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490A - 감압 밸브 - Google Patents

감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490A
KR20160049490A KR1020150148521A KR20150148521A KR20160049490A KR 20160049490 A KR20160049490 A KR 20160049490A KR 1020150148521 A KR1020150148521 A KR 1020150148521A KR 20150148521 A KR20150148521 A KR 20150148521A KR 20160049490 A KR20160049490 A KR 2016004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gion
valve body
flow path
taper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153B1 (ko
Inventor
도시히코 시마
다카시 이와구치
히데토시 후지와라
무네토시 구로야나기
도시카츠 구보
에이지 오카와치
마사아키 곤도
아키라 야마시타
히데츠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16004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G05D16/107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with a spring-loaded piston in combination with a spring-loaded slideable obturator that move together over range of motion during normal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2Modifications to reduce the effects of instability, e.g. due to vibrations, friction, abnormal temperature, overloading or imbal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afety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감압 밸브의 밸브체(12)는, 밸브 구멍(31)의 내주면에 착좌하는 1단 테이퍼부(23)를 갖는다. 밸브 구멍(31)의 내주면에는, 제1 영역(33), 제2 영역(34), 제3 영역(35)이 상기 유체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33)은, 밸브 개방시에,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와의 사이의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영역(34)은, 밸브 개방시에 유로 높이가 일정함과 함께 밸브 폐쇄시에는 그 전체 영역이 상기 1단 테이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영역(35)은, 밸브 개방시에,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감압 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본 발명은, 감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압 밸브(레귤레이터)는,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1차 포트와 외부 공급측의 2차 포트 사이에 개폐 밸브(포핏)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1차 포트로부터 2차 포트로 유입되는 고압 가스의 압력을 감압하여 외부로 공급한다.
이러한 감압 밸브로서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압 밸브가 있다. 이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압 밸브의 개폐 밸브(포핏)는, 가변 스로틀부를 갖고 있고, 상기 1차 포트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상기 가변 스로틀부에서 좁아지는 유로를 통과시킴으로써 수소 가스가 급격하게 감압되어 2차 포트로 보내진다.
즉, 수소 가스가 흐르는 유로는 가변 스로틀부의 직전의 부분에서 급격하게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변 스로틀부의 가장 유로가 좁은 부분의 하류에서는, 급격하게 유로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가변 스로틀부에 접속되어 유로 단면적이 변화되는 부분에서는, 수소 가스가 급격하게 압축되거나, 및 급격하게 팽창된다고 하는 변화를 각각 일으킨다. 이로 인해, 종래, 팽창되는 부분에서는, 이음의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난류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6053호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난류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밸브 시트의 하류 단부에 유체 정류부를 설치하여, 밸브 시트와 포핏 밸브를 통과하여 유체에 발생하는 난류(와류)를 정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60531호에서는, 밸브 시트의 하류 단부에 유체 정류부를 형성하는 부품을 별체 또는 일체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부품 개수의 증대, 조립 공정수의 증가, 혹은 유체 정류부를 형성하므로 가공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6053호에서는, 난류가 발생한 후, 그 난류를 유체 정류부에서 정류하고 있으므로, 난류 자체의 억제로는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난류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여, 난류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감압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감압 밸브는, 하우징에 설치됨과 함께 유체가 도입되는 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감압실이며, 상기 밸브실과의 사이에 설치된 밸브 시트의 밸브 구멍을 통해 상기 밸브실과 연통하는 감압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대해 착좌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가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체를 상기 밸브 구멍을 통해 상기 감압실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착좌하는 1단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는, 밸브 개방시에, 상기 밸브체의 상기 1단 테이퍼부와의 사이의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감하는 제1 영역과,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로 높이가 일정함과 함께 밸브 폐쇄시에는 그 전체 영역이 상기 1단 테이퍼부에 접촉하는 제2 영역과,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로 높이가 상기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증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유통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로의 급격한 축소가 행해지는 제1 영역과, 유로의 급격한 확대가 행해지는 제3 영역 사이에, 유로 높이가 일정, 즉, 유로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팽창시에 난류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밸브 폐쇄시에는, 밸브체의 1단 테이퍼부와 밸브 구멍의 제2 영역이 면 접촉함으로써, 밸브체의 자세가 안정되고, 유로의 불균일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유로의 불균일에 의해 난류가 발생하는 일은 없고, 이음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종래는, 밸브 폐쇄시에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대해 면 접촉하지 않으므로, 밸브체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밸브 폐쇄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난류가 발생하여, 이음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밸브 시트는,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 제2 영역은 밸브체가 면 접촉할 때, 탄성 변형된 상태로 되어, 확실하게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난류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여, 난류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장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현저성은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감압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 형태의 밸브 시트와 밸브체의 개략 단면도.
