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544A - 인버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인버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544A
KR20160050544A KR1020140148954A KR20140148954A KR20160050544A KR 20160050544 A KR20160050544 A KR 20160050544A KR 1020140148954 A KR1020140148954 A KR 1020140148954A KR 20140148954 A KR20140148954 A KR 20140148954A KR 20160050544 A KR20160050544 A KR 2016005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verter
magnitude
moto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240B1 (ko
Inventor
최승철
유안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240B1/ko
Priority to EP15190148.5A priority patent/EP3016265B1/en
Priority to ES15190148T priority patent/ES2869384T3/es
Priority to CN201510717658.9A priority patent/CN105577040B/zh
Priority to JP2015214760A priority patent/JP2016093101A/ja
Priority to US14/927,996 priority patent/US9742340B2/en
Publication of KR2016005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9Restarting, e.g. after power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ynchronous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6Rotor flux based control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ynchronous motor
    • H02P1/5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ynchronous motor by progressive increase of frequency of supply to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01AC-AC converter stage controlled to provide a defined AC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11Phase locked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인버터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입력전원이 정격 이하로 감소된 후 복전하는 경우, 재기동 시점에서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보다 큰 전압크기와 상기 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을 가지는 지령전압을 결정하여 재기동 시점에 인버터에 인가한다.

Description

인버터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본 발명은 인버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 인버터(medium voltage inverter)는 선간 전압의 실효치가 600V 이상인 입력전원을 사용하는 인버터로서, 정격 전력용량은 수백 kW 내지 수십 MW까지이며, 팬, 펌프, 압축기 등 응용분야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압 인버터로서, 주로 출력 상전압이 3레벨 이상의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직렬형 멀티-레벨 인버터(cascaded multi-level inverter)가 사용되고 있다. 멀티-레벨 인버터를 구성하는 전력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 레벨의 크기와 개수가 결정되며, 각 전력셀은 절연된 입력전압을 사용한다.
고압 인버터가 구동하는 고압의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관성이 매우 크므로, 입력전원의 고장 또는 정전후, 재기동을 위해 전동기가 멈추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재기동 시간을 줄이기 위해, 전동기의 회전 중에 전압/주파수 비에 따라 전압을 인가하면 큰 돌입전류가 발생하여 인버터 또는 전동기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재기동 시간을 줄이고 인버터 또는 전동기의 고장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압측정장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비용절감을 위해 전압측정장치를 저항과 같은 수동소자로 구성하는 경우, 저항의 오차에 의해 측정전압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버터는 출력전압의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및 데드타임(dead time)과 같은 전압강하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압 인버터의 경우 스위칭 주파수가 낮아서 정밀한 출력전압을 알기 어렵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측정 전압을 인버터의 출력전압으로 사용하여 재기동할 경우, 전압크기의 오차로 인해 재기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버터 출력전압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출력전압을 결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동기를 재기동하는 인버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전원을 수신하여 전동기에 전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인버터의 제어장치는, 입력전원이 정격 이하로 감소되어 회복된 경우, 재기동 시점의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 위상 및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1결정부; 및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지령전압을 결정하여 재기동 시점에 상기 인버터에 인가하는 제2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상기 전동기 입력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전동기 입력전압을 동기좌표계상 d축 및 q축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결정부에 제공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정부는,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에 소정 옵셋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지령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정부는,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에 대해 비례제어를 수행한 결과를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에 인가하여 상기 지령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정부는, 재기동 시점 이후 상기 인버터가 소정 출력전압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상기 재기동 시점의 지령전압의 크기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더한 것을 상기 인버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정부는, 재기동 시점의 상기 지령전압의 위상을, 재기동 시점의 상기 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에 대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정부는, 재기동 시점 이후 상기 인버터가 소정 출력전압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상기 재기동 시점의 지령전압의 위상에, 시간에 따라 전동기 입력전압의 주파수(ωest)를 적분한 위상을 더한 것을 상기 인버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재기동 시점에서 전동기 잔류전압의 크기보다 큰 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함으로써, 회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막아, 안정적으로 인버터를 재기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압 인버터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전압지령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는 종래 인버터 재기동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압지령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에 따른 인버터 재기동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압 인버터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인버터(2)는, 3상의 전원부(1)로부터 인가된 선간전압의 실효치가 600V 이상인 3상 전원을 변환하여 고압의 3상 전동기(3)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3상 전동기(3)는 유도 전동기(induction machine) 또는 동기 전동기(synchronous machine)일 수 있으나, 그 외 다른 전동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버터(2)는 위상치환 변압기(10)와 복수의 전력셀(20), 전압검출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치환 변압기(10)는 전원부(1)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절연하고, 복수의 전력셀(20)의 요구에 맞게 전압의 위상과 크기를 변환하여 복수의 전력셀(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치환을 통해 입력전류의 전 고조파 왜율(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향상할 수 있다.
