)의 제2부재(404)가 인입된다. 제3-1요홈부(332)는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의 이동없이 핸들(400)의 제2부재(404)가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갖는다.
이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은 제1하프 헥사곤(316)을 형성하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제2하프 헥사곤(326)을 형성하며,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30)은 제3하프 헥사곤(33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 및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세부 구조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이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먼저 도 4에 대해 설명한 후 도 5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는 핸들(400)이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핸들(400)의 조작에 따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고정바(420)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제2-1요홈부(322)에 인입되며, 가동바(440)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제2-1관통부(324)에 관통된다. 상술한 바와 제2-1관통부(324)의 형상은 일정한 폭을 갖는 직선 타입으로 형성된다.
핸들(400)이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제1하프 헥사곤(316)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제2하프 헥사곤(326)에 의해 정육각형의 헥사곤이 형성된다.
도 5는 핸들(400)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400)을 잡아당기면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가동바(440)가 회전한다. 가동바(440)가 회전하면, 가동바(440)가 관통된 장공 형태의 제2-1관통부(324)는 하단으로 이동한다. 제2-1관통부(324)가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하단으로 이동한다. 물론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고정바(420)가 인입되는 부분은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요홈부가 형성된다. 물론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제2-1요홈부(322) 대신 세로 방향으로 장공 형태의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400)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에 형성된 제1-2관통부(314)의 길이만큼 이동한다.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이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제1하프 헥사곤(316)과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제2하프 헥사곤(326)에 의해 정육각형의 헥사곤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하프 헥사곤(316)과 제2하프 헥사곤(326)을 형성하지 않으면, 헥사곤 내부에 있는 벌꿀이 제1하프 헥사곤(316)과 제2하프 헥사곤(326)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되며, 흘러내린 벌꿀은 꿀받이홈에 수용된다.
제1하프 헥사곤은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양측면으로부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하프 헥사곤은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양측면으로부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하프 헥사곤(316)과 제2하프 헥사곤(326)에는 경사가 형성되므로 제2위치에서 벌꿀이 경사를 따라 하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개페 유닛 및 꿀 배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개폐 유닛(700)은 캡 유닛(710)에 결합되는 보조 유닛(7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 유닛(710)은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단부에는 제2양각 처리부(713)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2양각 처리부(713)로부터 갭 유닛(710)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음각 처리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면(715)은 캡 유닛(710)의 단부면을 이룬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하측에는 배출홀(511)이 형성된 꿀 배출부(510)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꿀 배출부(510)는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측면으로부터 원형으로 음각 처리된 제1음각 처리부(513)와 제1음각 처리부(513)로부터 원형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양각 처리부(515)를 포함하고, 제1양각 처리부(515)에 의해 통공을 이루는 배출홀(511)을 갖는다. 배출홀(511)은 꿀받이홈(204)과 연통될 수 있으며, 이 때 배출홀(511)의 저면은 꿀받이홈(204)의 저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일 수 있다.
개폐 유닛(700)의 제2양각 처리부(713)의 외주면이 배출홀(511)의 내주면과 밀착된 채로 꿀 배출부(510)에 삽입되어 제1양각 처리부(515)의 내주면 단턱이 걸릴 수 있는 구조도 바람직하다.
제2음각 처리부(711)는 제1양각 처리부(515)의 내주면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개폐 유닛(700)이 꿀 배출부(510)에 결합될 때 밀착면은 제1 양각 처리부(515)의 원주 단부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꿀받이홈(204)의 벌꿀은 개폐 유닛(700)을 제1측면 커버 유닛(500)으로부터 제거하기 전까지는 외부로 누설되는 일이 억제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이 설치된 벌꿀자동채취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이 설치된 벌꿀자동채취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벌꿀자동채취장치(A)는 복수 개의 벌꿀자동채취모듈(M)이 설치 가능하다. 다시 말해 하우징 내부에는 벌꿀자동채취모듈이 복수 개 설치 가능하다.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은 제1고정암(502)이 형성되며,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은 제2고정암(608)이 형성되며, 제1고정암(502)과 제2고정암(608)이 하우징에 고정되면서 벌꿀자동채취모듈이 하우징(800)의 바닥면(834)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매달려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810), 중간 케이스(820) 및 하부 케이스(830)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810)와 중간 케이스(820) 사이에 제1지지 프레임(840)이 결합될 수 있고, 중간 케이스(820)와 하부 케이스(830) 사이에는 제2지지 프레임(850)이 결합된다.
