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689A -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 Google Patents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689A
KR20220076689A KR1020200165437A KR20200165437A KR20220076689A KR 20220076689 A KR20220076689 A KR 20220076689A KR 1020200165437 A KR1020200165437 A KR 1020200165437A KR 20200165437 A KR20200165437 A KR 20200165437A KR 20220076689 A KR20220076689 A KR 20220076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metering
combination
conveyor bel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현
Original Assignee
세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689A/ko
Publication of KR2022007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메인 바디(20);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30);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20)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30)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40);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40)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일정량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를 다량으로 집합한 집합물을 복수의 원료그룹으로 분배하고 부분 중량을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으로 식품 부재료를 포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 내지 양의 제품세트(예를 들어, 파우치 제품과 같은 포장팩 제품)를 얻기 위한 최적의 조합 계량기로서 역할을 충분히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High moisture and high adhesive food material automatic combination meter machine}
본 발명은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를 다량으로 집합한 식품 부재료 집합물을 복수의 식품 부재료 그룹으로 분배하고 식품 부재료 그룹들의 중량을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 목표 중량으로 식품 부재료를 얻기 위한 조합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갈비나 동그랑땡과 같은 육류 등의 식품 부재료나 어육류 등의 식품 부재료는 갈비용 양념이나 동그랑땡용 양념이나 어륙류용 양념과 같이 고수분이면서 비교적 높은 끈적거림이 있는 고점성 소스를 함께 섞어서 포장팩에 담아서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임의로 포장되는 각각의 식품 부재료는 정량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등 포장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제각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품 부재료를 다량으로 집합한 식품 부재료 집합물을 복수의 원료그룹으로 분배하고, 이들 분배된 식품 부재료를 각 부분 중량으로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의 식품 부재료 제품셋트를 얻기 위한 조합 계량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87-0003702호(1987년05월04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01013호(2017년11월18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를 다량으로 집합한 식품 부재료 집합물을 복수의 식품 부재료 그룹으로 분배하고 식품 부재료 그룹들의 중량을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 목표 중량으로 식품 부재료를 얻기 위한 조합 계량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를 일정양으로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가 제공된다.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조합하여 상기 포장백에 식품 부재료가 정해진 양으로 담겨지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 중에서 일정 부분의 조합 공급부를 채택하고, 상기 채택된 조합 공급부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를 작동시켜서 상기 포장백에 정해진 양으로 식품 부재료가 담겨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바디는 서포트 프레임부 위에 테이블 바디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바디부에 상기 조합 공급부가 복수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테이블 바디부에 지지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의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합 공급부는 위쪽의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1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내는 제2조합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제2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부와 제2계량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는 제1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제2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는 제1계량 공급 바디의 내부에 제2계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부는 제2계량 공급 바디의 내부에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조합 공급부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가 상기 제1계량 공급부에 구비된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에 구비된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에 공급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계량 공급부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정면에서 볼 때에 각각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인 내측단에는 식품 부재료를 아래로 배출하여 포장팩에 담겨지도록 하는 배출 스페이스가 확보되며, 상기 제1계량 공급부에 구비된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제1구동롤러와 제1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전하고 상기 제2계량 공급부에 구비된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제2구동롤러와 제2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전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1종동롤러를 기준으로 위쪽의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아래쪽의 제1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2구동롤러와 상기 제2종동롤러를 기준으로 위쪽의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아래쪽의 제2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로 구분되어,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상기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가 상기 배출 스페이스 쪽으로 전진하도록 무한궤도 운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바디에는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와 대응하는 복수개의 센서(39)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39)가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에 투입된 식품 부재료의 양을 센싱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서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선택된 조합 공급부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식품 부재료가 상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상기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양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는 제1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제2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계량 서플라이 바디부의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이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가 제공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는 위쪽의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1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내는 제2조합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제2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부와 제2계량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식품 부재료가 상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상기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양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는 제1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제2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계량 서플라이 바디부의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스크랩핑 블록과 상기 제2조합 공급부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스크랩핑 블록 및 상기 조합 공급부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가 제공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는 위쪽의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1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내는 제2조합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제2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부와 제2계량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스크랩핑 블록과 상기 제2조합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스크랩핑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제1계량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과 상기 제2계량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식품 부재료가 상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상기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양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는 제1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제2서플라이 바디의 내부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2조합 공급부는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계량 서플라이 바디부의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스크랩핑 블록과 상기 제2조합 공급부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스크랩핑 블록 및 상기 조합 공급부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에는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복수개의 상기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 사이에 확보된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 및 상기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들은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물결 모양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가 제공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는 위쪽의 제1조합 공급부와, 상기 제1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내는 제2조합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는 상기 제2조합 공급부의 아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부와 제2계량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상기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과 상기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들은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물결 모양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를 다량으로 집합한 집합물을 복수의 원료그룹으로 분배하고 부분 중량을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으로 식품 부재료를 포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 내지 양의 제품세트(예를 들어, 파우치 제품과 같은 포장팩 제품)를 얻기 위한 최적의 조합 계량기로서 역할을 충분히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효과의 일부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효과가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계량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계량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게이트판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과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게이트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계량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센서 