복수의 전력셀(20)은 위상치환 변압기(10)의 출력전압을 수신하며, 고압 인버터(2)의 출력전압은 각 상에 해당하는 전력셀의 출력의 합으로 합성(synthesize)될 수 있다.
즉, 도 1의 경우, 인버터(2)의 a상의 출력전압은 직렬연결된 전력셀(20a1 및 20a2)의 출력전압의 합이고, b상의 출력전압은 직렬연결된 전력셀(20b1 및 20b2)의 출력전압의 합이며, c상의 출력전압은 직렬연결된 전력셀(20c1 및 20c2)의 출력전압의 합이다. 다만, 설명의 간단을 위해 2개의 전력셀이 직렬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버터(2)의 출력전압에 따라 직렬연결된 전력셀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전력셀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설명시 전력셀의 도면부호를 '20'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합성된 인버터(2)의 각각의 출력 상전압의 크기는 동일하나, 위상은 120도 차이이다. 또한, 인버터(2)를 구성하는 전력셀(20)의 개수의 증가와, 다양한 스위칭 방식에 의해 전동기(3)에 인가하는 출력전압의 THD와 전압변화율(dv/dt)을 개선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전압 검출부(30)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전동기(3)로 입력되는 전압, 즉, 인버터(2)의 출력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출력전압은, 동기절체(synchronous bypass), 출력전력 연산 및 본 발명의 전동기(3) 재기동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전압 검출부(30)의 전압을 수신하여, 복수의 전력셀(2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력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력셀(20)은, 정류부(21), 직류단 커패시터(22), 인버터부(23) 및 셀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21)는 6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위상치환 변압기(1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직류로 정류할 수 있다. 정류된 직류단 전압의 크기는, 정류부(21)의 입력전력과 전력셀(20)의 출력전력의 차의 관계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위상치환 변압기(10)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력이 부하에서 소비되는 출력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직류단 전압이 증가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직류단 전압이 감소한다. 직류단 커패시터(22)는 입출력단의 순시적인 전력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인버터부(23)는 예를 들어 단상 풀 브릿지 방식(single phase full bridge inverter)으로서, 직류단 전압으로부터 복수의 전력 스위치(23a 내지 23d)를 통해 출력전압을 합성할 수 있다.
셀 제어부(24)는 각 전력셀(20)마다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인버터부(23)의 전력 스위치(23a 내지 23d)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하는 게이팅 신호(gating signals)를 생성하여 인버터부(23)의 각 전력 스위치(23a 내지 23d)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셀 제어부(24)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버터 시스템에서, 제어부(40)는 정상동작시 전압과 주파수 관계에 따라 지령전압을 생성하여 각 셀 제어부(24)에 제공하고, 입력전원이 순시적으로 정전된 후 복전되면, 제어부(40)는 복전시 전력셀(20)에 소정 크기와 위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동기를 재기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부(40)는, 변환부(41),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43), 지령전압 결정부(44), 플래그 설정부(45) 및 선택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지령전압 결정부(44)는 지령주파수(ωref)에 따라 지령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인버터(2) 구동에서, 전압과 주파수의 비는 일정하며, 따라서 지령 주파수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지령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변환부(41)는, 전압 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전동기(3) 입력전압을 동기좌표계의 d축 및 q축 전압으로 변환하고,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는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 위상 및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상검출은 PLL(phase loop lock)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자세한 PLL의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43)는,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에 의해 결정된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와 위상을 이용하여 재기동 영역에서의 재기동 지령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플래그 설정부(45)는 입력전원이 이상이 발생한 경우, 플래그를 1로 설정하며, 정상운전이 가능한 경우 다시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선택부(46)에 제공할 수 있다.
