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997A -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 Google Patents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997A
KR20160052997A KR1020140148976A KR20140148976A KR20160052997A KR 20160052997 A KR20160052997 A KR 20160052997A KR 1020140148976 A KR1020140148976 A KR 1020140148976A KR 20140148976 A KR20140148976 A KR 20140148976A KR 20160052997 A KR20160052997 A KR 2016005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bees
pollen
beehi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9918B1 (en
Inventor
장봉환
Original Assignee
장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환 filed Critical 장봉환
Priority to KR102014014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18B1/en
Publication of KR2016005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beekeeping, which facilitates the movement of bees when pollen is being collected as the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beekeeping is designed in a simple structure; and requires no need for separating beehives when the beehives are transferred and thus provides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beekeeping which is mounted on an entry for bees (11) of the beehive (10) to collect pollen gathered in by bees, comprising: a collecting body (30) having an opening unit (31) communicated with the entry for bees (11); a collecting plate (40) including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43) mounted removably on the opening unit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and formed to allow the bees to enter the inside the beehive (10), and a plurality of exit holes (44) to allow the bees to fly outside the beehive (10), wherein the exit holes (44)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llecting holes (43); a ventilation plate mounted removably on the opening unit (31), replaceable of the collecting plate (4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try holes (62) communicated with the entry for bees (11); and a pollen container (70)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body (31) and collecting pollen fallen from bees passing the collecting holes (43).

Description

양봉용 화분채취기{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0002]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

본 발명은 양봉용 화분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화분채취시에 벌들이 용이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화분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통의 이동시에도 별도의 분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화분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 pollen collecting machine for bee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e pollen collecting machine capable of easily collecting pollen while collecting pollen at the time of collecting poll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ot collector for beeping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일반적으로 양봉은 개화기에 개화장소로 벌통을 이동시켜 일정 기간동안 정착하면서 꿀벌들이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과 같은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화분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양봉인은 이러한 화분의 일부를 비개화기에 벌들의 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채취작업을 행하게 된다.In general, beekeeping moves a beehive to a flowering place at the flowering stage, allowing bees to collect a variety of nutrient-rich pots such as protein, vitamins, and minerals while they sett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separate collection operation is carried out for use as food for the fish.

이를 위한 종래의 화분채취기는 양봉용 벌통의 벌출입구 상에 장착되도록 다수의 채취공이 형성된 채분판과 이 채분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화분함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채분판에 형성된 채취공을 통해 벌통의 내부로 들어갈 때에 화분이 묻은 뒷다리가 일부 걸림으로 인해 화분이 낙하하여 화분함으로 수집되는 것이다.A conventional flowerpot collector for this purpose is composed of a separator having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be mounted on a beeper entrance of a bee-beating beehive, and a pollen compartment positioned under the separating plate. When entering, the hind legs with the pollen are dropped and the pollen is collected by the pollen.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분채취기는 화분의 채취가 용이하도록 채취공의 크기를 벌이 간신히 통과할 수 있도록 협소하게 형성됨에 따라 채취공의 통과과정에서 벌들의 날개나 다리가 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이 부서져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벌들이 협소한 채취공을 힘들게 통과함에 따른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flowerpot collector is narrowly formed so that it can barely pass through the size of the collecting hole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of the flowerpot, the bees or legs of the bee may be damaged during the passage of the flowerp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ue is lowered, and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es cause the stress due to passing the narrow harvesting ball hardly.

