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60U - 조류용 자동 모이통 - Google Patents

조류용 자동 모이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60U
KR20160004160U KR2020150003383U KR20150003383U KR20160004160U KR 20160004160 U KR20160004160 U KR 20160004160U KR 2020150003383 U KR2020150003383 U KR 2020150003383U KR 20150003383 U KR20150003383 U KR 20150003383U KR 20160004160 U KR20160004160 U KR 20160004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h
main body
feeder
plate
bi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순
Original Assignee
이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순 filed Critical 이찬순
Priority to KR2020150003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160U/ko
Publication of KR20160004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새장에 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고, 모이 안착부가 통풍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모이가 부패하지 않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모이 안착부에 메쉬망이 구비되되, 이 메쉬망이 탈착 다능하도록 하여 새가 모이를 쾌적한 환경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용 자동 모이통{Auto feed case for birds}
본 고안은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새장에 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고, 모이 안착부가 통풍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모이가 부패하지 않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모이 안착부에 메쉬망이 구비되되, 이 메쉬망이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새가 모이를 쾌적한 환경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관한 것이다.
개나 고양이, 새, 햄스터, 물고기 등과 같은 애완용 동물들은 야생동물과는 달리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한다. 즉 애완용 동물들은 조그마한 집이나 새장, 어항 등과 같이 해당 애완용 동물들이 사람이나 기타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고 지낼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공간들 중 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새장은 상하좌우 전후의 모두 면을 철망으로 만들어 새장 속의 새들을 보다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새장의 바닥에는 새의 배설물이나 모이 찌꺼기, 미세한 먼지 등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이 깔려 있고, 새장의 내부에는 새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나무나 알을 품을 수 있는 둥지 그리고 모이나 물을 줄 수 있는 별도의 용기들인 모이통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새장은 새의 배설물이나 기타 이물질들이 바닥에 떨어져 이를 청소 또는 제거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뿐더러 바닥에 쌓인 새의 배설물이 썩으면서 나는 냄새와 새가 날갯짓할 때마다 발생되는 미세한 먼지들이 철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람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배설물 등의 이물질들은 모이통에도 떨어지게 되고, 새들이 모이를 먹을 시 발생되는 체액, 습기 및 배설물에 의해 모이가 굳거나 부패되며, 이러한 모이를 먹은 새들은 쉽게 병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새들의 경우 조와 같은 모이를 부리로 바닥에 찍은 후 긁어서 껍질을 까서 껍데기는 버리고 알맹이만을 먹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껍질도 그대로 모이통에 남아 있게 되어 원활한 모이 공급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분리된 껍데기(쭉정이)가 모이통에 그대로 쌓여있게 되어 모이통을 사용자가 유심히 살펴보지 않는다면 모이가 남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새가 굶어 죽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 천장에 매달린 새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새의 배설물이나 이물질 등이 외부로 떨어지는 경우 새장이 설치된 방이나 마루 등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기존의 새장에 설치되는 모이통의 경우 작은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 모이를 보충해줘야 되므로 번거로우며, 장기간 집을 비울 시에는 모이의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아 새들이 아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306611호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새장에 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고, 모이 안착부가 통풍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모이가 부패하지 않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모이 안착부에 메쉬망이 구비되되, 이 메쉬망이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새장 환경을 제공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111)와, 상기 모이 투입구(111)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과, 상기 전면판(112)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면판(113)과,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114) 및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116)이 인출입되도록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115)로 구성되어 새장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모이통 본체(100); 상기 후면판(113)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114)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횃대(150); 상기 모이안착부(115) 및 횃대(150) 사이에 형성되되, 새가 상기 횃대(150)에 앉은 채 모이안착부(115)의 모이를 먹다가 떨어뜨렸을 시 모이가 상기 수거함(200)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낙하공(119); 및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116)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 및 상기 낙하공(119)을 통하여 낙하되는 찌꺼기가 모이는 수거함(200)을 포함하되, 상기 메쉬망(116)은, 상기 모이통 본체(100)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공(116b)을 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주식부(161) 및 부식부(162) 둘로 구획되되, 중간 부에 칸막이(163)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이 안착부(115)에서 상기 칸막이(163)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아치형 