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582B1 -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582B1
KR102230582B1 KR1020200031390A KR20200031390A KR102230582B1 KR 102230582 B1 KR102230582 B1 KR 102230582B1 KR 1020200031390 A KR1020200031390 A KR 1020200031390A KR 20200031390 A KR20200031390 A KR 20200031390A KR 102230582 B1 KR102230582 B1 KR 10223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der
solenoid
valve body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김정태
이지용
이승범
정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20003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를 개폐하는 부품 사이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차단 성능을 유지하여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되, 상기 밸브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홀더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홀더의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1홀더와의 사이에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된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 시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원추형 돌기가 형성된 밸브체와, 상기 제2홀더의 타단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원추형 홈이 형성된 밸브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FOR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로를 개폐하는 부품 사이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차단 성능을 유지하여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차량(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은 내연기관을 대신하여 연료전지가 적용된 차량으로서, 수소와 산소의 반응으로 생성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의 연료전지차량은, 수소가 저장되는 수소탱크, 수소와 산소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 생성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장치, 스택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생산된 전기를 변환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전지차량의 연료인 수소는 충전 및 방전유로를 따라 저장탱크에 저장된 후 스택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수소탱크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수소는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된 후 스택으로 공급된다.
한편, 연료를 스택으로 이송하는 방전유로 상에는 제어기를 통해 인가된 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방전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함과 동시에 스택으로 이송되는 수소의 역류를 방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017254호(2020.02.18.)를 참조하여 종래의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공급포트가 형성된 제1홀더와, 상기 공급포트와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제2홀더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유로를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하는 플런저와, 상기 유로를 통해 이송된 연료를 배출하는 제어포트가 형성된 캡과, 상기 플런저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를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 시 상기 밸브체가 상기 제2홀더에 이격 또는 접촉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조로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제2홀더의 중심이 다소 어긋날 경우 상기 유로의 차단 성능이 저하되어, 상기 밸브체와 상기 제2홀더 사이로 연료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017254호(2020.02.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를 개폐하는 부품 사이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차단 성능을 유지하여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 중 상기 밸브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홀더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홀더의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1홀더와의 사이에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된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 시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원추형 돌기가 형성된 밸브체와, 상기 제2홀더의 타단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원추형 홈이 형성된 밸브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밸브체가 밸브 시트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원추형 돌기가 원추형 홈에 접촉할 경우 밸브 시트를 유동시킴으로써 밸브체와 중심이 일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로를 개폐하는 부품, 즉 밸브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유로의 차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중심 보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연료 배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이하, '솔레노이드 밸브'라 함)는, 연료를 스택으로 이송하는 방전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택(미도시)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100)와,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밸브(10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200)로 이루어진다.
밸브(100)는, 연료의 이송을 위한 포트 및 유로가 형성된 홀더(110~130)와, 솔레노이드(200)의 작동에 따라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플런저(140), 밸브체(150), 볼 밸브(160) 및 밸브 시트(170)와, 과도한 누설이 발생할 경우 그 보조 밸브체(180)로 구성된다.
홀더(110~130)는, 제1홀더(110)와, 제1홀더(11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제2홀더(120)와, 제2홀더(120)의 하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3홀더(130)로 이루어진다.
제1홀더(110)는 일 방향(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다.
제1홀더(110)의 중단 둘레에는 솔레노이드(20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112)가 형성된다. 즉, 플랜지(112)를 기준으로 제1홀더(110)의 상부는 솔레노이드(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홀더(110)의 하부는 솔레노이드(2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제1홀더(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코어(240)와 제2홀더(120)가 각각 결합된다. 코어(240)와 제2홀더(120)에 의해 형성된 제1홀더(110)의 내부, 즉 제1작동공간(114)에는 플런저(1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홀더(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되, 제1홀더(110)보다 직경이 작고 길이가 짧은 파이프 형상이다.
제2홀더(120)는 제1홀더(11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되 플랜지(122)가 형성된 하단은 제1홀더(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제1홀더(110)의 하단과 제2홀더(120)의 하단 사이에는 공급포트(P1)가 형성된다. 또한, 제1홀더(110)의 내주면과 제2홀더(120)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급포트(P1)와 연결된 공급유로(F1)가 형성된다.
