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822A -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822A
KR20160050822A KR1020140149885A KR20140149885A KR20160050822A KR 20160050822 A KR20160050822 A KR 20160050822A KR 1020140149885 A KR1020140149885 A KR 1020140149885A KR 20140149885 A KR20140149885 A KR 20140149885A KR 20160050822 A KR20160050822 A KR 2016005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nonwoven fabric
magnetic material
upper mol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최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4014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822A/ko
Publication of KR2016005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2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2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 B29C44/1233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the preformed parts being supported during exp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29C44/143Means for positioning the lining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2Producing upholstery articles, e.g. cushion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8Upholstery or cushions, e.g. vehicle upholstery or interior padd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자석이 설치되고 부직포의 일측면에 자성물질층이 형성되어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부직포를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면에 부직포가 정확히 부착된 폼패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am pad of ca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 부착 불량으로 인한 폼패드의 제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쿠션과, 탑승자가 앉은 자세에서 등을 기대는 시트백 및, 머리를 기대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쿠션은 플로어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시트백은 시트쿠션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헤드레스트는 시트백의 상단에서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의 내부에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프레임에 하중지지수단 및 시트의 전후 이동과 시트백의 각도 조절 및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시트의 외형은 상기 프레임과 여러 장치들을 둘러싸는 폼패드(Foam pad)와, 폼패드에 씌워지는 표피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폼패드는 폴리올(Polyol)과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혼합하여 금형 내에서 발포 성형한 것으로 경량이면서 탄성, 압축회복성, 단열성, 충격흡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시트의 내부 충전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폼패드의 뒷면에는 폼패드의 형상을 유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쿠션감을 향상시키고, 시트내 여러 장치들로부터 폼패드를 차단 및 보호하여 장착 작업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직포가 구비된다.
도 1에는 부직포가 일체화된 폼패드를 제조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형(1)의 하면에는 폼패드의 배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메인성형부(1a)와 사이드성형부(1b)가 형성되고, 하형(2)의 상면에는 폼패드의 정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메인성형부(2a)와 사이드성형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1)과 하형(2)이 합형되면 그 사이에 폼패드 형상의 동공이 형성되고, 그 동공에 원료(50)를 주입한 뒤, 소정의 가온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 발포가 완료되어 폼패드가 성형된다.
이때, 부직포(3)는 합형 전 상형(1)의 폼패드 성형면(즉, 메인성형부(1a)와 사이드성형부(1b))에 선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포 성형을 종료했을 때 폼패드의 배면에 부직포(3)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폼패드 제조장치가 일본 공개특허 제2012-228422호(2012.11.22)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합형 전, 상형(1)에 부직포(3)를 부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에 핀(4)을 설치하고, 부직포(3)의 대응 위치에 핀홀(3a)을 형성하여, 핀(4)을 핀홀(3a)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부직포(3)를 설치하였다. 또한, 도 3과 같이, 매직테이프(5a,5b)를 이용하여 상형(1)에 부직포(3)를 부착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도번 5a는 후크가 형성된 부분이고 도번 5b는 루프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양쪽 부분이 맞닿으면 후크가 루프에 걸려 양측 부분이 상호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직포 부착 방식에 의하면, 상형(1)의 폼패드 성형면에 존재하는 돌출부(사이드성형부(1b)) 등의 작용에 의하여 부직포(3)가 성형면에 잘 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며, 부직포(3)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부직포(3)의 테두리 일부가 폼패드의 내부에 제대로 함입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폼패드에 부직포(3)가 정상적으로 일체화되지 못함으로써 폼패드 강도 보강, 내구성 향상, 장착성 향상 등의 부직포 설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부착수단(핀(4), 매직테이프(5a))이 작업 중 쉽게 변형, 파손 및 오염되어 부직포 부착 성능이 저하됨으로써 사용 기간이 짧고, 이에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부직포를 들뜨지 않게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폼패드 제조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부직포 부착수단의 부착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부착수단을 자주 교체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증가와 생산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폼패드 배면 성형용 상형과, 폼패드 정면 성형용 하형과, 상기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 자석 및, 상기 상형에 부착되는 부직포에 형성된 자성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자석은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고, 자석의 표면은 폼패드 성형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자석은 특히, 폼패드 성형면의 메인성형부와 사이드성형부의 굴곡부 인접 부분과, 사이드성형부의 양쪽 측면 및 하면, 사이드성형부와 테두리 부분의 사이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자성물질층은 강자성물질 입자가 함침된 용융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다.
