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031A -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031A
KR20160044031A KR1020167007282A KR20167007282A KR20160044031A KR 20160044031 A KR20160044031 A KR 20160044031A KR 1020167007282 A KR1020167007282 A KR 1020167007282A KR 20167007282 A KR20167007282 A KR 20167007282A KR 20160044031 A KR20160044031 A KR 2016004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
adhesive layer
adhesive
carri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네 스타우브
크리스티나 스트레브
아틸라 외즈데미르
토마스 뮐러
Original Assignee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filed Critical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4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1Mark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 B42D2031/08
    • B42D2033/10
    • B42D2033/18
    • B42D2033/22
    • B42D2033/24
    • B42D2033/26
    • B42D2033/40
    • B42D2035/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4Rel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 B42D25/47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요소(4), 특히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 평면(6)을 위한 비네트(vignette)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00, 200, 300, 400, 500, 600)에 관한 것이다. 보안 요소는 제 1 및 제 2 표면을 갖는 지지 요소(3)를 포함하고, 보안 요소(4)의 제 1 서브 요소(1)는 제 1 표면의 제 1 영역(31) 상에 배열되며 보안 요소(4)의 제 2 서브 요소(2)는 제 1 표면의 제 2 영역(32)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영역은 폴딩 에지(33)에 의해 제 1 영역(31)으로부터 분리된다. 서브 요소(1, 2)는 폴딩 에지(33)를 따라 지지 요소(3)를 폴딩함으로써 적층된 배열이 되며 지지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2 서브 요소(2) 상에 배열된 접착제(25)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개별화 특징(14)은 지지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1(1)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2) 표면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시스템(100, 200, 300, 400, 500, 600)을 사용하여 보안 요소(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보안 요소(4)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DIVIDUALIZED SECURITY ELEMENT}
본 발명은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는 시스템,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러한 보안 요소를 개별화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이런 방식으로 제조된 보안 요소, 특히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에 부착되는 비네트에 관한 것이다.
도로 통행료를 지불했는 지 입증하기 위하여, 교통 허가가 이뤄지거나 도로의 사용을 위한 또 다른 허가, 브릿지 등이 존재하였으며, 예컨대 자동차와 같은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에 부착되는 비네트(vignette)가 종종 사용되었다. 또한, 비네트는 또한 차량의 소유주 및 주인의 식별을 허용하며 도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에 더하여, 기타 운송 수단에도 또한 열거된 목적으로 이러한 비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비네트에 대한 다수의 필요조건이 존재한다. 먼저, 이것은 비네트가 진짜인지, 즉, 위조된 것이 아닌지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하나의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로부터 이러한 비네트를 분리하여 이 비네트를 다른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비네트가 다수의 운송 수단에 대하여 부적절하게 사용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로, 비네트를 개별화하는 것, 즉, 예컨대, 할당된 차량의 등록 마크로 비네트를 표시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개별화는 부착하기 쉬워야 하면서도 동시에 조작을 위한 접근이 가능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조 및 조작에 대하여 특히 안전하면서도 개별화하기 쉬운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보안 요소, 특히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를 위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해 성취되고, 상기 시스템은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요소의 제 1 서브 요소는 상기 제 1 표면의 제 1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보안 요소의 제 2 서브 요소는 폴드 에지에 의해 제 1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표면의 제 2 영역에 배열되고, 제 2 서브 요소는 폴드 에지를 따르는 캐리어 요소의 폴딩에 의해 제 1 서브 요소와 중첩하게 될 수 있고, 제 2 서브 요소는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2 서브 요소의 측 상에 배열된 접착제를 가지며, 개별화 특징은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2 서브 요소의 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보안 요소, 특히 차량의 윈드 쉴드를 위한 비네트를 개별화하는 방법으로 성취되며, 이하의 단계:
