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48Y1 -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 Google Patents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48Y1
KR200495848Y1 KR2020200001580U KR20200001580U KR200495848Y1 KR 200495848 Y1 KR200495848 Y1 KR 200495848Y1 KR 2020200001580 U KR2020200001580 U KR 2020200001580U KR 20200001580 U KR20200001580 U KR 20200001580U KR 200495848 Y1 KR200495848 Y1 KR 200495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trance
beehive
clos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535U (ko
Inventor
송우현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송우현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현, 김용환 filed Critical 송우현
Priority to KR2020200001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4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관한 것으로서, 벌통의 출입구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단에 의해 꿀벌이 출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출입홈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벌통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받침단에 의해 꿀벌의 출입을 막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A door for beekeeping box to open and close the doorway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mounting direction.}
본 고안은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의 출입구에 쉽게 탈부착 할 수 있어 양봉 중에는 꿀벌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벌통을 이동할 때는 꿀벌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출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이라 함은 벌꿀, 화분, 로열젤리, 밀랍 등을 얻기 위하여 꿀벌들을 인위적으로 생육하는 것을 말하며, 양봉을 위해서는 벌통이 필요하고 이 벌통은 기본적으로 단상(홑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 벌통의 재료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벌통과 계상을 가벼운 발포폴리스티렌(스티로폼)으로 사용하여, 대량 생산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단열성을 높이고 있다.
벌통 내부에는 꿀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소비가 내장되어 있으며 벌통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꿀벌이 벌통 내부로 출입하여 채집한 꿀을 소비에 저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출입구는 꿀벌 외에 천적인 말벌이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말벌에 의해 벌통 내부의 꿀벌 및 애벌레가 죽어 꿀을 수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꽃이 많이 피어있는 지역에서 꿀을 채집하기 위해 벌통을 차에 싣고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출입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꿀벌이 이동 중 벌통에서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봉을 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벌통의 출입구를 통해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면서 온도 저하에 의해 여왕벌 및 꿀벌이 죽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4209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꿀벌의 천적인 말벌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꿀벌 개채 수가 감소되지 않아 채밀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벌통을 이동할 때는 출입구를 완전히 차단하여 꿀벌이 벌통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벌통 내부에 공기만 통하도록 하여 벌통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구 없이 벌통에 탈부착 할 수 있어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가능하며 꿀벌이 들어가는 출입구를 필요에 따라 확장시킬 수 있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은 벌통의 출입구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단에 의해 꿀벌이 출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출입홈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벌통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받침단에 의해 꿀벌의 출입을 막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후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입홈을 개폐시키거나 개폐 길이를 조절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상기 이격단은 후면에 노치홈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출입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어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풍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상기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에 외력을 가해 상기 벌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상기 체결홀은 工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보다 크게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상기 프레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상기 프레임은 장착 방향에 따라 상기 출입홈 또는 상기 통풍홈이 상기 벌통의 출입구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의하면, 꿀벌의 천적인 말벌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꿀벌 개채 수가 감소되지 않아 채밀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의하면, 벌통을 이동할 때는 출입구를 완전히 차단하여 꿀벌이 벌통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벌통 내부에 공기만 통하도록 하여 벌통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의하면, 공구 없이 벌통에 탈부착 할 수 있어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가능하며 꿀벌이 들어가는 출입구를 필요에 따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이 벌통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외형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개폐커버를 장착하여 출입구를 차단시킨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커버를 이용하여 출입구의 크기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을 반대로 장착하여 출입구를 폐쇄하고 공기만 유입되도록 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을 벌통에서부터 분리시키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의 출입구에 쉽게 탈부착 할 수 있어 양봉 중에는 꿀벌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벌통을 이동할 때는 꿀벌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출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이 벌통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의 외형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은 벌통(B)의 출입구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단(110)에 의해 꿀벌이 출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출입홈과,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프레임(100)이 벌통(B)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300)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체결홀(103)과,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받침단(150)에 의해 꿀벌의 출입을 막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홈(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어 하중을 분산시켜 프레임(100)의 변형을 방지하고,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풍리브(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의 전면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되어 프레임(100)에 외력을 가해 벌통(B)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홀(103)은 工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체결부재(300)보다 크게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재(300)로부터 프레임(100)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은 장착 방향에 따라 출입홈 또는 통풍홈(104)이 벌통(B)의 출입구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벌통(B)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벌통(B)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출입구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가볍고 튼튼하여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프레임(100)에는 꿀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제1출입홈(101)과 제2출입홈(102)으로 이루어진 출입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출입홈(101)은 프레임(100)의 하부 일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2출입홈(102)은 프레임(100)의 중단에서 타단방면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때 제1출입홈(101)과 제2출입홈(102)은 말벌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말벌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꿀벌만 출입될 수 있도록 꿀벌의 크기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출입홈(101)은 가로가 길고 세로가 좁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제2출입홈(102)은 세로가 길고 가로가 좁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출입홈(101)은 다수 개의 꿀벌이 동시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제2출입홈(102)은 꿀벌이 개별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출입홈(101)과 제2출입홈(102)의 양측에는 각각 이격단(110)이 형성되어 있어 이격단(110)에 의해 꿀벌이 출입홈으로만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격단(110)의 간격에 의해 출입홈의 크기가 결정되게 된다.
