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762Y1 - 운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운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762Y1
KR200239762Y1 KR2020010012603U KR20010012603U KR200239762Y1 KR 200239762 Y1 KR200239762 Y1 KR 200239762Y1 KR 2020010012603 U KR2020010012603 U KR 2020010012603U KR 20010012603 U KR20010012603 U KR 20010012603U KR 200239762 Y1 KR200239762 Y1 KR 200239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hinge
central
clamp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능환
Original Assignee
연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석 filed Critical 연규석
Priority to KR2020010012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76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축을 중심으로 중앙부재가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측과 하측에 장착되고 하측의 중앙부재의 양 끝단에 중앙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게 절곡부재가 힌지로 연결되며 그 절곡부재의 절곡부와 상측 중앙부재의 끝단 사이에 연결부재가 중앙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게 힌지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재는 하측 끝단에 하부격판이 부착되어 있고 절곡부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의 외측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는 각종 토목공사용 부자재 및 기성품의 운반에 사용되어 공사현장에서 보다 편리한 작업수행을 유발하는 효과를 갖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운반용 클램프 {a haulage cramp}
본 고안은 각종 토목공사의 부자재 및 기성품들의 운반에 사용되는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부재, 연결부재, 절곡부재가 중앙축을 중심으로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공사현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공사용 부자재들의 운반작업을 수행하는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 사용되는 토목공사용 부자재와 기성품들은 대부분 인력으로는 운반이 어려운 것들이다. 따라서 이들의 시공을 위한 운반에는 필히 중장비가 동원되고 있다. 그러나 중장비와 각종 공사용 부자재들 사이에 적절한 연결기구가 없어 부적절한 인력의 동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공사용 부자재들과 중장비 사이의 부적절한 인력의 동원을 통한 작업 시 무거운 콘크리트 제품인 공사용 부자재들로 인해 산업재해의 위험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중장비와 공사용 부자재들 사이의 연결기구로는 주로 와이어로프나 체인이 사용되는데 상기와 같은 와이어로프나 체인으로는 중장비에 공사용 부자재들을 연결하기가 매우 어렵고 공사용 부자재들은 대부분 무거운 콘크리트 제품이면서 구 유형과 자중이 매우 다양함으로 인해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와이어로프나 체인으로 공사용 부자재들을 중장비에 연결하였다 하더라도 와이어로프나 체인의 연결은 부적절한 체결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체결 후 공사용 부자재들의 운반 시 공사용 부자재들이 빠지거나 탈락됨으로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나 체인으로 공사용 부자재들을 연결하면 체결부위가 아닌 부위의 무분별한 체결로 인해 공사용 부자재들의 손상과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아지고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단에 연결고리가 부착되고 하단에 걸림판이 부착되는 중앙축을 중심으로 상부중앙부재와 연결부재가 힌지로 연결되어 상부부재를 구성하고 하부중앙부재와 절곡부재가 힌지로 연결되어 하부부재를 구성하여 이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다시 힌지로 연결하여 클램프를 구성함으로서 공사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공사용 부자재들의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중앙부재의 하측과 하부중앙부재의 상측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축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서 공사용 부자재의 착탈 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절곡부재의 절곡부 외측에 손잡이가 부착되고 절곡부재의 하부 끝단에 하부격판이 부착됨으로서 클램프으로 공사용 부자재를 운반할 시에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에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축을 중심으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다수개 중앙축에 결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공사용 부자재들을 운반할 경우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 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 후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축 11 : 연결고리
12 : 스프링 13 : 걸림판
20 : 상부부재 21 : 상부중앙부재
22 : 제1연결부재 23 : 제2연결부재
24 : 제1상부힌지 25 : 제2상부힌지
30 : 하부부재 31 : 하부중앙부재
32 : 제1절곡부재 33 : 제2절곡부재
34 : 제1하부힌지 35 : 제2하부힌지
36 : 제1절곡부힌지 37 : 제2절곡부재힌지
38 : 손잡이 39 : 하부격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클램프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구성은 상단에 연결고리(11)가 부착되고 중앙에 스프링(12)이 삽입되며 하단에 걸림판(13)이 부착되는 중앙축(10)과,
상기 연결고리(11)의 하부에 상부중앙부재(21)가 상기 중앙축(10)에 관통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일측 끝단에 제1연결부재(22)의 일측 끝단이 제1상부힌지(24)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타측 끝단에 제2연결부재(23)가 제2상부힌지(25)로 연결되는 상부부재(20)와;
