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518A - 키친용 싱크 - Google Patents

키친용 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518A
KR20160051518A KR1020150028306A KR20150028306A KR20160051518A KR 20160051518 A KR20160051518 A KR 20160051518A KR 1020150028306 A KR1020150028306 A KR 1020150028306A KR 20150028306 A KR20150028306 A KR 20150028306A KR 20160051518 A KR20160051518 A KR 2016005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kitchen
drain
wat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마베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5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싱크의 저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고, 키친에서의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키친용 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키친용 싱크[싱크(100)]의 구성은,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저면(110)과, 싱크의 좌우 어느 한쪽의 단부[좌측 단부(100b)]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배수구(120)와, 싱크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가 배치되는 측에 치우쳐 배치된 수도꼭지(152)와, 싱크의 전방 단부(100c)를 따라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영역(13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친용 싱크{SINK FOR KITCHEN}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 등의 키친 캐비닛에 내장되는 키친용 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키친에서는, 키친 캐비닛에 싱크가 일체로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싱크에 있어서 식재의 조리나 식기의 세정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키친 싱크에서는, 배수구측이 낮아지도록 싱크 저면을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세정 시의 물이 배수구를 향해 싱크 저면을 흘러가므로, 배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작업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03170호 공보
그런데, 조리 중, 키친의 조리 스페이스에는 조리 기구나 식기 등이 놓이므로, 세정한 식재를 두는 스페이스가 없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세정한 식재를 싱크 내에 놓아두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지만, 이 경우, 싱크에 있어서 물에 젖지 않는 영역이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싱크이면, 싱크의 전방측의 영역에는 물에 젖지 않는 스페이스가 있지만, 이 영역은 키친에서의 작업 중에 사용 빈도가 높은 영역이므로, 여기에 세정 후의 식재를 적재하면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 한편, 싱크의 안측의 영역, 즉, 사용 빈도가 낮은 영역은 배수구를 향해 물이 흘러오므로, 여기에 세정 후의 식재를 적재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비추어, 싱크의 저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고, 키친에서의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키친용 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키친용 싱크의 대표적인 구성은,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저면과, 싱크의 좌우 어느 한쪽의 단부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배수구와, 싱크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가 배치되는 측에 치우쳐 배치된 수도꼭지와, 싱크의 전방 단부를 따라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저면이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수도꼭지로부터의 물은 저면을 전방측을 향해 흘러 경사 영역에 이른다. 그리고, 경사 영역에 이른 물은, 거기를 경유하여 배수구로 유도된다. 이때, 저면이 전방측을 향해 경사져 있음으로써, 수도꼭지로부터 흐른 물은, 저면의 수도꼭지 근방의 영역으로부터 경사 영역을 향해 흐르므로, 저면의 안측의 수도꼭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으로 물이 흐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저면 중, 안측의 수도꼭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이 물에 젖지 않는 스페이스로 되므로, 세정 후의 식재를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싱크의 저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고, 키친에서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배수구는 싱크의 전방 단부보다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싱크는, 또한 싱크의 측단부를 따라 싱크의 전방 단부로부터 배수구까지 연속하는 유도 홈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수구가 싱크의 안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경사 영역에 이른 물을 적절하게 배수구까지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배수구는 싱크의 전방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사 영역에 이른 물은 그대로 배수구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유도 홈이 불필요해져, 싱크의 형상을 단순화하면서,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의 저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고, 키친에서의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키친용 싱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키친용 싱크의 전체도.
도 2는 싱크의 저면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싱크의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키친용 싱크의 전체도.
도 5는 싱크의 저면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싱크의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싱크의 저면의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급탕 장치 및 급탕 시스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키친용 싱크[이하, 단순히 싱크(100)라 칭함]의 전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싱크(100)는, 저면(110), 배수구(120) 및 경사 영역(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면(110)은, 도 1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평탄하게 경사져 있고, 그 주위의 테두리로부터는 벽면(140)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안측의 좌측 코너에 있어서, 수도꼭지(152)가 상면에 배치된 팽출부(150a)가, 싱크(100)의 안측의 면인 벽면(140)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싱크(100)의 전방 단부(100c)보다 안쪽의 위치이며, 싱크(100)의 좌측 단부(100b)에 접하는 위치에는 배수구(120)가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구(120)는, 싱크(100)의 우측 단부(100a) 및 좌측 단부(100b) 중, 한쪽의 단부인 좌측 단부(100b)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수도꼭지(152)는, 배수구(120)가 배치되는 측인 좌측 단부(100b)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경사 영역(130)은, 싱크(100)의 전방 단부(100c)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도 1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100)의 좌우 방향에서 좌측, 즉, 배수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측[배수구(120)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측단부인 좌측 단부(100b)를 따르도록, 싱크(100)의 전방 단부(100c), 즉, 경사 영역(130)의 단부로부터 배수구(120)까지 연속하는 유도 홈(160)을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싱크(100)의 저면(110)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싱크(100) 내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영역을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도꼭지의 토출구(152a)(파선으로 도시)를 전방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도꼭지(152)로부터 물을 내보낸다. 그러면, 저면(110)이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평탄하게 경사져 있음으로써, 수도꼭지(152)로부터의 물은, 저면(110) 중 수도꼭지(152) 근방의 영역을 전방측을 향해 흘러 경사 영역(130)에 이른다.