이외에도 화분채취 도중에 꽃이 많은 개화장소를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벌통으로부터 화분채취기를 분리하고, 별도의 환기창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화분채취기에 의해서는 환기창 기능이 불가능하여 이동시에 화분채취기를 분리하는 작업과 환기창을 설치하는 작업 및 이동후에 화분채취기를 재차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 인해 작업상의 불편함이 따른 것이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flowering place where the flower is flowed during the picking, the flowerpower collector is separated from the beehive and a separate ventilation window is installed. However, the ventilator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by the conventional flowerpower collector, This is due to the inconveniences caused by the repeated operation of installing the ventilator and installing the ventilator after moving the ventilator.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실2000-0018403호) 2000. 10. 16.Korea Public Utility Newspaper Bulletin (Room 2000-0018403) Oct. 16, 200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벌들의 유출입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통과과정 중에 벌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분채취시에 벌들이 용이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화분을 용이하게 구비되어 벌들의 스트레스 예방과 우수한 품질의 화분을 채취할 수 있으며, 간단한 회동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화분채취와 환기작업을 행하도록 구비되어 벌통의 이동시에도 별도의 분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화분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dispenser for a beverage dispenser, The pollen can be easily picked up to prevent the bees from getting stressed and to pick up pollen of excellent quality. The pollen picking and ventilation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by a simple rotation structure, And to provide a bee-pollen collector capable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채취기에 있어서;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t collector for collecting pollen collected by bees mounted on a beeper port 11 of a beehive 10;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된 채취바디(30)와;A collecting body (30) having an opening (31) communicating with the beating / unloading opening (11);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채취공(43)에 구별되어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된 채분판(40)과;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43 which are removably positioned on the opening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and formed so that bees enter the beehive 10; (40)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44) formed so that the bees can flow out of the beehive (10);

상기 채분판(40)을 대신하여 상기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과;A ventilation plate 60 removably disposed on the opening 31 instead of the chive plate 40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2 communicating with the beating /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채취공(43)을 통과하는 벌들로부터 낙하되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And a pollen collecting box (7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llecting body (30) and adapted to collect pollen falling from bee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hole (43).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취공(43)에는 얇은막 형태로 된 탈막(47)이 구비되고,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과공(48)과, 이 통과공(48)에 연통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탈공(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ng hole 43 is provided with a thin membrane 47 in the form of a thin film, and the through hole 48 formed in the separating membrane 47 so that the bees can pass therethrough, And a relatively small hole (49)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neycomb (48).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취공(43)에는 상기 탈막(47)의 전후로 연장된 디딤턱(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cker for beekeeping, wherein the picking hole (43) is formed with a step (50)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desalting film (47).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취바디(30)와 화분함(70)에는 각각의 하단부와 양측면에 상호 대응된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함(70)은 상기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ng body (30) and pollen box (70) are provided with guide grooves (36) and guide pieces (72) 70 is slid by the guide groove 36 and the guide piece 72 and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body 30.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분판(40)은 상기 채취공(43)이 다수로 배열된 채취부(41)와, 상기 채취부(4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공(44)이 다수로 배열된 출구부(42)로 이루어지고;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ve plate 40 includes a collecting part 41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ollecting holes 43 are arranged, Comprises an outlet (42) arranged in a plurality;

