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589A - 코일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코일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589A
KR20160046589A KR1020140142713A KR20140142713A KR20160046589A KR 20160046589 A KR20160046589 A KR 20160046589A KR 1020140142713 A KR1020140142713 A KR 1020140142713A KR 20140142713 A KR20140142713 A KR 20140142713A KR 20160046589 A KR20160046589 A KR 2016004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link
portions
coi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924B1 (ko
Inventor
이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9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54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쇼트빔부; 상기 쇼트빔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하측 종단부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져, 사이에 위치되는 코일과 맞물리는 한 쌍의 링크부들; 상기 링크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보조 링크부들; 및 각각 쇼트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걸쳐 상기 링크부의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코일용 리프터는 작업인원을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코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코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용 리프터{LIFTER FOR COILS}
본 발명은 코일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코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코일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철강 공정을 통해 생성된 강판은 권취되어 코일의 형태로 생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용 리프터(10)는 쇼트빔(11), 지지대(12), 와이어(13)들 및 후크(14)로 이루어지고, 팔레트 등에 위치된 코일(C)을 선박 등에 선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동가능한 쇼트빔(11)에는 와이어(13)들이 연결된다. 와이어(13)들은 쇼트빔(11)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대(12)에 연결된 상태에서 분기된다. 와이어(13)들 중 하나는 선박 등에 선적하고자 하는 코일(C)의 내경에 삽입되어 통과하고, 후크(14)를 통해 와이어(13)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이때, 코일(C)은 이동가능한 상태이다.
하지만, 종래의 코일용 리프터는 와이어를 코일의 내경에 삽입하는 과정 속에서 다수의 작업자들, 예를 들어 2명 내지 5명의 작업자들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다수의 작업자들이 작업에 투입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고, 다수의 작업자로 인한 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와이어가 코일의 내경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에 의한 코일의 내측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84089호(발명의 명칭: 롤 이송장치),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1994-0005286호(고안의 명칭: 롤필름 운반기), 및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1994-0010382호(고안의 명칭: 코일 리프터 제어장치) 등을 통해 코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작업인원을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코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코일용 리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쇼트빔부; 상기 쇼트빔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하측 종단부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져, 사이에 위치되는 코일과 맞물리는 한 쌍의 링크부들; 상기 링크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보조 링크부들; 및 각각 쇼트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걸쳐 상기 링크부의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상부 지지 프레임부;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부;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이동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의 하단 및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프레임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 탄성부를 신장시키며,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프레임 탄성부는 복원되어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보조 링크부는,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링크부를 연결하는 작용 링크부;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용 링크부에 힌지 결합된 보조 작용 링크부; 및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조 작용 링크부에 연결된 전달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전달 링크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작용 링크부 및 상기 보조 작용 링크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전달 링크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작용 링크부 및 상기 보조 작용 링크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보조 링크부는, 상기 링크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용 링크부의 종단과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쇼트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들은,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된 메인 링크부들; 각각 상기 메인 링크부의 일종단과 교차하여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하부 빔 링크부들; 각각 상기 메인 링크부의 타종단과 교차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상부 빙 링크부들; 및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상기 하부 빔 링크부들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에 삽입가능한 링크 걸림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 걸림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링크 걸림부들이 상기 코일의 내경에 삽입될 때, 상기 코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메인 링크부들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쇼트빔부는, 상기 쇼트빔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부들을 상측으로 당겼다가 해제하고, 상기 쇼트빔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링크부들은 상기 코일과 맞물리도록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고, 상기 보조 링크부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근접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링크부들은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면서 상기 맞물린 코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보조 링크부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는 쇼트빔부, 지지 프레임부, 링크부들, 보조 링크부들 및 와이어부들을 포함한다. 와이어부는 상측으로 당겨지면 링크부들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면서 지지 프레임부의 이동 지지 프레임부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보조 링크부를 지지 프레임부에 근접하게 한다. 특히, 코일이 링크부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링크부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링크부의 링크 걸림부가 코일의 내경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코일은 링크부들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코일용 리프터는 원하는 위치로 코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코일의 내경에 대한 링크 걸림부의 위치만을 확인하여 와이어부를 이용하여 링크부들 사이의 간격만을 감소시켜 코일을 파지할 수 있기에, 작업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인원이 안전사고에 노출된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는 작업인원을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코일을 운반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에서 링크부의 링크 걸림부만이 코일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코일과 접촉되는 부분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코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코일과 접촉되는 링크 걸림부의 외측면이 완충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기에, 링크 걸림부와 코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는 코일의 손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일용 리프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일용 리프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에 도시된 코일용 리프터(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일용 리프터(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리프터(100)는 쇼트빔부(110), 지지 프레임부(101), 링크부(102)들, 보조 링크부(103)들 및 와이어부(104)들을 포함하여, 코일(C)을 파지하여 코일(C)을 이동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여기서, 코일(C)은 강판이 감긴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비어 있는 내경이 형성된다.
