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867A - 조류용 자동 모이통 - Google Patents

조류용 자동 모이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867A
KR20150031867A KR20130111622A KR20130111622A KR20150031867A KR 20150031867 A KR20150031867 A KR 20150031867A KR 20130111622 A KR20130111622 A KR 20130111622A KR 20130111622 A KR20130111622 A KR 20130111622A KR 20150031867 A KR20150031867 A KR 2015003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eeder
birds
fe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298B1 (ko
Inventor
임용
Original Assignee
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 filed Critical 임용
Priority to KR102013011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2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4Feed troughs; Feed thr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새장에 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고, 모이 안착부가 통풍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모이가 부패하지 않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새가 모이를 쾌적한 환경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한 번에 다량의 모이를 줄 수 있어 장기간 모이를 주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와, 상기 모이 투입구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이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로 구성되어 새장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모이통 본체; 상기 후면판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횟대 및 상기 모이통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가 낙하되어 모이는 수거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류용 자동 모이통{Auto feed case for birds}
본 발명은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새장에 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고, 모이 안착부가 통풍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모이가 부패하지 않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새가 모이를 쾌적한 환경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한 번에 다량의 모이를 줄 수 있어 장기간 모이를 주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이다.
개나 고양이, 새, 햄스터, 물고기 등과 같은 애완용 동물들은 야생동물과는 달리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한다. 즉 애완용 동물들은 조그마한 집이나 새장, 어항 등과 같이 해당 애완용 동물들이 사람이나 기타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고 지낼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공간들 중 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새장은 상하좌우 전후의 모두 면을 철망으로 만들어 새장 속의 새들을 보다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새장의 바닥에는 새의 배설물이나 모이 찌꺼기, 미세한 먼지 등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이 깔려 있고, 새장의 내부에는 새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나무나 알을 품을 수 있는 둥지 그리고 모이나 물을 줄 수 있는 별도의 용기들인 모이통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새장은 새의 배설물이나 기타 이물질들이 바닥에 떨어져 이를 청소 또는 제거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뿐더러 바닥에 쌓인 새의 배설물이 썩으면서 나는 냄새와 새가 날갯짓할 때마다 발생되는 미세한 먼지들이 철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람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배설물 등의 이물질들은 모이통에도 떨어지게 되고, 새들이 모이를 먹을 시 발생되는 체액, 습기 및 배설물에 의해 모이가 굳거나 부패되며, 이러한 모이를 먹은 새들은 쉽게 병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새들의 경우 조와 같은 모이를 부리로 바닥에 찍은 후 긁어서 껍질을 까서 껍데기는 버리고 알맹이만을 먹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껍질도 그대로 모이통에 남아 있게 되어 원활한 모이 공급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분리된 껍데기(쭉정이)가 모이통에 그대로 쌓여있게 되어 모이통을 사용자가 유심히 살펴보지 않는다면 모이가 남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새가 굶어 죽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 천장에 매달린 새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새의 배설물이나 이물질 등이 외부로 떨어지는 경우 새장이 설치된 방이나 마루 등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기존의 새장에 설치되는 모이통의 경우 작은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 모이를 보충해줘야 되므로 번거로웠으며, 장기간 집을 비울 시에는 모이의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아 새들이 아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3066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새장의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모이통에 있는 모이가 부패하지 않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새를 키우는 사람이 장기간 집을 비울 시에도 모이통 본체에 모이를 가득 채워놓기만 하면 새가 먹는 양에 따라 모이가 모이 안착부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와, 상기 모이 투입구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이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로 구성되어 새장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모이통 본체; 상기 후면판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횟대; 상기 모이안착부 및 횟대 사이에 형성되되, 새가 상기 횟대에 앉은 채 모이안착부의 모이를 먹다가 떨어뜨렸을 시 모이가 상기 수거함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낙하공; 및 상기 모이통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 및 상기 낙하공을 통하여 낙하되는 찌꺼기가 모이는 수거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상기 모이통 본체의 측면판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딩 되도록 상기 수거함의 상단부에 수거함의 내측부로 돌출형성되되, 모이통 본체와 수거함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단부가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 후면판에는, 그 하부에 상기 수거함이 모이통 본체와 결합되었을 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상기 모이통 본체가 하부로 수납공간이 소정면적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서랍이 구비되어 인출입되되, 상기 모이통 본체 하단부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와 수거서랍 사이에 형성되는 틈사이로 모이 안착부 및 낙하공에서 낙하되는 찌꺼기가 끼지 않고 수거함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상기 후면판의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상부에 상부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이통 본체의 하부에는 둘 이상의 하부걸림홈이 형성되어 새장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 모이통 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는,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양 단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되, 일단부는 새장의 횡부재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 및 수거함은, 외부에서 새 및 수거함에 찌꺼기가 적재된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의하면, 첫째, 새장의 사이즈에 구애 받지 않고 모이통 본체를 장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모이 안착부 하부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풍이 원활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모이의 부패를 막을 수 있어 새들에게 신선한 모이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곡식 껍데기와 같은 찌꺼기가 수거함으로 쉽게 빠지므로 새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살 수 있게 되어 새들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모이통 본체 및 수거함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모이의 잔량 및 수거함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새장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모이통 본체에서 수거함을 쉽게 탈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새장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모이를 한 번에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어 번거로움이 없어지며, 이와 같이 모이를 한 번에 다량으로 공급하여도 모이가 서서히 모이 안착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장기간 외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기존에 사용되던 용기형 모이통은 새가 모이를 윗부분부터 먹기 때문에 쭉정이와 배설물이 모이통에 쌓여 새가 변질된 모이를 먹게 되지만,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의하면 새가 모이를 아랫부분부터 먹게 되므로 위생적이다.