상기 출구부(42)에는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경된 상태에서 상기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And a cone-shaped upper portion (46) is formed in the outlet portion (42) to be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bore (44) in a state of being enlarged compared to the bore (44).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봉용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결합되는 채취바디(30)에 다수의 채취공(43)이 형성된 채분판(40)과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을 선택적으로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화분채취시에는 상기 채분판(40)에 의해 화분을 채취하고, 화분채취 과정에서 채취장소를 이동할 때에는 상기 채취바디(30)를 벌통(10)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채분판(40) 대신에 상기 환기판(60)을 정위치시킴에 따라 화분의 채취작업 도중에 별도의 개화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화분채취기(20)를 벌통(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재설치하는 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중에 환기판(60)에 의해 벌통(10) 내부의 열을 용이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여왕벌이 벌통(10)으로부터 날아가 분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43 are formed in the collecting body 30 coupled to the beating / unloading port 11 of the beeper 10, and the separating plate 40 and the through- The ventilation plate 60 is provided to selectively position the ventilation plate 60 so that the potting plate 40 collects pollen at the time of collecting the pollen and moves the collecting body 30 when moving the collecting site during the pollen collecting process. Even when the ventilation plate 60 is moved to the other flowering place during the picking operation by positioning the ventilation plate 60 instead of the chive plate 40 while being mounted on the beehive tank 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 of separating or reinstalling the beehive 10 from the beehive 10,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heat inside the beehive 10 can be easily discharged by the ventilation plate 60 while the queen bee moves from the beehive 10 A sheet to prevent splitting There is a do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취공(43) 상에 얇은막 형태의 탈막(47)이 구비되고,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이 통과하는 과정에 화분을 떨어지도록 된 탈공(49)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채취공(43)을 통해 벌들이 통과할 때에 상기 탈막(47)이 탄성적으로 스침으로 인해 벌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분의 탈락이 용이하여 탈락과정에서 화분이 부서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n membrane type membrane 47 is provided on the collecting hole 43, and a hole 49 is formed in the membrane 47 so that the bees may fall off during the passage of the be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es from being hurt due to the resilient sputtering when the bees pass through the harvesting hole 43 and to easily remove the pollutants and to minimize the breakage of the pollutants during the dropping process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취공(43) 상에 탈막(47)의 전후로 디딤턱(50)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벌들이 채취공(43)을 통과할 때에 상기 디딤턱(50)에 다리를 지탱하여 채취공(43)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벌들이 채취공(4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itching step 50 is extend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embrane 47 on the collecting hole 43 to support the legs on the stitches 50 when the bees pass through the collecting holes 43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escape from the harvesting hole 43 and to minimize the stress of the bees passing through the harvesting hole 4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단에 가이드홈(36)이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6)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가이드편(72)이 형성된 화분함(7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화분함(70)의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상태의 화분을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pollen box (70) having guide grooves (36) formed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body (30) and having guide pieces (7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s (36) It is possible to prevent impurities from entering into the pollen box 70 and to collect pollen in a clean state.

또한 본 발명의 채분판(40)은 채취공(43)이 배열된 채취부(41)와 출공(44)이 배열된 출구부(42)로 구획됨으로써, 벌통(10)으로 들어오는 벌들과 벌통(10)으로부터 나가는 벌들이 분리되어 질서정연하게 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출구부(42)에는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됨에 따라 벌통(10)으로부터 나가는 벌들이 출구를 용이하게 찾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출공(44)을 빠져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hive plat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collecting part 41 in which the collecting holes 43 are arranged and an outlet part 42 in which the holes 44 are arranged, The bee exiting from the beehive 10 can be removed from the beehive 10 by forming the cone-shaped upper portion 46 which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bore 44 in the outlet portion 42.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get out of the entrance 44 while stably searching for the ex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A부분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 of Fig.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un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채취기(20)는 벌통(10)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인위적으로 수집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벌통(10)에 나사(S) 등에 의해 결합되는 채취바디(30)가 구비되고, 상기 채취바디(30) 상에는 전면을 가리도록 된 판형태로 구비되어 벌들이 벌통으로 들어가거나 벌통으로부터 나갈 수 있도록 된 채분판(40)이 설치되어 있다. Figures 1-8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pollen collecting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artificially collect pollen collected by bees mounted on the beehive 10, and the beehive 10 is provided with a screw S And a separating plate 40 is provided on the collecting body 30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30 so that the bees can enter or exit the beehive.

또한 상기 채취바디(30) 상에는 상기 벌통(10)의 이동시에 상기 채분판(40) 대신에 상기 채취바디(30)의 전면을 가리도록 된 환기판(60)이 결합되고,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에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통형상의 화분함(70)이 구비되는데, 이를 도 2를 더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ventilation plate 60 is coupled to the collecting body 30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30 in place of the chive plate 40 when the beehive 10 is moved, A cylindrical pollen compartment 70 for collecting pollen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바디(30)는 일정 면적의 개구부(31)가 형성되도록 좌우에 직립된 측벽(32)과 이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벽(33)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측벽(32)은 일정 면적으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면상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채분판(40)을 결합하도록 된 결합공(34)이 형성된 것이다.2, the collecting body 30 is formed with left and right side walls 32 and upper walls 33 interconnecting the openings 31 to form openings 31 having a predetermined area, 32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protrude forward, and a coupling hole 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engage the lower panel 40.