a) 상기 기재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b)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의 측면에 개별화 특징을 부착하는 단계;
c) 폴드 에지를 따르는 캐리어 요소를 폴딩하는 단계 - 서브 요소는 서로 중첩하도록 만들어짐 - ;
d)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2 서브 요소의 측면 상에 배열되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서브 요소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의 운송 수단은, 특정 탈것, 특히, 예컨대 자동차, 대형 수송차, 이륜차, 썰매 등과 같은 지상 차량, 예컨대 배, 보트, 제트 스키, 잠수함 등과 같은 수중 차량뿐만 아니라 예컨대 비행기, 헬리콥터, 풍선, 글라이더 등과 같은 비행선 및 우주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 또는 방법은 보안 요소가 실제 제조 공정 밖에서 개별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써, 시스템 그 자체는 공업적으로 제조되며 이어서 예컨대 비네트를 발행하는 사무소로 배달될 수 있다. 이로써, 개별화 특징, 예컨대 비네트가 의도된 운송 수단의 등록증이 개별 비네트가 발행된 시기에만 발행하는 사무소에서 적용된다. 이것은 예컨대 인쇄에 의해, 특히 잉크젯 인쇄, 열 전달 인쇄 또는 제로그래피(xerography)(레이저 인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서브 요소의 후속 접착을 통해, 개별화 특징은 서브 요소의 층 구조에서 둘러싸이며 더는 외부로부터 접근 불가능하다. 개별화 특징의 이후의 조작은 이로써 손상 없이는 불가능하므로, 예컨대 기타 운송 수단을 위한 비네트의 부적절한 사용이 더는 이뤄질 수 없다. 그러므로, 특별히 쉽게 그리고 동시에 부정조작이 없는 방식의 비네트와 같은 보안 요소를 개별화하는 가능성이 생성된다.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가 몰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제층을 포함한다. 복제층이 0.2㎛에서 20㎛까지, 바람직하게는 0.5㎛에서 5㎛까지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가질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릴리프 구조를 갖는 복제 층은 오직 상당한 비용으로 정확도를 갖고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은 위조에 대한 특별히 높은 수준의 보안을 야기한다.
복제 층은 표면상에 릴리프 구조를 갖고 제조될 수 있는 층을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이것은 예컨대 플라스틱 층 또는 바니쉬 층과 같은 유기층 또는 무기 플라스틱(예컨대 실리콘), 반도체 층 등과 같은 무기 층 및 이들의 결합도 포함한다. 복제 층은 복제 바니쉬 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릴리프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방사선 경화가능 또는 열 경화가능(열경화성) 복제층 또는 열가소성, 특히 열적으로 건조하는 복제 바니쉬 층이 적용되고, 릴리프는 복제 층 내로 몰딩될 수 있으며 복제 층은 선택적으로 그 안에 임프린트된 릴리프를 갖고 선택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는 특히 100lines/mm에서 4000lines/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00lines/mm에서 20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고 1차원 또는 2차원의 회절 격자 구조로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는 광 회절 및/또는 광 굴절 및/또는 광 산란 및/또는 광 포커싱 마이크로구조 또는 나노구조, 등방성 또는 이방성 매트 구조, 이원의 또는 연속하는 프레넬 렌즈, 마이크로프리즘 구조, 100lines/mm에서 15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블레이즈드 격자, 50lines/mm에서 3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무색 격자 구조, 2500lines/mm에서 40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0차 회절 구조, 특히 5㎛에서 50㎛ 사이의 마이크로렌즈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어레이뿐만 아니라 이들을 결합한 구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릴리프 구조에 의해 형성될 경우 편리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광학 효과가 표시될 수 있으며, 모두 심미적인 외관을 보장하고 위조에 대한 보안을 증진시킨다.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층, 특히 금속층 또는 HRI층을 갖는다. 이러한 층은 광학적 배경 및/또는 복제층을 위한 광학적 활성 경계층을 생성하여 그 반사 또는 굴절 특성을 변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사 층은 이로써 릴리프 구조가 제공되는 복제 층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바람직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그 자체에 의해 취해지더라도, 이것은 광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알루미늄, 은, 구리, 크롬 또는 이들의 합금은 바람직하게 금속 층을 위한 금속으로서 사용된다. HRI 층은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HRI= 고굴절률)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컨대 황화 아연 또는 이산화티타늄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층의 시퀀스를 갖는 박막 시스템, 예컨대 HRI 층, LRI 층(LRI= 저 굴절률) 및 추가 HRI 층으로 구성된 층 패킷이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마그네슘 플루오라이드가 LRI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사층은 바람직하게 패터닝되고, 특히 광학적 정보의 제 1 항목의 형태로 몰딩된다.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는 또한 2개 이상의 상이한 반사층을 갖고, 상이한 반사층은 특히 상이한 금속 재료로부터 형성되며 특히 광학적 정보의 상이한 제 1 항목의 형태로 몰딩된다.