상기 부직포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자성물질층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자성물질돌기가 삽입된다.
상기 자석은 전자석이고, 상형 내부에 형성된 전선설치공에 삽입된 전선으로 전자석과 금형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며, 전선에는 on/off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형에 자석이 구비되고, 부직포에 자성물질층이 형성됨으로써 부직포 전체가 들뜨지 않고 고르게 상형의 성형면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테두리 부분이 들뜨지 않고 부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부직포가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폼패드 성형시 부직포의 테두리 부분이 모두 폼패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따라서, 폼패드에 부직포가 설치된 상태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폼패드의 강도를 보강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장착성을 좋게 하는 등의 부직포 설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이나 자성물질층은 사용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형되거나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아니므로 부직포 부착 성능을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직포 부착수단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불필요한 비용 증가가 발생하지 않고, 조업 중단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폼패드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직포 부착수단의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직포 부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폼패드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직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부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폼패드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직포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는, 폼패드 배면 성형용 상형(10)과, 폼패드 정면 성형용 하형(20)과, 상형(10)에 구비된 자석(30)과, 상형(10)에 부착되는 부직포(40)에 형성된 자성물질층(41)을 포함한다.
상형(10)은 하형(20)의 상부에서 하형(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 부분은 하형(20)의 테두리 부분에 걸려져서 상형(10)이 하형(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상형(10)과 하형(20)의 사이에 폼패드 형성을 위한 동공을 정확한 치수로 형성하게 된다.
하형(20)은 상형(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형(1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테두리 부분은 상형(1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형(10)의 하면 즉, 하형(20)의 내부로 삽입된 부분의 하면은 폼패드의 배면을 성형하는 면(이하, 폼패드 성형면으로 칭함)으로서 중간부분의 평평한 메인성형부(11)와, 메인성형부(11)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사이드성형부(12)가 형성된다.
하형(20)의 상면에는 중간 부분에 상방으로 완만하게 돌출되는 메인성형부(21)와, 메인성형부(21)의 양측에 상형의 사이드성형부(12)에 상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사이드성형부(22)가 형성된다.
하형(20)의 메인성형부(21)와 사이드성형부(22) 사이에는 폼패드의 외부에 씌워지는 표피재의 봉재선 부분이 삽입되는 선형의 오목한 홈 즉, 봉재부 수용홈을 성형하기 위한 돌출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는 다수의 자석(30)이 설치된다.
자석(30)은 상형(10)의 하면 즉, 상기 폼패드 성형면에 상형(10)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형(10)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자석(30)은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다. 설치 간격은 부직포(40)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자석(30)은 부직포(40)가 들뜨기 쉬운 부분 즉, 메인성형부(11)와 사이드성형부(12)의 굴곡부 인접 부분, 사이드성형부(12)의 양쪽 측면 및 하면, 부직포(40)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되는 사이드성형부(12)와 상형(10) 테두리 부분의 사이 부분에는 반드시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40)에는 일측면에 자성물질층(41)이 형성된다. 자성물질층(41)은 수지(resin)에 강자성물질(철, 니켈, 코발트 등)의 입자를 함침시켜 형성된다. 자성물질층(41)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부직포(40)의 일측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되거나, 또는 강자성물질 입자를 포함한 용용 상태의 수지를 부직포(40)의 일측면에 도포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시트의 폼패드 뒷면에 사용되는 부직포(40)의 두께는 2.5mm인데, 상기 자성물질층(41)은 0.3mm 이상 ~ 0.7mm 이하 범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0.5mm로 형성된다.