일곱째, 기존의 사용되던 모이통의 경우 크기가 작으므로 모이가 빨리 소모되며, 이로 인해 모이통을 자주 넣었다 뺐다 해야 되므로 새의 신경을 자극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의하면 모이가 소모되어도 상부의 모이 투입구를 통하여 모이를 공급하게 되므로 새를 자극하지 않게 되어 새가 산란 및 육추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변형예로서 모이통 하부의 수거함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에 결속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이 새장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변형예로서 모이통 하부의 수거함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상부에 결속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이 새장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은, 크게 모이통 본체(100)와 수거함(200)으로 구분된다.
먼저 모이통 본체(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111)와, 상기 모이 투입구(111)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과,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114) 및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116)이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1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판(113)은 전면판(112)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투입되는 모이가 서서히 모이 안착부(115)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대략적인 형상은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측면판(114)이 결합되어 있되,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부의 모이가 모이 안착부(115)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모이안착부(115) 단부의 높이는, 상기 후면판(113)의 끝단부와 동일하거나, 상기 모이 안착부(115)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상기 모이가 모이 안착부(115)로 적정량이 배출되면서, 외부로는 모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새들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진 후면판(113)의 단부의 위치는 모이안착부(115)의 정중간 또는 전면판(112)측으로 약 1/3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이 투입구(111), 전면판(112), 후면판(113) 및 모이 안착부(115)는 일체로 구성되어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장방형의 아크릴판을 절곡하여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후면판(113)을 경사지도록 형성하며, 후면판(113)의 하부에는 후면판(113)의 끝단부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서 절곡하여 모이 안착부(115)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이 투입구(111)는 소정 면적 절개하여 경첩(117)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새에게 모이를 공급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모이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모이를 채울 수 있기 때문에 한 손만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된다. 부연하면, 기존의 경우 모이통에 모이를 채우기 위해서 사용자는 한손은 모이통을, 한손은 모이를 모이통에 넣기 때문에 양손을 모두 사용하게 되므로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모이통에 의하면 이러한 불편함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이통 본체(100)를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모이 투입구(111), 전면판(112), 후면판(113), 측면판(114) 및 모이안착부(115) 각각을 아크릴 판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가장자리영역을 접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후면판(113)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114)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횟대(15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새가 상기 모이 안착부(115)에 있은 모이를 쉽게 먹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사진 후면판(113)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모이안착부(115) 및 횟대(150) 사이에 형성되되, 새가 상기 횟대(150)에 앉은 채 모이안착부(115)의 모이를 먹다가 떨어뜨렸을 시 모이가 후술할 수거함(200)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낙하공(11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새의 경우 목을 늘려서 모이 안착부(115)의 모이를 쪼아서 먹게 되는데, 이때 모이를 쪼아서 제자리로 올 때 모이를 떨어뜨리게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이가 모이통 본체(100)에 남아있게 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새가 다시 모이를 먹지 않기 때문에 하부의 수거함(200)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새가 모이를 먹으러 날갯짓을 횟대(150)에 앉을 시 예를 들어 조껍질 등과 같은 찌꺼기가 날릴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찌꺼기도 상기 낙하공(119)을 통하여 수거함(200)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판(114)은 상기 후면판(113)의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상부에 상부걸림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는 하부걸림홈(132)이 형성된다. 이는 새장(300)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 모이통 본체(10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장(300)의 문을 개방하고, 상기 모이통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걸림홈(131)을 새장(300) 문의 상부에 밀어서 삽입시킨 후 하부걸림홈(132)을 새장(300) 문의 하부에 결합시키게 되면 도 5와 같은 형상으로 모이통 본체(100)가 새장(300)에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걸림홈(13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새장마다 문의 길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 모이통 본체(100)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걸림홈(131) 및 하부걸림홈(132) 간의 길이보다 새장 문이 높이가 작을 시에는 복수의 하부걸림홈(132) 중 적당한 홈에 새장 문의 하부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모이통 본체(100)는 비스듬하게 새장 문에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측면판(114)의 경우 모이통 본체(100)를 새장에 장착하는 역할 외에도 새가 횟대(150)에 앉아서 먹이를 먹을 때 새가 먹이를 잘 먹도록 하는 역할도 있다. 