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885A -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885A
KR20160051885A KR1020167009002A KR20167009002A KR20160051885A KR 20160051885 A KR20160051885 A KR 20160051885A KR 1020167009002 A KR1020167009002 A KR 1020167009002A KR 20167009002 A KR20167009002 A KR 20167009002A KR 20160051885 A KR20160051885 A KR 20160051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assembly
assembly
gate
payload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 케빈 맥스웨인
Original Assignee
마타와 인더스트리얼 서비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타와 인더스트리얼 서비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마타와 인더스트리얼 서비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5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2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with a moving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3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in a downwar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30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from one utilisation sit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6Sk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2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43Feeding or discharging of solids
    • B01J2208/00752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09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618Skips, hopper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72Loading or unloading skips
    • B65G2812/0681Loading or unloading skips by reciprocating skips along guiding means
    • B65G2812/069Loading or unloading skips by reciprocating skips along guiding means for vertical shaft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Loom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승강 이송 시스템은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 대해 실직적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시킨다. 상기 시스템은 실직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포함함하는 트랙 어셈블리, 페이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 어셈블리, 및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카 어셈블리는 트랙을 따라 카 어셈블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트랙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및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통 어셈블리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수용될 수 있고,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 상으로 페이로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ELEVATIO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반응기 용기의 상부 단부에 있는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 대하여 페이로드를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송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방향(또는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상당한 양의 물질의 이동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시스템 및 방법은 많은 단점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다양한 공정을 수반하는 다른 경우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석유를 정제하는 반응기 용기의 상부 단부에 비교적 많은 양의 촉매가 전달되는 것이 요구된다. 상부 단부는 지면 높이 위로 대략 200 내지 300피트에 존재할 수 있다.
촉매는 산화 알루미늄(Al2O3) 또는 결정성 알루미노 규산염인 제올라이트일 수 있거나, 또는 촉매는 니켈-계 또는 다른 물질 기반일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촉매는 0.80 내지 0.96g/cm3의 겉보기 밀도와 대략 1270μm(0.05 인치) 내지 3175μm(0.125 인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상 물질의 형태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촉매는 대략적으로 3년에 한 번, 5일 내지 7일의 기간 동안 적재된다. 반응기는 촉매의 적재 사이에서 작동한다. 대략 3년 동안 작동한 이후에, 반응기의 촉매가 제거되고, 교체된다.
반응기의 정지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촉매가 반응기 용기 내에서 배출되기 전에, 촉매에 가해지는 마모 및 마멸을 실용 가능한 정도까지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촉매는 특정 컨테이너에 입자상 물질(전술된 바와 같은)의 형태로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공지기술에서, 반응기 용기의 상부에 촉매를 전달하는 보통의 방법은 반응기의 상부에 각각의 컨테이너를 개별적으로 상승시키는 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촉매는 컨테이너 외부로 쏟아지거나 또는 배출되어, 반응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호퍼 내로 이동된다. 입자상 물질인 다른 물질(예컨대, 세라믹 지지재, 및 그레이딩 물질(grading material)) 또한 상기 방식으로 반응기 용기에 전달된다.
종래의 방법은 많은 단점을 갖는다. 첫 번째로, 일반적으로 크레인의 용량이 시간당 10톤 내지 15톤 사이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응기의 상부에 있는 로더 또는 통은 시간당 대략 30톤의 용량을 갖는다. 이는 로딩 중에 요구되는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크레인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상당한 비용이 들고 위험성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문제의 관점에서, 입자상 물질은 실제로 반응기의 상부에 있는 로더 또는 통의 용량 미만으로 적재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로더 용량은 시간당 대략 60톤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어떻게 상기 용량이 공지기술에 의해 충족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두 번째로, 종래 방법은 위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호퍼 위의 위치로 컨테이너를 상승시키고, 상기 위치에서, 컨터이너의 짐이 수용될 수 있다. 호퍼는 반응기 위에 위치되고, 반응기 내로 유동하는 입자상 물질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호퍼는 호퍼 내로 진입하는 비와 눈을 방지하도록 호퍼 상에 위치되는 리드 또는 커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커버는 호퍼 내로 입자상 물질이 적재되는 경우에만 제거된다. 커버가 제거된 이후에, 입자상 물질은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에서 호퍼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크레인이 종종 작동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풍속이 25km/시보다 큰 경우에 안전하게 작동할 수 없다. 풍속이 20km/시 내지 25km/시인 경우에, 크레인의 작동은 작동자의 재량에 있다. 당업자는 미풍이 불더라도 호퍼 위에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작업자가 잠재적인 핀치 지점에서 위험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 때문에, 기상 상태가 양호할 때까지 종종 로딩이 중단되는 것이 요구된다. 기상 상태로 인해 반응기 용기의 로딩 지연은 많은 비용이 발생된다.
다른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가 개방 호퍼 위에 있을 때, 비가 오는 경우, 일부 비가 부득이하게 촉매 내로 떨어지고, 촉매의 효율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종래 방법을 사용하면 호퍼를 개방하고, 호퍼 상에 컨테이너를 위치시키기 위해, 작업자들은 반응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요구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날씨에 노출된다.
예컨대, 체인, 버킷, 공압 및 진공 이송과 같이, 반응기 용기의 상부에 촉매를 종방향으로(또는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달하는 다른 방법이 시도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촉매를 과도하게 마멸시키고,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대안적인 방법으로 기계적인 신뢰성이 자주 문제가 된다.
종래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단점 또는 결점을 완화하거나 극복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단점 또는 결점은 반드시 전술된 것에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다.