및 컨트롤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1스크랩핑 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2스크랩핑 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1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2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계량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계량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게이트판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과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게이트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계량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합 공급부와 센서 및 컨트롤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는 메인 바디(20)와, 상기 메인 바디(20)에 구비된 조합 공급부(30)와 계량 공급부(40) 및 컨트롤부(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메인 바디(20)와,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30)와,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20)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30)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40)와,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40)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일정량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이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서포트 프레임부(22) 위에 테이블 바디부(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부(22)는 복수개의 서포트 바아가 육면체틀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바디부(24)는 전후면과 좌우 측면과 상면을 구비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테이블 바디부(24)는 후면쪽에 인접한 위치에 상부로 돌출된 상향 지지 테이블 바디부(24)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조합 공급부(30)의 위에 배치되도록 서플라이 트레이(1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에 서플라이 트레이(12)가 결합된다. 테이블 바디부(24)의 상향 지지 테이블 바디부(24)에 서플라이 트레이(12)의 후면과 인접한 저면이 지지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서플라이 트레이(12)가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서플라이 트레이(12)에는 공급홀(12SH)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홀(12SH)은 서플라이 트레이(12)의 바닥부에의 상하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공급홀(12SH)은 서플라이 트레이(12)의 위에서 볼 때에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서플라이 트레이(12)는 아래쪽에 배치된 조합 공급부(30)의 배치열 갯수에 대응하는 열의 공급홀(12SH)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플라이 트레이(12)에 좌우 방향으로 공급홀(12SH)이 열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급홀(12SH)은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예를 들어, 양념 갈비나 동그랑땡 등으로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식품 부재료라 칭함)가 서플라이 트레이(12)에 투입된 상태에서 아래쪽의 조합 공급부(30) 쪽으로 식품 부재료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30)는 메인 바디(20)에 구비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30)는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식품 부재료가 상부에서 공급되어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서플라이 트레이(12)의 공급홀(12SH)에서 식품 부재료가 조합 공급부(30)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서포트 프레임부(22) 위에 테이블 바디부(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바디부(24)에 조합 공급부(30)가 복수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30)는 위쪽의 제1조합 공급부(32)와,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아래에 배치되어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내는 제2조합 공급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내부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된다.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에 브라켓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1서플라이 바디(32SB)가 고정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제1서플라이 바디(32SB)가 지지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후방에서 뒤로 들어가서 테이블 바디부(24)에 제1상부 브라켓(32UB)이 고정되고, 상기 제1상부 브라켓(32UB)에 제1서플라이 바디(32SB)가 고정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제1서플라이 바디(32SB)가 지지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개방부가 있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내부로 투입되는 식품 부재료가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아래쪽 개방부를 통해서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는 다른 부분보다 더 아래로 연장되어 내려온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서포트 프레임부(22)의 상면에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후방 뒤쪽에 배치되도록 제1상부 브라켓(32UB)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내부에는 제1롤러 서포트 바디(32FRS)가 구비되고, 제1롤러 서포트 바디(32FRS)는 볼트와 너트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1상부 브라켓(32UB)에 고정되고,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는 상기 제1롤러 서포트 바디(32FRS)에 고정되며, 상기 제1롤러 서포트 바디(32FRS)의 좌우측 제1롤러 서포트 사이드벽에 한 쌍의 나란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내부에 전후 위치에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후방쪽 내부에 배치된 롤러는 제1리어 롤러이고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전방쪽 내부에 배치된 롤러는 제1프론트 롤러이다.
상기 제1리어 롤러와 제1프론트 롤러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결합된다.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는 제1리어 롤러와 상기 제1프론트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 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는 제1리어 롤러와 제1프론트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결합되어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제1롤러 서포트 바디(32FRS)의 상면 위로 지나가는 제1상부 컨베이어 벨트부와 제1롤러 서포트 바디(32FRS)의 하면 아래로 지나가는 제1하부 컨베이어 벨트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에 구비된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보다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전단부가 더 뒤쪽에 있어서,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가 식품 부재료를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에서부터 아래로 배출할 수 있는 제1서플라이 배출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는 제1벨트 구동유닛에 의해 무한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벨트 구동유닛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군에 의해 상기 제1리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무한궤도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의 모터축은 테이블 바디부(24)에서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후방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상부 브라켓(32UB)에는 상기 제1리어 롤러와 나란한 제1로터리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제1로터리 샤프트는 베벨 기어(BG)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제1로터리 샤프트가 제1상부 브라켓(32UB)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로터리 샤프트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32UB)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제1로터리 구동기어(32RDG)가 결합되고, 상기 제1리어 롤러의 롤러축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제1로터리 종동기어(32RSG)가 결합되며, 상기 제1로터리 구동기어(32RDG)와 제1로터리 종동기어(32RSG)는 서로 치합되어 있다.
상기 제1벨트 구동유닛은 상기 모터와 베벨 기어(BG)와 제1로터리 샤프트에 결합된 제1로터리 구동기어(32RDG)와 제1리어 롤러의 롤러축에 결합된 제1로터리 종동기어(32RS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베벨 기어(BG)와 제1로터리 구동기어(32RDG)와 제2로터리 구동기어(34RDG)에 의해 제1리어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제1리어 롤러와 제1프론트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궤도 주행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옆에서 볼 때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제1상부 컨베이어 벨트부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는 한편 제1하부 컨베이어 벨트부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후진하는 무한궤도 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제1상부 컨베이어 벨트부의 상면에 상기 서플라이 트레이(12)의 공급홀(12SH)에서 아래로 낙하되어 공급된 식품 부재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무한궤도 주행하면, 상기 식품 부재료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제1서플라이 배출홀로 옮겨져서 상기 제1서플라이 배출홀을 통해서 아래로 배출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는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와 상기 모터와 베벨 기어(BG)와 제1로터리 구동기와 제1로터리 종동기어(32RSG)는 메인 바디(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와 상기 모터와 베벨 기어(BG)와 제1로터리 구동기와 제1로터리 종동기어(32RSG)는 메인 바디(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열개의 열로 배열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열에서 우측열을 따라 각각 1열 제1조합 공급부(32) 내지 10열 제1조합 공급부(32)가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는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내부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되어 제1조합 공급부(32)의 아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된다.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에 브라켓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2서플라이 바디(34SB)가 고정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제2서플라이 바디(34SB)가 지지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후방에서 뒤로 들어가서 테이블 바디부(24)에 제2상부 브라켓(34UB)이 고정되고, 상기 제2상부 브라켓(34UB)에 제2서플라이 바디(34SB)가 고정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제2서플라이 바디(34SB)가 지지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는 상단부와 하단부 및 전단부에 개방부가 있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내부로 투입되는 식품 부재료가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전단부에 있는 개방부를 통해서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서포트 프레임부(22)의 상면에는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후방 뒤쪽에 배치되도록 제2상부 브라켓(34UB)이 구비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아래에 제2상부 브라켓(34UB)이 배치된다.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내부에는 제2롤러 서포트 바디(34FRS)가 구비되고, 제2롤러 서포트 바디(34FRS)는 볼트와 너트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2상부 브라켓(34UB)에 고정되고,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는 상기 제2롤러 서포트 바디(34FRS)에 고정되며, 상기 제2롤러 서포트 바디(34FRS)의 좌우측 제2롤러 서포트 사이드벽에 한 쌍의 나란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내부에 전후 위치에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후방쪽 내부에 배치된 롤러는 제2리어 롤러이고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전방쪽 내부에 배치된 롤러는 제2프론트 롤러이다.