일반적으로 새의 경우 먹이를 먹을 때 외부로부터 간섭받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상기 측면판(114)에 의해 새가 집중해서 모이를 잘 먹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116)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가 낙하되어 모이는 수거함(200)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거함(200)의 경우 착탈식 및 서랍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우선 착탈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착탈식 수거함(200)은,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측면판(114)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120) 및 상기 가이드(120)에 의해 가이딩 되도록 상기 수거함(200)의 상단부에 수거함(200)의 내측부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201)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01)는, 모이통 본체(100)와 수거함(200)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단부가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이통 본체(100) 또는 수거함(20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수거람(200)의 전면부에는 손잡이(20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수거함(200)을 인출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이통 본체(100) 후면판(113)에는, 그 하부에 상기 수거함(200)이 모이통 본체(100)와 결합되었을 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21)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모이 안착부(115)의 모이가 수거함(200)으로 쏟아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서랍형 수거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이통 본체(100)가 하부로 수납공간(140)이 소정면적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40)에 수거서랍(210)이 구비되어 인출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거서랍(210)의 전면에는 손잡이(20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수거서랍(210)을 인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거함(200)이 서랍식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그 하단부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140)와 수거서랍(2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사이로 모이 안착부(115) 및 낙하공(119)에서 낙하되는 찌꺼기가 끼지 않고 수거함(20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편(220)이 더 형성된다.
또한, 수납공간(140)의 전단부 하부에는 인출방지턱(2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거서랍(210)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거서랍(210)을 인출할 시 수거서랍(210)을 상부로 살짝 들어 올린 후 인출하여야 한다.
상기한 두 가지 형태의 수거함이 적용되는 모이통 본체(100)는,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양 단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되, 일단부는 새장(300)의 횡부재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무게추(231)가 구비되는 결속부재(2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이통 본체(100)를 새장 문에 장착하지 않고, 상기 모이통 본체(100)를 새장에 장착할 경우가 있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새장 문은 새장 문의 역할대로, 모이통 본체는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모이통 본체(10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새장의 일측을 절개한 뒤 상기 무게추(231)를 상부로 회동(점선화살표 참조)시키게 되면, 무게추(231)의 반대측 단부는 새장의 종부재와 평행을 이루게 되며, 이후 새장에 모이통 본체(100)를 밀착시킨 뒤 상기 무게추(231)를 놓게 되면, 반대측은 새장의 횡부재와 평행을 이루게 되어 새장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경우 상기 모이통 본체(100) 및 수거함(2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에서 새 및 수거함(200)에 찌꺼기가 적재된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모이통 본체 111 : 모이 투입구
112 : 전면판 113 : 후면판
114 : 측면판 115 : 모이 안착부
116 : 메쉬망 117 : 경첩
119 : 낙하공 120 : 가이드
121 : 걸림돌기 131 : 상부걸림홈
132 : 하부걸림홈 140 : 수납공간
150 : 횟대 200 : 수거함
201 : 결합돌기 202 : 손잡이
210 : 수거서랍 220 : 차단편
230 : 결속부재 231 : 무게추
300 : 새장

Claims (7)

  1.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111)와, 상기 모이 투입구(111)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과, 상기 전면판(112)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면판(113)과,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114) 및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116)이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115)로 구성되어 새장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모이통 본체(100);
    상기 후면판(113)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114)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횟대(150);
    상기 모이안착부(115) 및 횟대(150) 사이에 형성되되, 새가 상기 횟대(150)에 앉은 채 모이안착부(115)의 모이를 먹다가 떨어뜨렸을 시 모이가 상기 수거함(200)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낙하공(119); 및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116)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 및 상기 낙하공(119)을 통하여 낙하되는 찌꺼기가 모이는 수거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200)은,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측면판(114)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120); 및