쇼트빔부(110)는 이동가능한 구성이고, 지지 프레임부(101)는 와이퍼부(104)에 의해 쇼트빔부(11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101)는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 하부 지지 프레임부(113),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 및 프레임 탄성부(117)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는 쇼트빔부(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쇼트빔부(1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의 외측면에는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111a)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프레임부(113)는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는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와 하부 지지 프레임부(113)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이다.
프레임 탄성부(117)는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와 하부 지지 프레임부(113) 사이에 위치되고,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의 하단과 하부 지지 프레임부(113)의 상단에 결합된다. 프레임 탄성부(117)는 인장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와이어부(104)가 상측으로 당겨져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프레임 탄성부(117)는 신장되는 반면에, 와이어부(104)가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프레임 탄성부(117)는 복원되어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링크부(102)들은 지지 프레임부(10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하측 종단부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진다. 코일(C)은 링크부(102)들 사이에 위치되어 링크부(102)들과 맞물린다. 링크부(102)들은 와이어부(104)들에 연결되어 가위와 같이 작용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로 인해, 코일(C)은 링크부(102)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링크부(102)들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102)들은 메인 링크부(121)들, 하부 빔 링크부들(123), 상부 빔 링크부(125)들, 링크 걸림부(127)들 및 완충부(129)을 포함한다.
메인 링크부(121)들은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핀(121a)들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이로 인해, 메인 링크부(121)들은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메인 링크부(121)들이 회전할 때, 하부 빔 링크부들(123), 상부 빔 링크부(125)들 및 링크 걸림부(127)들 각각의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하부 빔 링크부(123)들은 각각 메인 링크부(121)의 일종단과 교차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하부 빔 링크부(123)들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이다. 하부 빔 링크부(123)들 사이에 코일(C)이 위치된다.
상부 빔 링크부(125)들은 각각 메인 링크부(121)의 타종단과 교차하여 상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부 빔 링크부(125)들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이다. 상부 빔 링크부(125)들은 각각 와이어부(104)에 연결되고, 와이어부(104)의 작용으로 인해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빔 링크부(125)들의 간격은 하부 빔 링크부(123)들의 간격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상부 빔 링크부(125)들의 간격이 증가하면 하부 빔 링크부(123)들의 간격도 증가하는 반면에, 상부 빔 링크부(125)들의 간격이 감소하면 하부 빔 링크부(123)들의 간격도 감소한다.
링크 걸림부(127)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하부 빔 링크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하부 빔 링크부(123)들 사이에 코일(C)이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빔 링크부(123)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링크 걸림부(127)들은 각각 코일(C)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링크 걸림부(127)들이 코일(C)의 내경에 삽입됨으로써, 링크부(102)들은 코일(C)과 맞물리게 된다. 이때, 코일(C)은 안정적으로 상측으로 이동가능하다.
완충부(129)는 링크 걸림부(127)에 결합되어 링크 걸림부(127)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링크 걸림부(127)가 코일(C)의 내경에 삽입될 때, 완충부(129)는 코일(C)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완충부(129)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기에, 링크 걸림부(127)에 의한 코일(C)의 내측면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조 링크부(103)들은 각각 지지 프레임부(101)와 링크부(102)를 연결하고, 링크부(102)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보조 링크부(103)는 작용 링크부(131), 보조 작용 링크부(133), 전달 링크부(135) 및 가이드 롤러부(137)를 포함한다.
작용 링크부(131)는 하부 지지 프레임부(113)와 링크부(102), 특히 상부 빔 링크부(123)를 연결한다.
보조 작용 링크부(133)는 하부 지지 프레이부(113)로부터 연장되어 작용 링크부(131)에 힌지 결합된다.