도 5의 좌반부는 비교예의 밸브 시트의 밸브 구멍을 수소 가스가 통과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밸브 시트와 밸브체의 개략 한쪽 단면도, 우반부는 일 실시 형태의 밸브 시트의 밸브 구멍을 수소 가스가 통과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한쪽 단면도.
도 6은 비교예의 감압 밸브의 밸브 시트와 밸브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고압의 수소 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밸브에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압 밸브(10)는, 도시하지 않은 1차 포트와 2차 포트 사이를 접속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수용되는 밸브체(12), 밸브 시트(13),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 밸브 스템(15) 및 피스톤(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1∼제3 원통부(111∼113) 및 실린더(114)가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제3 원통부(111∼113) 및 실린더(114)의 내경은, 이 순서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원통부(111)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를 통해 고압 가스의 공급원(예를 들어, 수소 탱크)인 1차 포트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14)는, 도시하지 않은 인젝터를 통해 2차 포트와 접속되어 있다.
제1 원통부(111)에는, 제1 원통부(11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금속제의 밸브체(12)가 수용되어 있다. 제1 원통부(111)는 밸브실에 상당한다. 밸브체(12)는 제1 원통부(111) 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밸브 스프링(71)에 의해 상방을 향해 상시 가압되고 있다.
밸브체(12)는, 포핏형 밸브이며, 원기둥 형상의 밸브체 본체부(21)와, 밸브체 본체부(21)의 상부에 연속하여 상기 밸브체 본체부(21)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는 밸브체 선단부(22)와, 밸브체 본체부(21)와 밸브체 선단부(22) 사이에 형성된 1단 테이퍼부(23)를 갖는다. 1단 테이퍼부(23)는 밸브체 본체부(21)와 밸브체 선단부(22) 사이에 있어서, 밸브체 선단부(22)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서서히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고, 가변 스로틀부를 구성하고 있다. 1단 테이퍼부(23)의 테이퍼면의 테이퍼각은 2β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각 2β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밸브체 선단부(22)는, 제2 원통부(112)를 통과하여 제3 원통부(113) 내에 침입하고 있다. 즉, 밸브체 선단부(22)는 후술하는 밸브 구멍(31) 내를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원통부(112)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 형상의 밸브 시트(13)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경질 수지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베스펠(등록 상표: 듀퐁사)이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밸브 시트(13)의 두께(상하 방향 길이)는, 제2 원통부(112)의 깊이(상하 방향 길이)보다도 약간 두껍게(길게)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13)의 밸브 구멍(3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소 가스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차례로, 제1 영역(33), 제2 영역(34), 제3 영역(35) 및 제4 영역(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밸브 구멍(31)의 확대도이며, 일부의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제1 영역(33)은,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의 테이퍼각 2β보다도 큰 테이퍼각 2α의 테이퍼면을 갖고 있다. 이 결과, 밸브체(12)가 밸브 개방되었을 때에 있어서, 제1 영역(33)과 1단 테이퍼부(23)가 형성하는 유로의 유로 높이는, 상기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로 높이는, 밸브 구멍(31)의 내주면에 대해 직교하는 선이, 대향하는 1단 테이퍼부(23)에 도달할 때까지의 밸브 구멍(3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상기 선의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영역(34)은, 제1 영역(33)의 테이퍼각보다도 작은 테이퍼각 2β(<2α)의 테이퍼면을 갖고 있다.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의 테이퍼각은, 1단 테이퍼부(23)와 동일한 테이퍼각 2β이므로, 밸브체(12)의 밸브 폐쇄시에 제2 영역(34)은 그 전체 영역에 있어서, 1단 테이퍼부(23)의 일부의 면이 접촉 가능하다. 따라서, 밸브체(12)가 밸브 개방되었을 때에 있어서, 제2 영역(34)과 1단 테이퍼부(23)가 형성하는 유로의 유로 높이는, 밸브 개방량(즉, 밸브 폐쇄 상태로부터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밸브체 이동량)에 따른 수치로 됨과 함께, 그 전체 영역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시트(13)가,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영역(34)에 1단 테이퍼부(23)가 접촉하였을 때, 제2 영역(34)은 1단 테이퍼부(23)의 압박력에 따라서 압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의해,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밸브체(12)의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한다.