체결홀(103)은 工자 형태로 베이스의 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후 후면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체결홀(103)의 상부에 체결부재(300)를 삽입하여 체결부재(300)에 의해 프레임(100)을 벌통(B) 전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300)는 피스나 볼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체결홀(103)의 중앙은 O자 형태로 체결부재(300)의 머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100)을 이동시켜 체결홀(103)의 중앙에 체결부재(300)가 위치되도록 하면 프레임(100)을 벌통(B) 전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7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00)의 전면 양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프레임(100)을 벌통(B)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때 손잡이(130)를 잡고 프레임(100)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130)는 프레임(100)의 배면에서 프레임(100)으로 가압하여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부면이 전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풍홈(104)은 프레임(100)의 상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벌통(B)의 출입구에 장착하여 벌통(B)의 출입구를 폐쇄시켰을 때 벌통(B)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풍홈(104)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되며 통풍홈(104)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받침단(150)이 형성되어 프레임(100)을 회전시켰을 때 받침단(150)이 벌통(B)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프레임(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풍홈(104)은 꿀벌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꿀벌이 벌통(B)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풍리브(140)는 통풍홈(104)과 더불어 공기의 유입유량을 향상시키고 프레임(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풍홈(104) 하부에 위치되며 프레임(100)의 일단에서 타단 방면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후 프레임(100) 전면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풍리브(140)는 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면서 외부 공기가 프레임(100)을 통과해 벌통(B)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야 하므로 프레임(100)의 배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스로 성형된 통풍리브(140)는 상부와 하부는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아치형상으로 돌출되고 양측은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프레임(100)은 벌통(B)의 출입구의 높이보다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는 통풍홈(104)과 통풍리브(140)가 위치되고, 하부는 출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벌통(B)에 프레임(100)이 설치되었을 때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하나만 출입구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100)의 하부에 출입홈이 위치된 상태에서 벌통(B)의 출입구에 장착하면 출입구의 일부 구간은 프레임(100) 및 이격단(110)에 의해 가려져 꿀벌만 출입할 수 있게 되며, 통풍홈(104) 및 통풍리브(140)가 하부를 향하도록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장착하면 출입구에는 통풍홈(104) 및 통풍리브(140)에 의해 폐쇄되어 공기만 통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의 이격단(110)은 후면에 노치홈(111)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면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출입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격단(1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벌통(B)이 출입하는 출입홈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100)의 배면에 노치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치 홈에 의해 작업자는 손으로 이격단(110)을 회동시켜 손쉽게 이격단(11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출입구와 제2출입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이격단(110)을 제거함으로써 제1출입구와 제2출입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노치홈(111)은 도면상에서는 일부만 표시되어 있으나 모든 이격단(110)에 노치홈(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에 개폐커버(200)를 장착하여 출입구를 차단시킨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의 커버를 이용하여 출입구의 크기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은 프레임(100)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후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단(120)과, 지지단(120)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출입홈을 개폐시키거나 개폐 길이를 조절하는 개폐커버(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단(120)은 프레임(100)의 중앙에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 방면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ㄱ자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개폐커버(200)가 프레임(1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개폐커버(20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되어 제1출입홈(101)과 제2출입홈(102)을 폐쇄하거나 일부만 개방하여 꿀벌이 출입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 외부 공기가 차가운 경우 벌통(B)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출입홈의 크기를 축소시키게 된다.