경사 영역(130)에 이른 물은, 이러한 경사 영역(130)이 배수구(120)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거기를 경유하여 배수구(120)측의 단부에 이른다. 이에 의해, 싱크(100)의 저면(110)에서는, 안측의 영역 중, 수도꼭지(152) 및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파선으로 도시)은 물이 흐르지 않는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저면(110) 중, 안측의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102)에, 물에 적시고 싶지 않은 식재 등을 적재할 수 있어, 싱크(100)의 저면(110)의 유효 활용 및 키친에서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120)는, 싱크(100)의 좌우 방향에서는 좌측 단부(100b)에 접하는 위치, 싱크(100)의 전후 방향에서는 안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좌측 단부(100b)를 따라 유도 홈(160)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유도 홈(160)에 의해 경사 영역(130)의 배수구(120)측의 단부와 배수구(120)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경사 영역(130)에 이른 물은, 이러한 경사 영역(130) 및 유도 홈(160)을 경유하여 배수구(120)로 유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구(120)는, 싱크(100)의 벽면(140)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팽출부(150a)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도 홈(160)의 전후 방향의 길이(홈의 전체 길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유도 홈(160)의 최종적인 깊이도 얕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극단적인 딥드로잉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스 성형할 때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홈이 얕아짐으로써, 청소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싱크(100)의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의 싱크(100d)에서는, 싱크(100)의 우측의 팽출부(150b)(도 1 및 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저면(110) 중, 안측의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102)(파선으로 도시)은 물이 흐르지 않는 영역으로 되므로, 상술한 싱크(10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의 (b)의 싱크(100e)에서는, 좌측에 있어서도 팽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수도꼭지(152)는 싱크(100e)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의 (c)의 싱크(100f)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싱크(100)와 같은 계단 형상의 팽출부가 아니라, 삼각 형상의 팽출부(150c·150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안측의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102)(파선으로 도시)을 물이 흐르지 않는 영역으로 할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술한 싱크에 있어서 얻어지는 효과는, 수도꼭지(152)의 장착 개소나 팽출부의 형상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100g)가 타원 형상(오벌형)이거나, 도 3의 (c) 및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구(120)가 원형인 경우라도, 안측의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102)(파선으로 도시)을 물이 흐르지 않는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싱크의 형상이나 배수구의 형상에 관계없이,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키친용 싱크[이하, 단순히 싱크(200)라 칭함]의 전체도이다. 도 5는 싱크(200)의 저면(110)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싱크(200) 내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영역을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싱크(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싱크(200)에서는, 배수구(120)는, 싱크(100)의 전방측의 좌측 코너부, 즉, 좌측 단부(100b) 및 전방 단부(100c)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200)에 있어서도 저면(110)이 전방측을 향해 평탄하게 경사져 있음으로써, 수도꼭지(152)의 토출구(152a)(파선으로 도시)를 전방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물을 내보내면, 수도꼭지(152)로부터의 물은, 저면(110) 중 수도꼭지(152) 근방의 영역을 전방측을 향해 흘러 경사 영역(130)에 이른다.
그리고, 경사 영역(130)에 이른 물은, 거기를 경유하여 배수구(120)에 이른다. 따라서, 싱크(20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싱크(100)와 마찬가지로, 수도꼭지(15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 즉, 안측의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102)(파선으로 도시)은 물이 흐르지 않는 영역으로 되므로, 영역(102)에, 물에 적시고 싶지 않은 식재 등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싱크(200)와 같이 배수구(120)를 싱크(200)의 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경사 영역(130)에 이른 물은 그대로 배수구(120)로 유도되므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 홈(160)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싱크(200)의 형상을 단순화하면서,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싱크(200)의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d)에 도시하는 싱크(200a·200b·200c·200d)와 같이 수도꼭지(152)의 장착 개소, 팽출부의 유무나 형상, 싱크의 형상 및 배수구(120)의 형상이 다른 경우라도, 싱크(100·200)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구(120) 및 수도꼭지(152)를 싱크의 좌측에 배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배치는 좌우가 반대여도 된다. 또한 경사 영역(130)은, 홈 형상이나 평탄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들을 조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7은 싱크의 저면(110)의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200)의 저면(110)이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평탄하게 경사져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있어서도 한정되지 않고, 저면(100)은 유발 형상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의 싱크(300a)에서는, 저면(110)은, 전방측에 경사 영역(130)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좌측의 영역)에서는,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평탄하게 경사져 있고, 전방측에 경사 영역(13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우측의 영역)에서는, 경사 영역(130)의 개방 단부를 향함에 따라[좌우 방향에서 배수구(12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유발 형상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평탄하게 경사지는 영역과 유발 형상으로 경사지는 영역을 조합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싱크(100·20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의 싱크(300b)에서는 싱크의 전방 단부(100c)를 따르도록, 평탄면의 경사 영역(130)(해칭으로 도시)을 형성하고 있고, 저면(110)은, 경사 영역(130)과 유도 홈(160)의 경계 부분을 향함에 따라 유발 형상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 영역(130)은, 홈 형상이 아니라, 싱크의 전방 단부(100c)를 따라 저면(110)에 굴곡선을 형성함으로써 물이 흐르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강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저면(110)의 전체를 유발 형상으로 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싱크(100·20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 등의 키친 캐비닛에 내장되는 키친용 싱크로서 이용할 수 있다.
100 : 싱크
100a : 우측 단부
100b : 좌측 단부
100c : 전방 단부
100d·100e·100f·100g : 싱크
102 : 영역
110 : 저면
120 : 배수구
130 : 경사 영역
140 : 벽면
150a·150b·150c·150d : 팽출부
152 : 수도꼭지
152a : 토출구
160 : 유도 홈
200·200a·200b·200c·200d·300a·300b : 싱크