제3 영역(35) 및 제4 영역(36)은, 모두 동축 및 동일한 직경의 단면 원 형상의 내주면을 갖고 있고, 밸브체 선단부(2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제3 영역(35) 및 제4 영역(36)은, 밸브체(12)의 밸브 개방량에 따라서 그 상하 길이가 가변하는 영역이다. 즉, 밸브체(12)가 밸브 폐쇄시에는, 제3 영역(35)은 도 4에 있어서, 상하 방향 길이가 최대로 되고, 반대로 제4 영역(36)의 상하 방향 길이는 최소로 된다. 또한, 밸브 개방량이 최대인 밸브 개방 상태에서는, 제3 영역(35)은, 도 4에 있어서 상하 방향 길이가 최소로 되고, 반대로 제4 영역(36)은 최대로 된다.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의 선단부는, 밸브 폐쇄시에는, 밸브 구멍(31)에 있어서, 상기 단면 원 형상이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내주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에 배치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개방시에는, 제3 영역(35)과 1단 테이퍼부(23)가 형성하는 유로의 유로 높이가, 상기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증하도록 밸브체(12)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4 영역(36)에서는, 제4 영역(36)과 밸브체 선단부(2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유로 높이는, 제4 영역의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원통부(113)의 내벽에는, 나사 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원통부(113)에는, 외면에 나사산(14a)이 형성된 원통의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저면은, 밸브 시트(13)의 상면과 접촉한다.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나사 삽입에 수반하여, 밸브 시트(13)는 하방을 향해 압박된다. 따라서, 밸브 시트(13)는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와 제2 원통부(112)의 저부 사이에서 끼움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2 원통부(112)의 저부와 밸브 시트(13) 사이의 기밀이 확보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13)는 밸브 스프링(71)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밸브체(12)와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34)과 1단 테이퍼부(23)가 접촉하여, 이들 양자간의 기밀이 확보된다.
또한,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내부,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1)은 밸브 시트(13)의 밸브 구멍(31)과 연속한다. 이에 의해, 밸브체 선단부(22)는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 내에 침입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부(42)의 외형은, 육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42)는, 장착 공구에 상당하는 도시하지 않은 육각 소켓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는 상부(42)와 결합되는 도시하지 않은 육각 소켓을 통해 회전됨으로써, 제3 원통부(113)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부(42)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유로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유로 구멍(43)은, 동일한 각도 간격(여기서는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유로 구멍(43)은 상부(42)의 코너부(42a)를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42)의 코너부(42a)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육각 소켓과의 결합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41)과 실린더(114) 사이는, 4개의 유로 구멍(4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은 요철이 없는 균일면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두께(상하 방향 길이)는, 제3 원통부(113)의 깊이(상하 방향 길이)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부(42)는 실린더(114) 내에 침입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41)에는, 금속제의 밸브 스템(15)이 수용되어 있다. 밸브 스템(15)은, 원뿔대 형상의 밸브 스템 하단부(51)와, 그 상측에 연속되는 밸브 스템 본체부(52)와, 또한 그 상측에 연속되는 원기둥 형상의 밸브 스템 상단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스템(15)은, 밸브 스템 하단부(51)가 관통 구멍(41)에 침입하고 있는 밸브체 선단부(22)와 접촉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스템 본체부(52)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블레이드(52a)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블레이드(52a)는 동일한 각도 간격(여기서는 90°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블레이드(52a) 및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인 4개의 공간은, 유로(18)로서 기능한다.