이때 개폐커버(200)의 끝단은 지지단(120)에 의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면 방면으로 꺾인 상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개폐커버(200)의 꺾인 부분을 잡고 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지지단(120)으로 삽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을 반대로 장착하여 출입구를 폐쇄하고 공기만 유입되도록 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은 프레임(100)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통풍홈(104) 및 받침단(150)이 프레임(100)의 하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체결홀(103)을 통해 체결부재(300)를 프레임(100)에 결합시키면 벌통(B)의 출입구는 폐쇄되고 공기만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을 벌통(B)에서부터 분리시키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10)의 체결홀(103)은 工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체결부재(300)의 머리보다 큰 홀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재(300)로부터 프레임(10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7-A와 같이 프레임(100)의 양측에 위치된 체결홀(103)의 상부 일측에 체결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300)를 느슨하게 한 후 도 7-B와 같이 프레임(100)을 이동시켜 체결부재(300)가 체결홀(103)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도 7-C와 같이 프레임(100)을 상부로 올리면 체결부재(300)는 체결홀(103)의 중앙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100)을 벌통(B)의 전면에서부터 분리되도록 당기게 되면 체결부재(300)의 머리보다 크게 형성된 체결홀(103)의 중앙에 의해 프레임(100)이 체결부재(300)에 걸리지 않고 벌통(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프레임(100)을 분리시킨 후 출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도 6과 같이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체결부재(300)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나비너트와 같이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에 의하면, 꿀벌의 천적인 말벌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꿀벌 개채 수가 감소되지 않아 채밀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벌통을 이동할 때는 출입구를 완전히 차단하여 꿀벌이 벌통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벌통 내부에 공기만 통하도록 하여 벌통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공구 없이 벌통에 탈부착 할 수 있어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가능하며 꿀벌이 들어가는 출입구를 필요에 따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B: 벌통 10 : 소문
100 : 프레임 101 : 제1출입홈
102 : 제2출입홈 103 : 체결홀
104 : 통풍홈 110 : 이격단
111 : 노치홈 120 : 지지단
130 : 손잡이 140 : 통풍리브
150 : 받침단 200 : 개폐커버
300 : 체결부재

Claims (7)

  1. 벌통의 출입구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단에 의해 꿀벌이 출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출입홈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벌통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받침단에 의해 꿀벌의 출입을 막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어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풍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은 工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보다 크게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상기 프레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입홈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일단에서 상기 이격단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꿀벌이 동시에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출입홈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 중단에서 타단방면으로 상기 이격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꿀벌이 개별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출입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후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입홈을 개폐시키거나 개폐 길이를 조절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단은 후면에 노치홈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출입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에 외력을 가해 상기 벌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장착 방향에 따라 상기 출입홈 또는 상기 통풍홈이 상기 벌통의 출입구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KR2020200001580U 2020-05-11 2020-05-11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KR200495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80U KR200495848Y1 (ko) 2020-05-11 2020-05-11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80U KR200495848Y1 (ko) 2020-05-11 2020-05-11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35U KR20210002535U (ko) 2021-11-18
KR200495848Y1 true KR200495848Y1 (ko) 2022-09-01

Family

ID=7871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580U KR200495848Y1 (ko) 2020-05-11 2020-05-11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37Y1 (ko) * 1999-05-12 2001-06-15 오금석 양봉용 입체소문
KR200490582Y1 (ko) * 2018-11-06 2019-12-03 양호진 벌통의 소문개폐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090Y1 (ko) 2003-11-26 2004-02-14 고상인 벌통 소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37Y1 (ko) * 1999-05-12 2001-06-15 오금석 양봉용 입체소문
KR200490582Y1 (ko) * 2018-11-06 2019-12-03 양호진 벌통의 소문개폐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35U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5313A (en) Bee hive
US20160029603A1 (en) Beehive and beehive system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US11425893B2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US4337541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KR101259018B1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US6450858B1 (en) Beehive movable top entrance
US11744232B2 (en) Beehive
JP4191367B2 (ja) 養蜂用の巣箱
JP2018113895A (ja) 養蜂用巣箱
US3927431A (en) Ventilating spacer for beehive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US4494263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bee flight control
US4267612A (en) Beehives
US4455699A (en) Pollen trap for double queen colony with queen excluder
KR20190123471A (ko) 발포수지재 벌통
US20210084868A1 (en) Beehive excluder
EP0071409A1 (en) Modular beehives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KR200486296Y1 (ko) 개량형 양봉 벌통
KR200282594Y1 (ko) 벌통
KR200226837Y1 (ko) 양봉용 입체소문
CN108064766B (zh) 意蜂多功能双层蜂箱底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