상기 걸림판(13)의 상부에 하부중앙부재(31)가 상기 중앙축(10)에 관통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일측 끝단에 제1절곡부재(32)의 끝단이 제1하부힌지(34)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타측 끝단에 제2절곡부재(33)의 끝단이 제2하부힌지(35)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절곡부재(32)의 절곡부에 상기 제1연결부재(22)의 타측 끝단이 제1절곡부힌지(36)로 연결되며, 상기 제2절곡부재(33)의 절곡부에 상기 제2연결부재(23)의 타측 끝단이제2절곡부힌지(37)로 연결되는 하부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재(32, 33)의 절곡부 외측에 손잡이(38)가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재(32, 33)의 하부 끝단에 하부격판(39)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축(10)의 상단에 부착되는 상기 연결고리(11)는 중장비와 클램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고리(1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축(10)의 둘레에 삽입되는 상기 스프링(12)은 상기 절곡부재(32, 33)가 공사용 부자재를 체결하고 분리할 때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30)가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축(10)의 하단에 부착되는 상기 걸림판(13)은 상기 하부부재(30)가 이탈하지 않고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판(13)은 상기 연결고리(11)에 연결되는 중장비가 상기 절곡부재(32, 33)에 체결된 공사용 부자재들의 운반 시 상기 하부중앙부재(31)가 상기 걸림판(13)에 걸려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절곡부재(32, 33)가 공사용 부자재를 더 견고하게 움켜쥐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중앙부재(21)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축(10)이 관통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1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22, 23)에 의해 상기 제1절곡부재(32)와 제2절곡부재(33)의 절곡부에 절곡부힌지(36, 37)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연결부재(22, 23)와 상기 절곡부재(32, 33)의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중앙부재(31)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축(10)이 관통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12)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판(13)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12)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절곡부재(32, 33)가 공사용 부자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22)는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일측에 제1상부힌지(24)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절곡부재(32)의 절곡부에 제1절곡부힌지(36)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중앙부재(21)와 상기 제1절곡부재(32)가 상호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23)는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타측에 제2상부힌지(25)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절곡부재(33)의 절곡부에 제2절곡부힌지(37)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중앙부재(21)와 상기 제2절곡부재(33)가 상호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절곡부재(32)는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일측에 제1하부힌지(34)로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22)가 상기 제1절곡부재(32)의 절곡부에 제1절곡부힌지(36)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상하 작동에 의해 공사용 부자재를 착탈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절곡부재(33)는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타측에 제2하부힌지(35)로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23)가 상기 제2절곡부재(33)의 절곡부에 제2절곡부힌지(37)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상하 작동에 의해 공사용 부자재를 착탈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부재(32, 33)는 그 절곡부의 외측에 손잡이(38)가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재(32, 33)의 하단에 하부격판(39)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38)는 상기 하부부재(30)가 공사용 부자재에 도달했을 때 상기 손잡이(38)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하부중앙부재(31)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양측의 절곡부재(32, 33)가 동시에 공사용 부자재를 움켜잡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격판(39)은 상기 하부부재(30)에 의한 공사용 부자재의 운반시 공사용 부자재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38)를 작동할 경우 공사용 부자재를 적절히 움켜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부중앙부재(21)와 상기 하부중앙부재(31)가 상기 스프링(12)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절곡부재(32, 33)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12)을 좀 더 팽창시켜 상기 절곡부재(32, 33)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공사용 부자재를 적절히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축(1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연결고리(11)를 중장비와 연결하여 클램프를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하부부재(30)는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스프링(12)의 팽창에 의해 적당한 상태에서 이동을 멈추게 됨으로서 공사용 부자재를 적절히 상기 절곡부재(32, 33)에 삽입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부재(30)가 공사용 부자재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절곡부재(32, 33)는 약간 벌어져 있으므로 적절하게 공사용 부자재를 움켜잡아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손잡이(38)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절곡부재(32, 33)의 상기 하부격판(39)이 공사용 부자재의 하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하부부재(30)가 공사용 부자재를 적절히 움켜잡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하부격판(39)과 상기 절곡부재(32, 33)에 의해 공사용 부자재를 움켜잡고 상기 중앙축(1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연결고리(11)를 통해 크레인이나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클램프를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중앙축(10)의 하단에 부착된 상기 걸림판(13)에 의해 상기 하부중앙부재(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절곡부재(32, 33)가 내측으로 굽혀지게 되어 공사용 부자재를 더욱더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부재(20)와 상기 하부부재(30)를 사용하여 공사용 부자재를 적절한 위치에 운반하고 공사용 부자재를 상기 하부부재(30)에서 분리할 경우에 상기 손잡이(38)를 내측을 밀어 상기 절곡부재(32, 33)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하부격판(39)이 공사용 부자재의 하면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12)이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서 상기 손잡이(38)가 작은 힘으로 