Claims (3)

  1.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저면과,
    싱크의 좌우 어느 한쪽의 단부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배수구와,
    싱크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가 배치되는 측에 치우쳐 배치된 수도꼭지와,
    상기 싱크의 전방 단부를 따라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용 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싱크의 전방 단부보다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싱크는, 또한 상기 싱크의 측단부를 따라 싱크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구까지 연속하는 유도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용 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싱크의 전방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용 싱크.
KR1020150028306A 2014-10-31 2015-02-27 키친용 싱크 KR20160051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3498 2014-10-31
JP2014223498A JP2016089433A (ja) 2014-10-31 2014-10-31 キッチン用シン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518A true KR20160051518A (ko) 2016-05-11

Family

ID=5587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06A KR20160051518A (ko) 2014-10-31 2015-02-27 키친용 싱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089433A (ko)
KR (1) KR20160051518A (ko)
CN (1) CN105569133B (ko)
TW (1) TW2016159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3843B (zh) * 2019-01-15 2020-12-29 国家电网公司 一种防积水光缆接续盒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2290Y1 (ko) * 1964-11-13 1968-05-27
CH581238A5 (ko) * 1974-04-24 1976-10-29 Lamprecht Adolf Alape Kg
JPH0654028B2 (ja) * 1986-10-16 1994-07-20 東陶機器株式会社 シンク
JPH05329027A (ja) * 1992-06-04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し装置
GB9313140D0 (en) * 1993-06-25 1993-08-11 American Standard Inc Sink with wheelchair access
JP4098973B2 (ja) * 2001-10-15 2008-06-11 株式会社フロム工業 生ゴミ処理シンク
DK1367185T3 (da) * 2002-05-28 2005-12-27 Rapsel S P A Håndvask med skjult aflöb
US7240380B2 (en) * 2002-11-18 2007-07-10 Erickson E Jay Food preparation station
DE102004012995A1 (de) * 2004-03-16 2005-10-06 Alape Gmbh Waschbecken
JP3895762B2 (ja) * 2006-04-27 2007-03-22 勇 當時久保 流し台および流し台用器具
JP4922116B2 (ja) * 2007-09-27 2012-04-25 住友林業株式会社 洗面台
JP6080796B2 (ja) * 2014-03-31 2017-02-15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キッチン用シ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89433A (ja) 2016-05-23
CN105569133A (zh) 2016-05-11
TW201615934A (zh) 2016-05-01
CN105569133B (zh)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798A (ko) 싱크대용 싱크
JP6080796B2 (ja) キッチン用シンク
KR20160051517A (ko) 키친용 싱크
KR20160051518A (ko) 키친용 싱크
FR3084250B1 (fr) Receptacle a detergent pour appareil lave-vaisselle
FR2907652B1 (fr) Recipient de travail pou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FI20055689A0 (fi) Kylpyamme
JP2016033312A (ja) キッチン用シンク
JP2017113399A (ja) 洗面化粧台
KR102390225B1 (ko) 키친용 싱크
JP2016037708A (ja) キッチン用シンク
TWI654355B (zh) Kitchen sink
JP2016037709A (ja) キッチン用シンク
CN203885327U (zh) 一种智能炒菜锅的排水装置
JP2019010600A (ja) シンク台及びカバー
JP2016050419A (ja) キッチン用シンク
PH12017500090B1 (en) Washing machine
CN205295721U (zh) 一种洗衣专用盆
FR3077716B1 (fr) Appareil de cuisine comportant une cuve de cuisson optimisee
JP2016033311A (ja) シンク用ラック
JP2016014221A (ja) 排水口用ごみかご
JP2010095882A (ja) 洗面化粧台
JP2015190308A5 (ko)
JP2006083579A (ja) シンク
CN103190842A (zh) 一种不锈钢漏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