정확하게, 광학적 인상 또는 광학적 정보의 항목이 2개 이상의 층의 상호작용에 의해 먼저 형성될 때, 상호 작용하는 층이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등록되어, 즉, 등록 정확성을 갖고 또는 레지스터 정확하게 배열될 때 원하는 광학적 인상만을 형성하므로 위조에 대한 특별히 우수한 보안이 성취된다.
"등록 정확도" 또는 레지스터 정확도"라는 용어는 인쇄 기술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등록 마크 또는 레지스터 마크가 상이한 층 또는 파일에 적용되며 사용된다. 이러한 등록 마크 또는 레지스터 마크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파일 또는 층의 정확한 상대적 위치 정확도를 설정하여 소위 등록 정확도 또는 레지스터 정확도를 성취하는 것이 아주 쉽게 가능하다. "레지스터된다"는 의미는 개별적인 파일 또는 층이 등록 마크 또는 레지스터 마크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충분히 올바르게 위치적으로 정확하게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이하에서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가능한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서로의 상부에 놓인 층을 정렬하고 이들을 "레지스터"하는 것이 현안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층에서, 적어도 하나의 투명 윈도우가 바람직하게 제공되며, 반사층의 재료는 제공되지 않는다. 개별화 특징은 바람직하게 이러한 윈도우에서 이후에 배열된다.
편리하게, 반사층은 0.005㎛에서 2㎛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01㎛에서 0.2㎛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에서 0.1㎛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광학적 가변층 및/또는 층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층 또는 층 시스템은 제 1 서브 요소 또는 제 2 서브 요소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치수를 가지므로 제 1 서브 요소 및 제 2 서브 요소의 인접하는 층을 영역에서 덮는다. 층 또는 층 시스템은,특히 용해된 형태 또는 입자 또는 피그먼트 형태인,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 및/또는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층 및/또는 시야각에 따른 간섭 색상을 갖는 박막 층 스택 및/또는 상기 기재된 형상을 특히 갖는 몰딩된 릴리프 구조를 갖는 복제층을 포함하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이러한 광학적 효과에 의해, 추가적인 보안 특징이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또한 보안 요소의 추가 층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보안 요소의 인증을 위한 보안 특징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특정 시야각에서만 완전히 가시적이다. 이것은 도한 위조에 대한 보안을 증진시킨다.
제 1 서브 요소가 특히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에 보안 요소를 접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층을 포함할 경우 그리고 제 1 접착층이 캐리어 요소를 면하는 제 1 서브 요소의 측 상에 배열되어서 마감된 보안 요소가 그 표적 기판 상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또한 편리하다.
제 1 접착층(1)은 특히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냉 접착층이다.
분리층, 특히 실리콘 층은 제 1 서브 요소와 캐리어 요소 사이에서 편리하게 배열된다. 이것은 캐리어 요소의 수월한 제거를 허용하며, 제 1 접착층이 노출되면 보안 요소가 고정되기 쉽다.
