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446A -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446A
KR20160051446A KR1020140151525A KR20140151525A KR20160051446A KR 20160051446 A KR20160051446 A KR 20160051446A KR 1020140151525 A KR1020140151525 A KR 1020140151525A KR 20140151525 A KR20140151525 A KR 20140151525A KR 20160051446 A KR20160051446 A KR 2016005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rting
hopper
discharge
spat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579B1 (ko
Inventor
임형용
Original Assignee
임형용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용,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filed Critical 임형용
Priority to KR102014015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양식틀로부터 전복치패를 분리하는 치패분리부와, 치패분리부로부터 양식틀에서 분리된 전복치패들을 공급받아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선별부로부터 선별된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상호 밀착된 전복치패들을 분리하는 이격유닛과, 이격유닛에 의해 상호 분리된 전복치패들을 수납용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해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전복치패를 계수하는 계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은 다수의 치패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 후 상호 밀착된 전복치패들을 분리시켜 계수하므로 계수 오류를 최소화하여 포장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Sorting and carculationg system for young abalone}
본 발명은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 치패를 그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선별하고, 계수하여 판매를 위한 포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해온 해산물로서,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뛰어나 고급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왔다.
국내에서도 매년 많은 양의 전복이 수요되고 있는데, 연간 천해에서 어획하는 양은 44,449,50M/T에 이르고 양식 수확하는 양도 80M/T이나 되며, 특히 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복의 양식은 치패를 양식장에 방류하고 먹이가 되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식에 사용될 치패의 공급시, 적정 크기의 치패를 공급수량에 따라 포장해야 하였다.
전복의 치패는 그 크기가 작아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치패의 선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5853호에는 전복등급 자동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전복 선별기는 다수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전복의 양식을 위한 치패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복치패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하여 치패의 선별시간을 최소화하며, 치패 선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은 양식틀로부터 전복치패를 분리하는 치패분리부와, 상기 치패분리부로부터 상기 양식틀에서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공급받아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된 상기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상호 밀착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분리하는 이격유닛과, 상기 이격유닛에 의해 상호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수납용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계수하는 계수부를 구비한다.
상기 치패분리부는 작업자가 상기 양식틀에 마취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측면에 상기 양식틀이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이 마련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면 하부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상기 양식틀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를 수용하여 상기 선별부로 이송시키는 수납호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별부는 상기 치패분리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 프레임과, 상기 치패분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상기 전복치패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이 마련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선별공을 통해 상기 전복치패가 선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인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선별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과,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 프레임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된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구 하측의 상기 이격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호 밀착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단부가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어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간섭하도록 형성된 브러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격유닛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무한궤도상의 이송벨트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기를 구비한다.
상기 선별부는 상기 치패분리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 프레임과, 상기 선별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전복치패가 수용될 수 있는 선별공간이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선별공간으로 상기 치패분리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복치패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상기 전복치패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선별공간의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드럼과, 상기 선별드럼의 선별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선별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드럼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와, 상기 선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선별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과, 상기 이격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제1이송경로가 마련된 제1이송호퍼와, 상기 제1이송호퍼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들을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에 연통되되, 상기 제1이송호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2이송경로가 마련된 제2이송호퍼와, 상기 제2이송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전복치패들을 간섭하여 상호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이송호퍼의 내벽 일측면에 상기 제2이송경로의 길이방향 중심선 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1간섭판과, 상기 제1간섭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2이송호퍼의 내벽 타측면에 상기 제2이이송경로의 길이방향 중심선 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2간섭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간섭판은 상기 제2이송경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된 치패간섭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제2이송경로로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복치패가 통과하는 공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송경로 상의 상기 제1이송호퍼에, 상기 제1이송경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폭조절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호퍼는 상기 전복치패와 함께 상기 제1이송경로로 유입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에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의 개구면적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이송호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을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기설정된 