중간 케이스(820)의 양 측면에는 걸림턱(822)이 각각 형성되며,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의 제1고정암(502) 및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의 제2고정암(608)이 걸림턱(822)에 고정된다.
하부 케이스(830)는 저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발받침부(832)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하부 케이스(830)의 하측 측면 일부에는 개구부(836)가 가늘고 좁게 절개되어 형성되어 꿀벌들이 하우징 내부로 드나들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제2지지 프레임(850)에는 측벽의 일부가 절개된 제2절개부(852)가 형성된다. 벌꿀자동채취모듈에 마련된 벌꿀을 채취하기 위하여 하우징 전체를 분리하여 벌꿀자동채취모듈을 드러낼 필요가 없다.
상부 케이스(810)만 들어올려 분리한 뒤 핸들(400)을 조작하면 상술한 동작 원리와 같이 제2 위치에서 벌꿀이 꿀받이홈(204)으로 낙하하여 모이게 되고, 꿀받이홈(204)에 모인 벌꿀을 회수하기 위하여는 제2 절개부(852)에 노출된 개폐 유닛(700)을 제거하면 된다.
다시 말해 제2 절개부(852)에는 개폐 유닛(700)이 노출될 수 있으며, 제2 절개부(852)을 통하여 노출된 개폐 유닛(700)을 이용하여 벌꿀자동채취모듈(M)에 들어 있는 벌꿀을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벌꿀자동채취모듈(M)을 갖는 하우징(800)은 측면에 별도로 돌출된 부분이 없기에 하우징(800)을 측면 대 측면으로 복수 개 붙여서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벌꿀자동채취모듈(M) 및 하우징(800)은 각 파트가 분리 가능한 구조이기에 하우징(800)을 타지역으로 이동하기가 간편하고 분리 세척 또는 수리 등이 용이한 강점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상부 커버 유닛 200: 하부 커버 유닛
300: 하프 헥사곤 유닛 400: 핸들
500: 제1측면 커버 유닛 600: 제2측면 커버 유닛
700: 개폐 유닛 800: 하우징

Claims (11)

  1. 하부 커버 유닛(200);
    제1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커버 유닛(200)에 고정되는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
    제2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하프 헥사곤의 단부와 상기 제2하프 헥사곤의 단부가 밀착되어 헥사곤이 완성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제2하프 헥사곤의 단부가 상기 제1 하프 헥사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커버 유닛(200)에 결합되는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
    상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시키는 가동바(440);
    상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과 상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 유닛(100);
    상기 상부 커버 유닛(100)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커버 유닛(2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측면 커버 유닛(500); 및
    상기 상부 커버 유닛(100)의 타측면과 상기 하부 커버 유닛(20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측면 커버 유닛(6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커버 유닛(500)의 상단에는 고정바(420)가 고정 체결되는 제1-1홈부; 및 상기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가동바(4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1-2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 커버 유닛(60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바(420)가 고정 체결되는 제2-1홈부(602); 및 상기 고정바(4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가동바(4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2-2홈부(60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헥사곤 고정 유닛(310)은,
    상단에 제1-1관통부(312);
    상기 제1-1관통부(312)의 하단에 원호 형상의 제1-2관통부(314)를 형성하며,
    상기 하프 헥사곤 슬라이드 유닛(320)은,
    상단에 제2-1요홈부(322);
    상기 제2-1요홈부(322)의 하단에 직선의 장공 형상의 제2-1관통부(32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관통부(312)와 상기 제2-1요홈부(322)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바(420);
    상기 제1-2관통부(314)와 상기 제2-1관통부(324)를 관통하는 상기 가동바(4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부재(402); 및
    상기 제1부재(40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하단에 상기 고정바(420)가 관통되는 제1홀(406)과 상기 제1홀(406)의 하단에 상기 가동바(440)가 관통되는 제2홀(408)이 형성된 제2부재(404)를 포함하는 핸들(4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 유닛(200)은 벌꿀을 수용하는 'U' 자 형상의 꿀받이홈(204)을 포함하며,
    상기 꿀받이홈(204)은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커버 유닛(500)은 상기 꿀받이홈(204)과 연통되는 꿀 배출부(5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꿀 배출부(510)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7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제2부재(404)가 인입되는 제3-1요홈부(332)가 형성되며, 제3하프 헥사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커버 유닛(200)에 고정되는 하프 헥사곤 중앙 유닛(3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자동채취모듈(M).