선택부(46)는, 입력전원이 정상으로 수신되고, 플래그가 1인 경우, 즉 재기동 영역에서,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43)의 지령전압을 선택하여 복수의 전력셀(20)에 지령전압을 제공하고, 그 외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지령전압 결정부(44)의 지령전압을 복수의 전력셀(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인버터 시스템의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에서 전압지령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43)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전압지령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기동 영역에서의 지령전압의 크기는, 기울기 결정부(4A)가 결정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에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가 결정한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를 더한 것이다. 즉, 지령전압의 크기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때, a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것이다.
또한, 재기동 영역에서의 지령전압의 위상은,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가 결정한 전동기 입력전압의 주파수(ωest)를 적분부(5A)가 적분한 위상에 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θest)을 더한 것이다. 즉, 지령전압의 위상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도 6는 종래 인버터 재기동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부(1)로부터 입력전원이 A 시점에서 중단되고, B 시점에서 복전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B 시점에서 복전한 경우에도, 제어부(40)는 소정 시간 이후인 C 시점에서 재기동을 시작하여, D 시점 이후에는 정상운전하는 것이다. 즉, E 영역 및 H 영역은 정상운전 영역이고, F 영역은 입력전원 고장영역이며, G 영역이 재기동 영역이다.
도 4와 같이 결정되는 재기동 지령전압의 크기를 이용하는 경우, 데드 타임 및 전압 강하로 인해 전압 검출부(30)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실제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보다 작아, 전동기(3) 입력전류에 돌입전류(I)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동기(3)의 잔류전압보다 인버터 출력전압이 작은 경우, 전동기(3)에 흐르는 전류가 인버터(2)에 흐르게 되어, 회생운전 및 돌입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40)는, 전압 검출부(30)의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전동기에 돌입전류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재기동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재기동 영역에서 전압지령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의한 것으로서, 재기동 영역에서의 지령전압의 크기는, 기울기 결정부(7A)가 결정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에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가 결정한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와 옵셋전압(Voffset)를 더한 것이다. 이때, 기울기 결정부(7A)가 결정하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는, 전동기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값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결정되는 지령전압의 크기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이때, a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나타내며, 인버터(2)의 특성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종래의 방식보다 큰 전압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것으로서, 재기동 영역에서의 지령전압의 크기는,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가 결정한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를 비례제어기(8B)의 입력으로 하여, 비례제어기(8B)의 출력을, 기울기 결정부(8A)가 결정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에 더한 것이다. 이때, 기울기 결정부(8A)가 결정하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는, 전동기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값일 수도 있다.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를 비례제어기(8B)의 입력으로 하면, 비례제어기(8B)의 출력은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보다 커지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방식보다 큰 전압지령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40)에서는, 전동기(3)의 잔류전압보다 인버터 출력전압이 커지게 되므로, 회생운전 및 돌입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에 따른 인버터 재기동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6의 종래 시퀀스와의 비교를 위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즉, 전원부(1)로부터 입력전원이 A 시점에서 중단되고, B 시점에서 복전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B 시점에서 복전한 경우에도, 제어부(400)는 소정 시간 이후인 C 시점에서 재기동을 시작하여, D 시점 이후에는 정상운전하는 것이다. 즉, E 영역 및 H 영역은 정상운전 영역이고, F 영역은 입력전원 고장영역이며, G 영역이 재기동 영역이다.
플래그 설정부(45)는 (a)와 같이 입력전원의 고장이 발생하는 A시점에서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재기동이 끝나는 D 시점에서 다시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전원의 고장이 발생하면, 보호동작으로 인해 인버터(2)는 출력이 정지된다. 따라서, (b)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버터 출력전압은 바로 0이 된다.