또한 상기 측벽(32)의 하부에는 상기 환기판(60)을 결합되도록 된 다른 결합공(35) 및 상기 화분함(70)을 결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36)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홈(36)의 상부에는 상기 화분함(70)을 상기 가이드홈(36)에 결합할 때에 상기 환기판(60)을 상기 결합공(35)으로부터 분리하여 수평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된 다른 가이드홈(3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33)에는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를 개방하도록 상기 채분판(40)을 상부로 회동시킨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걸림턱(38)이 형성된 것이다. Another coupling hole 35 for coupling the ventilation plate 60 and a guide groove 3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coupling the pollen box 70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32, The ventilation plate 60 may be detached from the coupling hole 35 when the pot compartment 70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6 and the other guide A groove 37 is formed in the lower wall 33 and a stopping jaw 38 (see FIG. 3) is provided on the upper wall 33 to hold the holding plate 40 in a state rotated upward to open the opening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

또한 상기 채분판(40)은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되는데, 상기 채취공(43)과 출공(44)은 상호 구별된 상태로 배열되도록 상기 채취공(43)이 배열되는 판형상의 채취부(41)와, 상기 채취부(4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출공(44)이 일렬로 출구부(42)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chaff plate 40 includes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43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bees into the beehold 10 and a plurality of bores 44 formed therein so as to allow the bees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eehold 10 Shaped collection portion 41 in which the collection holes 43 are arranged so that the collection holes 43 and the introduction holes 44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outlets 44 are formed in a row in the outlet portion 42.

또한 상기 출구부(42)에는 양측에 상기 채취바디(30)의 결합공(34)에 끼움결합되는 힌지축(45)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에 상기 결합공(34)에는 상기 힌지축(45)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45)이 결합공(3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된 별도의 체결구(80)가 구비된 것이다.A hinge shaft 4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42 so as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hole 34 of the collecting body 30. The coupling hole 34 is formed with the hinge shaft 45 And the hinge shaft 45 is detachable from the engaging hole 34. The hinge shaft 45 is detachable from the engaging hole 34. [

여기에서, 상기 체결구(80)는 상기 채취바디(30)의 측벽(32)의 내외에서 상기 결합공(34)에 상호 끼움결합되는 핸들부(81)와 걸림부(82)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체결구(80)는 상기 결합공(34) 상에서 회동 가능함과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82)에는 일측에 걸림편(83)이 돌출 형성된 것이다.The fastener 80 includes a handle portion 81 and a fastening portion 82 that are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34 at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ide wall 32 of the collecting body 30, The fastener 80 is rotatab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4, and the fastener 83 protrudes from the fastener 82 at one side thereof.