갯수만큼 다수의 상기 수납용기에 각각 투입하는 치패 투입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치패 투입부는 이송된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는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가 유입되는 제1배출유로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제1배출유로에 유입된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수납용기로 배출되도록 제1배출구가 형성된 제1배출호퍼와, 상기 제1배출호퍼에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유로에 연통되는 제2배출유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배출유로로 유입된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수납용기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배출호퍼와, 상기 제1배출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로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부로부태 이송된 상기 전복치패를 상기 제2배출구로 유도하는 치패 유도부와,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1배출구 또는 제2배출구로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상기 치패 유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배출호퍼는 상기 제1배출유로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전복치패 이동경로의 연장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호퍼는 상기 제2배출유로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전복치패 이동경로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치패 유도부는 상기 제2배출호퍼의 일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배출호퍼에 상기 제1배출유로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배출유로로 인입시 상기 제1배출유로의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제2배출유로로 유입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배출호퍼에 인접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기 전복치패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을 진퇴시키는 가이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치패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인접되게 마련된 포장 프레임과,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포장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상기 수납용기가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턴테이블과,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상기 수납용기들 중 하나가 인접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테이블 구동부와,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수납용기들에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수용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은 다수의 치패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 후 상호 밀착된 전복치패들을 분리시켜 계수하므로 계수 오류를 최소화하여 포장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치패분리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선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별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이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이격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선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선별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이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선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치패 투입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치패 투입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치패 투입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의 치패 투입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100)은 양식틀로부터 전복치패를 분리하는 치패분리부(200)와, 상기 치패분리부(200)로부터 상기 양식틀에서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공급받아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선별부(300)와, 상기 선별부(300)로부터 선별된 상기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상호 밀착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분리하는 이격유닛(400)과, 상기 이격유닛(400)에 의해 상호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수납용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00)와, 상기 이송부(5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500)를 통해 상기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계수하는 계수부(601)를 구비한다.
치패분리부(200)는 메인 프레임(210)과, 상기 메인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상기 양식틀에 마취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좌측면에 양식틀이 거치되는 거치면(221)이 마련된 거치대(220)와, 상기 거치대(220) 하측의 메인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양식틀로부터 분리된 전복치패를 수용하여 선별부(300)로 이송시키는 수납호퍼(230)를 구비한다.
거치대(220)는 메인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거치대(220)는 좌측면에 상기 거치면(221)이 마련되는 데, 상기 거치면(221)이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거치대(220)의 좌측면은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대(220)의 좌측면 하부에는 양식틀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핀(222)이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수납호퍼(230)는 거치대(220) 하측의 메인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호퍼(230)는 전방면이 내부에 수용된 전복치패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전단부가 거치대(220)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이때, 수납호퍼(230)는 용이하게 전복치패가 전방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납호퍼(230)의 후단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분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수납호퍼(23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수납호퍼(23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연결관에 의해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된 물탱크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물탱크의 물을 상기 노즐로 펌핑하는 물펌프를 구비한다. 수납호퍼(230)에 수납된 치패는 물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선별부(300)로 이송된다. 이때, 선별부(300)에 이송된 치패도 상기 물분사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어 이격유닛(400) 및 이송부(500)로 이송된다.
작업자는 양식틀을 지지핀(222)에 안착시켜 거치대(220)의 거치면(221)에 거치하고, 마취액을 양식틀에 도포한다. 마취액에 의해 양식틀에 부착된 전복치패는 양식틀로부터 분리되어 수납호퍼(230)에 수용된다. 수납호퍼(230)에 수용된 전복치패는 선별부(300)로 이송된다.
선별부(300)는 상기 치패분리부(200)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 프레임(310)과, 상기 치패분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상기 전복치패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321)이 마련된 진동판(320)과, 상기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320)의 선별공(321)을 통해 상기 전복치패가 선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32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인가부재(330)를 구비한다.
진동판(320)은 탄성지지부(324)에 의해 선별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진동판(320)은 후단부에 상측에 수납호퍼(230)의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지지부(324)는 선별 프레임(310)의 좌우측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326)과, 상기 고정브라켓(326)에 설치되며, 상단이 진동판(320)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고정볼트(327)와, 진동판(320)과 고정브라켓(326) 사이에 설치되며, 진동판(320)의 진동이 선별 프레임(3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진동감쇄부재(328)를 구비한다.