광범위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구비한 트랙 어셈블리, 페이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bin) 어셈블리, 및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카 어셈블리는, 트랙을 따라 카 어셈블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트랙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및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통 어셈블리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수용될 수 있고,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 이송을 위해 페이로드를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 상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트랙 위로 페이로드를 운반하기 위해, 실직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카 어셈블리는 트랙을 따라 카 어셈블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트랙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및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반응기 용기 내부에 방출을 위해 반응기 용기로 입자상 물질을 이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먼저, 트랙을 따라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카 어셈블리에 입자상 물질을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내부에 입자상 물질을 구비한 카 어셈블리는 반응기 용기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상승된다. 입자상 물질은 반응기 용기 내로 입자상 물질의 방출을 위해 트랙에 대하여 적어도 횡방향으로서, 카 어셈블리에서 반응기 용기의 상부 개구로 이동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되는 기저 팰릿을 제공하고, 컨테이너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입자상 물질은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컨테이너는 게이트가 개구를 막는 폐쇄 위치와 게이트가 개구를 막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를 포함한다. 기저 팰릿은 내부에 구멍을 구비한 기저 플레이트, 및 게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컨테이너는 기저 팰릿 상에서 개구가 구멍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장치는, 컨테이너가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있을 때 게이트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 및 결합 부재가 게이트를 개방 위치로 위치시키는 제1 위치와 결합 부재가 게이트를 폐쇄 위치로 위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저 플레이트에 대하여 결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제어 장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통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통 어셈블리는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부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입자상 물질이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통 어셈블리는, 게이트가 개구를 막는 폐쇄 위치와 게이트가 개구를 막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 및 컨테이너부를 지지하는 기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저 플레이트는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하는 구멍을 갖는다. 또한, 통 어셈블리는, 게이트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결합 부재가 개방 위치로 게이트를 위치시키는 제1 위치와 결합 부재가 폐쇄 위치로 게이트를 위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저 플레이트에 대하여 결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제어 장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도 1a는 반응기 옆 트랙에 장착된 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승강 이송 시스템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트랙에 장착된 본 발명의 카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c는 언로딩 위치에서 두 개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송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1a 시스템을 소축척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d는 로딩 위치에서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 1c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중간 위치에서 트랙에 장착된 카 어셈블리를 도시한, 반응기를 포함하는 도 1a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방출 위치에서 트랙에 장착된 카 어셈블리를 도시한, 반응기의 단면을 포함하는 도 1a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지면 위치에서 카 어셈블리와 함께 본 발명의 이송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카 어셈블리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기저 팰릿의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통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e는 도 3d의 통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f는 포크를 구비한 지게차에 통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있는 도 3d의 통 어셈블리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g는 도 3a의 이송 어셈블리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에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h는 카 어셈블리에 적재 준비가 되는 도 3g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에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방출 게이트를 이동시키는 핸들을 구비한 도 3d의 통 어셈블리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적재된 통 어셈블리 및 비워진 통 어셈블리를 구비한 이송 어셈블리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통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내부에 페이로드가 구비된 도 5a의 통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통 어셈블리에 위치되는 리드를 구비한 도 5b의 통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트랙에 장착된 카 어셈블리의 기저부의 실시예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방출 위치에서 카 어셈블리에 위치되며, 수축 위치에서 이송 어셈블리에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 6a의 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카 어셈블리 및 통 어셈블리의 부분적인 단면을 포함하는 도 6b의 카 어셈블리 및 통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연장 위치에서 카 어셈블리 및 이송 서브 어셈블리에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 6b의 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연장 위치에서 보호판을 구비한 이송 서브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 7a의 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게이트가 폐쇄되어 있는 페이로드를 부분적으로 절단 및 생략한 도 7b의 카 어셈블리 및 통 어셈블리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d는 게이트가 개방되어 있는 페이로드를 부분적으로 절단 및 생략한 도 7c의 카 어셈블리 및 통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e는 페이로드가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로부터 방출되고, 이송 서브 어셈블리가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전달하고 있는, 게이트가 개방되어 있는 도 7b의 카 어셈블리 및 통 어셈블리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내부에 통 어셈블리를 구비한 카 어셈블리 및 연장 위치의 컨베이어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카 어셈블리의 추가적인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카 어셈블리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1c 및 도 1d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들을 대축척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들의 측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 및 도 10b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들을 대축척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d는 이송 어셈블리에 위치된 통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 1c 및 도 1d의 이송 어셈블리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통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기저 팰릿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b의 기저 팰릿의 측면도이다.
도 11d는 결합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도 11b 및 도 11c의 기저 팰릿의 사시도이다.
도 11e는 결합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도 11b 내지 도 11d의 기저 팰릿의 사시도이다.
도 11f는 본 발명의 작동 부재의 실시예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g는 도 11f의 작동 부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 서브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기저 팰릿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기저 팰릿의 측면도이다.
도 12c는 결합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도 12a 및 도 12b의 기저 팰릿의 사시도이다.
도 12d는 결합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도 12a 내지 도 12c의 기저 팰릿의 사시도이다.
도 12e는 도 12a 내지 도 12d의 기저 팰릿의 작동 부재를 대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통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소축척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대응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도면부호 20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도 1a 내지 도 4b 및 도 6a 내지 도 10d가 참조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승강 이송 시스템(20)은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X)(도 2b, 도 7e)에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페이로드(22)(도 6c)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20)은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28)을 구비한 트랙 어셈블리(26), 페이로드(22)가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 어셈블리(30)(도 1a, 도 6c), 및 트랙(28)을 따라 이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카 어셈블리(32)(도 1b)를 포함한다. 또한, 카 어셈블리(32)는 트랙(28)을 따라 카 어셈블리(3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트랙(28)(도 1b)과 결합하는 수단(36)을 구비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도 3b), 및 트랙(28)에 대하여 실직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22)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도 1b, 및 도 6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 어셈블리(30)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수용될 수 있고,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로 페이로드(22)의 실질적인 횡방향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에 페이로드(22)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카 어셈블리(32)는 지면 위치(도 1d, 도 3a) 와 방출 위치(도 1a, 도 2b) 사이에서 트랙(28)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예컨대, 도 3a, 도 3h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위치에 위치될 때, 통 어셈블리(30)는 카 어셈블리(32)에 수용될 수 있고, 카 어셈블리(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카 어셈블리(32)가 방출 위치(도 1a, 도 2b)에 있을 때,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연장된 상태(도 2b, 도 7a, 도 7b, 도 7e)로 이동될 수 있어서, 통 어셈블리(30)의 페이로드(22)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출될 수 있다. 당업자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위치에 있고, 지면 위치와 상승 또는 방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중에,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수축된 상태(도 3b)로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수축 상태에 있고, 트랙을 따라 카 어셈블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위치된다.
트랙(28)과 트랙 어셈블리(26)는 종래의 구성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트랙(28)과 트랙 어셈블리(26) 및 트랙(28)을 결합시키는 수단(36)의 추가적인 설명은 요구되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전달되는 페이로드가 있는 반응기 용기(V)는 바람직하게 지지 구조물(S)(도 1a, 도 3a)에 의해 둘러싸이고 지지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트랙(28)을 또한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랙 어셈블리(26)는 종래의 방식으로 거더 또는 빔(G)에 의해 상기 구조물(S)에 고정된다. 페이로드는 예컨대, 세라믹 지지 물질 또는 그레이딩 물질과 같이, 촉매 또는 다른 물질이 될 수 있는 입자상 물질인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c, 도 1d, 및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승강 이송 시스템(20)은 통 어셈블리(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이동시키는 전달 어셈블리(74)를 포함한다(전달 어셈블리(74)는 명확성을 위해 도 1a에서 생략된다). 또한, 전달 어셈블리(74)는 통 어셈블리(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도 1b)의 바닥면(4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h, 도 6a, 및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내부에 홀(44)을 구비한 기저부(42) 및 홀(44) 주변에 위치되는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벽(48)과 지붕부(50)(도 3b 및 도 3h에만 부분적으로 도시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벽(48)은, 일반적으로 기저부(42), 벽(48), 및 지붕부(50)에 의해 획정된 내부 캐비티(54) 내로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5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는 파워 롤러(55) 즉, 바람직하게 자체-회전하는 롤러(55)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롤러(55)는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또는 자체-회전하는 아이들러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벽(48)과 지붕부(50)는 내부 캐비티(54)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벽(48)과 지붕(50)의 일부는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부 캐비티(54)는 통 어셈블리(30) 및 하나 이상의 작업자(5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내부 캐비티(54)를 타는 작업자를 위해 내부 캐비티(54)를 쾌적하게 하고 안전하게 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도 6b에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에서 방출 위치에 있는 통 어셈블리(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 어셈블리(30)가 방출 위치에 있을 때, 홀(44)을 통해 통 어셈블리(30)로부터 페이로드(22)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 어셈블리는 홀(44) 위의 중앙에 위치된다.
도 6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홀(44)은 기저부(42)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의 롤러(55)는 홀(44)의 양 측에서 두 개의 평행한 열(R1 및 R2)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롤러(55)의 열(R1 및 R2)은 통 어셈블리를 방출 위치 안팎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홀(44) 옆에 위치된다.
당업자는 통 어셈블리(30)가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통 어셈블리(30)는 페이로드(22)(즉, 입자상 물질)가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58)를 포함한다. 컨테이너(58)는 개방 위치(도 7d)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게이트(82)(도 7c)에 의해 덮일 수 있는 하부 단부에서 개구(73)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73)는 개구(73)를 관통하여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58)를 빠져나가는 페이로드를 허용하는 데에 있어서 게이트(8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지 않고, 폐쇄 위치(도 7c)에서, 개구(73)는 게이트(82)에 의해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게이트의 이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이동되고, 내부의 방출 위치(즉, 홀(44) 위에)에 위치되는 중에 게이트(82)는 폐쇄 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 게이트(82)는, 카 어셈블리(32)가 방출 위치에 있고,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된 상태에 있을 때까지 일부도 개방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업자는 적절할 때 게이트(82)가 개방 위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것이다. 개방된(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게이트의 제어는 작업자에 의해 면밀히 감시된다.