상기 제2리어 롤러와 제2프론트 롤러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결합된다.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제2리어 롤러와 상기 제2프론트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 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는 제2리어 롤러와 제2프론트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결합되어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제2롤러 서포트 바디(34FRS)의 상면 위로 지나가는 제2상부 컨베이어 벨트부와 제2롤러 서포트 바디(34FRS)의 하면 아래로 지나가는 제2하부 컨베이어 벨트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아래에는 계량 공급부(40)가 구비되어, 식품 부재료를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에서부터 아래의 계량 공급부(40)로 낙하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는 제2벨트 구동유닛에 의해 무한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벨트 구동유닛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군에 의해 상기 제2리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가 무한궤도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 내부에는 제2모터(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무한궤도 주행의 동력을 공급하는 상기 모터보다 더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2모터의 모터축은 테이블 바디부(24)에서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후방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상부 브라켓(34UB)에는 상기 제2리어 롤러와 나란한 제2로터리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모터의 모터축과 제2로터리 샤프트는 베벨 기어(BG)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모터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제2로터리 샤프트가 제2상부 브라켓(34UB)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로터리 샤프트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상기 제2상부 브라켓(34UB)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제2로터리 구동기어(34RDG)가 결합되고, 상기 제2리어 롤러의 롤러축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제2로터리 종동기어(34RSG)가 결합되며, 상기 제2로터리 구동기어(34RDG)와 제2로터리 종동기어(34RSG)는 서로 치합되어 있다.
상기 제2벨트 구동유닛은 상기 제2모터와 베벨 기어(BG)와 제2로터리 샤프트에 결합된 제2로터리 구동기어(34RDG)와 제1리어 롤러의 롤러축에 결합된 제2로터리 종동기어(34RS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모터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베벨 기어(BG)와 제2로터리 구동기어(34RDG)와 제2로터리 구동기어(34RDG)에 의해 제2리어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가 제2리어 롤러와 제2프론트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궤도 주행한다.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는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옆에서 볼 때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제2상부 컨베이어 벨트부는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는 한편 제2하부 컨베이어 벨트부는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후진하는 무한궤도 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제2상부 컨베이어 벨트부의 상면에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식품 부재료가 아래로 낙하되어 공급된 상태에서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가 무한궤도 주행하면, 상기 식품 부재료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에서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전단부로 옮겨져서 아래의 계량 공급부(40)로 낙하시켜 공급된다.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는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와 상기 제2모터와 베벨 기어(BG)와 제2로터리 구동기와 제2로터리 종동기어(34RSG)는 메인 바디(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와 상기 제2모터와 베벨 기어(BG)와 제2로터리 구동기와 제2로터리 종동기어(34RSG)는 메인 바디(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열개의 열로 배열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열에서 우측열을 따라 각각 1열 제2조합 공급부(34) 내지 10열 제2조합 공급부(34)가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복수개 열의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는 위아래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된다. 메인 바디(20)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각 열의 제1조합 공급부(32)의 전단부보다 제2조합 공급부(34)의 전단부가 더 앞으로 나와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아래로 낙하되는 식품 부재료를 1차로 받아주기 위한 배출 게이트부(6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 게이트부(60)는 게이트판(62)에 이동 작동장치(64)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판(62)은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아래로 낙하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줄 수 있는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판(62)은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에서 하단부로 연통된 제1서플라이 배출홀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판(62)은 뒤쪽에 위로 연장된 돌출된 돌출 블록부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작동장치(64)는 메인 바디(20)에 내장된 것으로, 상기 이동 작동장치(64)에 의해 게이트판(62)을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아래로 들어가도록 전진시키거나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아래에서 뒤로 빠지도록 후진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이동 작동장치(64)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메인 바디(20)에 내장되고,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는 게이트판(62)의 뒤쪽에 구비된 돌출 블록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전진함에 따라 게이트판(62)이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를 구성하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 앞쪽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아래로 들어가도록 전진하고,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후진함에 따라 게이트판(62)이 상기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아래에서 뒤로 빠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에는 계량 공급부(40)가 배치된다. 조합 공급부(30)의 제2조합 공급부(34)의 아래에 계량 공급부(40)가 배치됨으로써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에서 식품 부재료를 계량 공급부(40)에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가 구비되어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메인 바디(20)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작동에 의해 조합 공급부(30)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포장팩(포장 용기 또는 비닐 포장 봉투 등)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제2조합 공급부(34)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상기 계량 공급부(40)에 구비된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작동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계량 서플라이 바디부의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됨과 동시에 메인 바디(20)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메인 바디(20)의 좌우측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는 제1계량 공급부(42)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에 각각 구비된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각각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내측단에는 식품 부재료를 아래로 배출하여 포장팩에 담겨지도록 하는 배출 스페이스(DSP)가 확보되며,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가 배출 스페이스(DSP) 쪽으로 전진하도록 무한궤도 운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는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내부에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되어 제2조합 공급부(34)의 아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20)의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제1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2SRF)가 구비되고, 제1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2SRF)에는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가 고정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는 상부와 좌우 측단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에서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내부로 투입되는 식품 부재료가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내측단에 있는 개방부를 통해서 아래의 포장팩으로 낙하하여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2SRF)의 전방 제1이송롤러 서포트벽과 후방 제1이송롤러 서포트벽에 한 쌍의 나란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내부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제1계량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는 각각 제1외측 이송롤러와 제1내측 이송롤러이다. 