진동판(320)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선별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선별공(321)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전복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기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판(320)은 좌우측 가장자리에 외부로 전복치패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판(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322)은 진동판(32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진동판(320)의 하부에는 선별공(321)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전복치패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출용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배출용기에 수납된 전복치패들은 다시 양식장으로 보내져 기설정된 크기로 자랄 때까지 양식된다.
진동판(320)의 전단부에는 진동판(320)을 통과한 전복치패를 이격유닛(400)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판(323)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판(323)은 진동판(320)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진동판(320)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배출판(323)은 진동판(320)에 대해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 전복치패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판(3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325)은 배출판(323)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진동인가부재(330)는 브라켓(331)에 의해 진동판(320)에 고정된다. 브라켓(331)은 진동판(3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이탈방지판(322)에 각각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판(332)과, 양단이 돌출판(332)들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면에 진동인가부재(330)가 설치되는 지지판(333)을 구비한다.
진동인가부재(330)는 지지판(333)의 상면에 설치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며, 일측이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편심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진동인가부재(330)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편심부재가 회전하고, 편심부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진동판(320)에 인가한다. 한편, 진동인가부재(33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격유닛(400)은 상기 선별부(300)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410)과, 상기 선별부(300)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 프레임(410)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된 이송 플레이트(420)와, 상기 관통구 하측의 상기 이격 프레임(4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0)과, 상기 회전축(43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호 밀착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430)의 회전시 단부가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어 상기 이송 플레이트(42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간섭하도록 형성된 브러쉬(440)와, 상기 회전축(4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송 플레이트(42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판(421)과, 연장판(421)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판(422)을 구비한다.
연장판(421)은 후단부 상측에 배출판(323)의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이격 프레임(410)에 설치된다. 연장판(421)은 전복치패와 함께 유입된 해수를 하방으로 배수하기 위해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판(42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전복치패가 연장판(4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보조판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보조판은 연장판(421)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송판(422)은 연장판(421)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판(422)은 연장판(421)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되되, 전단부가 연장판(421)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이송판(422)은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송판(422)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전복치패가 이송판(4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보조판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보조판은 이송판(422)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이송판(422)은 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30)은 관통구에 대향되는 위치의 이격 프레임(4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430)은 소정의 외경을 갖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브러쉬(440)는 회전축(4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회전시 관통구에 삽입되어 이송판(422)으로 통과하는 전복치패들을 간섭할 수 있도록 회전축(43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구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연장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축(4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4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축(4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연장판(421)으로 공급된 전복치패들은 연장판(421)의 전방부에 위치한 이송판(422)으로 이송되고, 관통구를 통해 돌출되는 브러쉬(440)에 의해 간섭되어 상호 밀착되어 있는 전복치패들은 분리되어 이송부(500)로 배출된다.
이송부(500)는 상기 이격유닛(400)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무한궤도상의 이송벨트(501)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501)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502)와, 종동롤러(미도시) 및 상기 구동롤러(502)를 구동하는 롤러구동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이송벨트(501)는 복수개가 이송판(422)들 전방측의 이격프레임에 각각 설치된다. 이송벨트(501)는 이송판(422)들로부터 배출된 전복치패를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이송벨트(501)의 전방측에는 이송부(500)를 통해 이송된 전복치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용기가 배치된다.
계수부(601)는 이송벨트(501)의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벨트(501)를 통해 수용용기로 이송되는 전복치패를 계수한다. 계수부(60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레이져, 초음파 또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하측으로 통과하는 전복치패를 계수한다. 이때, 계수부(601)는 전복치패의 계수된 데이터를 작업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전복치패가 부착된 양식틀을 거치대(220)의 거치면(221)에 안착시킨 다음, 양식틀에 마취제를 도포한다. 도포된 마취제에 의해 전복치패들은 양식틀로부터 분리되어 수납호퍼(230)로 유입된다. 수납호퍼(230)로 유입된 전복치패들은 수납호퍼(230)에 의해 진동판(320) 상면으로 배출된다.