또한 상기 환기판(60)은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에 형성된 다른 결합공(35)에 끼움결합되도록 판부재의 일단 양측에 힌지축(61)이 돌출형성되고, 면상에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되는데, 이 환기판(60)은 상기 힌지축(61)이 결합공(35)에 헐거운 끼움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채취바디(30) 상에서 회동되어 상기 채분판(4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31)를 가리도록 정위치되거나 상기 화분함(70)에 하단이 내장되도록 상기 개구부(31)로부터 퇴피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채취바디(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37)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A hinge shaft 61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plate member so that the ventilation plate 60 is fitted into another coupling hole 35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body 30, The ventilation plate 6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5 by a loosely fitting method or the like so that the ventilation plate 60 is rotated on the collecting body 30, And may be selectively retracted from the opening 31 so as to cover the opening 31 or the lower end of the pollen receptacle 70 and may be detached from the collecting body 30 And may be fitted in the guide groove 3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화분함(70)은 일정 면적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전방에 손잡이(7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채취바디(30)의 가이드홈(36)이 슬라이드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편(7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는 수집된 화분에 습기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기가 가능한 미세공(7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받침대(74)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pollen receptacle 70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to form a storage space with a predetermined area. The pollen receptacle 70 is formed with a handle 71 on the front side and a guide groove 36 of the collecting body 30 is slid on both sides A pair of guide pieces 72 are protrudingly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ventilating micropores 73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o prevent accumulation of moisture on the collected pollen, Can be 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분채취기(20)에 따른 설치상태와 다양한 작동상태 등을 도 3 내지 도 8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state and various operating states of the pollen collect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채취기(20)는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상기 채취바디(30)가 나사(S)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는 상기 벌통(10)의 벌출입구(11)에 연통된 상태로 위치되고, 화분채취시에 상기 개구부(31)의 전면을 상기 채분판(40)에 의해 가리도록 되어 있다.3, the pollen collecting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llecting body 30 is fixed to the beehive entrance 10 of the beehive 10 by means of screws S or the like, The opening 31 of the body 30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with the beehive entrance 11 of the beehive 10 and the front face of the opening 31 is covered by the filler plate 40 .

이 상태에서 상기 환기판(60)은 하부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31)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위치되는데, 상기 환기판(60)은 일측에 절곡부(6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화분함(70) 내부에 놓인 상태로 경사지게 위치되게 된다.In this state, the ventilation plate 60 is pivoted downward and is retracted from the opening 31. The ventilation plate 60 has a bent part 63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is inclinedly positioned.

이러한 설치상태에 따르면, 상기 채분판(40)을 통해 벌통(10)의 내외로 출입되는 벌들은 상기 채취공(43)을 통해 벌통(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뒷다리가 걸림으로 인해 그에 뭉친 상태로 채취된 화분이 탈락되면서 상기 화분함(70)에 수집되는데, 상기 채취공(43)은 벌통(10)으로 들어가는 입구단이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장되어 벌들을 용이하게 유도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채취부(41)의 면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공(44)은 상기 채취공(43)에 비해 상향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벌통(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아갈 때에 장애물이 없이 터진 것처럼 하늘이 보이도록 형성되어 벌들에 의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such an installation state, the bees entering and leaving the inside of the beehive 10 through the chute 40 may enter into the beehive 10 through the harvesting hole 43, The picking hole 43 is formed such that the entrance end into the beehive 10 is extended relative to the outflow hole 44 to facilitate the bees. (44) is formed in an upward slanting direction relative to the sampling hole (43), and when the honeycomb (10) move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beehack (10), an obstacle The sky is visible as if it had not been seen, so it can be easily found by the bees.

또한 상기 출구부(42)에는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경된 상태에서 상기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되는데, 이 콘형상부(46)는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나가는 벌들을 상기 출공(44) 측으로 용이하게 유도하여 상기 채취공(43)을 통해 벌통(10)의 내부로 들어오는 벌들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질서정연한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The cone-shaped portion 46 is formed in the outlet portion 42 to be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bore 44 in a state of being enlarged compared to the bore 44. The cone- The bee exiting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guided to the side of the opening 44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bees entering into the beehive 10 through the harvesting hole 43 so that orderly access can be made.

한편, 상기 채취공(43)에는 벌들이 벌통(10)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벌들의 날개나 다리 등이 다치거나 화분이 부서지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벌들이 편리하게 다리를 지탱하여 채취공(43)을 통과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도 4와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meantime, in the collecting hole 43, when the bees enter the beehive 10, the bees or legs of the bees are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or the flower pots are broken, and the bees can be easily supported by the harvesting holes 43, 4 and FIG. 5 will be further described as follows. As shown in FIG.