또한, 통 어셈블리(30)는 기저 팰릿(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기저 팰릿(60)은, 컨테이너(58)가 기저 팰릿(60)에 위치될 때(도 3d, 도 3e, 도 4a), 컨테이너(58)의 개구(7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하는 구멍(66)을 포함하는 기저 플레이트(64)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기저 팰릿(60)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82)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장치(85)(도 4a)를 포함한다.
기저 팰릿(60)은 페이로드를 구멍(66) 내로 지향하도록 형성된 깔때기(6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d). 또한, 바람직하게, 기저 팰릿(60)은, 컨테이너(58)를 사전에 정해진 위치의 기저 팰릿(60)에 위치시키기 위해, 컨테이너(58)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가이드 부재(70)를 포함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제어 장치(85)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82)를 이동시키기 위해, 컨테이너(58)가 기저 팰릿(60)에 위치될 때, 게이트(82)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재(8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a에 예시된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게이트 제어 장치(85)는 긴 핸들이고, 결합 부재(87)는 게이트(82)에 부착될 수 있는 핸들의 후크 부분이다. 게이트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후에, 핸들(87)은 게이트(82)를 개방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도 4a에 미 도시)에 의해 상호 당겨질 수 있고, 폐쇄 위치로 게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밀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게이트 제어 장치(85)는 유압식 기기 또는 전기 에너지 또는 압축 공기 또는 다른 적절하게 동력을 공급하는 수단에 의해 동력이 공급된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방출 게이트(82)는 결합 부재(87)가 수용될 수 있는 홀(DH)을 구비한 탭 부분(T)을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장치(85)가 게이트와 결합된 후에, 작업자는 소망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82)를 상호 위치시킬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저 팰릿은 게이트(82)의 움직임 및 위치를 제어하는 다른 수단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기저 팰릿(60)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롤러(즉, 롤러 컨베이어)와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저 팰릿(60)은 내부에 개구(66)를 구비한 기저 플레이트(64)에 장착된 슬리브(62A, 62B)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기저 팰릿(60)은 4개의 가이드 부재(70)(즉, 각 코너에 하나씩 배치된)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70)는 기저 팰릿(60)에 비교적 단단하게 컨테이너(58)를 고정하는 역할을 해서 컨터이너의 호퍼(72)는 기저 호퍼(68) 및 개구(66)와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종방향 정렬로 인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페이로드(22)는 컨테이너(58)로부터 방출될 때 비교적 빠르게 통 어셈블리(30)를 떠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부재(70)는 기저 팰릿(60) 상의 위치에서 비교적 단단히 컨테이너(58)를 고정하여, 통 어셈블리(30)가 이동될 때, 컨테이너(58)는 기저 팰릿(60)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컨테이너(58)가 비워진 이후에 기저 팰릿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리필을 위해 촉매 제조업자 또는 공급자(또는 다른 입자상 물질의 경우에, 다른 입자상 물질의 공급자)에게 반환된다.
바람직하게,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초기에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된다. 예컨대, 도 3f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지게차 또는 견인차(F)는 종래의 방식으로서 포크를 슬리브(62A, 62B) 내로 슬라이딩시켜 통 어셈블리(30)를 결합시킨다. 포크를 통해 결합된 통 어셈블리(30)와 지게차(F)는 전달 어셈블리(74)(도 3g)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시스템(20)은 전달 어셈블리(7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위치(도 3a, 도 3h)에 있을 때, 전달 어셈블리(74)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3h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견인차(F)는 채워진 통 어셈블리(30)(즉, 내부에 페이로드(22)가 있는 통 어셈블리(30))를 전달 어셈블리(74)에 놓기 때문에,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전달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와 캐리지 트랙(77)을 포함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 어셈블리(30)를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이동하도록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가 위치되는 로딩 위치(도 1c)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 어셈블리(30)를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가 위치되는 언로딩 위치(도 1d) 사이에서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의 이동을 위해, 상기 캐리지 트랙 상에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가 이동 가능하다(도 10a 내지 도 10d).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의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대하여 결정된다.
또한, 전달 어셈블리(74)는 프레임(7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는 프레임(79) 상에 장착되고, 통 어셈블리(30)와 결합할 수 있고, 통 어셈블리(30)가 전달 장치(81)의 구동으로 전달 장치(81)에 결합될 때, 프레임(79)에 대하여 통 어셈블리(3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달 장치(81)를 포함한다.
캐리지 트랙(77)은 종래의 구성인 두 개의 평행한 레일(N1, N2)(도 10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c, 도 1d, 도 3g, 도 3h, 도 10d). 또한, 전달 어셈블리(75)는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면부호 75A, 75B로서 도 1c, 도 1d 및 도 3h에 도시된 두 개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프레임(79)은 레일(N1, N2)과 롤링 결합하도록 형성된 휠(W)을 포함한다. 트랙(77) 상에서 프레임(79)의 이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프레임(79)과 상기 프레임(79)에 장착된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 75B)는 상기 프레임(79) 상에 장착된 운동 수단에 의해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 및 프레임은 트랙 상에서 서로 이동될 수 있다.
당업자는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의 프레임(79)에 대하여 통 어셈블리(30)를 이동시키는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전달 장치(81)는 롤러 컨베이어(도 1c, 도 1d)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롤러 컨베이어의 다수의 롤러는 자체-회전하여, 구동될 때 롤러 컨베이어(81)는 롤러 컨베이어(81) 상에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당업자는 대안적으로 롤러가 아이들러(즉,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또는 자체-회전하는)일 수 있고, 통 어셈블리(30)가 한 명 이상의 작업자에 의해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부 또는 외부로 간단하게 상호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는 통 어셈블리(30)가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 상에 위치될 때, 통 어셈블리(30)의 중량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로드 셀(83)(도 10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드 셀은 각각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 75B)의 프레임(79)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반응기 용기(V)에 전달되는 각각의 페이로드의 중량은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c, 도 1d 및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는 도 1d의 화살표(A)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B)는 도 1c의 화살표(B)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적재되지 않은 통 어셈블리(3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c 및 도 1d에서,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방출 위치에 있는 통 어셈블리(30)가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c에는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에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이동된 이후인, 페이로드(22)가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d에는 페이로드(22)가 방출된 이후에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B) 위의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외부로 이동되는 통 어셈블리(30)가 도시되어 있다.