이때, 진동판(320)은 진동인가부재(330)에 의해 진동하고, 공급된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전복치패들은 선별공(321)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전복치패들은 이송 플레이트(420)의 연장판(421)으로 이송된다.
연장판(421)으로 공급된 전복치패는 이송판(422)으로 통해 이송부(500)의 이송벨트(501)로 배출되는 데, 이송판(422)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축(430)과 브러쉬(440)에 의해 간섭되어 상호 밀착된 전복치패들은 분리되어 이송벨트(501)로 배출된다. 이송벨트(501)에 의해 전복치패는 수용용기로 이송되어 수납되고, 계수부(601)는 수용용기로 수납되는 전복치폐를 계수한다. 이때, 작업자는 계수부(601)를 통해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계수되면 새로운 수납용기를 이송벨트(501)의 출구 측에 설치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100)은 다수의 치패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 후 상호 밀착된 전복치패들을 분리시켜 계수하므로 계수 오류를 최소화하여 포장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별부(7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선별부(700)는 상기 치패분리부(200)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 프레임(310)과, 상기 선별 프레임(3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전복치패가 수용될 수 있는 선별공간(713)이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선별공간(713)으로 상기 치패분리부(20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복치패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상기 전복치패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713)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선별공간(713)의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드럼(710)과, 상기 선별드럼(710)의 선별공간(713)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선별드럼(7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드럼(710)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720)와, 상기 선별드럼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드럼(710)의 회전시 상기 선별공간(712)의 상기 전복치패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이송블레이드(740)와, 상기 선별드럼(710)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730)를 구비한다.
선별드럼(710)은 내주면이 사각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지지부(7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지부(711)는 선별드럼(710)의 전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부재(714)와, 상기 회전가이드부재(714) 외주면에 접하도록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715)를 구비한다. 한편, 선별드럼(710)은 내주면이 삼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가이드부재(714)는 중앙부분에 상기 선별드럼(710)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사각의 고정구가 형성되며, 선별드럼(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롤러(715)는 선별드럼(710) 하측의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되어 회전가이드부재(7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선별드럼(710)은 후단면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단면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전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선별드럼(710)의 선별공(713)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전복이 선별드럼(710) 외부로 배출되도록 기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별드럼(7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이 아니라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분사부(720)는 상기 선별드럼(710) 내부로 삽입되는 물분사관(721)과, 상기 물분사관(721)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구비한다.
물분사관(721)은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물분사관(721)은 하측 외주면에 선별드럼(710)의 내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7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분사관(721)은 관지지 브라켓에 의해 양단부가 선별 프레임(310)에 지지되어 있다.
물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분사관(721)에 공급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된 물탱크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물분사관(721)으로 펌핑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물분사부(720)를 통해 선별드럼(710) 내부로 공급된 물에 의해 전복치패는 선별드럼(710)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전복치패들이 상호 충돌시 껍질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송블레이드(740)는 선별드럼(710)의 내벽면에, 선별드럼(710)의 회전중심 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송블레이드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길이방향 전단부는 길이방향 후단부보다 선별드럼(7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구동부(730)는 선별드럼(710)의 후방측에 설치된 회전가이드부재(714)에 설치되는 체인(731)과, 상기 체인(731)에 인접된 위치의 선별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732)와, 상기 전기모터(732)의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731)에 치합되는 구동 스프로킷(73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체인(731)은 회전가이드부재(7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체인(731)이 선별드럼(710)의 후방측에 설치된 회전가이드부재(714)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체인(731)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별드럼(710)의 전방측에 설치된 회전가이드부재(71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선별부(700)는 회전하는 선별드럼(710) 내부에 물을 분사하므로 전복치패가 선별드럼(7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전복치패의 껍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격유닛(8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격유닛(800)은 상기 선별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410)과, 상기 이격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제1이송경로(811)가 마련된 제1이송호퍼(810)와, 상기 제1이송호퍼(810)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들을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811)에 연통되되, 상기 제1이송호퍼(8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2이송경로(821)가 마련된 복수의 제2이송호퍼(820)와, 상기 제2이송경로(821)를 통과하는 상기 전복치패들을 간섭하여 상호 분리시키는 치패간섭부(830)를 구비한다.