칸막이(17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횃대(150)는, 결합공(153)을 통하여 인출입되되, 상기 결합공(153)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연통되어 상기 횃대(150)가 결합공(153) 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횃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횃대(150)는 양측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2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20)에 의해 가이딩되어 인출입 되도록 상기 수거함(200)의 상단부에는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200)은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 및 수거함(200)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거함(200)의 하부면의 인출입판(2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의하면, 첫째, 모이 안착부 하부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풍이 원활하게 되고, 특히, 메쉬망을 외측으로 인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메쉬망이 오염되었을 시 이를 쉽게 인출하여 세척한 후 인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이의 부패를 막을 수 있어 새들에게 신선한 모이를 공급할 수 있어 새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살 수 있게 되어 새들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횃대를 둘로 형성하여 새가 모이를 먹기 위해서 제1 횃대에 앉아서 모이를 먹는 동안 배설을 할 경우 이 배설물은 제2 횃대가 위치된 곳으로 배설물이 쌓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 횃대를 제거하여 세척한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모이통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모이통 본체와 수거함이 서랍식으로 구성됨으로서 누구나 쉽게 새장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모이통 본체를 주식부 및 부식부로 구획하여 다양한 종류의 모이를 새에게 공급할 수 있어 새의 영양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모이통 본체 및 수거함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모이의 잔량 및 수거함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새장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모이를 한 번에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어 번거로움이 없어지며, 이와 같이 모이를 한 번에 다량으로 공급하여도 모이가 서서히 모이 안착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장기간 외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모이 안착부에 아치형 칸막이를 형성함으로서 주식 및 부식이 섞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기존에 사용되던 용기형 모이통은 새가 모이를 윗부분부터 먹기 때문에 쭉정이와 배설물이 모이통에 쌓여 새가 변질된 모이를 먹게 되지만,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의하면 새가 모이를 아랫부분부터 먹게 되므로 위생적이다.
여덟째, 기존의 사용되던 모이통의 경우 크기가 작으므로 모이가 빨리 소모되며, 이로 인해 모이통을 자주 넣었다 뺐다 해야 되므로 새의 신경을 자극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에 의하면 모이가 소모되어도 상부의 모이 투입구를 통하여 모이를 공급하게 되므로 새를 자극하지 않게 되어 새가 산란 및 육추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거함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결합체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1의 제2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1의 제3 변형예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거함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은, 크게 모이통 본체(100)와 수거함(200)으로 구분된다.
우선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111)와, 상기 모이 투입구(111)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과, 상기 전면판(112)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면판(113)과,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114) 및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116)이 인출입되도록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1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망(116)에는 상기 메쉬망(116) 인출 시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116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메쉬망(116)에 오물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16a)를 인출하여 물 등으로 세척한 후 다시 결합공(116b)로 인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대략적인 형상은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측면판(114)이 결합되어 있되,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부의 모이가 모이 안착부(115)로 배출된다.
또한, 모이통 본체(1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102)가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모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모이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주식부(161) 및 부식부(162) 둘로 구획되되, 중간 부에 칸막이(163)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이 안착부(115)에서 상기 칸막이(163)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아치형 칸막이(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치형 칸막이(170)는 주식부(161) 및 부식부(162)에서 모이 안착부(115)로 공급되는 모이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칸막이(163)의 경우 가이드(164)가 모이통 본체(100) 내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칸막이(163)를 인출입할 시 용이하게 인출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칸막이(163)의 경우 메쉬망(116)의 손잡이(116a)의 반대측으로 즉 결합공(116b)의 반대측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메쉬망(116)을 조금만 인출하여도 상기 주식부(161) 및 부식부(162)의 하부가 개방되어서 모이를 쉽게 비울 수 있으면서도, 메쉬망(116)이 완전히 결합공(116b)에서 분리되지 않아서 메쉬망(116)을 원위치로 결합시키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후면판(113)은 전면판(112)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투입되는 모이가 서서히 모이 안착부(115)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칸막이(163)를 제거하여 주식부(161) 및 부식부(162)를 통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판(113)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114)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횃대(150)가 구비된다. 