더욱이, 제 1 서브 요소가 폴리에스테르, 특히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PP(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이를 갖는 특히 자립식 폴리머 층을 포함할 경우 유리하다. 이것은 제 1 서브 요소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개별화 특징을 및 선택적으로 추가 보안 특징을 위한 캐리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폴리머 층은 바람직하게 자립식 필름이다.
이러한 폴리머 층은 폴리에스테르로 바람직하게 구성되며 6㎛에서 125㎛까지의, 바람직하게는 6㎛에서 7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에서 5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또한, 제 1 서브 요소가 개별화 특징의 접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바니쉬 층, 특히 접착 촉진층을 가지며, 바니쉬 층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폴리머 층의 측면에 적용될 경우 편리하다. 개별화 특징이 인쇄되어 있고, 인쇄된 잉크의 안전한 접착이 보장될 경우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바니쉬 층은 폴리머 층에 대한 부착의 국지적으로 상이한 특성 및 보안 프린트를 가지며 이것은 조작 시도가 발생할 경우 파괴된다. 이러한 층은 또한 캐리어 요소를 면하는 폴리머 층의 측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보안 요소의 위조에 대한 보안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부분 광학적 가변층 또는 층 시스템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폴리머 층의 측 , 특히 바니쉬 층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개별화 특징은 부분 광학적 가변층 또는 층 시스템을 갖는 공통 층 평면에, 층 또는 층 시스템에 인접하여 적용가능하거나 적용될 수 있다. 부분 광학적 가변층과의 상호작용에서, 예컨대 개별화 특징은 보안 요소의 인증에 사용될 수 있는 인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 요소 및 제 2 서브 요소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는 제 2 접착층, 특히 냉 접착층을 포함할 경우 편리하다. 이것은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접착제는 분리층, 특히 분리가능한 실리콘화된 종이 층을 포함하고, 분리층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면 상의 제 2 접착층에 적용되며 특히 상기 분리층 아래에 놓인 제 2 접착층을 적어도 영역에서 오버행한다. 이러한 분리 층은 의도적이지 않은 부정확한 접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데, 보호로 인하여 접착이 이뤄질 때 분리하는 것이 특히 쉽다. 제 2 접착 층은 분리 층의 분리에 의해 노출된다. 분리 층이 돌출 없이 존재할 경우, 연속하여 존재하지 않되 예컨대 펀칭된 구멍을 가질 경우 유리하다. 이로써, 예컨대, 분리층은 캐리어 요소의 벤딩에 의해 펀칭된 구멍에서 분리되며 2개의 서브영역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종이 또는 필름 층은 30㎛에서 30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6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제 2 서브 요소는 캐리어 요소로부터 제 2 서브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층을 포함한다. 개별화된 보안 요소는 그 표적 기판에 적용될 때. 제 2 서브 요소는 이로써 캐리어 요소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층은 6㎛에서 125㎛까지의, 바람직하게는 6㎛에서 7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에서 5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층, 특히 폴리에스테르 층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 층은 분리 층이 분리될 때 제 2 서브 요소 상에 남을 수 있거나 이것과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분리층은 적어도 하나의 UV 접착층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이것은 편리하게 0.1㎛에서 1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1㎛에서 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UV 접착층은 그 기판으로부터, 특히 폴리머 층들 중 하나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UV 경화를 통해, 접착 효과는 분리층의 분리 이후에도 남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층의 표면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컨대 냉 접착제와 같이 개별 폴리머, 특히 폴리에스테르에 일반적으로 잘 접착하는 접착 시스템이 다시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실리콘화 또는 얇은 분리 층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이것은 왁스 기반 시스템에 의해 묶인다.
대안으로, 제 2 서브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은 예컨대 종이로 만들어진 끈끈한 노트로 알려져있다. 여기서,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5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가 특히 편리하다.