제1이송호퍼(810)는 이격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1이송호퍼(810)는 전복치패가 용이하게 제1이송경로(81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이송경로(811)의 상부 및 전후면이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이송호퍼(810)는 바닥면이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송호퍼(810)는 후방측 바닥면에 상기 전복치패와 함께 상기 제1이송경로(811)로 유입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811)에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8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81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이송호퍼(820)는 복수개가 제1이송호퍼(810)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호퍼(820)는 전복치패가 용이하게 유입되어 이송부(5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이송경로(821)의 전후면 및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한편, 제2이송호퍼(820)의 전단부 하측에는 제2이송호퍼(820)를 통과한 전복치패가 수용되어 이송부(500)로 이송되는 보조호퍼(8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호퍼(82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전후면이 개방된 보조경로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치패간섭부(830)는 상기 제2이송호퍼(820)의 내벽 일측면에 상기 제2이송경로(821)의 길이방향 중심선 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1간섭판(831)과, 상기 제1간섭판(831)에 대향되는 상기 제2이송호퍼(820)의 내벽 타측면에 상기 제2이이송경로의 길이방향 중심선 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2간섭판(832)을 구비한다.
이때, 제1간섭판(831)은 제2이송호퍼(820)의 내벽 일측면에 접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간섭판(832)도 제2이송호퍼(820)의 내벽 타측면에 접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간섭판(831,832)은 상기 제2이송경로(8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송경로(821)로 유입된 전복치패들은 제1 및 제2간섭판(831,832)에 의해 간섭되어 상호 분리되어 보조호퍼(822)로 배출된다.
한편, 이격유닛(800)은 제1이송호퍼(810)에 설치되어 제1이송경로(811)의 폭을 조절하는 복수의 폭조절판(841)과, 제1이송호퍼(810)의 관통구(8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판(842)을 더 구비한다.
폭조절판(841)들은 일단부가 제1이송호퍼(810)의 전방부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제1이송경로(8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폭조절판(841)은 제1이송호퍼(810)를 통과하는 전복치패들을 제1이송호퍼(810)의 내측면으로 가이드하며, 회동되어 타단부와 제1이송호퍼(8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2이송호퍼(820)로의 전복치패 이송량을 증가시킬 경우, 작업자는 폭조절판(841)을 제2이송호퍼(820) 측으로 회동시켜 폭조절판(841)의 타단부와 제1이송호퍼(810)의 내측면 사이 간격을 증가시키고, 제2이송호퍼(820)로의 전복치패 이송량을 감소시킬 경우, 작업자는 폭조절판(841)을 제2이송호퍼(8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폭조절판(841)의 타단부와 제1이송호퍼(810)의 내측면 사이 간격을 감소시킨다.
개폐판(842)은 상기 관통구(81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812)의 개구면적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812)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이송호퍼(8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이송호퍼(810)는 관통구(812)에 인접된 내측면에 상기 개폐판(842)의 좌우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홈(8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842)은 제1이송경로(811)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구(812)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작업자는 개폐판(842)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관통구(81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여 전복치패와 함께 제1이송경로(811)에 유입된 물을 제1이송호퍼(8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은 상기 이송부(5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이송부(5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기설정된 갯수만큼 다수의 상기 수납용기에 각각 투입하는 치패 투입부(8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치패 투입부(850)는 이송된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는 상기 이송부(500)의 출구측에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가 유입되는 제1배출유로(861)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제1배출유로(861)에 유입된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수납용기로 배출되도록 제1배출구가 형성된 제1배출호퍼(860)와, 상기 제1배출호퍼(860)에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유로(861)에 연통되는 제2배출유로(87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배출유로(870)로 유입된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수납용기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배출호퍼(870)와, 상기 제1배출호퍼(860)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로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전복치패를 상기 제2배출구로 유도하는 치패 유도부(880)와,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1배출구 또는 제2배출구로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상기 치패 유도부(880)를 제어하는 제어부(890)를 구비한다.