도 1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단 테이퍼부(23)가 제2 영역(34)과 접촉한 밸브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밸브 스템 상단부(53)는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실린더(114) 내에 침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14)에는, 피스톤(16)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16)은 금속 재료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14)의 내벽과 피스톤(16) 사이에는 각종 시일 부재(80)가 개재되어 있고, 시일 부재(80)에 의해, 실린더(114)의 내벽과 피스톤(16) 사이의 기밀이 확보되어 있다. 실린더(114) 내는, 피스톤(16)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피스톤(16)의 상방에 설치되는 공간은 압력 조정실(91)로 되고, 피스톤(16)의 하방에 설치되는 공간은 감압실(92)로 되어 있다.
피스톤(16)은, 그 내부에 수용된 피스톤 스프링(72)에 의해 하방을 향해 상시 가압되고 있다.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은, 밸브 스프링(71)의 가압력보다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은, 밸브 스템 상단부(53)와 상시 접촉한다. 또한,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은, 요철이 없는 균일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은 그 직경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피스톤(16)의 하방으로 변위는, 하단부면(61)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과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과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이 접촉하는 상태에 있을 때, 1단 테이퍼부(23)와, 제2 영역(34)이 이격되어 있다. 즉, 밸브체(12)는 밸브 개방량이 최대인 완전 개방으로 된다.
또한, 상술한 밸브체(12)가 완전 개방의 밸브 개방 상태로부터, 피스톤(16)이 상방으로 변위됨에 따라, 1단 테이퍼부(23)와 제2 영역(34)이 근접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과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이 이격된 상태에 있을 때, 1단 테이퍼부(23)와 제2 영역(34)이 접촉한다. 이에 의해, 밸브체(12)가 밸브 폐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감압 밸브(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피스톤(16)에는, 압력 조정실(91)로부터 감압실(92)을 향하는 방향으로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16)에는, 감압실(92)로부터 압력 조정실(91)을 향하는 방향으로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보다도 작은 가압력을 갖는 밸브 스프링(71)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피스톤(16)은, 밸브체(12)가 완전 개방으로 되는 위치, 즉,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이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과 접촉하는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설명을 개시한다.
먼저, 개략적으로, 감압 밸브(10)에 있어서의 가스의 흐름 및 밸브체(12), 피스톤(16)의 작동을 설명한다. 고압 가스가 감압 밸브(10)에 공급되면, 당해 고압 가스는, 제1 원통부(111)(밸브실), 완전 개방된 밸브체(12),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내부[정확하게는 관통 구멍(41)], 및 유로 구멍(43)을 통해 감압실(92)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감압되어, 2차 포트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16)은 감압실(92)에 도입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감압실(92)로부터 압력 조정실(91)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즉, 피스톤(16)은 가스의 압력에 의한 압박력 및 밸브 스프링(71)의 가압력의 총합과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의 대소 관계에 의해 변위된다.
상세하게는, 가스의 압력에 의한 압박력 및 밸브 스프링(71)의 가압력의 총합보다도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피스톤(16)은 상방[압력 조정실(91)측]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밸브 스템(15) 및 밸브체(12)가 상방으로 변위되어, 도 4에 도시하는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가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에 접촉하여 밸브체(12)가 밸브 폐쇄된다.