상기 횃대(150)는, 도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두 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인 제1 횃대(151)만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횃대(151)만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하고, 후방에 새의 배설물이 쌓이도록 하기 위한 배설물 받이를 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새가 모이를 먹기 위해서 제1 횃대(151)에 앉아서 모이를 먹는 동안 배설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설물을 받기 위한 것이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횃대(150)를 제1 및 제2 횃대(151, 152) 두 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새가 모이를 먹기 위해서 제1 횃대(151)에 앉아서 모이를 먹는 동안 배설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배설물은 제2 횃대(152)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2 횃대(152)만을 인출한 뒤 이를 세척한 후 다시 삽입하여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각각의 횃대(150)는 양측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존 모이통의 경우에는 배설물이 새장의 내측으로 떨어져 새장이 오염되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제2 횃대(152) 또는 배설물 받이를 구비함으로서 새가 제2 횃대(152) 또는 배설물 받이가 위치된 곳에 배설을 하여 배설물이 쌓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 횃대(152) 또는 배설물 받이를 제거하여 세척한 후 다시 결합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이안착부(115) 및 횃대(150) 사이에 형성되되, 새가 상기 횃대(150)에 앉은 채 모이안착부(115)의 모이를 먹다가 떨어뜨렸을 시 모이가 상기 수거함(200)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낙하공(119)이 구비된다. 따라서 새가 상기 제1 횃대(151)에 앉아서 모이 안착부(115)의 모이를 먹으면서 흘린 모이는 상기 낙하공(119)을 통하여 후술할 수거함(200)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116)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 및 상기 낙하공(119)을 통하여 낙하되는 찌꺼기가 모이는 수거함(200)이 구비된다. 상기 수거함(200)은,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2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20)에 의해 가이딩되어 인출입 되도록 상기 수거함(200)의 상단부에는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200)이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220)의 경우 두 줄로 형성되고, 그 사이로 상기 돌기(210)가 삽입되어 인출입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220)는 한 줄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 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220)가 한줄로 형성될 경우 중력에 의해 돌기(210)가 가이드(220)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가이드(220)의 전후방에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수거함(20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220)가 두 줄로 형성된 경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210)가 가이드(220) 사이에 위치하여 수거함(20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거함(200)의 전면에는 손잡이(20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거함(200)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112)은 모이 투입구(11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01)와 후면판(113)이 경첩(11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면판(112)을 후면판 측으로 회동시킨 후 모이 투입구(111)로 모이를 넣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후면판(113)의 중간부에는 새장(300)에 모이통을 결속하기 위한 결합체(180)가 구비되고,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홈(181)이 형성되어 새장(300)의 개구부에 결속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고리(183) 및 결합홈(181)을 이용하여 새장에 결속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제1 변형예이고, 도 7은 도 1의 제2 변형예며, 도 8은 도 1으 제3 변형예이다.
도 6의 경우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상기 모이통 본체(100) 및 수거함(200)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거함(200)의 하부면의 인출입판(230)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거함(200) 전체를 빼내어 내부의 이물질 및 모이를 제거하는 것이 아닌 상기 인출입판(230)을 이용하여 내부의 이물질 및 모이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입출입판(230)이 접하는 수거함(200)에는 입출입판(230)의 입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모이통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장(300)의 중간부에 결속되어 즉, 허공에 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입출입판(230)을 건드릴 경우 입출입판(230)이 상부로 뜨면서 수거함(200)의 오물이 외부로 쏟아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53)이 둘 이상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공(153)을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횃대(150)를 결합공(153)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한 뒤 사용자가 가압에 의해 인접하는 결합공(153)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새의 크기 및 새가 모이를 먹는 위치에 맞춰 상기 횃대(150)를 적절한 위치로 손쉽게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의 경우에도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모이통 본체(100) 및 수거함(200)의 형상이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이 경우 그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조류용 자동 모이통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모이통 본체 101 : 도어
102 : 통풍구 111 : 모이 투입구
112 : 전면판 113 : 후면판
114 : 측면판 115 : 모이 안착부
116 : 메쉬망 116a : 손잡이
116b : 결합공 117 : 경첩
119 : 낙하공 131 : 상부걸림홈
132 : 하부걸림홈 140 : 수납공간
150 : 횃대 151 : 제1 횃대
152 : 제2 횃대 161 : 주식부
162 : 부식부 163 : 칸막이
164 : 가이드 170 : 아치형 칸막이