상기 채취공(43) 상에는 채취공(43) 자체의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박막 형태의 탈막(47)이 형성되는데,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의 머리와 몸통 등이 전체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48)이 형성되고, 이 통과공(48)의 하부에는 벌들의 뒷다리에 대응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탈공(49)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탈막(47)은 벌들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스침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벌들이 특별한 어려움없이 편리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상기 탈공(49)에 의해 뒷다리가 몸통에 의해 눌림이 없는 상태로 용이하게 통과되어 그에 뭉쳐진 화분이 부서지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탈락되게 된다. A thin membrane type membrane 47 is formed on the collecting hole 43 to be relatively thin compared to the depth of the collecting hole 43. The membrane 47 can be entirely passed through the head, A relatively small hole 49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8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ar leg of the bees. The beehives can be easily passed without any difficulty while the hind legs can be easily passed through by the body by the deforestation 49 so that the bulb is not broken, It is safely dropped out.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취공(43)에는 상기 탈막(47)의 전후에 각각 위치되어 벌들이 발을 지지하여 전진하는 힘을 쓸 수 있는 디딤턱(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디딤턱(50)은 벌들이 상기 채취공(43)에 도달할 때에 앞다리를 디딜 수 있도록 상기 탈막(47)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디딤턱(51)과 상기 탈막(47)을 통과한 벌들이 앞다리를 걸어 몸통을 진행방향의 전방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벌통(10) 내부측으로 연장된 후방디딤턱(52,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디딤턱(52,53)은 돌출길이가 짧은 제1 후방디딤턱(52)과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제2 후방디딤턱(53)으로 이루어져 벌들이 용이하게 채취공(43)을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More preferably, the collecting hole 43 may be formed with a step jaw 50, which is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desorbing film 47, (50) is provided with a front limb (51) extending forward of the desalination membrane (47) so that the bees can reach the harvesting hole (43) and bees having passed through the desalination membrane (47) And a rearward step (52, 53)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beehack (10) so as to allow the body to be pull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ravel, and the rear step (52, 53) And the bead can easily escape from the sampling hole 43. The beak 52 has a relatively long second rear limb 53,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채취 도중에 날씨가 좋지 않거나 벌들의 활동이 더딘 오후시간에는 벌들에 의해 화분의 채취량이 적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채분판(40)을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를 개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 상기 채분판(43)은 상기 채취바디(30)에 형성된 걸림턱(38) 상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를 개방하게 되고, 이에 의해 벌들이 자유롭게 벌통(10)의 내외로 출입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amount of the pollen may be reduced by the bees in the afternoon when the weather is bad or the bees are slow during the picking. In this case, The chimney plate 43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latching jaws 38 formed on the collecting body 30 so as to open the opening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The openings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are opened so that the bees can freely move into and out of the beehive 10 to be free from stress.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채취 도중에 개화장소를 변경하여 벌통(10)을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채취바디(30)를 벌통(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채분판(40) 대신에 상기 환기판(60)을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31)를 가리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채분판(40)은 상기 채취바디(3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화분함(70)에 더블어 별도로 보관한 상태에서 이동장소에서 상기 채취바디(30)에 간단한 끼움에 따라 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7, when the flowering place 10 is moved by changing the flowering place during the picking of the pollen, the picking body 30 is mounted on the beehive 10 in place of the picking plate 40, The ventilation plate 60 is rotated upward to cover the opening 31. At this time, the chive plate 40 is separated from the collecting body 30 and stored separately in the pollen box 70 It is possible to recombine the collecting body 30 with the simple fitting in the moving place.