제2홀더(120)의 내부에는 공급유로(F1)와 연결되는 배출유로(F2)가 형성된다. 배출유로(F2)의 상단에는 장착홈(124)이 형성되고, 장착홈(124)에는 밸브 시트(170)가 설치된다. 또한, 배출유로(F2)의 하단에는 제3작동공간(126)이 형성되며, 제3작동공간(126)에는 보조 밸브체(180) 및 스프링(S2)가 설치된다.
제3홀더(1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판 형상이다.
제3홀더(130)는 제2홀더(120)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3작동공간(126)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다. 이때, 제3홀더(130)의 중앙에는 제3작동공간(126)과 연결되는 제어포트(P2)가 형성된다.
플런저(1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되, 제1홀더(110)보다 직경이 작고 길이가 짧은 원기둥 형상이며, 코어(240)와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S1)에 의해 하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플런저(140)의 하부 내측에는 제2작동공간(142)이 형성되고, 제2작동공간(142)에는 밸브체(150) 및 볼 밸브(160)가 설치된다. 또한, 플런저(140)의 일측에는 공급유로(F1)와 연결된 보조유로(F3)가 형성된다.
보조유로(F3)는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어 공급유로(F1)를 따라 이송된 연료를 분산 공급한다. 즉, 보조유로(F3)는 공급유로(F1)의 연료를 플런저(140)에 의해 구획된 제1작동공간(114)의 상부 및 플런저(140)의 내부에 형성된 제2작동공간(142)으로 분산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유로(F1)의 연료를 분산하여 공급할 경우 공급유로(F1), 제1작동공간(114)의 상부 및 제2작동공간(142)이 압력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플런저(140)와 밸브체(150)의 작동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체(1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다단의 원기둥 형상이다.
밸브체(150)의 하단에는 원추형 돌기(152)가 형성된다. 원추형 돌기(152)는 밸브체(150)의 이동(하강) 시 밸브 시트(170)의 원추형 홈(172)에 접촉되며, 그 과정에서 밸브 시트(170)를 상하 또는/및 좌우로 유동시킴으로써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의 중심이 일치할 경우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배출유로(F2)의 차단 성능이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밸브체(150)는 제2작동공간(14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작동공간(142)의 하단에는 밸브체(15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와셔(144)가 마련된다.
한편, 밸브체(150)의 내부에는 배출유로(F2) 및 보조유로(F3)와 연결되는 보조배출유로(F4)가 형성된다.
볼 밸브(160)는 밸브체(150)의 이동 시 보조배출유로(F4)를 개폐하는 밸브이다. 이러한 볼 밸브(160)는 플런저(140)의 제2작동공간(142), 좀 더 상세하게는 밸브체(150)의 상부에 구비된다.
밸브 시트(1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판 형상이다.
밸브 시트(170)의 상면에는 밸브체(150)의 원추형 돌기(152)와 대응되는 원추형 홈(17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추형 홈(172)은 밸브체(150)의 이동(하강) 시 원추형 돌기(152)가 접촉되며, 그 과정에서 밸브 시트(170)를 상하 또는/및 좌우로 유동시킴으로써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원추형 홈(172)의 내주면은 원추형 돌기(152)의 외주면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밸브체(150)의 하강 시 원추형 돌기(152)와 원추형 홈(172)이 선접촉되게 함으로써 배출유로(F2)를 밀폐시킨다.
제2홀더(120)의 장착홈(124)은 밸브 시트(170)가 상하 또는/및 좌우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밸브 시트(170)보다 상하 및 좌우로 크게 형성된다. 즉, 장착홈(124)과 밸브 시트(170)와 사이에는 밸브 시트(170)의 유동을 위한 간극(C1,C2)이 형성된다.
한편, 장착홈(124)의 바닥에는 밸브체(150)와의 비접촉 시 밸브 시트(170)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제1탄성링(R1)이 구비된다. 또한, 장착홈(124)의 개구부에는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시트(17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링(R2)이 구비된다.
보조 밸브체(180)는 제2홀더(120)의 내부, 즉 제3작동공간(126)에 설치되어 배출유로(F2)를 통해 과도한 누설이 발생할 경우 그 누설량을 최소화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때, 보조 밸브체(180)는 제3작동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S2)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보조 밸브체(180)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파이프 형상이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하단에는 스프링(S2)이 끼워진다. 보조 밸브체(180)의 내부에는 배출유로(F2)와 연결된 토출유로(F5)가 형성된다.