UV 접착층 또는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은 2개의 폴리머 층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의 경우에, 하나의 폴리머 층은 캐리어 요소 상에 남고 다른 하나의 폴리머 층은 제 2 서브 요소 상에 남는다. 이 양쪽은 분리층이 분리되는 것을 쉽게 만들며 남아있는 폴리머 층을 통해 제 2 서브 요소에 추가 안정성을 제공한다.
분리층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캐리어 요소의 표면 평면의 제 2 서브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을 넘어서 연장할 경우 또한 유리하다. 분리 층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제 2 서브 요소의 분리 동안 이러한 돌출부 상에서 그리핑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분리가 더 쉬워진다.
제 2 서브 요소는 영역들에서 상이한 인접 층에 대한 접착의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을 가지며, 특히 이것이 제공되는 지점에서 인접 층의 접착을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최종적으로 개별화된 보안 요소가 그 표적 기판 상에 적용되면, 이러한 접착층은 표적 기판으로부터 보안 요소의 손상없는 분리를 신뢰가능하게 방지하고, 그 결과 예컨대 다른 운송 수단으로 부적절하게 옮겨질 수 없게 된다.
부착층의 부착 특성은, 분리 시도가 발생할 경우, 더 높은 층간 접착의 영역에서, 제 2 서브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예컨대 폴리머 층과 함께 벗겨지며 더 낮은 층간 접착의 영역에서 폴리머 층이 제 2 서브 요소의 다른 층으로부터 분리되어서 보안 요소가 파손되도록 설정된다. 더 높은 그리고 더 낮은 층간 접착의 영역은 또한 이들이 이러한 분리 시도의 경우에 가시적이게 되는 광학적 정보의 항목을 나타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INVALID(무효)"와 같은 문자가 분리 이후에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착층은 접착 촉진층을 편리하게 포함한다. 이것은 예컨대 접착제가 될 수 있다. 접착 촉진층은 0.005㎛에서 2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5㎛에서 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유리하게 갖는다.
접착층은 부분 왁스층 또는 부분 접착층을 포함하도록 바람직하게 규정된다. 이러한 부분 왁스 또는 접착 층은 인접 층들에 대한 접착 촉진층의 접착을 국지적으로 줄이거나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층간 접착의 원하는 국지적 변형이 성취되며, 이것은 그 표적 기판으로부터 완료된 보안 요소를 분리하려는 시도가 일어날 경우 보안 요소의 파손을 야기한다.
부분 왁스층은 0.002㎛에서 1㎛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005㎛에서 0.2㎛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에서 0.1㎛까지의 층 두께를 유리하게 갖는다. 접착층은 복제층 및 분리층 사이에 배열될 경우 특히 편리하다. 그 표적 기판으로부터 보안 요소를 분리하고자 하는 시도가 발생할 경우, 복제층은 불가피하게 훼손된다. 이것은 복제층의 훼손된 특징적인 광학 보안 특징 또는 광학적 효과에 관련하여 바로 인지가능하다. 그러므로, 비네트가 다수의 운송 수단을 위하여 부적절하게 쓰이는 경우 바로 명백해진다.
캐리어 요소는 투명하고,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폴리머, 특히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칼레이트)로부터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이것은 캐리어 요소를 통해 예컨대 UV 바니쉬 층과 같이 가능하게 제공된 감광성 층을 조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필수 파장에 대하여 투명하지 않다는 이유로 조명이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감광성 층의 측면 상에 배열되는 추가 층을 통하지 못할 경우 이것은 특히 유리하다.
캐리어 요소는 25㎛에서 25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5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대안적으로, 캐리어 요소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이 캐리어 요소를 통한 조명은 필수적이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캐리어 요소는 30㎛에서 30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6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가질 경우 편리하다.