쉽게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단에 상기 연결고리(11)가 부착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판(13)이 부착되며 중앙에 상기 스프링(12)이 장착되는 상기 중앙축(10)에 상기 상부부재(20)와 상기 하부부재(30)를 다수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사용 부자재와 다양한 중량의 공사용 부자재의 운반작업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한 클램프는 상기 상부부재(20)와 상기 하부부재(30)를 2개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한 것으로, 상기 상부중앙부재(21) 2개를 서로 교차하여 일체를 형성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하부중앙부재(31) 2개를 서로 교차하여 일체를 형성하도록 부착하여 상기 절곡부재(32, 33) 4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는 다양한 공사용 부자재를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단에 연결고리가 부착되고 하단에 걸림판이 부착되는 중앙축을 중심으로 상부중앙부재와 연결부재를 힌지로 연결하는 상부부재, 하부중앙부재와 절곡부재를 힌지로 연결하는 하부부재로 구비되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서 공사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공사용 부자재의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중앙부재의 하측과 하부중앙부재의 상측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축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구비되어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클램프로 공사용 부자재를 착탈할 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절곡부재의 절곡부 외측에 손잡이가 부착되고 절곡부재의 하부 끝단에 하부격판이 부착되어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클램프로 공사용 부자재를 운반할 시에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중앙축을 중심으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다수개가 중앙축에 결합되어 있는 운반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클램프로 다양한 형태의 공사용 부자재들을 운반할 경우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연결고리(11)가 상단에 부착되고 걸림판(13)이 하단에 부착되는 중앙축(10)과;
    상기 연결고리(11)의 하부에 상부중앙부재(21)가 상기 중앙축(10)에 관통되고,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일측 끝단에 제1연결부재(22)의 일측 끝단이 제1상부힌지(24)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타측 끝단에 제2연결부재(23)가 제2상부힌지(25)로 연결되는 상부부재(20)와;
    상기 걸림판(13)의 상부에 하부중앙부재(31)가 상기 중앙축(10)에 관통되고,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일측 끝단에 제1절곡부재(32)의 끝단이 제1하부힌지(34)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타측 끝단에 제2절곡부재(33)의 끝단이 제2하부힌지(35)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절곡부재(32)의 절곡부에 상기 제1연결부재(22)의 타측 끝단이 제1절곡부힌지(36)로 연결되며, 상기 제2절곡부재(33)의 절곡부에 상기 제2연결부재(23)의 타측 끝단이 제2절곡부힌지(37)로 연결되는 하부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중앙부재(21)의 하측과 상기 하부중앙부재(31)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축(10)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1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재(32, 33)의 절곡부 외측에 손잡이(38)가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재(32, 33)의 하부 끝단에 하부격판(39)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10)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부재(20)와 상기 하부부재(30)가 다수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클램프.
KR2020010012603U 2001-04-30 2001-04-30 운반용 클램프 KR200239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603U KR200239762Y1 (ko) 2001-04-30 2001-04-30 운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603U KR200239762Y1 (ko) 2001-04-30 2001-04-30 운반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762Y1 true KR200239762Y1 (ko) 2001-10-12

Family

ID=7310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603U KR200239762Y1 (ko) 2001-04-30 2001-04-30 운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7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23Y1 (ko) * 2012-09-06 2013-11-26 오다연 조리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20160046589A (ko) *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용 리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23Y1 (ko) * 2012-09-06 2013-11-26 오다연 조리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20160046589A (ko) *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용 리프터
KR101636924B1 (ko) * 2014-10-21 2016-07-0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용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912B2 (en) Transport device
US5797639A (en) Lock box
US5364147A (en) Device for handling railroad timber
KR200239762Y1 (ko) 운반용 클램프
JP2902589B2 (ja) 吊りクランプ
US976652A (en) Device for handling cement blocks.
JP5830621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紐倒立具
JP6776026B2 (ja) 玉掛け手鉤棒
US4518185A (en) Die handling device
CN210029173U (zh) 一种夹砖器
CN108163713B (zh) 一种简易箱形构件翻身装置及方法
CN210585540U (zh) 一种多型材多规格喷涂挂具
CN202988569U (zh) 一种夹钳及一种吊具
JP3332229B1 (ja) クランプ装置
US1673130A (en) Rail tongs
KR102087903B1 (ko) 건설자재 인양박스
US3779594A (en) Pipe construction
JP6373290B2 (ja) 野積みバラ物へのシート掛け方法
CN209973427U (zh) 一种用于搬运重型方块的工具
KR20200002158U (ko) 화물용 아대 집게
JP2010264981A (ja) 梱包箱用吊り具及びそれを用いて梱包箱を移送する方法
JP4268268B2 (ja) 吊り治具及び建築用パネルの懸吊方法
CN109305625B (zh) 一种适用于放线滑车的吊具
KR20120065004A (ko) 중량물 인양지그
KR200452488Y1 (ko) 작업용 도르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