입력전원 고장영역인 F 영역에서 측정되는 전동기(3)의 입력전압은 전동기(3)의 유기 기전력으로서, 전동기(3)의 입력전압의 크기와 전동기 속도는 (b) 및 (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부하와 전동기(3)의 시정수에 따라 감소하고, 전동기 전류의 경로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전동기(3)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0이다.
B 시점에서 입력전원이 다시 인가되면, B 시점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C 시점에서, 전압 측정부(300의 측정에 의해,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는 전동기(3)의 입력전압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본 발명의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43)가 결정한 재기동 지령전압의 크기와, 지령전압의 위상에 따라 인버터(2)를 재기동할 수 있다. 재기동 영역인 G 영역에서,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43)가 결정하는 지령전압이 인버터(2)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재기동 지령전압의 크기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에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와 옵셋전압(Voffset)를 더하여 결정할 수도 있고, 또는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를 비례제어를 수행한 결과와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의 크기를 더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재기동 지령전압의 위상은, 시간에 따라 전동기 입력전압의 주파수(ωest)를 적분한 위상에, 재기동 시점의 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θest)을 더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재기동 시점인 D 시점에 인버터(2)에 인가되는 지령전압의 크기는 재기동 시점의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와 옵셋전압(Voffset)의 합이거나 또는 전동기 입력전압의 크기(Vmag)를 비례제어를 수행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재기동 시점인 D 시점에 인버터(2)에 인가되는 지령전압의 위상은 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θest)일 수 있다.
재기동 영역인 G 영역은 인버터 출력전압이 소정 크기에 도달하는 D 시점에서 종료되고, 플래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택부(46)는 지령전압 결정부(44)에서 결정한 지령전압을 인버터(2)에 제공하게 되어, 인버터(2)는 정상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출력주파수는, C 시점에서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42)가 결정한 주파수가 G 영역에서 동일하게 인가되며, D 시점 이후에 전압-주파수 관계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재기동 시점에서 전동기 잔류전압의 크기보다 큰 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함으로써, 회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막아, 안정적으로 인버터를 재기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 제어부 41: 변환부
42: 전압크기 및 위상 결정부 43: 재기동 지령전압 결정부
44: 지령전압 결정부 45: 플래그 설정부
46: 선택부

Claims (7)

  1. 입력전원을 수신하여 전동기에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이 정격 이하로 감소되어 회복된 경우, 재기동 시점의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 위상 및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1결정부; 및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지령전압을 결정하여 재기동 시점에 상기 인버터에 인가하는 제2결정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입력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전동기 입력전압을 동기좌표계상 d축 및 q축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결정부에 제공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정부는,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에 소정 옵셋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지령전압의 크기를 결정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정부는,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에 대해 비례제어를 수행한 결과를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압의 크기에 인가하여 상기 지령전압의 크기를 결정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정부는,
    재기동 시점 이후 상기 인버터가 소정 출력전압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상기 재기동 시점의 지령전압의 크기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더한 것을 상기 인버터에 제공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정부는,
    재기동 시점의 상기 지령전압의 위상을, 재기동 시점의 상기 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에 대응하도록 결정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정부는,
    재기동 시점 이후 상기 인버터가 소정 출력전압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상기 재기동 시점의 지령전압의 위상에, 시간에 따라 전동기 입력전압의 주파수(ωest)를 적분한 위상을 더한 것을 상기 인버터에 제공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KR1020140148954A 2014-10-30 2014-10-30 인버터 제어장치 KR10189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54A KR101893240B1 (ko) 2014-10-30 2014-10-30 인버터 제어장치
EP15190148.5A EP3016265B1 (en) 2014-10-30 2015-10-16 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ES15190148T ES2869384T3 (es) 2014-10-30 2015-10-16 Aparato para controlar un inversor
CN201510717658.9A CN105577040B (zh) 2014-10-30 2015-10-29 用于控制变换器的设备
JP2015214760A JP2016093101A (ja) 2014-10-30 2015-10-30 インバータ制御装置