더욱이, 제 1 서브 요소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는, 개별 서브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통해, 캐리어 층의 연장의 평면에 수직으로,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개별 서브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컷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제 2 서브 요소는 캐리어 요소의 연장의 평면에 위치된 모든 방향으로 제 1 서브 요소보다 더 큰 연장 폭을 가질 경우 유리하다. 최종적으로 개별화된 보안 요소가 그 표적 기판에 부착될 때, 제 2 서브 요소는 예컨대 윈드 쉴드와 같은 표적 기판에 부착된 제 1 서브 요소 위에서 연장한다. 돌출 영역은 이로써 마찬가지로 표적 기판에 접착될 수 있다.
개별화 특징은 인쇄에 의해, 특히 잉크젯 인쇄 또는 제로그래피(xerography)(레이저 인쇄)에 의해와 같은 인쇄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개별화는 특히 쉽고 상당한 기술적인 지출 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이것은 비네트를 발행하는 사무소에서 바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예컨대 반사 층 또는 색상 층을 변경하기 위하여 레이저로 식별 마크를 도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은 국부적 스트라이핑(어블레이션) 또는 층의 흑화, 블리칭 또는 기타 색상 변화를 의미한다.
개별화 특징은 또한 예컨대 별도의 라벨 또는 다른 전달 요소의 형태로 간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라벨은 예컨대 기판 층, 반사 층 또는 라벨의 색상 층을 변경하기 위하여, 예컨대 잉크젯 인쇄, 제로그래피(레이저 인쇄)와 같은 인쇄 공정에 의해 또는 레이저에 의해 별도의 공정 및/또는 장치에서의 정보의 개별화 또는 개별화 항목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개별적인 층의 국부적 스트라이핑(어블레이션) 또는 흑화, 블리칭 또는 기타 색상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된 라벨은 이로써 개별화 특징으로서 적용된다.
일련번호, 성명, 면허증 번호 등이 개별화 특징으로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것은 예컨대 특정 운송 수단 또는 그 소유주에게 보안 요소, 특히 비네트의 직접적인 할당을 가능하게 한다.
개별화된 보안 요소가 완료될 때, 바람직하게는, 단계 c)에서의 폴딩 전에, 분리층, 특히 실리콘화된 종이 층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제 2 서브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분리층 및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제의 제 2 접착층은 단계 d)에서의 접착을 위해 노출된다.
서브 요소는 이로써 바람직하게 중첩하게 되어서, 제 2 서브 요소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모든 측면 상에서 제 1 서브 요소를 넘어서 돌출하여서 양쪽 서브 요소가 표적 기판에 접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 에지를 생성한다. 보안 요소의 층 복합체의 측면들은 돌출 에지에 의해 추가적으로 보호되며 그 결과 원치 않는 박리(delamination)가 방지될 수 있다.
단계 e)에서, 캐리어 요소는 접착된 서브 요소로부터 바람직하게 분리된다. 개별화되고 접착된 서브 요소는 이제 오직 그 표적 기판에 부착될 필요가 있는 완료된 보안 요소를 형성한다.
여기서, 캐리어 요소는 분리층, 특히 실리콘 층을 따라 제 1 서브 요소로부터 바람직하게 분리되며, 제 1 서브 요소의 접착층이 노출되면, 이로써 보안 요소는 표면, 특히 차량의 윈드 쉴드에 접착될 수 있다.
분리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단계 e)에서, 제 2 서브 요소로부터 분리되어서 제 2 서브 요소의 분리층이 분리되고, 분리층의 접착층은 캐리어 요소 상에서 남게 되며 폴리머 층은 보안 요소의 표면을 형성한다.