토출유로(F5)는 배출유로(F2)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인데, 이는 배출유로(F2)를 통해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해 보조 밸브체(180)가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조 밸브체(180)의 하단에는 토출유로(F5)와 연결된 복수의 토출공(182,184)가 형성된다. 토출공(182,184)은 토출유로(F5)를 통해 이송된 연료를 토출하는 부분으로서, 제2작동공간(126)을 통해 제어포트(P2)로 토출하거나 제어포트(P2)로 직접 토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출공(182,184)은, 보조 밸브체(180)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제1토출공(182)과, 보조 밸브체(18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제2토출공(184)로 구성된다. 이때, 제1토출공(182)은 제2토출공(184)에 비해 다수로 구성되고, 제2토출공(184)는 제1토출공(18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솔레노이드(200)를 살펴보면,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보빈(220)과, 보빈(22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230)과, 제1홀더(110)의 상단에 결합된 코어(24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밀폐된 컵(cup) 형상이다.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상술한 부품(220~220)이 설치된다.
보빈(220)은 중공의 스풀(spool) 형상이다. 보빈(220)의 외주면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230)이 감긴다. 이러한 보빈(220)은 코일(230)과 코어(240) 사이, 코일(230)과 플런저(1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 록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코일(230)은, 전원이 인가될 경우 보빈(220)의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도선이며, 보빈(220)의 외주면에 촘촘하고 균일하게 감겨 원통 형상을 이룬다.
전원 인가 시 코일(23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코어(240)에 의해 유 도되어 플런저(140)를 상승시킨다. 이때,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보빈(220)에 감긴 코일(230)의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코일(230)에 강한 전류를 인가하거나 코일(230)을 많이 감을수록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플런저(140)의 이동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코어(240)는 코일(23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유도하는 고정철심이다. 코어(240)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은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흡인력에 의해 플런저(140)가 상승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중심 보정과정을 도시한다.
도 4의 (a)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배출유로(F2)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의 중심이 서로 어긋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도 1의 200)에 전원이 차단되면 밸브체(150)가 하강하며 밸브 시트(170)에 접촉된다. 즉, 원추형 돌기(152)가 원추형 홈(172)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밸브 시트(170)를 도면상 우측으로 유동시킴으로써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 사이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배출유로(F2) 의 차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연료 배출과정을 도시한다.
도 5의 (a)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다.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스프링(도 1의 S1)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도 2의 140)가 제2홀더(120) 측으로 하강하고, 그와 동시에 밸브체(150)가 밸브 시트(170)에 접촉하며 배출유로(F2)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료가 유입되거나 배출되지 않는다.
도 5의 (b)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이다.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도 1의 230)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코어(도 1의 240)에 의해 유도되어 플런저(140)를 상승시킨다. 이때, 공급유로(F1)와 보조유로(F3)를 통해 이송된 연료가 제2작동공간(142)에 충전되므로 밸브체(150)는 상승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플런저(140)가 상승하여 볼 밸브(160)가 밸브체(150)에서 이격되면, 밸브체(150)의 보조배출유로(F4)가 개방되며, 공급유로(F1)를 통해 이송된 연료가 보조유로(F3)와 보조배출유로(F4)를 거쳐 배출유로(F2)로 배출된다. 이때, 밸브체(150)는 밸브 시트(170)에 접촉하여 배출유로(F2)를 폐쇄한 상태이다.