또한 상기 환기판(60)은 상기 개구부(31)를 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구(80)에 형성된 걸림편(83)에 의해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기판(60)은 이동중에 벌통(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꿀벌이나 일벌들이 상기 통공(62)을 통해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면서도 여왕벌은 상기 통공(62)을 통해 벌통(10)의 외부로 나갈 수 없도록 가둠으로 인해 분봉을 방지하지 벌들의 손실을 없앨 수 있게 된다.The ventilation plate 60 may be provided to be caught by a retaining piece 83 formed in the fastening opening 80 so as to keep the opening 31 closed. The bee or bee can freely flow in and out of the beehive 10 through the through hole 62 while allowing the bee or bees to freely flow in and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62 as well as being easy to discharge heat generated inside the beehive 10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loss of the bees preventing the splashing.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함(70)은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6)이 끼워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날씨가 습하거나 바람이 부는 날에 화분함(70)을 지면에 설치하게 되면 먼지나 이물질 또는 습기 등이 화분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함(70)을 채취바디(30)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지면으로부터 화분함(70)을 이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불순물의 혼입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채분판(40)에 화분함(70)을 접근된 상태로 배치하여 화분을 청결한 상태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8, the pollen receptacle 7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6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body 30 inserted therein, Since the pollen receptacle 70 is installed on the ground, dust, foreign matter, moisture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pollen, so that the pollen receptacle 70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llecting body 30 to separate the pollen receptacle 70 from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impurities as described above and arranging the pollen receptacle 70 in an approaching state on the chalk board 40 so that pollen can be collected in a clean state.

반면에, 도 3에서와 같이 화분함(70)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날씨가 화창하게 좋을 때에 화분의 건조가 빠르면서도 벌들에 의해 화분의 채취량이 많을 때에 상대적으로 큰 화분함(70)이나 대용의 큰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erpot 7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 3, the flowerpot 70 is dried relatively quickly when the weather is good, while the flowerpot 70 is relatively large when the flowerpot is large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large container for substitution.

또한 상기 채분판(40)의 채취부(41)와 출구부(42)는 각각 별체로 제작하여 상호 대응된 체결공(54)과 체결편(55)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채취부(41)와 출구부(42)의 형상이나 재질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The collecting part 41 and the outlet part 42 of the chive plate 4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joined together by the corresponding fastening holes 54 and fastening pieces 55.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according to the shapes and materials of the collecting part 41 and the outlet part 42. [

이상에서, 상기 화분판(40)과 환기판(60)은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구조나 채취바디(30)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되는 분리구조에 의해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서 제거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화분판(40)과 환기판(60)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식이나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방식 등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채취바디(30) 상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The pollen plate 40 and the ventilation plate 60 are removed on the opening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by the pivoting structure which is pivoted up and down and the separating structure which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ollecting body 30 The pollen plate 40 and the ventilation plate 60 may be coupled to the collecting body 30 to be operated by a sliding method in which the apparatus is slid up and down or a door system in which the apparatus is opened and closed laterally. will be.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채취바디(30)는 날개부분에 직접적으로 나사(S)가 체결된 상태로 벌통(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나사(S) 만을 벌통(10)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채취바디(30)의 날개부분이 상기 나사(S)의 머리부분에 의해 밀착시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1, the harvesting body 30 is shown to be coupled to the beehive 10 in a state where a screw S is directly coupled to a wing portion. However, in the case where only the screw S is coupled to the beehive 10, The wing portion of the collecting body 3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S by the head portion thereof.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5)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된 채취바디(30)와;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채취공(43)에 구별되어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된 채분판(40)과;
상기 채분판(40)을 대신하여 상기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과;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채취공(43)을 통과하는 벌들로부터 낙하되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A pot collector adapted to collect pollen collected by bees mounted on a beeper (11) of a beehive (10);
A collecting body (30) having an opening (31) communicating with the beating / unloading opening (11);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43 which are removably positioned on the opening 31 of the collecting body 30 and formed so that bees enter the beehive 10; (40)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44) formed so that the bees can flow out of the beehive (10);
A ventilation plate 60 removably disposed on the opening 31 instead of the chive plate 40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2 communicating with the beating /
And a pollen box (7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llecting body (30) and adapted to collect pollen falling from bee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hole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공(43)에는 얇은막 형태로 된 탈막(47)이 구비되고,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과공(48)과, 이 통과공(48)에 연통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탈공(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The desol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mpling hole (43) is provided with a thin membrane (47) in the form of a thin film, the membrane (47) And a relatively small hole (49)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neycomb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공(43)에는 상기 탈막(47)의 전후로 연장된 디딤턱(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The bean-flower pot coll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extraction hole (43) is formed with a step (50)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desolvation membrane (4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바디(30)와 화분함(70)에는 각각의 하단부와 양측면에 상호 대응된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함(70)은 상기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llecting body (30) and the pollen receptacle (70) are provided with guide grooves (36) and guide pieces (72) (70) is slid by the guide groove (36) and the guide piece (72) and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picking body (3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분판(40)은 상기 채취공(43)이 다수로 배열된 채취부(41)와, 상기 채취부(4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공(44)이 다수로 배열된 출구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구부(42)에는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경된 상태에서 상기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haff plate (40) comprises: a collecting part (41)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ollecting holes (43) are arranged; (42) arranged in plural numbers;
Wherein the outlet (42) is formed with a cone-shaped portion (46) which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opening (44) toward the opening (44) in a state of being enlarged compared to the opening (44).
KR1020140148976A 2014-10-30 2014-10-30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KR101679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76A KR101679918B1 (en) 2014-10-30 2014-10-30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76A KR101679918B1 (en) 2014-10-30 2014-10-30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97A true KR20160052997A (en) 2016-05-13
KR101679918B1 KR101679918B1 (en) 2016-11-28