접착층은 바람직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UV 접착층, 냉 접착층 또는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이 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사용하여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 5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 6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j는 비네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동안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윈드 쉴드에 적용되는 마감된 비네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운송 수단을 위한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제 1 서브 요소(1) 및 제 2 서브 요소(2)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의 경우에 캐리어 요소(3) 상에 배열된다. 캐리어 요소(3)는 캐리어 요소의 영역(31 및 32) 사이의 폴드 에지(33)를 가지며, 캐리어 요소 상에서, 서브 요소(1, 2)는 각각의 경우에 배열된다. 제 1 서브 요소(1)가 배열되는 캐리어 요소(3)의 영역(31)에서, 캐리어 요소(3)에는 서브 요소(1)을 면하는 그 표면상에 분리층(34)이 제공되며, 이것은 바람직하게 실리콘 층으로서 형성된다.
제 1 서브 요소(1)는 냉 접착층(11)을 갖는 분리층(34)에 접합된다. 캐리어 요소(3)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냉 접착층(11)에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PP(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갖는 폴리머 층(12)이 뒤따르며, 그 표면에는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및 동일한 층 평면에 프린트 온 개별화 특징(14)이 제공되며, 개별화 특징(14) 및 부분 광학적 가변층(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 2 서브 요소(2)는 분리층(21)을 갖는 제 1 서브 요소(1)로서 캐리어 요소의 동일한 측에 고정된다. 분리층(21)은 캐리어 요소(3)를 면하는 측 상의 UV 접착층(21a)을 포함한다. 이것은 폴리머 층(21b)에 의해 캐리어 요소(2)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접합된다. 분리층(21)은 접착층(22)에 의해 뒤따르며, 이것은 접착 촉진층(22a) 및 부분 왁스 층(22b)을 포함한다. 이것은 복제층(23) 및 반사층(24)에 의해 접합된다. 외측을 향하여, 그러므로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을 향하여, 제 2 서브 요소(2)는 접착제(25)에 의해 밀봉된다. 이들은 냉 접착층(25a) 및 부착층을 포함하고, 이것은 실리콘 층(25b) 및 종이층(25c)에 의해 특히 형성된다. 냉 접착층(25a)은 종이층(25c) 및 실리콘층(25b)을 벗겨냄으로써 노출된다. 비네트를 마감하기 위하여, 캐리어 요소(3)는 폴드 에지(33)에서 폴딩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제 1 서브 요소(1)가 제 2 서브 요소(2) 상에 놓이게 되며 서브 요소(1,2)는 이하에서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냉 접착층(25a)에 의해 접착된다.
제 1 서브 요소(1)는 분리층(34)을 따라 캐리어 요소(3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차량의 윈드 쉴드에 마감된 비네트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냉 접착층(11)을 노출한다. 냉 접착층(11)은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을 기반으로 하는 접착제는 접착 재료로서 특히 적합하다.
폴리머 층(12)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자립식 필름이고, 제 1 서브 요소(1)에 안정성을 부여하며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및 개별화 특징(14)의 적용를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폴리머 층(12)의 층 두께는 6㎛에서 125㎛까지의, 바람직하게는 6㎛에서 7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에서 50㎛이다. 폴리머 층(12)은 광학적 가변층(13) 및 개별화 특징(14)의 방해받지 않는 뷰(view)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투명하다.
부분 광학적 가변층(13)은 비네트의 위조를 어렵게 하는 보안 특징의 역할을 한다. 층(13)은 층 시스템으로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부분 광학적 가변층(13)은 특히 용해된 형태 또는 입자 또는 피그먼트 형태의,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 및/또는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층 및/또는 시야각에 따른 간섭 색상을 갖는 25 박막 층 스택 및/또는 몰딩된 릴리프 구조를 갖는 복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이것은 하나 이상의 길로시(guilloche)와 같이, 높은 해상도로 인쇄된 보안 프린트, 예컨대 복합 라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는 광 회절 및/또는 광 굴절 및/또는 광 산란 및/또는 광 포커싱 마이크로구조 또는 나노구조, 등방성 또는 이방성 매트 구조, 이원의 또는 연속하는 프레넬 렌즈, 마이크로프리즘 구조, 100lines/mm에서 15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블레이즈드 격자, 50lines/mm에서 3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무색 격자 구조, 2500lines/mm에서 40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0차 회절 구조, 특히 5㎛에서 50㎛ 사이의 마이크로렌즈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어레이뿐만 아니라 이들을 결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광학적 효과가 생성될 수 있고, 이것은 오직 특정 시야각 또는 시야각에 따른 변화로부터 가시적이다. 오직 개별화 특징과 공조하여, 시야각에 따라서 결국 오직 인지 가능한 광학적 정보의 완전한 항목을 나타내도록 이러한 효과를 설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위조에 대한 증가된 보안에 기여한다.