자성물질층(41)의 두께가 0.3mm 미만일 경우 강자성물질의 입자량이 부족하여 자석(4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부직포(40) 부착 성능이 저하되고, 0.7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성물질층(41)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되고, 자성물질층(41)에 의해 부직포(40)의 물성(기계적 성질)이 변화되어 폼패드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본래의 목적(쿠션감 향상 관련)을 달성하기 곤란하게 되며, 또한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부직포(40)를 자석(30)이 구비된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부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40)의 원래 면이 자석(30)쪽으로 향하게 하고, 자성물질층(41)이 형성된 면이 작업자 쪽을 향하게 한다. 즉, 자성물질층(41)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을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완성된 폼패드의 배면 형상을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자성물질층(41)이 폼패드의 내측을 향하게 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직포(40)의 부착력 향상을 위하여 도 7과 같이, 부직포(40)의 내부에 다수의 자성물질돌기(41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부직포(40)에 미리 작은 구멍(40a)을 다수 형성하고, 그러한 부직포(40)의 일면에 강자성물질 입자를 포함한 용용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강자성물질 입자를 포함한 용융 수지가 상기 구멍(40a)의 내부로 스며 들어 경화함으로써 자성물질돌기(41a)가 형성되며, 자성물질돌기(41a)는 자성물질층(4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자석(30)은 전자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자석일 경우,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자석 장착홈으로부터 상형(10) 내부에 마련된 전선설치공을 통해 상형(10) 외부로 연장되고, 전선이 전원에 연결되며, 전선이 이루는 회로 상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on/off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선, 전원, 스위치 등은 전자석 장치에 필수 요소로서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자석(30)이 영구자석이 아닌 전자석으로 설치될 경우,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자력의 형성 여부를 조절하여 상형(10) 폼패드 성형면의 부직포(40) 부착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폼패드 제조 공정은, 개형 상태의 상형(10)에 부직포(40)를 부착하고, 상형(10)과 하형(20)을 합형하고, 금형 내로 원료(50)를 주입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발포 및 경화가 완료되면 금형을 개형하고 성형된 폼패드를 취출한다. 취출된 폼패드의 배면에는 부직포(40)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는,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메인성형부(11), 사이드성형부(12))에 다수의 자석(30)이 설치되고, 부직포(40)에 자성물질층(41)이 형성됨으로써 부직포(40)를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형(10)에 구비된 자석(30)의 자력이 자성물질층(41)을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부직포(40)를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다수의 자석(30)이 구비됨으로써 자성물질층(41)이 형성된 부직포(40)는 자석(30)과 자성물질층(41)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들뜸 없이 면과 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메인성형부(11)와 사이드성형부(12)의 굴곡부 인접 부분과, 사이드성형부(12)의 양쪽 측면 및 하면, 사이드성형부(12)와 테두리 부분의 사이 부분과 같이 부직포(40)가 들뜨기 쉬운 부분에 빠짐 없이 자석(30)이 설치되므로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서 부직포(40)가 들뜨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직포(40)가 올바른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된 후, 상형(10)을 하형(20)에 합형하는 과정이나 이후의 원료(50) 주입 및 발포 과정에서 부직포(40)의 부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부직포(40)의 부착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부직포(40) 위치 오류로 인한 부직포(40)와 폼패드의 미부착, 폼패드로부터의 부직포(40) 돌출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폼패드에 부직포(40)가 정상적으로 일체화됨으로써 폼패드 강도 보강, 내구성 향상, 장착성 향상 등의 부직포 설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석(30)은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안전하여 변형 및 파손되지 않으며, 오염되어도 자력 발생에는 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 기간이 누적되어도 자력이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직포 부착수단의 교체로 인한 비용 소모가 발생하지 않고, 조업이 중단되지 않음으로써 폼패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직포(40)의 자성물질층(41)은 0.3mm 이상 ~ 0.7mm 이하 범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부직포(40)의 중량 및 물성이 과도하게 변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충분한 부착 성능을 가지게 된다. 즉, 자성물질층(41)의 형성에 의해 부직포(40)가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잘 부착될 수 있게 되면서도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고, 물성 변화로 인해 폼패드 쿠션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부직포(40)가 상형(10)의 폼패드 성형면에 부착될 때 자성물질층(41)의 반대쪽면이 폼패드 성형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완성된 폼패드의 배면에는 보통의 부직포(40) 면이 노출되고 자성물질층(41)은 폼패드의 내측을 향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폼패드의 외관이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인접한 타 장치들과의 관계가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은 자성물질층(41)을 부직포(40)에 형성함에 따라 부직포(40)의 부착 성능만을 향상시킬 뿐, 그 외 시트 성능에 영향을 줄만한 다른 조건 변화는 일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자성물질층(41)은 다수의 자성물질돌기(41a)를 가진다. 