Family

ID=5602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76A KR101679918B1 (en) 2014-10-30 2014-10-30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581A (en) * 2018-08-28 2018-12-18 北华大学 Royal jelly Queen transport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56Y1 (en) * 2016-12-27 2019-06-07 최훈 for easy pollen collecting prefabricated hive entrance
KR101812993B1 (en) * 2017-03-27 2018-01-30 오옥남 Beekeeping gate transformation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362Y1 (en) * 1999-07-19 2000-03-15 장봉환 swarmlng contro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581A (en) * 2018-08-28 2018-12-18 北华大学 Royal jelly Queen transporting machine
CN109006581B (en) * 2018-08-28 2020-12-01 北华大学 Royal jelly larva transferr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918B1 (en)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451B1 (en) Tackle box cleaning system
KR101679918B1 (en) 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CN110268987B (en) Rat scientific research rearing cage
KR101794477B1 (en) Pollen Beekeeping collector
US20180014514A1 (en) Bee-All Inner Cover Feeder
KR20180104365A (en) Beehive for improve living environment and good quality honey picking
US20200288696A1 (en) Rodent Trap
KR20190106179A (en) Honey comb structure plate for bee keeping
KR20150107181A (en) Pollen Beekeeping collector
US20080041985A1 (en) Knife and chopping block holder with ultraviolet lights
KR100944662B1 (en) Case for rearing and polinating of the Bombus spp.
US20200245588A1 (en) Cat litter box
CN113271769A (en) Efficient system for directly collecting honey from beehive
KR101812993B1 (en) Beekeeping gate transformation implement
KR200495848Y1 (en) A door for beekeeping box to open and close the doorway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mounting direction.
CN211910139U (en) Balcony bee-keeping device
CN109398888B (en) Nipple placing box
KR20090003785A (en) The young germ-free animal upbringing box
KR20140096213A (en) A bee-guide plate, a bee-hive and a bee-hive assembly
KR200431847Y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beehive
ES2298021B1 (en) DEVICE FOR THE HARVESTING OF BERRIES.
JP2012055217A (en) Honeybee-collecting method for japanese honeybee only
CN210168491U (en) Chrysanthemum rice picking device
KR200481360Y1 (en) Pollen collecting apparatus of beehive
KR101585298B1 (en) Auto feed case for bi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