상기 제1외측 이송롤러와 제2외측 이송롤러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좌우측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외측 이송롤러와 제1내측 이송롤러에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결합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는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는 제1외측 이송롤러와 상기 제1내측 이송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 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는 제1외측 이송롤러와 제1내측 이송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결합되어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제1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2SRF)의 상면 위로 지나가는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제1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2SRF)의 하면 아래로 지나가는 제1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는 벨트 주행 구동유닛에 의해 무한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벨트 주행 구동유닛은 상기 제1외측 이송롤러 또는 제1내측 이송롤러의 롤러축에 모터축이 연결되어 상기 제1외측 이송롤러 또는 제1내측 이송롤러를 상기 모터축에 의해 회전시키는 제1계량 작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제1계량 작동모터가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며, 상기 제1계량 작동모터는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무한궤도 주행의 동력을 공급하는 상기 제2모터보다 더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1계량 작동모터의 모터축은 메인 바디(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외측 이송롤러 또는 제1내측 이송롤러의 롤러축에 기어와 같은 회전력 전달수단으로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계량 작동모터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에 의해서 제1외측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제1외측 이송롤러와 제1내측 이송롤러의 경유하여 무한궤도 주행한다.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앞에서 볼 때에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는 상기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외측단에서 내측단으로 전진하는 한편 제1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는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후진하는 무한궤도 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의 상면에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에서 식품 부재료가 아래로 낙하되어 공급된 상태에서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무한궤도 주행하면,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계량 공급 바디(42SBF)의 외측단에서 내측단(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메인 바디(20)의 좌측에서 메인 바디(20)의 가운데 부분)으로 식품 부재료가 옮겨져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포장팩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는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내부에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되어 제2조합 공급부(34)의 아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20)의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계량 공급부(42)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2계량 공급부(40)가 배치된다. 제1계량 공급부(42)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내측단 사이에는 포장팩을 아래에 배치하여 포장팩에 식품 부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가 확보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제2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4SRS)가 구비되고, 제2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4SRS)에는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가 고정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는 상부와 좌우 측단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에서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내부로 투입되는 식품 부재료가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내측단에 있는 개방부를 통해서 아래의 포장팩으로 낙하하여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4SRS)의 전방 제2이송롤러 서포트벽과 후방 제2이송롤러 서포트벽에 한 쌍의 나란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내부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제2계량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는 각각 제2외측 이송롤러와 제2내측 이송롤러이다. 상기 제2외측 이송롤러와 제2외측 이송롤러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좌우측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외측 이송롤러와 제2내측 이송롤러에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결합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제2외측 이송롤러와 상기 제2내측 이송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 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제2외측 이송롤러와 제2내측 이송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결합되어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제2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4SRS)의 상면 위로 지나가는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제2이송롤러 서포트 바디(44SRS)의 하면 아래로 지나가는 제2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벨트 주행 구동유닛에 의해 무한궤도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벨트 주행 구동유닛은 상기 제2외측 이송롤러 또는 제2내측 이송롤러의 롤러축에 모터축이 연결되어 상기 제2외측 이송롤러 또는 제2내측 이송롤러를 상기 모터축에 의해 회전시키는 제2계량 작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제2계량 작동모터가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며, 상기 제2계량 작동모터는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무한궤도 주행의 동력을 공급하는 상기 제2모터보다 더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2계량 작동모터의 모터축은 메인 바디(20)에 지지되어 상기 제2외측 이송롤러 또는 제2내측 이송롤러의 롤러축에 기어와 같은 회전력 전달수단으로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계량 작동모터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에 의해서 제2외측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제2외측 이송롤러와 제2내측 이송롤러의 경유하여 무한궤도 주행한다.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의 앞에서 볼 때에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는 상기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외측단에서 내측단으로 전진하는 한편 제2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는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후진하는 무한궤도 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의 상면에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에서 식품 부재료가 아래로 낙하되어 공급된 상태에서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무한궤도 주행하면,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2계량 공급 바디(44SBF)의 외측단에서 내측단(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메인 바디(20)의 좌측에서 메인 바디(20)의 가운데 부분)으로 식품 부재료가 옮겨져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포장팩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계량 공급부(42)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2계량 공급부(40)가 배치된다. 제1계량 공급부(42)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내측단 사이에는 포장팩을 아래에 배치하여 포장팩에 식품 부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가 확보된다.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의 아래쪽에 거치 브라켓 등의 지지수단에 의해 포장팩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계량 공급부(42)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내측단으로 이송되어 온 식품 부재료가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를 통해 포장팩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좌우 측면부 사이의 가운데 위치에 스크랩판 작동유닛(70)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스크랩판(78)이 들어오거나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스크랩판(78)이 빠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가운데 위치에 크랭크 브라켓(72)이 구비되고, 상기 크렝크 브라켓에는 크랭크(74)가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크랭크 브라켓(72)에 결합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크랭크(74)가 메인 바디(20)의 전방 쪽으로 하향 회동되고 메인 바디(20)의 후방 쪽으로 상향 회동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크랭크 작동장치(76)가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에 크랭크 작동장치(76)가 내장된다. 이때, 크랭크 작동장치(76)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가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에 내장되고,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는 테이브 바디부의 전면에서 노출되어 상기 크랭크(74)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 브라켓(72)과 크랭크(74) 및 크랭크 작동장치(76)가 상기 스크랩판 작동유닛(70)이다.