생산 중에, 카 어셈블리(32)가 상승 위치(도 1a)에서 지면 위치(도 1c)로 복귀할 때, 비워진 또는 채워지지 않은 통 어셈블리(30)(즉, 페이로드(22)가 방출된)는 먼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로부터 방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초기에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B)는 언로딩 위치(도 1c)에 위치된다. 적재되지 않은 통 어셈블리(30)가 지게차(F)에 의해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바람직하게,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 75B)는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가 로딩 위치(도 1d)에 있도록 이동된다. 비워진 통 어셈블리는 종래의 방식으로 지게차(F)를 사용하여 방출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채워진 통 어셈블리(30)(즉, 페이로드가 채워진)를 카 어셈블리(32) 내로 적재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지게차(F)는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를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도 3g) 상에 위치시킨다(카 어셈블리(32)는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 3g에서 생략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는,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지게차(F)에 의해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 상에 위치될 때 로딩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h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바닥(42)에 장착된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의 도움으로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 상의 롤러(81)를 통해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내부 캐비티(54) 내로 이동된다.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내부 캐비티(54) 내로 이동된 후에,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기저 플레이트(64)가 실질적으로 바닥(42)의 개구(44)와 정렬하도록, 즉, 통 어셈블리(30)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방출 위치에 위치되도록 바닥(42)에 위치된다(도 6b, 도 6c, 도 7a, 도 7b).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전달 장치(81) 홀로 통 어셈블리(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또는 위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전달 장치(81)를 통해 도 1c에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가 통 어셈블리(30)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된 이후에(즉, 통 어셈블리(30)가 캐비티(54) 내로 진입),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의 롤러(55)는 통 어셈블리(30)를 캐비티(54) 내로 더욱 이동시키고, 통 어셈블리(30)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의 방출 위치에 있을 때 궁극적으로 정지시키는데에 사용된다(도 6b, 도 6c). 유사하게, 페이로드(22)가 컨테이너(58)로부터 방출되고,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위치에 있은 이후에, 방출 위치로부터 적재되지 않은 통 어셈블리(30)의 초기 이동은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와의 결합으로 인한 것이다. 적재되지 않은 통 어셈블리(30)는, 적재되지 않은 통 어셈블리(30)가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외부에 있을 때 제2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B)의 전달 장치(81)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전달 어셈블리(74)는, 지게차(F)의 작동으로 인해 가능한 손상으로부터 카 어셈블리(32)를 보호하도록 시스템(20)에 포함된다. 당업자는, 통 어셈블리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위치되는 중에, 지게차가 통 어셈블리에 결합 및 해제되는 경우에, 지게차는 카 어셈블리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트랙(26)으로부터 카 어셈블리(32)를 제거하는데에 충분한 힘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전달 어셈블리(74)는 통 어셈블리의 안전한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해 제공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는 전달 어셈블리(74)가 채워진 통 어셈블리를 위치시키고, 카 어셈블리(32)에서 일정한 거리로 비워진 통 어셈블리를 결합하는데 지게차(F)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달 어셈블리(74)는 안전의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업자는 지게차가 카 어셈블리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고, 잠재적으로 다른 수단에 의해 트랙 외부로 카 어셈블리를 밀어내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달 어셈블리(74)의 부재로 인해, 사전에 정해진 거리보다 인접한 카 어셈블리(32)로 지게차가 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 부재(미 도시)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 어셈블리(32)와 지게차(F)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결합을 방지한다.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카 어셈블리(32) 내에 위치된 이후에, 카 어셈블리(32)는 트랙(28)을 따라 지면 위치에서 상승 위치로 이동된다(도 1a, 도 2b).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방향 이동 중에,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수축된 상태로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방출 위치로 통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 위치에서 페이로드(22)는 중력의 영향 하에 통 어셈블리(3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46)는 페이로드(22)가 방출된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어셈블리(34)의 외부로 통 어셈블리(30)를 이동시키는데에 또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내부에 홀(44)을 구비한 바닥부(42)를 또한 포함하고, 통 어셈블리(30)가 방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홀(44)을 통해 페이로드(22)가 방출될 수 있다(도 6c).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 6b에서, 방출 위치에서 하우징 어셈블리(34) 내로 통 어셈블리(30)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A)로 표시되고, 페이로드가 방출된 이후에 하우징 어셈블리(34)의 외부로 통 어셈블리(30)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B)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28)을 따라 카 어셈블리(3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위치되는 수축 상태(도 6a 내지 도 6c)와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트랙(28)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홀(44)을 통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 상에 채워진 페이로드를 전달하도록 위치되는 연장 상태(도 2b, 도 7a 내지 도 8)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c 및 도 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컨베이어 벨트(76)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76)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부재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본체부(78)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76)를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판(8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보호판(80)은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 7a에서 생략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통 어셈블리(30)는 컨테이너부(58)에서 기저 호퍼(68) 내로 페이로드의 유동을 제어하는 방출 게이트(82)를 포함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 제어, 유압 제어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어는, 용기(V) 쪽으로 페이로드 유동의 시각적인 증거에 기초하여 작업자(56)가 컨베이어 벨트(76) 상으로 페이로드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 상으로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의 방출율은 입자상 물질의 과잉 및 낭비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하다.
당업자는 카 어셈블리(32)로부터 페이로드가 방출되는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X)는 다양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된 예에서, 바람직하게, 구조물(S)은 내부 물질이 용기(V) 내로 지향하도록 위치되는 중간 통 또는 로더(86)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도록 위치되는 중간 컨베이어(8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로더(86)는 용기(V)의 상부 단부에 위치된다(도 1a, 도 2b).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용기(V)는 상부 단부에 개구(87)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중간 통(86)으로부터 유동하는 물질은 방출 튜브(88)를 지나 개구(87)를 통해 용기(V) 내로 지향된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로부터 이러한 구성요소 및 내부의 물질을 보호하기 위해, 중간 컨베이어(84), 중간 통(86), 및 용기(V)의 상부 단부에 있는 개구(87) 모두는 인클로저 구조물(90) 내에서 둘러싸여진다.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32)가 상승 위치 또는 방출 위치에 위치된 이후에,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연장 상태로 이동된다. 도 2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 상태(도 7a 내지 도 7e)에 있을 때,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는 컨베이어 벨트(76)의 외부 단부(92)이다. 도 2b에서,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는 명확성을 위해 도면부호 X로 표시된다.
도 6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방출 위치에 있을 때, 페이로드(22)는 게이트(82)에 의해 홀(44)을 관통하여 바닥부(42)부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도 6c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게이트(82)가 도시되어 있다. 도 6c에는 카 어셈블리(32)의 수직 이동을 허용하도록 수축 위치에 있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32)는 반응기 용기(V) 내로 페이로드가 방출 및 해제되는 상승 위치 또는 방출 위치(도 1a에 도시)에 도달한 이후에,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연장 상태로 이동된다.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 상태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 외부 단부(92)는 인클로저 구조물(90) 내에 위치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 구조물(90)의 벽은,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가 연장 상태로 이동될 때(도 7b),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에 의해 밀어져서 개방될 수 있는 벽의 작은 홀(미 도시)을 덮는 작은 플랩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c 및 도 7d에서, 통 어셈블리(30)의 게이트(82)가 도시되어 있고,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통 어셈블리(30) 및 페이로드(20)는 생략되어 있다. 도 7c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게이트(82)가 도시되어 있다. 카 어셈블리(32)가 상승 위치에 위치된 이후에, 바람직하게, 게이트(82)는, i)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 상태로 되고, ii) 컨베이어가 작동될 때까지 폐쇄 위치로 유지되며, 컨베이어 벨트(76)의 상부면(TS)이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태가 만족되면, 도 7d 및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82)는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게이트(82)는 게이트 제어 장치(85)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도 7c의 화살표(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게이트(82)가 개방 위치(도 7d)로 이동하자마자, 컨테이너(58)의 물질(22)은 도 7e에서 화살표(Y)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의 영향 하에 실질적으로 아래인 컨베이어 벨트(76) 상으로 방출된다. 컨테이너(58)의 바닥에서 개구(73)를 통과한 이후에, 물질(22)은 바닥부(42)의 홀(44)을 지나 컨베이어 벨트(76)의 상부면(TS) 상으로 떨어진다. 도 2b 및 도 7e에서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부분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76)는 횡방향으로 위치된 페이로드(22)를 통 어셈블리(30) 및 홀(44)에서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X)(도 7e)로 이동시킨다.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X)에서, 컨베이어 벨트(76) 상의 물질은 컨베이어 벨트(76)에서 떨어진다.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76)의 단부(X)에서 방출되는 물질(22)은 중간 컨베이어(84) 상으로 떨어지고, 중간 컨베이어(84)에 의해 중간 통(86)으로 이동된다. 당업자는 중간 컨베이어(84)의 상부면이 도 2b에서 화살표(E)로 표시된 방향으로 떨어지는 물질을 중간 통(86)(도 2b)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중간 통(86)으로 떨어지는 페이로드(22)가 도 2b에서 화살표(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의 영향 하에 방출 튜브(88)를 지나 개구(87)를 통해 용기(V) 내로 이동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소망하는 경우에, 페이로드가 용기(V) 내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추가적인 수단을 제공하도록 밸브(미 도시)가 방출 튜브(88) 상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도 2b에서 예시되는 다양한 부재들의 배열 이외에 다른 다양한 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능한 경우에, 용기는 지지하는 구조물에 구성될 수 있고 위치될 수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가 직접적으로 용기의 상부 부분이고, 이를 통해 직접적으로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에서 용기 내로 페이로드의 전달을 허용한다.