    상기 가이드(120)에 의해 가이딩 되도록 상기 수거함(200)의 상단부에 수거함(200)의 내측부로 돌출형성되되, 모이통 본체(100)와 수거함(200)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단부가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2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 후면판(113)에는,
    그 하부에 상기 수거함(200)이 모이통 본체(100)와 결합되었을 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이통.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200)은,
    상기 모이통 본체(100)가 하부로 수납공간(140)이 소정면적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40)에 서랍(210)이 구비되어 인출입되되, 상기 모이통 본체(100) 하단부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140)와 수거서랍(2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사이로 모이 안착부(115) 및 낙하공(119)에서 낙하되는 찌꺼기가 끼지 않고 수거함(20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편(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114)은 상기 후면판(113)의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되, 상부에 상부걸림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는 둘 이상의 하부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새장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 모이통 본체(1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양 단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되, 일단부는 새장의 횡부재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무게추(231)가 구비되는 결속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 및 수거함(200)은, 외부에서 새 및 수거함(200)에 찌꺼기가 적재된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1020130111622A 2013-09-17 2013-09-17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10158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622A KR101585298B1 (ko) 2013-09-17 2013-09-17 조류용 자동 모이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622A KR101585298B1 (ko) 2013-09-17 2013-09-17 조류용 자동 모이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67A true KR20150031867A (ko) 2015-03-25
KR101585298B1 KR101585298B1 (ko) 2016-01-13

Family

ID=5302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622A KR101585298B1 (ko) 2013-09-17 2013-09-17 조류용 자동 모이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9636A1 (it) * 2020-12-03 2022-06-03 2 Gr Di Gobbi Luciano & C S N C Mangiatoia perfezionata per volatili.
CN115226653A (zh) * 2022-06-30 2022-10-25 山东鲜安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鸟类受伤救援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030006A1 (it) * 2003-01-16 2004-07-17 Marchioro S P A Stampaggio Materie Plastiche Struttura di mangiatoia antispreco particolarmente
US7055462B2 (en) 2004-05-03 2006-06-06 Adam's Specialty Products, Llc Feeder apparatus
CN202406794U (zh) * 2011-12-21 2012-09-05 吴春燕 一种禽类食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9636A1 (it) * 2020-12-03 2022-06-03 2 Gr Di Gobbi Luciano & C S N C Mangiatoia perfezionata per volatili.
EP4008178A1 (en) * 2020-12-03 2022-06-08 2 GR di Gobbi Luciano & C. S.N.C. Feeding trough for birds
CN115226653A (zh) * 2022-06-30 2022-10-25 山东鲜安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鸟类受伤救援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298B1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219B2 (en) Draw-ramp egg-teeter-totter wild-animal-shield chicken coop, having easy-access ventilated roosting system, automatic-egg-collecting-and-indicating-teeter-totter nesting system, cable draw-ramp system, automatic-hook sliding-door system, easy-access pivotable feeder-and-water system, extendable chicken-run system, anti-pushing anti-growing anti-digging anti-rotting shield systems, and automatic-relatching-twistable-compressable-spring latch systems
US7111427B1 (en) Lobster trap
US5394832A (en) Equine feed bin
US6877269B2 (en) Insect container
US10064385B2 (en) Horse feeder for slow and controlled grazing
KR101585298B1 (ko)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20060082344A (ko) 사료공급용 파리애벌레 사육통
US5924380A (en) Protected feeding and watering system for upland game birds
US20200288696A1 (en) Rodent Trap
KR100908643B1 (ko) 새끼 무균 동물 보육용 상자
CN202406794U (zh) 一种禽类食盒
KR200485402Y1 (ko) 고양이 다이어트용 급식용구
KR20160004160U (ko)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20160137275A (ko) 곤충 유충 사육 장치 및 방법
US10292362B2 (en) Animal feeder
KR20090089823A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KR200485521Y1 (ko) 사료의 손실이 없는 먹이통
US5544621A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live insects to fish
CA2806809C (en) Horse feeder
KR101194597B1 (ko) 메추리 사육용 케이지
US20150313175A1 (en) Rabbit Hay Feeder
TWM566625U (zh) Waste treatment plant
CN214047066U (zh) 一种便于定量投料的畜牧用喂食装置
JP3014086U (ja) 動物飼育ケージ用給餌器
CN218499770U (zh) 一种干湿分离的兔肉养殖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