상기 크랭크 브라켓(72)에 크랭크(74)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크랭크축(74S)에는 스크랩판 바아(77)가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판 바아에는 스크랩판(78)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랩판(78)은 좌우 측단부에 블록킹 스크랩편(78BP)을 구비한다. 블록킹 스크랩편(78BP)은 스크랩판(78)의 상하면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 작동장치(7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스크랩판(78)이 들어오거나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스크랩판(78)이 빠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 작동장치(76)가 실린더로 구성된 경우,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후진(즉,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 내부 쪽으로 후진)하면, 상기 크랭크 브라켓(72)에서 힌지부를 기준으로 크랭크(74)가 뒤쪽으로 회동하고 상기 스크랩판 바아(77)와 스크랩은 위로 들려지게 되어서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스크랩판(78)이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위로 빠지게 된다.
상기 크랭크 작동장치(76)가 실린더로 구성된 경우,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전진(즉, 메인 바디(20)의 테이블 바디부(24) 내부에서 전면 쪽으로 전진)하면, 상기 크랭크 브라켓(72)에서 힌지부를 기준으로 크랭크(74)가 앞쪽으로 회동하고 상기 스크랩판 바아(77)와 스크랩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어서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 스크랩판(78)이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스크랩판(78)이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스크랩판(78)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블록킹 스크랩편(78BP)이 제1계량 공급부(42)의 내측단을 앞에서 막고 있고 제2계량 공급부(40)의 내측단도 앞에서 막고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크랩판(78)이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스크랩판(78)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블록킹 스크랩편(78BP)이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와 제1계량 공급부(42)의 내측단 사이 및 제2계량 공급부(40)의 내측단 사이를 가로막고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크랩판(78)은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 쪽으로 정량으로 조합된 식품 부재료가 모아질 때까지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을 앞에서 막고 있다가 상기 정량으로 조합되어 계량된 식품 부재료가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 아래의 파우치(본 발명에서 기술한 포장팩의 일종임)로 투입될 때가 되면 상기 스크랩판(78)이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빠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부(50)는 복수개의 조합 공급부(30)에서 계량 공급부(40)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양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와 대응하는 복수개의 센서(39)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39)가 복수개의 조합 공급부(30)에 투입된 식품 부재료의 양을 센싱하여 컨트롤부(50)에 의해서 복수개의 조합 공급부(30)에서 선택된 조합 공급부(30)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조합 공급부(30)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조합하여 포장백에 식품 부재료가 정해진 양으로 담겨지도록 복수개의 조합 공급부(30) 중에서 일정 부분의 조합 공급부(30)를 채택하고, 상기 채택된 조합 공급부(30)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를 작동시켜서 아래쪽의 계량 공급부(40)의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포장백에 정해진 양으로 식품 부재료가 담겨지도록 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이때, 조합 공급부(30)에서의 식품 부재료의 중량 측정은 각 열의 조합 공급부(30)에 설치된 센서(39)에 의해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은 컨트롤부에 전송되어, 컨트롤부에서 조합 공급부(30)를 채택하여 포장백에 식품 부재료가 정해진 양으로 담겨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에 식품 부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공급홀(12SH)을 통해서 아래쪽의 제1조합 공급부(32)의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 위로 식품 부재료가 공급되고,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상기 식품 부재료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무한궤도 주행하면, 상기 식품 부재료가 제1조합 공급부(32)의 앞쪽으로 전진하여 아래쪽의 제2조합 공급부(34) 쪽으로 낙하한다.
이때, 상기 메인 바디(20)에 배출 게이트부(60)가 구비되고, 배출 게이트부(60)의 구성인 게이트판(62)이 제1조합 공급부(32)의 앞쪽에 형성된 상기 제1서플라이 배출홀(즉,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하단부로 개방된 배출홀)을 밑에서 막고 있어서 상기 식품 부재료가 게이트판(62) 위에 받아진 상태로 되며,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아래에 배치된 계량 공급부(40)로 식품 부재료가 낙하하여 공급할 경우에는 상기 게이트판(62)이 상기 제1서플라이 배출홀에서 뒤로 빠지고 상기 제1서플라이 배출홀을 형성하는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에 식품 부재료가 걸려서 게이트판(62)만 빠지고 식품 부재료는 아래의 제1조합 공급부(32) 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1조합 공급부(32)의 상기 제1서플라이 배출홀 뒤쪽으로 게이트판(62)이 빠져있는 상태에서 제1조합 공급부(32)의 제1서플라이 배출홀을 통해서 직접 아래의 제2조합 공급부(34)로 낙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으로 10개 열로 제1조합 공급부(32)가 배열되고, 제2조합 공급부(34)도 10개 열로 배열되고, 상기 배출 게이트부(60)도 10개 열로 공급되어, 각각의 열에 있는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제2조합 공급부(34)로 식품 부재료를 낙하되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열에 있는 배출 게이트부(60)의 게이트판(62)도 제1조합 공급부(32)의 제1서플라이 배출홀 아래로 들어오거나 제1서플라이 배출홀 아래에서 뒤로 빠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 게이트부(60)는 제1조합 공급부(32)의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공급 콘베이어 벨트)에서 공급한 식품 부재료의 양을 호퍼에 담은 후 계량호퍼에 배출하기 위해 AUTO DAMPER 기능을 하는 배출 게이트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판(62)의 하부에 계량 호퍼에서도 식품 부재료를 일정량 계량을 완료한 후 조합된 정량을 배출하기 위해 계량호퍼에 있는 식품 부재료의 양을 게이트판(62)이 열려서 배출하는 기능을하며 일정 배출 시간 경과 후에는 배출게이트를 닫게 된다. 즉, 상기 배출 게이트부(60)는 자동 인터록 신호에 의해서 실린더 동작하는 게이트 담퍼 장치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이처럼 배출 게이트부(60)에서 오토 댐퍼 기능인 배출 게이트 기능을 함으로써 식품 부재료를 원하는 양으로 조합하여 정량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더욱 도움이 된다.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배출 게이트부(60)를 거쳐서 아래의 제2조합 공급부(34)의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 위로 식품 부재료가 낙하하여 공급된다.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의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위로 식품 부재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를 식품 부재료가 제2조합 공급부(34)의 앞쪽으로 전진시키도록 무한궤도 주행하여 상기 계량 공급부(40) 쪽으로 식품 부재료가 낙하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바디(20)의 좌우 측면 사이의 중심부(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위치에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가 구비된다. 