US14/927,996 US9742340B2 (en) 2014-10-30 2015-10-30 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54A KR101893240B1 (ko) 2014-10-30 2014-10-30 인버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44A true KR20160050544A (ko) 2016-05-11
KR101893240B1 KR101893240B1 (ko) 2018-08-29

Family

ID=5435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54A KR101893240B1 (ko) 2014-10-30 2014-10-30 인버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2340B2 (ko)
EP (1) EP3016265B1 (ko)
JP (1) JP2016093101A (ko)
KR (1) KR101893240B1 (ko)
CN (1) CN105577040B (ko)
ES (1) ES286938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266B1 (ko) 2017-04-19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1112A (en) * 1981-01-30 1984-05-29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 motor
US5347443A (en) * 1992-03-19 1994-09-13 Hitachi, Ltd. Inverter apparatus and a restarting method at an instantaneous power failure
US20080265832A1 (en) * 2007-04-24 2008-10-30 Hitachi, Ltd Motor driving system and motor driving method
US20130076285A1 (en) * 2011-09-26 2013-03-28 Lsi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instantaneous power failure in medium voltage inverter and medium voltage inverter system b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0795A (ja) * 1982-01-27 1983-08-04 Hitachi Ltd 交流電動機駆動用電源装置
JPS62126892A (ja) 1985-11-26 1987-06-09 Shinko Electric Co Ltd インバ−タ装置
JPH0583965A (ja) 1991-09-17 1993-04-02 Toshiba Corp 回転センサレス永久磁石モータの始動方法
JPH06319291A (ja) 1993-04-30 1994-11-15 Meidensha Corp インバータの出力電圧制御方式
JP2000341989A (ja) 1999-05-28 2000-12-08 Hitachi Ltd 誘導電動機の瞬時停電時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3595746B2 (ja) 1999-11-08 2004-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瞬時停電再起動方法
KR100379687B1 (ko) 2000-11-10 2003-04-11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토크 보상장치
JP2002281795A (ja) 2001-03-23 2002-09-27 Sumitomo Heavy Ind Ltd 同期モータの再給電制御方法及び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CN2604024Y (zh) * 2003-03-15 2004-02-18 新疆电子设备厂 电动机变频/工频自动转换监控器
JP4422514B2 (ja) 2004-03-10 2010-02-24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1112A (en) * 1981-01-30 1984-05-29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 motor
US5347443A (en) * 1992-03-19 1994-09-13 Hitachi, Ltd. Inverter apparatus and a restarting method at an instantaneous power failure
US20080265832A1 (en) * 2007-04-24 2008-10-30 Hitachi, Ltd Motor driving system and motor driving method
US20130076285A1 (en) * 2011-09-26 2013-03-28 Lsi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instantaneous power failure in medium voltage inverter and medium voltage inverter system b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6881A1 (en) 2016-05-05
ES2869384T3 (es) 2021-10-25
KR101893240B1 (ko) 2018-08-29
EP3016265B1 (en) 2021-03-17
JP2016093101A (ja) 2016-05-23
US9742340B2 (en) 2017-08-22
CN105577040A (zh) 2016-05-11
CN105577040B (zh) 2018-07-06
EP3016265A1 (en)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595B1 (ko) 인버터 제어장치
KR101539397B1 (ko) 직류 및 교류 겸용 다기능 시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EP1286455A1 (en) Pwm cycloconverter and power fault detector
EP2887526B1 (en) Method and power converter for determining cell capacitor degradation in a converter cell
US10348127B2 (en)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responsive to zero wire loss
KR102485705B1 (ko) 멀티 레벨 인버터의 3상 평형 전압 제어 방법
JP4712148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893240B1 (ko) 인버터 제어장치
KR101414887B1 (ko) 멀티 레벨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0322256B1 (ko) 공간전압벡터방식을이용한정지형여자시스템
KR101712841B1 (ko)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336200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EP3229364B1 (en) Inverter
KR101861986B1 (ko) 인버터 제어장치
JP2004088861A (ja) 電力変換装置
Liu et al. Implementation of a Fault-Tolerant AC/DC Converter f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Drive Systems
Freire et al. Fault-tolerant converter for AC drives using vector-based hysteresis current control
WO2020208829A1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10126917A (ko) 모터 구동용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1008461A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3162538A (ja) 電力変換装置
JPH0690535A (ja) 超電導エネルギー貯蔵装置
JPS5839296A (ja) 交流電動機の回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