이 밸브 폐쇄시에는,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의 테이퍼면이,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에 면 접촉하므로, 센터링하기 쉬워진다. 도 6은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6의 비교예에서는 제2 영역(34)이 생략되고, 제1 영역(33)의 하류에 제3 영역(35), 제4 영역(36)이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에서는, 1단 테이퍼부(23)의 테이퍼각 2β가, 제1 영역(33)의 테이퍼각 2α보다도 작으므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폐쇄시에는, 1단 테이퍼부(23)는 제1 영역(33)과 제3 영역(35)의 능선에서 선 접촉으로 된다. 이 결과, 비교예에서는, 이 선 접촉에 의해, 밸브체(12)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12)와 밸브 시트(13)는 면 접촉으로 되므로, 밸브체(12)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밸브 시트(13)가,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영역(34)에 1단 테이퍼부(23)가 접촉하였을 때, 제2 영역(34)은 1단 테이퍼부(23)의 압박력에 따라서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밸브체(12)의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한다.
한편, 가스의 압력에 의한 압박력 및 밸브 스프링(71)의 가압력의 총합보다도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이 큰 경우에는, 피스톤(16)은 하방[감압실(92)측]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밸브 스템(15) 및 밸브체(12)가 하방으로 변위되어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으로부터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가 이격되어 밸브체(12)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밸브체(12)가 밸브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밸브체(12)와 밸브 구멍(31) 사이의 유로에서의 가스의 유통 상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의 우반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12)가 밸브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스는,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와 제1 영역(33)의 양 테이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한다. 이 유로에서는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감하므로, 가스는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가스는,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와 제2 영역(34)의 양 테이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한다. 이 유로에서는, 유로 높이가 제2 영역(34)의 전체 영역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유로에서는 가스는 동일한 압축 상태가 유지되어, 즉, 가스에 난류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 상태에서 하류의 제3 영역(35)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압축된 가스는,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와 제3 영역(35)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들어간다. 이 유로는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증한다. 이로 인해, 이 유로에 들어간 가스는 팽창되어, 제4 영역(36)과 밸브체 선단부(2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이동한다.
도 5의 좌반부는,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비교예(좌반부)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5의 비교예에서는, 제2 영역(34)이 생략되고, 제1 영역(33)의 하류에 제3 영역(35), 제4 영역(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밸브 개방되어 있는 경우, 제1 영역(33)과 1단 테이퍼부(23) 사이의 유로에서 압축된 가스가, 제3 영역(35)과 1단 테이퍼부(23) 사이의 유로에서 단숨에 팽창되므로, 난류가 발생하고, 이 난류에 의해 이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로 되돌아가, 가스의 감압 밸브(10)로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 가스의 압력에 의한 압박력 및 밸브 스프링(71)의 가압력의 총합보다도 피스톤 스프링(72)의 가압력이 커지므로, 피스톤(16)은 하방[감압실(92)측]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당해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과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이 접촉한다. 이들 피스톤(16)의 하단부면(61) 및 밸브 시트 고정 부재(14)의 상단부면(45)은 모두 균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접촉은, 면끼리가 충돌하는 이른바 면 접촉으로 된다. 면 접촉으로 됨으로써 접촉의 충격은, 면 전체에 분산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가 얻어진다.
(1) 본 실시 형태의 감압 밸브(10)에서는, 밸브체(12)는, 밸브 구멍(31)의 내주면에 착좌하는 1단 테이퍼부(23)를 갖는다. 또한, 밸브 구멍(31)의 내주면에는, 제1 영역(33), 제2 영역(34), 제3 영역(35)이 상기 유체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영역(33)은, 밸브 개방시에,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와의 사이의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영역(34)은 밸브 개방시에 유로 높이가 일정함과 함께 밸브 폐쇄시에는 그 전체 영역이 상기 1단 테이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영역(35)은, 밸브 개방시에,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난류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여, 난류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밸브 폐쇄시에는, 밸브체(12)의 1단 테이퍼부(23)의 테이퍼면이,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에 면 접촉하므로, 센터링을 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밸브 폐쇄시의 밸브체(12)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음과 함께, 밸브 개방 직후에 있어서의 유로의 불균일도 발생하는 일이 없어, 난류에 의해 이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진다.