메인 바디(20)의 앞쪽에서 볼 때에 1열에서 5열까지의 제2조합 공급부(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1계량 공급부(42)가 메인 바디(20)에 구비되고, 6열에서 10열까지의 제2조합 공급부(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2계량 공급부(40)가 메인 바디(20)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의 배치 열 갯수는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로부터 제1계량 공급부(42)로 식품 부재료가 낙하하면,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무한궤도 주행하여 식품 부재료를 메인 바디(20)의 가운데 부분(즉,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내측단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로부터 제2계량 공급부(40)로 식품 부재료가 낙하하면,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무한궤도 주행하여 식품 부재료를 메인 바디(20)의 가운데 부분(즉,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내측단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메인 바디(20)의 좌우 양쪽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 쪽으로 이동한 식품 부재료는 아래에 있는 포장팩(예를 들어, 로터리 포장기 파우치)의 내부로 낙하되어 담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부(50)에 의해서 복수개의 열로 배열된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를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식품 부재료를 상기 계량 공급부(40)로 정량으로 낙하시켜 공급(중량이나 양이 정량으로 계량된 식품 부재료)하고, 이렇게 식품 부재료 공급부인 각 열의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를 선택하여 조합한 상태에서 정량 계량된 식품 부재료를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에 공급하거나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급한 다음,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에 의해 정량 계량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질 수 있도록 하거나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에서 어느 하나의 계량 공급부(40)를 작동시켜서 정량 계량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백에 담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서 특징이 나온다.
상기 1열 내지 10열의 제1조합 공급부(32)로부터 각각 1열 내지 10열의 제2조합 공급부(34)로부터 식품 부재료가 공급되는데, 1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30g, 2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25g, 3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 중량이 15g, 4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10g, 5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35g, 6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20g, 7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10g, 8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25g, 9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15g, 10열 제2조합 공급부(34)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이 15g으로 감지(상기 센서(39)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부(50)에 의해서 1열 제2조합 공급부(34)와 2열 제2조합 공급부(34)와 4열 제2조합 공급부(34) 및 5열 조합 공급부(30)를 가동되도록 제어(즉, 1열 제2조합 공급부(34)의 2열 제2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와 2열 제2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와 4열 제2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 및 5열 제2조합 공급부(34)의 5열 제2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를 가동되도록 제어)하여 아래의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로 투입하고,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를 가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포장팩에 포장되기 원하는 중량 100g을 맞추서 포장팩에 투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50)에 의해서 3열 제2조합 공급부(34)와 6열 내지 10열 제2조합 공급부(34)를 가동되도록 제어(즉, 3열 제2조합 공급부(34)의 6열 내지 10열 제2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들을 가동되도록 제어)하여 아래의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로 투입하고,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를 가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포장팩에 포장되기 원하는 중량 100g을 맞추서 포장팩에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를 다량으로 집합한 집합물을 복수의 원료그룹으로 분배하고 부분 중량을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으로 식품 부재료를 포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최종목표 중량 내지 양의 제품세트(예를 들어, 파우치 제품과 같은 포장팩 제품)를 얻기 위한 최적의 조합 계량기로서 역할을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다. 즉, 임의로 포장되는 각각의 식품원료는 정량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등 포장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제각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정량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등의 포장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제각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출 게이트부(60)에서 게이트판(62)이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아래로 낙하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게이트판(62)이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를 구성하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 앞쪽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아래로 들어가도록 전진하여서 제1조합 공급부(32)로부터 아래오 낙하한 식품 부재료를 1차로 받아주었다가 게이트판(62)이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32SG)의 아래에서 뒤로 빠지면서 아래의 제2조합 공급부(34)로 낙하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아래의 제2조합 공급부(34)로 식품 부재료가 바로 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하기보다는 1차적으로 게이트판(62)에서 받았다가 제2조합 공급부(34)로 식품 부재료를 공급하므로 복수개 열의 조합 공급부(30)(즉,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를 조합하여 원하는 목표 중량으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을 이루는 스크랩판(78)의 기능은 좌우 5개의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로부터 선택된 열의 제1조합 공급부(32)와 제2조합 공급부(34)로부터 좌우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로 정량 계량한 식품 부재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식품 부재료를 가운데로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작동에 의해 식품 부재료가 가운데로 모아질 때(즉,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모아질 때)에 상기 스크랩판(78)이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위로 올라가 있던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가운데(즉,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내려와서 상기 스크랩판(78)의 좌우 측단부에는 블록킹 스크랩편(78BP)이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내측단을 각각 막고 있기 때문에,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로 식품 부재료가 안넘가도록 막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작동에 의해 정량으로 계량된 식품 부재료가 가운데로 다 모아진 상태)가 되면, 상기 스크랩판(78)이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에서 위로 빠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를 식품 부재료가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 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 아래에 있는 포장팩에 정량으로 식품 부재료가 담아지도록 한다.