전달 링크부(135)는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로부터 연장되어 보조 작용 링크부(133)에 연결된다.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달 링크부(135)는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의 이동에 따른 힘을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전달 링크부(135)는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를 당겨 접는다. 즉,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는 지지 프레임부(101)에 근접하게 된다. 이때, 상부 빔 링크부(125)들의 간격이 감소한다. 한편,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전달 링크부(135)는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를 밀어 펼친다. 즉,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는 지지 프레임부(101)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부 빔 링크부(125)들의 간격이 증가한다.
가이드 롤러부(137)는 링크부(102), 특히 상부 빔 링크부(125)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작용 링크부(131)의 종단과 결합된다.
와이어부(104)는 쇼트빔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지지 프레임부(101), 특히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111a)에 걸쳐 링크부(102), 특히 상부 빔 링크부(125)의 상단에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부(104)는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111a)에 의해 방향전환된다. 또한, 와이어부(104)가 상측으로 당겨질 때,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의 상측 이동과 조합하여 링크부(102)들, 특히 하부 빔 링크부(123)들 및 상부 빔 링크부(125)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한편, 와이어부(104)가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될 때, 프레임 탄성부(117)의 작용에 따른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의 하측 이동과 조합하여 링크부(102)들, 특히 하부 빔 링크부(123)들 및 상부 빔 링크부(125)들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다.
한편, 쇼트빔부(110)의 상측에는 구동부(110a)가 설치된다. 구동부(110a)는 와이어부(104)를 당기는 데에 이용되고, 쇼트빔부(1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따라서, 구동부(110a)는 와이어부(104)를 상측으로 당겨 코일(C)을 사이에 둔 링크부(102)들의 링크 걸림부(127)들이 코일(C)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10a)는 쇼트빔부(1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일용 리프터(100)의 작용은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일(C)이 특정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부(110a)는 쇼트빔부(110)를 이동시켜 링크부(102)의 링크 걸림부(127)들이 코일(C)의 내경에 대응하여 위치되도록한다. 이어서, 구동부(110a)는 와이어부(104)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상부 지지 프레임부(111)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프레임 탄성부(117)는 신장되고, 이동 프레임부(115)에 연결된 전달 링크부(135)는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를 당겨 접는다. 동시에 와이어부(104)는 링크부(102)들의 상부 빔 링크부(125)들은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당겨진다. 상부 빔 링크부(125)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하부 빔 링크부(123)들 사이의 간격도 감소하여, 링크 걸림부(127)들은 코일(C)의 내경에 삽입된다. 즉, 코일(C)은 링크부(102)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부(110a)는 쇼트빔부(110)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링크부(102)에 의해 파지된 코일(C)을 이동시킬 수 있다.
코일(C)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부(110a)는 와이어부(104)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신장된 프레임 탄성부(117)는 복원되어 상부 이동 지지 프레임부(115)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프레임부(115)에 연결된 전달 링크부(135)는 보조 작용 링크부(133) 및 작용 링크부(131)를 밀어 펼친다. 동시에 와이어부(104)는 링크부(102)들의 상부 빔 링크부(125)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밀려진다. 상부 빔 링크부(125)들 사이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빔 링크부(123)들 사이의 간격도 증가하여, 링크 걸림부(127)들은 코일(C)의 내경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코일(C)은 링크부(10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코일용 리프터(100)는 새로운 코일(C)을 이송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코일용 리프터
101: 지지 프레임부
111: 상부 지지 프레임부
111a: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
113: 하부 지지 프레임부
115: 이동 지지 프레임부
117: 프레임 탄성부
102: 링크부
121: 메인 링크부
121a: 힌지핀
123: 하부 빔 링크부
125: 상부 빔 링크부
127: 링크 걸림부
129: 완충부
103: 보조 링크부
131: 작용 링크부
133: 보조 작용 링크부
135: 전달 링크부
137: 가이드 롤러부
104: 와이어부

Claims (10)

  1. 이동가능한 쇼트빔부;
    상기 쇼트빔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하측 종단부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져, 사이에 위치되는 코일과 맞물리는 한 쌍의 링크부들;
    상기 링크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보조 링크부들; 및
    각각 쇼트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걸쳐 상기 링크부의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상부 지지 프레임부;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부;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이동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의 하단 및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프레임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 탄성부를 신장시키며,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프레임 탄성부는 복원되어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링크부는,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링크부를 연결하는 작용 링크부;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용 링크부에 힌지 결합된 보조 작용 링크부; 및
    상기 이동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조 작용 링크부에 연결된 전달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전달 링크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작용 링크부 및 상기 보조 작용 링크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전달 링크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작용 링크부 및 상기 보조 작용 링크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링크부는,
    상기 링크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용 링크부의 종단과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쇼트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시이브부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들은,
    상호 간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된 메인 링크부들;
    각각 상기 메인 링크부의 일종단과 교차하여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하부 빔 링크부들;
    각각 상기 메인 링크부의 타종단과 교차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상부 빙 링크부들; 및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상기 하부 빔 링크부들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에 삽입가능한 링크 걸림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 걸림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링크 걸림부들이 상기 코일의 내경에 삽입될 때, 상기 코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링크부들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빔부는,
    상기 쇼트빔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부들을 상측으로 당겼다가 해제하고, 상기 쇼트빔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링크부들은 상기 코일과 맞물리도록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고, 상기 보조 링크부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근접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부들이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링크부들은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면서 상기 맞물린 코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보조 링크부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리프터.