(2) 본 실시 형태의 감압 밸브(10)에서는, 밸브 시트(13)는,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브 폐쇄시에 제2 영역(34)에 1단 테이퍼부(23)가 접촉하였을 때, 제2 영역(34)은 1단 테이퍼부(23)의 압박력에 따라서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의해,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밸브체(12)의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를 포핏형으로 하였지만, 니들 밸브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감압 밸브가 감압하는 가스는 수소였지만, 예를 들어 산소나 질소 등의 수소 이외의 기체여도 된다. 또한 가스를 구성하는 원소는, 단일의 기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감압되는 가스는, 복수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체 이외의 유체, 예를 들어 증기, 혹은 물, 오일 등의 액체로 해도 된다.

Claims (3)

  1. 하우징에 설치됨과 함께 유체가 도입되는 밸브실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감압실이며, 상기 밸브실과 상기 감압실 사이에 설치된 밸브 시트의 밸브 구멍을 통해 상기 밸브실과 연통하는 감압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대해 착좌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가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체를 상기 밸브 구멍을 통해 상기 감압실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 착좌하는 1단 테이퍼부(23)를 갖고,
    상기 밸브 구멍의 내주면에는, 밸브 개방시에, 상기 밸브체의 상기 1단 테이퍼부와의 사이의 유로 높이가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감하는 제1 영역(33)과,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로 높이가 일정함과 함께 밸브 폐쇄시에는 그 전체 영역이 상기 1단 테이퍼부에 접촉하는 제2 영역(34)과,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로 높이가 상기 유통 방향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증하는 제3 영역(35)을 포함하도록, 상기 유통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감압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단 테이퍼부(23)의 테이퍼각과, 상기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의 테이퍼각은 동등하고,
    상기 제2 영역(34)의 테이퍼면의 테이퍼각은, 상기 제1 영역(33)의 테이퍼면의 테이퍼각보다도 작은, 감압 밸브.
KR1020150148521A 2014-10-27 2015-10-26 감압 밸브 KR10244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8497 2014-10-27
JP2014218497A JP6450562B2 (ja) 2014-10-27 2014-10-27 減圧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90A true KR20160049490A (ko) 2016-05-09
KR102445153B1 KR102445153B1 (ko) 2022-09-21

Family

ID=5436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21A KR102445153B1 (ko) 2014-10-27 2015-10-26 감압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10327B2 (ko)
EP (1) EP3015942B1 (ko)
JP (1) JP6450562B2 (ko)
KR (1) KR102445153B1 (ko)
CN (1) CN105546208B (ko)
CA (1) CA29104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0946A (ja) * 2015-04-09 2016-12-01 愛三工業株式会社 減圧弁
LU93113B1 (en) * 2016-06-17 2018-01-23 Luxembourg Patent Co Gas regulator with noise reducing element
JP6769840B2 (ja) 2016-11-15 2020-10-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圧弁装置
JP6904858B2 (ja) 2017-09-04 2021-07-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圧弁
CN107918709B (zh) * 2017-11-17 2021-02-02 浙江工业大学 一种多相混输泵用单向阀暂态开启高度的预测方法
IT201800001758A1 (it) * 2018-01-24 2019-07-24 Rubinetteria Malgorani Pietro S R L Dispositivo riduttore di pressione
JP7113652B2 (ja) * 2018-04-16 2022-08-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圧弁
CN113454327B (zh) * 2019-02-20 2023-06-06 皮尔伯格有限责任公司 用于燃料截止阀的限流装置