상기 스크랩판(78)은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조합하여 조합하여 계량 설정량 만큼 배출하여 가운데로 모아서 배출(즉,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쪽으로 모아서 배출)하는 연속 방식으로 배출시 좌우에서 모아지는 식품 부재료가 넘어가지 않도록 정량값(즉, 정량 중량의 식품 부재료)이 전량 가운데의 로타리 포장기 파우치 내부로 충진되는데 원할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쪽의 아래 위치에 로터리 포장기가 배치되고, 로터리 포장기에는 로터리 포장기 파우치(본 발명에서 기술한 파우치의 일종임)가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쪽과 아래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스크랩판(78)은 식품 부재료가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내측단과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내측단 사이의 투입 가이드 스페이스(DSP)쪽으로 모아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므로, 식품 부재료가 넘어가지 않도록 정량값(즉, 정량 중량의 식품 부재료)이 전량 가운데의 로타리 포장기 파우치 내부로 충진되는데 원할하게 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1스크랩핑 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2스크랩핑 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1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2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이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들 사이에는 제1공급 스페이싱홈과 제2공급 스페이싱홈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이 각각 확보되어 있다.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좌우 두 개의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부(40)의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에 각각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과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홈과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및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이 각각 구비된 구조가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좌우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를 계량 공급부(40)로 통칭하고,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제2계량 공급 컨베이의 벨트도 계량 공급 컨베이어라 통칭하고,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과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은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이라 통칭하고,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홈과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은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이라 통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바깥면에 접촉되어 운반되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에만 접촉된 상태이고 나머지 면(즉, 제1공급 스페이싱홈과 제2공급 스페이싱홈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 부분)에서는 위로 이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달라붙어서 제대로 떨어지지 않는 문제를 더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의 잔량이 들러붙는 경우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스크랩핑 블록(110)과 제2조합 공급부(34)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스크랩핑 블록(210) 및 조합 공급부(30)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랩핑 블록(110)에는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크랩핑 블록(210)에는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212)가 구비되고, 상기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에는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확보된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A)과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B)은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이라 통칭하고,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A)와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B)는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라 통칭한다.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좌우 두 개의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0)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A)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A)의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A)들은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B)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B)의 복수개의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B)들은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복수개의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112)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에 의해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이송할 때에 고점성의 식품 부재료의 일부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제1스크랩핑 핑거(112)가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긁어내기 때문에,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들러붙어서 생길 수 있는 위생상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212)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에 의해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이송할 때에 고점성의 식품 부재료의 일부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제2스크랩핑 핑거(212)가 복수개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긁어내기 때문에,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들러붙어서 생길 수 있는 위생상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계량 공급스크랩핑 핑거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확보된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의해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이송할 때에 고점성의 식품 부재료의 일부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계량 공급스크랩핑 핑거가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긁어내기 때문에,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들러붙어서 생길 수 있는 위생상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1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제2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와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스크랩핑 블록(110)과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스크랩핑 블록(210) 및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랩핑 블록(110)에는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크랩핑 블록(210)에는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212)가 구비되고, 상기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에는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상기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확보된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가 구비되고,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및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들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물결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제1공급 스페이싱홈과 제2공급 스페이싱홈과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도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및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물결홈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브라켓과 같은 지지체가 구비되고, 제1스크랩핑 블록(110)의 좌우 측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지지체에 스프링과 같은 플렉시블 연결체(FCM)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제1스크랩핑 블록(1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스크랩핑 블록(110)의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112)들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브라켓과 같은 지지체가 구비되고, 제2스크랩핑 블록(210)의 좌우 측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지지체에 스프링과 같은 플렉시블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제2스크랩핑 블록(2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2스크랩핑 블록(210)의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212)들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며, 상기 계량 공급부(40)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브라켓과 같은 지지체가 구비되고,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의 좌우 측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지지체에 스프링과 같은 플렉시블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계량 공급부(40)의 선단부쪽과 인접한 위치에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이 배치된 상태에서 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들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112)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에 의해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이송할 때에 고점성의 식품 부재료의 일부가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제1스크랩핑 핑거(112)는 물결 모양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에 있는 물결 모양의 제1공급 스페이싱홈을 따라서 좌우로 왔다갔다하면서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더 확실하게 긁어내기 때문에,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들러붙어서 생길 수 있는 위생상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더욱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212)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에 의해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이송할 때에 고점성의 식품 부재료의 일부가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제2스크랩핑 핑거(212)는 물결 모양의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에 있는 물결 모양의 제2공급 스페이싱홈을 따라서 좌우로 왔다갔다하면서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더 확실하게 긁어내기 때문에,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들러붙어서 생길 수 있는 위생상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더욱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확보된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의해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이송할 때에 고점성의 식품 부재료의 일부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복수개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는 물결 모양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있는 물결 모양의 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을 따라서 좌우로 왔다갔다하면서 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로 들어가 있는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를 더 확실하게 긁어내기 때문에,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에 고수분 고점성 식품 부재료가 들러붙어서 생길 수 있는 위생상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 부분을 청소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 더욱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서플라이 트레이 12SH. 공급홀