도 5의 (c)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런저(140)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에서, 보조배출유로(F4)가 개방되어 공급유로(F1)와 배출유로(F2)가 압력평형을 이루게 되면 플런저(140)와 함께 밸브체(150)가 상승하며 밸브 시트(170)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공급유로(F1)의 연료는 밸브체(150)와 밸브 시트(170) 사이로 이송되어 배출유로(F2)로 배출된다. 배출유로(F2)를 통해 배출된 연료는 토출유로(F5), 토출공(182,184), 제3작동공간(126)을 거쳐 이송된 후 제어포트(F2)를 통해 스택(미도시)으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밸브 110: 제1홀더
120: 제2홀더 130: 제3홀더
140: 플런저 150: 밸브체
160: 볼 밸브 170: 밸브 시트
180: 보조 밸브체

Claims (5)

  1.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홀더;
    상기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홀더의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1홀더와의 사이에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된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홀더;
    상기 제1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 시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원추형 돌기가 형성된 밸브체; 및
    상기 제2홀더의 타단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추형 돌기와 대응되는 원추형 홈이 형성된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추형 돌기가 상기 원추형 홈에 접촉할 경우 상기 밸브체와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밸브 시트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2홀더의 타단에는 상기 밸브 시트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홈과 상기 밸브 시트 사이에는 상기 밸브 시트의 유동을 위한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바닥에는 상기 밸브체와의 비접촉 시 상기 밸브 시트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제1탄성링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의 개구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홈의 내주면은 상기 원추형 돌기의 외주면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원추형 돌기와 상기 원추형 홈이 선접촉을 함으로써 상기 배출유로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이송되어 스택으로 배출되는 연료의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보조 밸브체와, 상기 보조 밸브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200031390A 2020-03-13 2020-03-13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223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90A KR102230582B1 (ko) 2020-03-13 2020-03-13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90A KR102230582B1 (ko) 2020-03-13 2020-03-13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582B1 true KR102230582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390A KR102230582B1 (ko) 2020-03-13 2020-03-13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466A (ko)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파일럿 동작방식을 포함하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
KR20220165434A (ko)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002Y1 (ko) * 1998-12-24 2002-08-08 한전기공주식회사 전류의흐름을차단하는솔레노이드밸브의디스크
KR20050096951A (ko) * 2005-07-26 2005-10-06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분사 밸브
KR101517067B1 (ko) * 2013-12-20 2015-05-04 (주)현태엔지니어링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160031890A (ko) * 2014-09-15 2016-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소연료전지차량용 압력릴리프밸브
JP2016085627A (ja) * 2014-10-27 2016-05-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圧弁
KR20170079250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리프트 제어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JP2018009604A (ja) * 2016-07-12 2018-01-18 エスア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開閉弁
KR20200017254A (ko)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002Y1 (ko) * 1998-12-24 2002-08-08 한전기공주식회사 전류의흐름을차단하는솔레노이드밸브의디스크
KR20050096951A (ko) * 2005-07-26 2005-10-06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분사 밸브
KR101517067B1 (ko) * 2013-12-20 2015-05-04 (주)현태엔지니어링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160031890A (ko) * 2014-09-15 2016-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소연료전지차량용 압력릴리프밸브
JP2016085627A (ja) * 2014-10-27 2016-05-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圧弁
KR20170079250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리프트 제어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JP2018009604A (ja) * 2016-07-12 2018-01-18 エスア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開閉弁
KR20200017254A (ko)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466A (ko)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파일럿 동작방식을 포함하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
KR20220165434A (ko)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102490675B1 (ko) * 2021-06-08 2023-01-26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102504602B1 (ko) 2021-06-08 2023-03-02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파일럿 동작방식을 포함하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582B1 (ko)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30466B1 (ko)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JP5873451B2 (ja) 弁装置
CN103109069B (zh) 燃料气体供给填充系统
US6581904B2 (en) Solenoid valve
KR102149606B1 (ko)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US20080105309A1 (en) Valve Device For High-Pressure Gas
US20210033212A1 (en) Proportional valve for controlling a gaseous medium
CN103180645A (zh) 燃料电池系统的氢气供给装置
KR101652678B1 (ko) 가스 분사 밸브
US10260681B2 (en) Valve device
US10581094B2 (en) Fuel cell system
KR20130113427A (ko) 릴리프 밸브 및 연료 증기 밸브 조립체
US11028808B2 (en) Injector device
KR20210079260A (ko) 차단밸브가 적용된 레귤레이터
KR10208642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090152485A1 (en) Solenoid Valve Device
KR10237101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연료 공급 밸브
KR102040860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US20230358366A1 (en) Tank device for storing a gaseous medium, comprising a valve device
US20120080625A1 (en) Safety valve and electromagnetic valve
JP2010276004A (ja) ガス噴射装置および燃料供給システム
JPH05141565A (ja) 圧力制御機構を備えた電磁弁
KR101654752B1 (ko) 가스 분사 밸브
KR10249067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