KR1020140142713A 2014-10-21 2014-10-21 코일용 리프터 KR10163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13A KR101636924B1 (ko) 2014-10-21 2014-10-21 코일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13A KR101636924B1 (ko) 2014-10-21 2014-10-21 코일용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89A true KR20160046589A (ko) 2016-04-29
KR101636924B1 KR101636924B1 (ko) 2016-07-06

Family

ID=5591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713A KR101636924B1 (ko) 2014-10-21 2014-10-21 코일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981A (zh) * 2021-04-07 2021-07-06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热轧钢卷检测的悬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572U (ko) * 1975-03-16 1976-09-21
JPH0781868A (ja) * 1993-09-17 1995-03-28 Nittetsu Butsuryu Kk コイル吊り上げ装置
KR200239762Y1 (ko) * 2001-04-30 2001-10-12 연규석 운반용 클램프
CN203624824U (zh) * 2013-11-13 2014-06-04 重庆超金刀具制造有限公司 一种辊筒热处理转移装置夹持部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572U (ko) * 1975-03-16 1976-09-21
JPH0781868A (ja) * 1993-09-17 1995-03-28 Nittetsu Butsuryu Kk コイル吊り上げ装置
KR200239762Y1 (ko) * 2001-04-30 2001-10-12 연규석 운반용 클램프
CN203624824U (zh) * 2013-11-13 2014-06-04 重庆超金刀具制造有限公司 一种辊筒热处理转移装置夹持部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981A (zh) * 2021-04-07 2021-07-06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热轧钢卷检测的悬吊装置
CN113071981B (zh) * 2021-04-07 2022-05-13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热轧钢卷检测的悬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924B1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42B1 (ko) 보빈고정장치
KR101759214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의 반송 방법
KR101904191B1 (ko) 광 케이블 권취 장치
KR102351724B1 (ko)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
KR101636924B1 (ko) 코일용 리프터
CN104909202A (zh) 一种使用线缆的支撑装置
JP5943951B2 (ja) コイルの巻線方法及びその装置(巻線機)
CN102923532A (zh) 一种电缆绕线张力控制装置
KR101551287B1 (ko) 스트립의 스크래치 방지장치
KR20140006171U (ko) 전자석 바퀴를 구비한 슬라이드 장치를 갖춘 곤도라
JP2017149469A (ja) 結束バンド把持切断装置および結束バンド把持切断システム並びに結束バンド把持切断方法
CN217600087U (zh) 变压器绕组恒张力缓冲机构及变压器绕组生产设备
CN202944944U (zh) 电缆绕线张力控制装置
KR101529188B1 (ko) 차륜 고임 장치
JP6419459B2 (ja) ラップマシンのフィルム保持装置
WO2011076990A3 (en) Tu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e reels
KR101629277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중량운동장치
CN106583496A (zh) 钢丝绳放线张力架
JP2017030951A (ja) 自動テープ貼り付け方法及びユニット
JPH04146228A (ja) パッケージの解舒張力付与装置
JP6056626B2 (ja) X線透視撮影装置
JP2019139149A (ja) 天吊式スクリーン装置
CN114333581B (zh) 悬浮拉伸显示装置
JP5478766B1 (ja) キャスターストッパ
KR101732979B1 (ko) 스트립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