180 : 결합체 181 : 결합홈
182 : 결속고리 200 : 수거함
201 : 손잡이 210 : 돌기
220 : 가이드 230 : 인출입판
300 : 새장

Claims (5)

  1. 상부에 형성되는 모이 투입구(111)와, 상기 모이 투입구(111)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과, 상기 전면판(112)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면판(113)과,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모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측면판(114) 및 상기 전면판(112) 및 후면판(113)의 하부에 모이 투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모이가 쌓이되, 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부에 메쉬망(116)이 인출입되도록 구비되는 모이 안착부(115)로 구성되어 새장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모이통 본체(100);
    상기 후면판(113)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114)에 의해 지지되어 새가 앉는 횃대(150);
    상기 모이안착부(115) 및 횃대(150) 사이에 형성되되, 새가 상기 횃대(150)에 앉은 채 모이안착부(115)의 모이를 먹다가 떨어뜨렸을 시 모이가 상기 수거함(200)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낙하공(119); 및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쉬망(116)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 및 상기 낙하공(119)을 통하여 낙하되는 찌꺼기가 모이는 수거함(200)을 포함하되,
    상기 메쉬망(116)은, 상기 모이통 본체(100)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공(116b)을 통하여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는,
    주식부(161) 및 부식부(162) 둘로 구획되되, 중간 부에 칸막이(163)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이 안착부(115)에서 상기 칸막이(163)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아치형 칸막이(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횃대(150)는,
    결합공(153)을 통하여 인출입되되, 상기 결합공(153)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연통되어 상기 횃대(150)가 결합공(153) 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와 수거함(200)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모이통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2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20)에 의해 가이딩되어 인출입 되도록 상기 수거함(200)의 상단부에는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200)은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통 본체(100) 및 수거함(200)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거함(200)의 하부면의 인출입판(2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2020150003383U 2015-05-28 2015-05-28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201600041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83U KR20160004160U (ko) 2015-05-28 2015-05-28 조류용 자동 모이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83U KR20160004160U (ko) 2015-05-28 2015-05-28 조류용 자동 모이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60U true KR20160004160U (ko) 2016-12-07

Family

ID=5757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383U KR20160004160U (ko) 2015-05-28 2015-05-28 조류용 자동 모이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1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4779A (zh) * 2021-07-27 2021-09-24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饲料杂质自动清洁的喂养鸟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11Y1 (ko) 2002-12-23 2003-03-12 김종옥 조류용 모이 공급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11Y1 (ko) 2002-12-23 2003-03-12 김종옥 조류용 모이 공급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4779A (zh) * 2021-07-27 2021-09-24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饲料杂质自动清洁的喂养鸟笼
CN113424779B (zh) * 2021-07-27 2024-05-17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饲料杂质自动清洁的喂养鸟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219B2 (en) Draw-ramp egg-teeter-totter wild-animal-shield chicken coop, having easy-access ventilated roosting system, automatic-egg-collecting-and-indicating-teeter-totter nesting system, cable draw-ramp system, automatic-hook sliding-door system, easy-access pivotable feeder-and-water system, extendable chicken-run system, anti-pushing anti-growing anti-digging anti-rotting shield systems, and automatic-relatching-twistable-compressable-spring latch systems
KR100979600B1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US11647731B2 (en) Catch drawer litter box
WO2012115855A1 (en) Puppy apartment
US10159214B2 (en) Easy clean animal litter box
JP3142669U (ja) 動物飼育用ケージ
CN107787877A (zh) 用于家禽管理和/或饲养的活动装置以及饲养和/或管理家禽的方法
CN115697050A (zh) 饲养设备
KR101699535B1 (ko) 새끼오리 및 병아리 사육용 직립식 케이지
KR20060082344A (ko) 사료공급용 파리애벌레 사육통
KR20160004160U (ko) 조류용 자동 모이통
CN202406794U (zh) 一种禽类食盒
KR101585298B1 (ko) 조류용 자동 모이통
KR101777674B1 (ko) 해삼 양식용 하우스
JPH10150876A (ja) 中形動物飼育用ケージ
RU45894U1 (ru) Трехъярусная миниферма для кроликов
CN210017470U (zh) 一种全自动养鸟系统
CN219323043U (zh) 一种用于宠物排泄物的收集结构以及宠物舱
KR200485521Y1 (ko) 사료의 손실이 없는 먹이통
US5803016A (en) Cleanable waste depository for small animals and method
WO2016141433A1 (en) Animal feeder
RU85798U1 (ru) Ферма для наружного разведения кроликов (варианты)
US3620193A (en) Cages for housing and fattening poultry
CN214047066U (zh) 一种便于定量投料的畜牧用喂食装置
RU144723U1 (ru) Туалет для кошек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вход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