20. 메인 바디 22. 서포트 프레임부
24. 테이블 바디부 30. 조합 공급부
32. 제1조합 공급부 32SB. 제1서플라이 바디
32UB. 제1상부 브라켓 32SG. 제1서플라이 가이드 바디부
32FRS. 제1롤러 서포트 바디 32RDG. 제1로터리 구동기어
32RSG. 제1로터리 종동기어 32SC. 제1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
34. 제2조합 공급부 34SB. 제2서플라이 바디
34UB. 제2상부 브라켓 34FRS. 제2롤러 서포트 바디
34RDG. 제2로터리 구동기어 34RSG. 제2로터리 종동기어
34SC. 제2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 40. 계량 공급부
42SB. 계량 공급 바디 42SL.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
42. 제1계량 공급부 42SBF. 제1계량 공급 바디
42SCF.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 42SRF. 제1이송롤러 서포트 바디
44. 제2계량 공급부 44SBF. 제2계량 공급 바디
44SCF.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 44SRS. 제2이송롤러 서포트 바디
50. 컨트롤부 60. 배출 게이트부
62. 게이트판 64. 이동 작동장치
70. 스크랩판 작동유닛 72. 크랭크 브라켓
74. 크랭크 74S. 크랭크축
76. 크랭크 작동장치 77. 스크랩판 바아
78. 스크랩판 78BP. 블록킹 스크랩편

Claims (11)

  1. 메인 바디(20);
    내부에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하부로 배출하는 조합 공급부(30);
    내부에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가 구비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20)에 지지되며 상기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44SCF)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합 공급부(30)에서 배출된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계량 공급부(40);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에서 상기 계량 공급부(40)로 공급되는 식품 부재료의 일정량을 조합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상기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에 공급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식품 부재료의 중량을 조합하여 상기 포장백에 식품 부재료가 정해진 양으로 담겨지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합 공급부(30) 중에서 일정 부분의 조합 공급부(30)를 채택하고, 상기 채택된 조합 공급부(30)의 조합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34SC)를 작동시켜서 상기 포장백에 정해진 양으로 상기 식품 부재료가 담겨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0)는 서포트 프레임부(22) 위에 테이블 바디부(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바디부(24)에 상기 조합 공급부(30)가 복수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상기 테이블 바디부(24)에 지지되어 상기 조합 공급부(30)의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공급부(30)는 위쪽의 제1조합 공급부(32)와,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를 받아내는 제2조합 공급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량 공급부(40)는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의 아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부(42)와 제2계량 공급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는 제1서플라이 바디(32SB)의 내부에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는 제2서플라이 바디(34SB)의 내부에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는 제1계량 공급 바디(42SB)의 내부에 제2계량 컨베이어 벨트(42SCF)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부(44)는 제2계량 공급 바디(44SB)의 내부에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가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식품 부재료가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에 구비된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44)에 구비된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에 공급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와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작동에 의해 식품 부재료를 포장팩에 담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와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는 메인 바디(20)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44)는 상기 메인 바디(20)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20)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각각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상기 제2계량 공급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인 내측단에는 식품 부재료를 아래로 배출하여 포장팩에 담겨지도록 하는 배출 스페이스(DSP)가 확보되며,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에 구비된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는 제1구동롤러와 제1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전하고 상기 제2계량 공급부(44)에 구비된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제2구동롤러와 제2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전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는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1종동롤러를 기준으로 위쪽의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아래쪽의 제1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는 상기 제2구동롤러와 상기 제2종동롤러를 기준으로 위쪽의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아래쪽의 제2하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로 구분되어,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와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는 상기 제1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와 상기 제2상부 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부가 상기 배출 스페이스(DSP) 쪽으로 전진하도록 무한궤도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바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과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상기 제1조합 공급부(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스크랩핑 블록(110)과 상기 제2조합 공급부(34)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스크랩핑 블록(2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상기 제1계량 공급부(4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A)과 상기 제2계량 공급부(44)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B)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랩핑 블록(110)에는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 사이에 확보된 제1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랩핑 핑거(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크랩핑 블록(210)에는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 사이에 확보된 제2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랩핑 핑거(2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A)에는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의 복수개의 상기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확보된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A)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블록(310B)에는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복수개의 상기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 사이에 확보된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계량 공급 스크랩핑 핑거(312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 스페이싱 돌편(132SP)과 상기 제2공급 스페이싱 돌편(134SP)과 상기 제1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과 상기 제2계량 공급 스페이싱 돌편(142SP)들은 상기 제1공급 컨베이어 벨트(32SC)와 상기 제2공급 컨베이어 벨트(34SC)와 상기 제1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2SCF) 및 상기 제2계량 공급 컨베이어 벨트(44SCF)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물결 모양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KR1020200165437A 2020-12-01 2020-12-01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KR20220076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37A KR20220076689A (ko) 2020-12-01 2020-12-01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37A KR20220076689A (ko) 2020-12-01 2020-12-01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89A true KR20220076689A (ko) 2022-06-08

Family

ID=8198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37A KR20220076689A (ko) 2020-12-01 2020-12-01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6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221A (zh) * 2018-10-29 2018-12-25 天津味来包装技术有限公司 一种多边热塑封制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702A (ko) 1985-10-02 1987-05-04 도라히꼬 하야시 식품재료의 계량 압출장치
KR101801013B1 (ko) 2017-06-05 2017-11-23 이민우 식품원료 계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702A (ko) 1985-10-02 1987-05-04 도라히꼬 하야시 식품재료의 계량 압출장치
KR101801013B1 (ko) 2017-06-05 2017-11-23 이민우 식품원료 계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221A (zh) * 2018-10-29 2018-12-25 天津味来包装技术有限公司 一种多边热塑封制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72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out and filling particulate or granular material
EP0706479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building up weighed-out portions of objects
EP162578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mixing feed for livestock
JP2006335460A (ja) 棒状をした食品の搬送装置
KR20220076689A (ko)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KR101625579B1 (ko)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EP2184593A1 (en) Perfected machine for combined weighing of fruits and vegetables
RU2500489C2 (ru) Способ приемки, очистки зернового вороха с поля, складирования зерна и комплекс очистки и складирования
US20090101478A1 (en) Inline conveyor scale
KR20180125351A (ko) 정량 계량 컨베이어
JPH0645365B2 (ja) もやし類の定量供給装置
JPH0360049B2 (ko)
CN111971535B (zh) 组合计量装置
KR102414413B1 (ko) 중량 불량 발생 방지 효율과 위생을 향상시킨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JP2002173210A (ja) 物品集合機構を持つ計量装置
KR20220076692A (ko) 중량 불량 발생 방지 효율을 향상시킨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WO2022030632A1 (ja) 食品材料の計量供給装置
US2746594A (en) Endless conveyer
JP5550296B2 (ja) 複合型ロールベーラ
JP2006335556A (ja) 棒状をした食品の搬送装置
WO2008066831A2 (en) Tumble bread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US807362A (en) Fruit-elevator.
CN211618230U (zh) 一种ptfe拉西环下料传送带
JP7094645B2 (ja) 物品整列装置
JP3364292B2 (ja) 組合せ計量装置の被計量物分散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