JP2021001634A (ja) * 2019-06-20 2021-01-07 三桜工業株式会社 管継手、及び管継手セット
KR102230582B1 (ko) * 2020-03-13 2021-03-22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CN113700878B (zh) * 2021-09-01 2024-05-03 致微(厦门)仪器有限公司 一种逸气阀及其用途
EP4270141A1 (de) * 2022-04-28 2023-11-01 Robert Bosch GmbH Druckminderungsventil, wasserstofftank und kraftfahrzeug
WO2024085867A1 (en) * 2022-10-19 2024-04-25 Aerojet Rocketdyne, Inc. Pressure-reducing val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543A (ja) * 2004-11-29 2006-07-06 Jtekt Corp 高圧ガス用弁装置
JP2008291928A (ja) * 2007-05-25 2008-12-04 Saginomiya Seisakusho Inc ニードル弁及びこのニードル弁を有する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4115820A (ja) * 2012-12-10 2014-06-26 Jtekt Corp 減圧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5427A (en) * 1966-08-30 1968-12-10 United Steel Companies Ltd Nozzle and stopper assemblies for teeming liquid metal
PL158724B1 (pl) * 1988-10-20 1992-09-30 Politechnika Wroclawska Jednostopniowy zawór maksymalny PL
JP4575141B2 (ja) * 2004-12-27 2010-11-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高圧ガス用減圧弁
JP4895881B2 (ja) 2007-03-22 2012-03-14 日東工器株式会社 高圧流体用管継手部材
JP5040826B2 (ja) * 2008-06-17 2012-10-0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弁装置
JP2011108057A (ja) * 2009-11-19 2011-06-02 Jtekt Corp 減圧弁
JP5840987B2 (ja) 2012-03-15 2016-01-06 Kyb株式会社 制御バルブ
US9606549B2 (en) 2012-03-15 2017-03-28 Kyb Corporation Poppet valve
JP2013254253A (ja) 2012-06-05 2013-12-19 Nippon Soken Inc 調圧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543A (ja) * 2004-11-29 2006-07-06 Jtekt Corp 高圧ガス用弁装置
JP2008291928A (ja) * 2007-05-25 2008-12-04 Saginomiya Seisakusho Inc ニードル弁及びこのニードル弁を有する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4115820A (ja) * 2012-12-10 2014-06-26 Jtekt Corp 減圧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5942A2 (en) 2016-05-04
US9810327B2 (en) 2017-11-07
CN105546208A (zh) 2016-05-04
EP3015942B1 (en) 2019-11-27
CA2910442C (en) 2021-05-04
CN105546208B (zh) 2019-07-09
KR102445153B1 (ko) 2022-09-21
JP6450562B2 (ja) 2019-01-09
CA2910442A1 (en) 2016-04-27
US20160118676A1 (en) 2016-04-28
JP2016085627A (ja) 2016-05-19
EP3015942A3 (en)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9490A (ko) 감압 밸브
US9678514B2 (en) Double port pressure regulator with floating seat
EP3215769B1 (en) Self-aligning valve seal
KR102342755B1 (ko) 밸브 장치
EP2162657B1 (en) High-pressure valve
EP2741163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CN103097785A (zh) 用于流体阀的阀座装置
US9194501B2 (en) Pressure balanced spring loaded overtravel sealing apparatus
KR101163775B1 (ko) 유체 제어기
US20150001432A1 (en) Device for sealing a valve
US20200370664A1 (en) Valve device and fluid control device
JP6162728B2 (ja) 弁組立体内の傾斜嵌合面
US20170102087A1 (en) Control Assembly for a Valve
CN218598904U (zh) 一种气体减压阀
KR102229684B1 (ko) 엘피지 용기용 밸브
CN218564495U (zh) 一种压力控制阀
CN218063546U (zh) 一种压力控制阀
JP2017051882A (ja) フィルタ取付け構造および圧力調整弁
JP6580458B2 (ja) 減圧弁
JP2022077895A (ja) 減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