제1배출호퍼(860)는 이송벨트(501)의 전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이격 프레임(410)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배출호퍼(860)는 복수개가 이송벨트(501)들의 전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1배출호퍼(860)는 상기 제1배출유로(861)가 상기 이송부(500)의 상기 전복치패 이동경로의 연장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1배출구가 이송벨트(501)의 전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출호퍼(860)는 전복치패가 용이하게 수납용기로 배출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제1배출유로(861)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배출호퍼(870)는 제1배출호퍼(860)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2배출유로(870)가 상기 이송부(500)의 상기 전복치패 이동경로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배출호퍼(870)는 전복치패가 용이하게 수납용기로 배출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제2배출유로(870)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재2배출호퍼에는 각각 전단부에 수납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치패 유도부(880)는 상기 제2배출호퍼(870)의 일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배출호퍼(860)에 상기 제1배출유로(861)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881)과, 상기 가이드판(881)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890)에 의해 가이드판(881)을 진퇴시키는 가이드 액츄에이터(882)를 구비한다.
가이드판(881)은 상기 제1배출호퍼(860)의 하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유로(861)로 인입시 상기 제1배출유로(861)의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제2배출유로(870)로 유입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배출호퍼(870)에 인접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기 전복치패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액츄에이터(882)는 제1배출호퍼(860) 하측의 이격 프레임에 설치되며, 가이드판(88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판(881)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상기 가이드 액츄에이터(88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890)는 계수부(601)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가이드 액츄에이터(882)를 제어한다. 먼저, 가이드판(881)은 제1배출호퍼(860)의 하측으로 하강하고, 이송벨트(501)에서 배출된 전복치패는 제1배출유로(861)를 통해 제1배출호퍼(860)의 전단부에 설치된 수납용기로 유입된다. 이때, 계수부(601)를 통해 전복치패의 기설정된 갯수가 계수되면, 제어부(890)는 이송벨트(501)로부터 배출되는 전복치패가 제2배출호퍼(8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881)을 승강시키고, 계수부(601)에서 전복치패의 카운팅 수가 0이 되도록 세팅한다.
상기 가이드판(881)에 의해 전복치패는 제2배출호퍼(870)로 유입되고, 제2배출호퍼(870)의 전단부에 마련된 수납용기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벨트(501)는 작동이 멈추지 않고, 가이드판(881)이 상승하므로 전복치패가 신속하게 제2배출호퍼(870) 측에 설치된 수납용기로 투입된다. 제1배출호퍼(860)의 전단부에는 새로운 수납용기를 설치한다.
다음, 계수부(601)를 통해 전복치패의 기설정된 갯수가 계수되면, 제어부(890)는 이송벨트(501)로부터 배출되는 전복치패가 제1배출호퍼(86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881)을 하강시키고, 계수부(601)에서 전복치패의 카운팅 수가 0이 되도록 세팅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치패 투입부(850)는 복수의 수납용기에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전복치패를 투입하므로 작업자의 전복치패 포장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패 투입부(9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치패 투입부(900)는 상기 이송부(500)의 출구측에 인접되게 마련된 포장 프레임(910)과, 상기 이송부(500)의 출구측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포장 프레임(9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상기 수납용기가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턴테이블(920)과, 상기 이송부(500)의 출구측에 상기 수납용기들 중 하나가 인접되도록 상기 턴테이블(920)을 회전시키는 테이블 구동부(930)와, 상기 계수부(601)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수납용기들에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수용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제어부(940)를 구비한다.