컨테이너(58)에서 중간 통(86)으로 페이로드(22)의 직접적인 전달로 인하여, 중간 통(86)의 페이로드(22)의 일부가 중간 통(86)의 외부로 유동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페이로드(22)가 컨테이너(58)에서 방출되는 중에 작업자(56)자는 페이로드(22)의 전달, 특히, 중간 통(86)의 페이로드(22)의 양을 감시한다. 통(86)(또는 중간 컨베이어(84))으로부터 페이로드(22)의 방출율이 느려지거나 또는 멈추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작업자(56)자는 홀(44)의 일부를 막기 위해 게이트(8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컨테이너(58)에서의 방출율을 조정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내부 캐비티(54)는 통 어셈블리(30)에 더하여 한 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하는데에 충분히 크다. 이는 적어도 두 가지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첫 번째로, 채워진 통 어셈블리를 구비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한 명의 작업자(56)를 수용하는데에 편리하여, 작업자(56)는 통 어셈블리(30)에서 컨베이어 벨트(76) 상으로 페이로드(22)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요구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한 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하기 위한 두 번째 이유는,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높이에서 용기의 상부로 이송하는데에 편리하고 빠른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수직 이송 수단의 부재로 작업자가 구조물(S)을 올라가거나 내려오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도 7a에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연장 상태에 있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도시되어 있고, 예시의 목적을 위해 벨트(76)가 도시될 수 있도록 보호판(80)이 생략되어 있다. 도 7b에는 보호판(80)이 포함되어 있다(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지붕부(50)는 도 7a 및 도 7b에서 생략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보호판(80)은 실질적으로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의 일부를 덮고, 상기 보호판(80)은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의 컨베이어 벨트 단부에 떨어지는 물질을 허용하도록 바로 아래의 홀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 보호판(80)은, 바람 또는 강수에 의한 방해로부터 컨베이어 벨트(76)에 있는 페이로드를 보호하도록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에 포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 어셈블리(30)에 페이로드가 비워진 이후에,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는 수축 상태로 수축된다(도 1a). 이후에, 카 어셈블리(32)는 트랙(28) 아래를 향하여 중간 위치(도 2a)를 지나 지면 위치(도 1c)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 어셈블리가 언로딩되고, 카 어셈블리(32)가 지면 높이로 복귀된 이후에, 도 1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B)가 언로딩 위치로 이동되도록 먼저 비워진 통 어셈블리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로딩 위치(도 1d)에 있을 때, 다시 채워진 통 어셈블리가 캐리지 어셈블리(75A)에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적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각각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34)는 로드셀(8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채워진 통 어셈블리가 제1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A) 상에 위치될 때(즉,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진입하기 바로 전에), 상기 채워진 통 어셈블리의 중량이 먼저 결정되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기록된다. 이후에, 페이로드(22)가 특정한 통 어셈블리(30)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75B) 위로 이동되어(즉,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서 방출된 직후에) 비워진 또는 적재되지 않은 통 어셈블리(30)의 중량이 재어진다. 유출의 부재로, 특정 통 어셈블리(30)에서 반응기 용기에 전달되는 페이로드(22)의 실제 양은, 페이로드가 통 어셈블리에서 방출되거나 또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에 의해 중간 컨베이어로 이동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약간의 비 물질적 손실 또는 인클로저 구조물(90) 내부의 다른 약간의 손실만 적용하여 적재 중량과 비워진 중량 사이의 차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당업자는 로드셀(83)로부터의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효율적으로 프로세싱하는 유사한 장치에 전송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시의 목적을 위해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의 벽의 일부가 생략되고, 지붕부 또한 생략된다. 완전한 벽(48)과 지붕부(50)를 구비한 카 어셈블리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 지붕부 및 도어(52)는 제 위치에 있어서, 도어(52)가 폐쇄될 때, 캐비티(54)는 실질적으로 둘러싸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30)의 페이로드(22)와 하우징 어셈블리(34) 내에 있는 작업자(들)는 날씨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내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안전 및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는 개략적으로 도 9에 도시되어 있고, 대기 가스 검출 어셈블리(3), 먼지 제어 어셈블리(5), 비상 호흡 공기 어셈블리(7), 화재 진압 어셈블리(9), 공기 조절 어셈블리(11) 및 가열 어셈블리(13)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는 필요한 경우에 내부에서 작업자가 탈출하는 것을 하용하기 위해 지붕부에 이중 맨웨이 해치(미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어셈블리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명은 불필요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통 어셈블리(13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다. 통 어셈블리(130)는 컨테이너(58)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기저 팰릿(16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도 11b 내지 도 11e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게이트 제어 장치(185)의 실시예는, 컨테이너(58)의 게이트(82)가 개방 위치(도 7d, 도 7e에 도시)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게이트(82)가 폐쇄 위치(도 7c에 도시)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187)를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187)는, 컨테이너(58)(도 11b 내지 도 11e에 미 도시)가 기저 팰릿(160) 상에 위치될 때, 게이트(82)의 탭(T)의 홀(DH) 내로 장착된다. 도 11d에는 제2 위치에 있는 결합 부재(187)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e에는 제1 위치에 있는 결합 부재(187)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는 작동 부재(19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예컨대, 전기 에너지, 유압 유체)으로 구동되고, 작동 부재(191)는 작업자가 적절하게 고려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를 작동 또는 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자는 컨테이너(58) 외부로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의 유동을 비교적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기저 팰릿(160)의 실시예는 컨테이너(58)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입자상 물질은 컨테이너(58)에 수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48)는 입자상 물질이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58)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7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컨테이너는 게이트(82)가 개구(73)를 막는 폐쇄 위치와 개구(73)가 게이트(82)를 막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82)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기저 팰릿(160)은 내부에 구멍(166)을 갖는 기저 플레이트(164)를 또한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58)는 기저 팰릿(160) 상에서 개구(73)가 구멍(166)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 정렬되는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게이트 제어 장치(185)는, 컨테이너(58)가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있을 때, 게이트(82)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재(187)를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제어 장치(185)는, 게이트(82)가 결합 부재(187)에 의해 개방 위치로 위치되는 제1 위치와 게이트(82)가 결합 부재(187)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187)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18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게이트 제어 장치(185)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187)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작동 부재(191)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기저 팰릿(160)은 본 발명의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의 실시예를 통해(도 11g) 작업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는 작동 부재(도 11f, 도 11g)의 포트(198)를 통해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어 리셉터클(197)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197)과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는 코드 부재(L)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코드 부재를 통해 신호가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에서 작동 부재(191)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또는 그 사이에서 요구 한대로 기저 플레이트(164)에 대하여 결합 부재(187)를 위치시키기 위해,텔레스코핑 부재(202)를 연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미 도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작업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187)를 이동시키고, 요구한 대로 그 사이에 결합 부재를 위치시키기 위해, 작동 부재(191)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를 작동 또는 비-작동시킴으로써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를 제어한다. 이는 작업자가 버튼 또는 요구한 바와 같이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 상에 있는 다른 부재(199)를 누름으로써 달성되고, 이를 통해,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 부재(191)에 적절한 신호가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58)가 기저 팰릿(160) 상에 위치될 때, 결합 부재(187)는 게이트(82)를 결합시키고,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가 결합 부재(187)의 이동을 초래할 때 게이트(82)가 이동된다.