자성물질돌기(41a)는 부직포(40)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40a)에 삽입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성물질돌기(41a)는 구멍(40a)을 통해 부직포(40) 반대쪽면의 표면에 인접해 있거나 또는 표면으로 노출되어 자석(30)의 자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함으로써 부직포(40)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수의 자성물질돌기(41a)는 자성물질층(41)과 부직포(4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켜 부직포(40)로부터 자성물질층(41)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자석(30)이 전자석일 경우, 부착된 부직포(40)의 위치 수정이 용이하다. 즉, 부직포 테두리 부분의 위치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전자석을 off하여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부직포의 위치를 수정한 후 다시 전자석을 on시킴으로써 부직포의 위치 수정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자석(30)이 전자석일 경우, 원료(50)의 발포 및 경화 단계까지는 전자석 on상태를 유지하고, 개형 후 폼패드 취출 단계에서는 전자석을 off하여, 폼패드 성형시에는 부직포(40)의 위치를 견고히 유지하여 폼패드 성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폼패드 취출시에는 부직포(40)에 자력에 의한 부착력이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형(10)으로부터 폼패드를 보다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형 20 : 하형
11,21 : 메인성형부 12,22 : 사이드성형부
23 : 돌출부 30 : 자석
40 : 부직포 40a : 구멍
41 : 자성물질층 41a : 자성물질돌기

Claims (6)

  1. 폼패드 배면 성형용 상형과,
    폼패드 정면 성형용 하형과,
    상기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 자석 및,
    상기 상형에 부착되는 부직포에 형성된 자성물질층
    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고, 자석의 표면이 폼패드 성형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폼패드 성형면의 메인성형부와 사이드성형부의 굴곡부 인접 부분과, 사이드성형부의 양쪽 측면 및 하면, 사이드성형부와 테두리 부분의 사이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층은 강자성물질 입자가 함침된 용융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자성물질층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자성물질돌기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이고, 상형 내부에 형성된 전선설치공에 삽입된 전선으로 전자석과 금형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며, 전선에는 on/off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KR1020140149885A 2014-10-31 2014-10-31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KR20160050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85A KR20160050822A (ko) 2014-10-31 2014-10-31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85A KR20160050822A (ko) 2014-10-31 2014-10-31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22A true KR20160050822A (ko) 2016-05-11

Family

ID=5602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85A KR20160050822A (ko) 2014-10-31 2014-10-31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8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681A (ko) * 2021-06-14 2022-12-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폼패드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681A (ko) * 2021-06-14 2022-12-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폼패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409B2 (en)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foam body, and molded foam body
US9707871B2 (en) Headrest
US10710471B2 (en) Method and foam die for manufacturing seat cushion material
US20140239697A1 (en) Seat structure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EP3020600B1 (en) Vehicle seat
US10391686B2 (en)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foam body, and molded foam body
US20160059754A1 (en) Headrest
JP5951439B2 (ja) シート用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56467A1 (en) Vehicle seat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082184A (ja) 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50822A (ko)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CN102729380A (zh) 座位缓冲垫的制造方法
JP5808942B2 (ja) 衝撃吸収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衝撃吸収パッド
JP6768257B2 (ja) 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3972145B2 (ja) シート用パッドのための発泡成形型および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4971914B2 (ja) シート用バックパッドの製造方法
JP2011115495A (ja) シート用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2523A (ja) 車両用内装品の製造方法
JP4827129B2 (ja) シート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03411A (ja) ヘッドレストの一体発泡成形用金型およびヘッドレストの一体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173018B1 (ko)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JP5985379B2 (ja) シールテープ付き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
JP7121292B2 (ja) 発泡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JP2018011647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7166041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