포장 프레임(910)은 이송벨트(501)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턴테이블(920)은 상기 포장프레임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수납용기들은 상면이 개방되며, 턴테이블(92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턴테이블(920)은 수납용기가 이송벨트(501)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장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 구동부(930)는 포장 프레임(9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31)와, 턴테이블(920)의 회전축과, 구동모터(931)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931)의 회전력을 턴테이블(920)에 전달하는 기어박스(932)를 구비한다. 구동모터(93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및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기어박스(9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구동모터(931)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턴테이블(920)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동기어와,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것으로서, 기어이가 상이하고, 상호 치합되는 다수의 전달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931)가 작동시 기어박스(932)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턴테이블(920)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940)는 계수부(601)의 데이터를 토대로 이송벨트(501)의 전단부 하측에 수납용기가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9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940)는 계수부(601)를 통해 전복치패의 기설정된 갯수가 계수되면 새로운 수납용기에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턴테이블(920)을 회전시키고, 계수부(601)에서 전복치패의 카운팅 수가 0이 되도록 세팅한다. 이때, 이송벨트(501)은 정지하지 않으므로 치패가 신속하게 새로운 수납용기로 투입된다.
다음, 계수부(601)를 통해 전복치패의 기설정된 갯수가 계수되면, 제어부(940)는 이송벨트(501)로부터 배출되는 전복치패가 새로운 수납용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턴테이블(920)을 회전시키고, 계수부(601)에서 전복치패의 카운팅 수가 0이 되도록 세팅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치패 투입부(900)는 복수의 수납용기에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전복치패를 투입하므로 작업자의 전복치패 포장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200: 치패부닐부
210: 메인 프레임
220: 거치대
230: 수납호퍼
300: 선별부
310: 선별 프레임
320: 진동판
330: 진동인가부재
400: 이격유닛
420: 이송 플레이트
430: 회전축
440: 브러쉬
500: 이송부
501: 이송벨트
601: 계수부
602: 제어부

Claims (14)

  1. 양식틀로부터 전복치패를 분리하는 치패분리부와;
    상기 치패분리부로부터 상기 양식틀에서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공급받아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된 상기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상호 밀착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분리하는 이격유닛과;
    상기 이격유닛에 의해 상호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수납용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계수하는 계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분리부는
    작업자가 상기 양식틀에 마취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측면에 상기 양식틀이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이 마련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면 하부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상기 양식틀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를 수용하여 상기 선별부로 이송시키는 수납호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치패분리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 프레임과,
    상기 치패분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상기 전복치패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이 마련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선별공을 통해 상기 전복치패가 선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인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선별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과,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 프레임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된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구 하측의 상기 이격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호 밀착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단부가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어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간섭하도록 형성된 브러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격유닛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상기 전복치패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무한궤도상의 이송벨트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치패분리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 프레임과,
    상기 선별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전복치패가 수용될 수 있는 선별공간이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선별공간으로 상기 치패분리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복치패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전복치패들 중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상기 전복치패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선별공간의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드럼과,
    상기 선별드럼의 선별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선별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드럼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와,
    상기 선별드럼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드럼의 회전시 상기 선별공간의 상기 전복치패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선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선별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과,
    상기 이격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상기 전복치패들이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제1이송경로가 마련된 제1이송호퍼와,
    상기 제1이송호퍼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들을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에 연통되되, 상기 제1이송호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2이송경로가 마련된 제2이송호퍼와,