게이트(82)의 수동 제어는 실제로 불편하거나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동력 수단을 통해 작동할 수 있는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가 유리하다.
제1 위치에 있는 결합 부재(187)는 도 11e에 도시되어 있고, 제2 위치에 있는 결합 부재(187)는 도 11d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결합 부재(187) 이동은 도 11d에 도시된 화살표(H)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18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텔레스코핑 부재(202)는 연장된다.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결합 부재(187) 이동은 도 11e에 화살표(I)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d에는 수축된 텔레스코핑 부재(202)가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189)는 결합 부재(187)를 제1 위치나 제2 위치 또는 그 사이 임의의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자는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를 사용하여 공정하게 양호한 정도로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의 유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당업자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페이로드(22)의 유동을 관찰하고, 이에 따라 게이트(82)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어 서브 어셈블리(195)가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연결 코드(L)는 반응기 또는 중간 통(86) 내로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의 유동을 관찰하는 중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게이트(82)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데에 필요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게이트(82)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및 임의의 중간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실제로, 제어 서브 어셈블리(189)는 컨테이너(58)에서 물질의 방출을 여전히 제어하는 중에, 반응기 용기 내로 또는 반응기 용기 쪽으로 페이로드의 이동을 보면서 작업자 스스로 위치시키는 양호한 능력을 갖는 작업자를 제공한다.
도 12a 내지 도 12e에는 기저 팰릿(260)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기저 팰릿의 실시예는 게이트 제어 장치(285)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 서브 어셈블리(297)는 하나 이상의 풋 페달(201A, 201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작동 부재(291)는 풋 페달(201A)을 하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289)를 작동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풋 페달(201)을 포함한다. 컨테이너(58)(도 12a 내지 도 12d에 미 도시)가 기저 팰릿(260) 상에 위치될 때, 결합 부재(287)는 컨테이너(58)의 게이트(82)의 탭(T) 상에 있는 홀(DH)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58)가 기저 팰릿(260) 상에 위치될 때, 결합 부재(287)의 이동은 게이트(82)의 이동을 초래한다.
도 12c에는 게이트가 폐쇄로 고정된 제2 위치에 있는 결합 부재(287)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가 페달(201A)을 가압한 순간에, 하나 이상의 신호가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289)에 전송되어 결합 부재(287)는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289)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도 12c), 즉, 도 12c에서 화살표(K)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2d에는 게이트의 개방이 유지된 제1 위치에 있는 결합 부재(287)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가 페달(201B)을 가압한 순간에, 하나 이상의 신호가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289)에 전송되어 결합 부재(287)는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289)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다(도 12d). 상기 이동은 도 12d에서 화살표(U)로 표시되어 있다.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289)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 부재(287)를 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작업자는 편의성을 위해 발을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58)에서 페이로드(22)의 방출을 제어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기저 팰릿(260)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 서브 어셈블리(295)는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 또는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 게이트(82)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3a, 도 3d 내지 도 4b, 도 6b 내지 도 8, 도 10g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테이너(58)는 예시적인 것이다. 당업자는 시스템(20)이 다양한 페이로드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컨테이너의 부지에 전달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배열에서, 컨테이너(58)는 페이로드 제조업자 또는 공급자에 의해 내부에 위치되는 페이로드를 구비한 부지에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20)은 다른 유형의 컨테이너 및 통 어셈블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 어셈블리(33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통 어셈블리(330)는 바람직하게 배출구(373)에서 테이퍼링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호퍼의 형상인 본체(331)를 포함한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통 어셈블리(330)는 중력의 영향 하에 통 어셈블리(330)의 외부로 페이로드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출구(373)에 장착된 게이트 장치(335)를 또한 포함한다.
통 어셈블리(330)는 본체(331)(도 5b)에서 페이로드(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통 어셈블리(330)는 예컨대, 페이로드(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적재된 컨테이너(58)에 제공되는 대신에 백 또는 다른 벌크 형상의 부지에 제공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통 어셈블리(330)는 지게차(도 5a 내지 도 5c에 미 도시)의 포크가 수용될 수 있는 슬리브(362A, 362B)를 포함한다. 또한, 통 어셈블리(330)는 슬리브(362A, 362B) 사이에 위치되는 크로스-부재(339A, 339B)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슬리브(362A, 362B) 및 크로스-부재(339A, 339B)의 배열이 롤러 상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임의의 방향으로 통 어셈블리(33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페이로드(22)가 본체(331) 내에 적재된 후에, 바람직하게, 리드(337)는 본체(331) 상에 위치되고 고정된다(도 5c). 이후에, 채워진 통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채워진 통 어셈블리(330)는 카 어셈블리(32) 내로 이동된다. 카 어셈블리(32)는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28)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다. 카 어셈블리(32)가 방출 위치에 위치되고,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가 연장 위치(도 5a 내지 도 5c에 미 도시)에 위치된 이후에, 도 5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c의 화살표(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페이로드(22)가 통 어셈블리(330)로 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게이트(335)는 개방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게이트는 폐쇄 위치(도 5a, 도 5b)와 개방 위치(도 5c)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게이트의 구성 및 작동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명은 불필요할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방출된페이로드(22)는 컨베이어 벨트(76) 상에 수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76)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X)로 이동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큰 통 어셈블리(430)가 사용될 수 있다(도 13).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페이로드(22)는 통 어셈블리(430)의 부지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은 트럭 또는 레일에 의해 부지에 벌크로 전달되고, 통 어셈블리(430)의 컨테이너부(485) 내의 부지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컨테이너(458)는 통 어셈블리(430)의 통합 부분이고, 기저 플레이트(464)와 컨테이너(458)는 용접되거나 또는 단일체를 형성하도록 함께 고정된다. 당업자는 통 어셈블리(430)의 하나의 장점으로서, 컨테이너부(458)가 비교적 큰 페이로드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의 특정한 총량을 전달하는데에 카 어셈블리의 짧은 종방향 이동(즉, 적은 움직임)이 요구되기 때문에, 큰 컨테이너부(458)는 유리하다.
요약하면,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예컨대, 촉매, 또는 세라믹 지지재 또는 그레이딩 물질)은 통 어셈블리(430)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 어셈블리(430)는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부(458)를 포함한다. 컨테이너부(458)는 개구(473)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입자상 물질은 중력의 영향 하에 컨테이너부(458)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통 어셈블리(4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게이트(482)가 개구를 막는 폐쇄 위치와 게이트가 개구를 막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482)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통 어셈블리(430)는 컨테이너부(458)를 지지하는 기저 플레이트(46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기저 플레이트(464)는 개구(47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구멍(466)을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통 어센블리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기저 플레이트(464)에 대하여 게이트(482)의 이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도 13에 미 도시)를 또한 포함한다.