  11. 제 1항에 따른 벌꿀자동채취모듈(M)을 포함하는 벌꿀자동채취장치(A)로서,
    상기 벌꿀자동채취모듈(M)이 마련된 하우징(8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커버 유닛과(500)에 돌출 형성된 고정암(502)과 제2측면 커버 유닛(600)에 돌출 형성된 고정암(608)이 상기 하우징(800)에 고정되면서, 상기 벌꿀자동채취모듈(M)이 상기 하우징(800)의 바닥면(834)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벌꿀자동채취장치(A).
KR1020160141694A 2016-10-28 2016-10-28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KR10193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94A KR101932741B1 (ko) 2016-10-28 2016-10-28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PCT/KR2016/012788 WO2018079902A1 (ko) 2016-10-28 2016-11-08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94A KR101932741B1 (ko) 2016-10-28 2016-10-28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938A KR20180046938A (ko) 2018-05-10
KR101932741B1 true KR101932741B1 (ko) 2019-01-17

Family

ID=6202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94A KR101932741B1 (ko) 2016-10-28 2016-10-28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2741B1 (ko)
WO (1) WO2018079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519A (zh) * 2018-06-15 2018-11-06 董海 一种自动取蜜蜂箱
CN108782338B (zh) * 2018-06-26 2020-12-29 永泰县川山生态农业有限公司 养殖蜂专用蜂箱
TN2018000445A1 (en) * 2018-12-24 2020-06-15 Nachi Hamza Efficient system for harvesting honey directly from a beehive.
FI12806Y1 (fi) * 2020-01-09 2020-11-13 Paradise Honey Oy Hunajakennostokehän rakenne
US11490600B2 (en) * 2021-02-20 2022-11-08 Nicholas Andrew Elpel Apiary tool with lever cam for vertical removal and transport of a bee frame
WO2022243490A1 (de) * 2021-05-19 2022-11-24 Felix Bock Wabenrahmen für eine bienenbeute und bienenbeu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288B1 (ko) * 2015-03-18 2015-10-01 조은호 양봉용 소비
KR101590073B1 (ko) * 2015-08-19 2016-02-01 (주)프레스코 소비
WO2016127217A1 (en) * 2015-02-12 2016-08-18 Flowbee Australia Pty Ltd A bee-benign artificial honeycomb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7390Y1 (it) * 1999-10-05 2002-07-09 Rovera Giuseppe Favo artificiale per arnie.
KR100476713B1 (ko) 2001-09-15 2005-03-16 한국화학연구원 기공형 고분자재료를 이용한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KR200281218Y1 (ko) * 2002-04-23 2002-07-13 이분연 양봉용 소초광
US9826721B2 (en) 2011-12-21 2017-11-28 FlowBee Australia Pty. Ltd. Apicul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7217A1 (en) * 2015-02-12 2016-08-18 Flowbee Australia Pty Ltd A bee-benign artificial honeycomb
KR101556288B1 (ko) * 2015-03-18 2015-10-01 조은호 양봉용 소비
KR101590073B1 (ko) * 2015-08-19 2016-02-01 (주)프레스코 소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938A (ko) 2018-05-10
WO2018079902A1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741B1 (ko)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KR101834050B1 (ko)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KR101227309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ES1142460U (es) Tijera de vendimia o recolección de uva y similares
CN112619795B (zh) 一种应用于玉米遗传育种中使用的取粉器
CN203912595U (zh) 果树上果实收获装置
WO2019077180A1 (es) Máquina exprimidora de frutos
CN206547611U (zh) 分离式自流蜜巢脾
CN112715352B (zh) 玉米遗传育种用隔离罩
RU2378819C1 (ru) Плодосъемник (варианты)
KR20190106179A (ko)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200427795Y1 (ko) 벌꿀채밀장치
JP3210863U (ja) 押付け防止の蜂蜜自動流出ハニカム
ES2850399T3 (es) Extractor de zumo de cítricos
TWI571198B (zh) Castor fruit harvesting device, harvesting machine and harvesting method
BR112016020670B1 (pt) Método de extração de um embrião, sistema para a extração de um embrião
KR20160052997A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CN113951099A (zh) 一种水稻育苗用立式培育架的喷灌循环装置
CN212988878U (zh) 一种便携式甘蔗野生资源取汁器
CN209699218U (zh) 一种家用辣椒切片装置
JP2018121563A (ja) サフランめしべ摘取装置
KR20140096213A (ko)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CN216087695U (zh) 一种农业花椒种植用采收器
CN215603028U (zh) 红枣去核分级装置
CN218530030U (zh) 一种桃树种植用喷药滤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