    상기 제2이송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전복치패들을 간섭하여 상호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이송호퍼의 내벽 일측면에 상기 제2이송경로의 길이방향 중심선 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1간섭판과, 상기 제1간섭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2이송호퍼의 내벽 타측면에 상기 제2이이송경로의 길이방향 중심선 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2간섭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간섭판은 상기 제2이송경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된 치패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제2이송경로로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복치패가 통과하는 공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송경로 상의 상기 제1이송호퍼에, 상기 제1이송경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폭조절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호퍼는 상기 전복치패와 함께 상기 제1이송경로로 유입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경로에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의 개구면적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이송호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드럼의 내주면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복치패를 기설정된 갯수만큼 다수의 상기 수납용기에 각각 투입하는 치패 투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 투입부는
    이송된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는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전복치패가 유입되는 제1배출유로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제1배출유로에 유입된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수납용기로 배출되도록 제1배출구가 형성된 제1배출호퍼와,
    상기 제1배출호퍼에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유로에 연통되는 제2배출유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배출유로로 유입된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수납용기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배출호퍼와,
    상기 제1배출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로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전복치패를 상기 제2배출구로 유도하는 치패 유도부와,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1배출구 또는 제2배출구로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배출되도록 상기 치패 유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호퍼는 상기 제1배출유로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전복치패 이동경로의 연장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호퍼는 상기 제2배출유로가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전복치패 이동경로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치패 유도부는
    상기 제2배출호퍼의 일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배출호퍼에 상기 제1배출유로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배출유로로 인입시 상기 제1배출유로의 상기 전복치패가 상기 제2배출유로로 유입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배출호퍼에 인접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기 전복치패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을 진퇴시키는 가이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인접되게 마련된 포장 프레임과,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포장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상기 수납용기가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턴테이블과,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상기 수납용기들 중 하나가 인접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테이블 구동부와,
    상기 계수부를 통해 계수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수납용기들에 각각 기설정된 갯수의 상기 전복치패가 수용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KR1020140151525A 2014-11-03 2014-11-03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KR10162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525A KR101625579B1 (ko) 2014-11-03 2014-11-03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525A KR101625579B1 (ko) 2014-11-03 2014-11-03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446A true KR20160051446A (ko) 2016-05-11
KR101625579B1 KR101625579B1 (ko) 2016-05-30

Family

ID=5602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525A KR101625579B1 (ko) 2014-11-03 2014-11-03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88A (ko) * 2017-03-03 2018-09-12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KR20200043577A (ko) 2018-10-17 2020-04-28 임형용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KR20210017250A (ko) * 2019-08-07 2021-02-17 정태선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CN116273886A (zh) * 2023-03-17 2023-06-23 同方水务集团有限公司 一种滤料筛选回收装置
CN116586176A (zh) * 2023-07-17 2023-08-15 青岛嘉枫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中的海泡石破碎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000B1 (ko) * 2016-11-14 2018-07-10 임형용 치패 계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88A (ko) * 2017-03-03 2018-09-12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KR20200043577A (ko) 2018-10-17 2020-04-28 임형용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KR20210017250A (ko) * 2019-08-07 2021-02-17 정태선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CN116273886A (zh) * 2023-03-17 2023-06-23 同方水务集团有限公司 一种滤料筛选回收装置
CN116273886B (zh) * 2023-03-17 2023-09-29 同方水务集团有限公司 一种滤料筛选回收装置
CN116586176A (zh) * 2023-07-17 2023-08-15 青岛嘉枫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中的海泡石破碎装置
CN116586176B (zh) * 2023-07-17 2023-11-07 青岛嘉枫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中的海泡石破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579B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579B1 (ko)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JP7149779B2 (ja) 物品排出装置
KR101089376B1 (ko)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US8336704B2 (en) Grain bag extractor augers
CN109677871B (zh) 一种钢钉整理成排机
JP2011220855A (ja) 粉粒体供給装置
US3963138A (en) Cane planter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JPS601235B2 (ja) 開放した頂部を有する容器に液体を充填する装置
JP5612868B2 (ja) 播種プラント
JP2018201399A (ja) 餌撒き機
JP6666833B2 (ja) 播種機
US4142560A (en) Open-type filling machine
KR20220076689A (ko)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JP2000217440A (ja) 育苗容器用土供給装置
JP6718572B2 (ja) 播種機
JP2011167139A (ja) 育苗箱コンベヤ
US3314454A (en) Container filling apparatus
AU2005319603B2 (en) Metering head for a sower
US1978573A (en) Ground coffee machinery
CN217497641U (zh) 一种皮带机尾自移清扫装置
KR20120034342A (ko) 밭작물 씨앗의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JP5717082B2 (ja) 作物選別装置
US11338990B2 (en) Depositor apparatus
KR101614438B1 (ko) 전복치패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