도 1c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시스템(20)은 트랙 어셈블리(26)의 반대 측에 장착된 제2 카 어셈블리(32')를 또한 포함한다. 당업자는 제2 카 어셈블리(32')의 추가가 페이로드의 입자상 물질의 두 배 양을 시스템에 의해 반응기에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컨테이너(58)를 사용하여(즉, 도 3e 및 도 11a에 도시된) 단일의 카 어셈블리(32)로는 시간당 대략 29톤의 입자상 물질이 전달된다. 그러나, 제2 카 어셈블리(32')가 사용되면, 전달되는 양이 두 배, 즉, 시간당 대략 58톤이 전달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이 반응기 용기에 더 빠른 입자상 물질의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카 어셈블리(32)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제2 카 어셈블리(32')가 페이로드를 전달한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시스템은 트랙 어셈블리(26)의 상부에 위치되는 크레인(4)을 또한 포함한다. 당업자는 크레인(4)이 예컨대, 요구되는 바와 같이, 반응기 내에 입자상 물질을 적재하도록 반응기 용기의 상부 단부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장비를 이동시키는 것과 같이, 다양한 과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사용시에, 페이로드는 트랙(28)을 따라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카 어셈블리(32)에 위치된다. 페이로드(22)는 카 어셈블리에서 임의의 적절한 컨테이너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에, 내부에 페이로드를 구비한 카 어셈블리는 반응기 용기의 상부 인근의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상승된다. 페이로드는 트랙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방향으로서 카 어셈블리에서 반응기 용기의 상부에 있는 개구로 이동되어, 개구를 통해 반응기 용기 내로 페이로드가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페이로드(22)를 이송하는 방법(141)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먼저, 상기 방법은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28)을 구비한 트랙 어셈블리(2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도 14a, 단계(143)). 채워진 통 어셈블리(30)가 제공된다(단계(145)). 트랙(28)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카 어셈블리(32)가 제공된다(단계(147)). 이후에, 카 어셈블리(32)는 지면 위치에 위치된다(단계(149)). 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카 어셈블리(32)의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에 위치된다(단계(151)). 카 어셈블리(32)는 실질적으로 종방향 트랙(28)을 따라 방출 위치로 이동된다(단계(153)). 이후에, 카 어셈블리가 방출 위치에 위치되는 동안에,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는 연장 상태로 연장된다(단계(155)). 페이로드는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로 페이로드의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 상으로 방출되고, 이에 따라, 통 어셈블리가 제공된다(도 14b, 단계(157)).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38)는 수축 상태로 수축된다(단계(159)). 카 어셈블리(32)는 실질적으로 수진인 트랙(28)을 따라 지면 위치로 이동된다(단계(163)). 비워진 통 어셈블리(30)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로부터 제거된다(단계(165)). 전술된 바와 같이, 이후의 단계는 다른 채워진 통 어셈블리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 내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단계가 반복된다.
특정한 순서로 발생되는 특정 단계가 전술되고, 도 14a 및 도 14b에 예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단계는 서로 기능적으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많은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41 내지 147)는 전술되고, 도 14a 및 도 14b에 예시된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은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시간당 충분한 물질을 전달하는 용량을 가지고, 상기 시스템의 작동은 매우 궂은 날씨 조건에 의해 지연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알 수 있다. 상기 시스템(20)은 크레인을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보다 안전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20)은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34)가 작업자, 도구 또는 다른 물질을 수직으로 이송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 어셈블리(32)의 사용을 통해, 생산성이 대략 10% 이상 증가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많은 형태로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는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청구 범위는 예시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로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일치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으로,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포함하는 트랙 어셈블리;
    페이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는,
    트랙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가 이동되도록 트랙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수용될 수 있고,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로 페이로드의 실질적인 횡방향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 상으로 페이로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내로 이동시키는 전달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
    캐리지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가 위치되는 로딩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가 위치되는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캐리지 트랙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가 장착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장치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장치는 롤러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 서브 어셈블리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의 중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는 페이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 단부에 위치되며, 중력의 영향으로 페이로드가 개구를 통해 컨테이너를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게이트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지 않는 개방 위치와 게이트가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에 의해 덮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는 기저 팰릿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저 팰릿은,
    컨테이너가 기저 팰릿 상에 위치될 때, 컨테이너의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팰릿은 페이로드가 상기 구멍을 지향하도록 형성되는 깔대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팰릿은 컨테이너를 기저 팰릿 상의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컨테이너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게이트 제어 장치는,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컨테이너가 기저 팰릿 상에 위치될 때 게이트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게이트 제어 장치는, 게이트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게이트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는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풋 페달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풋 페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풋 페달을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게이트 이동 서브 어셈블리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송 시스템.
  16. 페이로드를 트랙 위로 운반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카 어셈블리로,
    트랙을 따라 카 어셈블리가 이동하도록 트랙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및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페이로드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페이로드가 위치되는 통 어셈블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중력의 영향으로 페이로드가 통 어셈블리에서 방출될 수 있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의 방출 위치로 통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의 외부로 통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하우징 롤러 컨베이어; 및
    내부에 홀을 구비한 바닥부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통 어셈블리가 방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홀을 통해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가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따라 카 어셈블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위치되는 수축 상태와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가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홀을 통해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 상에 적재된 페이로드를 전달하도록 위치되는 연장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0.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대기 가스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1.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먼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2.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비상 호흡 공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3.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화재 진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4.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공기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5.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6.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는 카 어셈블리에서 작업자의 탈출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맨웨이 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어셈블리.
  27.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방법으로,
    (a)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포함하는 트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b) 페이로드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c)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이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는,
    트랙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트랙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
    트랙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지면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e) 페이로드를 구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 위치시키는 단계;
    (f)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방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g)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연장 상태로 연장시키는 단계;
    (h) 페이로드를 사전에 정해진 방출 위치로 이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에서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 상으로 페이로드를 방출하는 단계;
    (i) 컨베이어 서브 어셈블리를 수축 상태로 수축시키는 단계;
    (j)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트랙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지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k) 하우징 서브 어셈블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어셈블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드 이송 방법.
  28. 내부에서 방출되는 반응기 용기에 페이로드를 이송하는 방법으로,
    (a) 트랙을 따라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에 페이로드를 위치시키는 단계;
    (b) 반응기 용기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위치하도록 내부에 페이로드를 구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를 상승시키는 단계;
    (c) 페이로드를 반응기 용기 내로 방출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트랙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 어셈블리에서 반응기 용기의 상부에 있는 개구로 페이로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드 이송 방법.
  29.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되는 기저 팰릿으로,
    상기 컨테이너는 개구 및 게이트를 포함하되, 입자상 물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중력의 영향으로 컨테이너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는, 게이트가 개구를 막는 폐쇄 위치와 게이트가 개구를 막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저 팰릿은,
    내부에 구멍을 포함하는 기저 플레이트;
    게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는 기저 팰릿 상에서 개구가 구멍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는,
    컨테이너가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위치될 때 게이트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
    결합 부재가 개방 위치로 게이트를 위치시키는 제1 위치와 결합 부재가 폐쇄 위치로 게이트를 위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저 플레이트에 대하여 결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 및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 팰릿.
  30.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통 어셈블리로,
    입자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부로, 상기 컨테이너부는 중력의 영향으로 컨테이너 외부로 입자상 물질이 이동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부;
    게이트가 개구를 막는 폐쇄 위치와 게이트가 개구를 막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
    컨테이너부를 지지하며,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기저 플레이트;
    게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는,
    결합 부재가 개방 위치로 게이트를 위치시키는 제1 위치와 결합 부재가 폐쇄 위치로 게이트를 위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저 플레이트에 대하여 결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 및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결합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제어 서브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어셈블리.
KR1020167009002A 2013-09-06 2014-09-05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 2826315 CA2826315A1 (en) 2013-09-06 2013-09-06 Elevatio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CA2826315 2013-09-06
PCT/CA2014/000675 WO2015031981A1 (en) 2013-09-06 2014-09-05 Elevatio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885A true KR20160051885A (ko) 2016-05-11

Family

ID=5262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002A KR20160051885A (ko) 2013-09-06 2014-09-05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9878860B2 (ko)
EP (1) EP3024764B1 (ko)
JP (1) JP6349400B2 (ko)
KR (1) KR20160051885A (ko)
CN (1) CN105579371B (ko)
AR (1) AR099348A1 (ko)
AU (1) AU2014317750B2 (ko)
CA (2) CA2826315A1 (ko)
CL (1) CL2016000497A1 (ko)
DK (1) DK3024764T3 (ko)
EA (1) EA032212B1 (ko)
ES (1) ES2674379T3 (ko)
IL (1) IL244414B (ko)
LT (1) LT3024764T (ko)
MX (1) MX2016002236A (ko)
MY (1) MY176227A (ko)
PH (1) PH12016500426B1 (ko)
PL (1) PL3024764T3 (ko)
PT (1) PT3024764T (ko)
SG (1) SG11201601271PA (ko)
TW (1) TWI630160B (ko)
WO (1) WO2015031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039B2 (en) 2017-12-08 2022-12-27 Seaway Painting, L.L.C. Tower apparatus
CN112110308B (zh) * 2020-09-08 2021-12-03 广西用有机械设备维修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防坠保险支架
CN114275546B (zh) * 2020-09-27 2024-06-07 中冶宝钢技术服务有限公司 废袋废料自动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428616A (zh) * 2021-08-09 2021-09-24 烟台杰瑞石油装备技术有限公司 储砂输砂设备
RU2764326C1 (ru) * 2021-09-13 2022-0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пы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ЭЛЬБРУС» Способ подъема/спуска и перемещения на высоте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4955803A (zh) * 2022-06-07 2022-08-30 深圳市宇钧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带有垂直升降机构的天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7572A (en) * 1942-01-14 1942-09-29 Charles A Martin Hoisting apparatus
US2400939A (en) * 1944-11-03 1946-05-28 Charles A Martin Hoisting apparatus
US3481499A (en) 1968-03-25 1969-12-02 Miner Denver Inc Article hoist and lateral transfer mechanism
US3653526A (en) * 1970-07-02 1972-04-04 Catalyst Services Inc Dry product loading apparatus
JPS5228266Y2 (ko) * 1971-12-10 1977-06-28
US3768626A (en) 1971-12-22 1973-10-30 Eastern Refractories Co Inc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s
JPS4870355A (ko) 1971-12-27 1973-09-22
DE3222509C2 (de) * 1982-06-16 1987-02-05 Albert Böcker GmbH & Co KG, 4712 Werne Teleskopführung für eine Lastenpritsche eines Schrägaufzuges für den Transport von Möbeln
US4769127A (en) 1985-09-30 1988-09-06 Amoco Corporation Computerized monorail catalyst handling process and system for resid hydrotreating units
AU696326B2 (en) 1994-11-22 1998-09-10 Kabuki Construction Co., Ltd. Ready mixed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FR2732672B1 (fr) * 1995-04-07 1997-06-27 Elveco Msj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conteneurs pour produits s'ecoulant par gravite
US5601156A (en) * 1995-11-29 1997-02-11 Otis Elevator Company Maintaining communications and power during transfer of horizontally moveable elevator cab
US5799755A (en) * 1996-11-14 1998-09-01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motor transfer of cab horizontally between elevator and bogey platforms
SG67431A1 (en) * 1996-11-14 1999-09-21 Otis Elevator Co Horizontal transfer of cab between elevator and bogey platform rails
JP2000016593A (ja) * 1998-07-01 2000-01-18 Asahi Kankyo System Kk 反転切り返し装置
US6416271B1 (en) * 2000-04-07 2002-07-09 Nucon Corporation Drop box container
JP2002160795A (ja) * 2000-11-24 2002-06-04 Toyota Auto Body Co Ltd 粉粒体収納コンテナとその搬送パレットとを組み合わせた粉粒体収納装置
US6540089B2 (en) 2001-04-17 2003-04-01 Astec Industries Inc. Large, stationary, modular aggregate processing 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same
AU2002259059A1 (en) * 2001-04-30 2002-11-11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Automated processing of bulk containers
US7063493B2 (en) * 2002-03-27 2006-06-20 The Young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of bulk particulate materials
US20060280802A1 (en) 2002-10-04 2006-12-14 Campbell Julie H Therapeutic uses of beta-casein a2 and dietary supplement containing beta-casein a2
AT500551B1 (de) * 2002-12-18 2007-10-15 Tgw Transportgeraete Gmbh Lasttraggestell für ein regalbediengerät
JP2006017466A (ja) * 2004-06-30 2006-01-19 Teraoka Seiko Co Ltd 計量台、計量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ES2246163B1 (es) * 2004-07-23 2007-03-16 Gamesa Eolica, S.A. Sociedad Unipersonal Un sistema de grua movil independiente de uso temporal para mover o reemplazar componentes y para el montaje de aerogeneradores.
TWI496732B (zh) * 2009-07-31 2015-08-21 Murata Machinery Ltd 供工具利用之緩衝儲存和運輸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601271PA (en) 2016-03-30
CN105579371A (zh) 2016-05-11
EA032212B1 (ru) 2019-04-30
AR099348A1 (es) 2016-07-20
PH12016500426A1 (en) 2016-05-16
EA201690419A1 (ru) 2016-08-31
MX2016002236A (es) 2016-10-07
JP2016535711A (ja) 2016-11-17
US9878860B2 (en) 2018-01-30
CN105579371B (zh) 2018-02-02
CA2826315A1 (en) 2015-03-06
JP6349400B2 (ja) 2018-06-27
DK3024764T3 (en) 2018-06-25
MY176227A (en) 2020-07-24
AU2014317750B2 (en) 2018-02-22
US20160214807A1 (en) 2016-07-28
CL2016000497A1 (es) 2016-10-07
CA2922978A1 (en) 2015-03-12
ES2674379T3 (es) 2018-06-29
WO2015031981A1 (en) 2015-03-12
EP3024764A4 (en) 2017-03-29
TWI630160B (zh) 2018-07-21
PT3024764T (pt) 2018-06-18
EP3024764B1 (en) 2018-03-28
PH12016500426B1 (en) 2016-05-16
PL3024764T3 (pl) 2018-08-31
EP3024764A1 (en) 2016-06-01
LT3024764T (lt) 2018-07-10
IL244414A0 (en) 2016-04-21
IL244414B (en) 2019-10-31
CA2922978C (en) 2021-04-27
TW201524875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1885A (ko) 승강 이송 시스템 및 방법
AU2014317750A1 (en) Elevatio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JP6357287B1 (ja) 中空構造物の内部で固着状態となった粉粒体の排出方法
CN105293108A (zh) 一种移动式液压倾斜卸车机
US9254935B2 (en)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carrier therefor
CN101304898B (zh) 负载运送箱体
CN108367698B (zh) 用于集装箱的运输车辆
CN104816957A (zh) 轻型门座散货卸船机用移动式环保化肥装载料斗
CN1141872A (zh) 将散装货物装于船上的装置
WO2007143207A2 (en) Bulk material unloading system and method
CN112693805B (zh) 一种危废吨包破袋下料装置及危废填埋系统
CN204588164U (zh) 轻型门座散货卸船机用移动式环保化肥装载料斗
CA1128456A (en) Mobile conveyor-flow equalizer
US20230312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particulate material
CN205294331U (zh) 一种安全无尘卸料的卸车机
US20090202326A1 (en) Cement truck elevator for additives
EP3260404B1 (en) Cargo handling device
JP2667764B2 (ja) 建築廃棄物の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
CN117550298B (zh) 一种散装物料上料系统及上料方法
CN216272090U (zh) 一种砂石料卸料码头
KR20110070319A (ko) 건설용 롤라컨베이어 승강기 제작방법
CN116040357A (zh) 一种无尘化智能卸船装箱直取系统和方法
EP1251030A1 (en) A loading system for an elongate transport container, as well as a vehicle, a bunker and a method to be used therewith
US132459A (en) Improvement in elevators
JP2005075503A (ja) ホッパー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