개별화 특징(14)은 부분 과학적 가변층(13)과 동일한 층 평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의 나머지의 제조와 관련 없이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100)은 제조되어서 개별화 특징(14) 없이 비네트를 발행하는 사무소로 배달될 수 있다. 차량 소유주가 이러한 비네트를 구입하면, 개별화 특징(14)은 예컨대 잉크젯, 열 전달 또는 레이저 프린터에 의해 발행하는 사무소에서 바로 폴리머 층(12)에 적용된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층의 국부적 스트라이핑(local striping)(어블레이션(ablation)) 또는 층의 흑화(blackening), 블리칭 또는 기타 색상 변화에 의해 레이저에 의한 정보의 항목의 도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개별화 특징(14)으로서 할당된 차량의 등록 마크를 적용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차량 소유주에게 비네트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소유주의 성명, 비네트의 유효 기간 또는 비네트가 유효한 도로의 특정 구역이 개별화 특징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서브 요소(1, 2)가 조립되면, 개별화 특징은 제 1 서브 요소(1)의 폴리머 층(12)과 제 2 서브요소(2)의 냉 접착제(25a) 사이에서 둘러싸이므로 조작으로부터 보호된다.
제 2 서브 층(2)은 분리층(21)에 의해 캐리어 요소(3)의 영역(32)에 접합된다. 접합은 0.1㎛에서 1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1㎛에서 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UV 접착층(21a)에 의해 촉진된다. 분리층(21)의 추가 구성은 6㎛에서 125㎛까지의, 바람직하게는 6㎛에서 7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에서 5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폴리머 층(21b)이다. UV 접착층(21a)의 방사선 경화 이후, 이것은 캐리어 요소(3)에 안전하게 접합되되 폴리머 층(21b)에 대한 접합은 분리가능하게 유지된다. 마감된 비네트가 캐리어 요소(3)를 벗겨내면, UV 접착층(21a)은 이로써 캐리어 요소(3) 상에 남고 폴리머 층(21b)은 비네트에 남아서 그 안정성에 기여한다.
외측을 향하여 접합하는 접착층(22)은 0.005㎛에서 2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5㎛에서 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접착 촉진층(22a) 및 0.002㎛에서 1㎛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005㎛에서 0.2㎛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에서 0.1㎛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부분 왁스층(22b)을 포함한다. 영역에서의 폴리머 층(21b)을 갖는 부착 촉진층(22a)의 접촉을 방지하는 부분 왁스 층(22b)을 통해, 더 외부에 위치된 복제층(23)과 폴리머층(21b) 사이의 층간 접촉은 부분별로 조절되며, 즉, 상이한 층간 접착은 상이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다(prevail). 이것은 추가 보안 기능을 충족한다. 운송의 또 다른 수단에서 부적절하게 이것을 사용하기 위하여 윈드 쉴드에 이미 고정된 마감된 비네트를 다시 분리하려고 시도할 경우, 덮이지 않은 영역이 접착 촉진층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동 부분 왁스 층(22b)에 의해 덮인 복제층(23)의 영역이 먼저 폴리머층(21b)으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복제층(23)의 광학적 특성 및 광학적 효과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여, 이러한 조작은 즉시 인지될 수 있다. 특히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니트로셀룰로스 및 그의 혼합물이 접착 촉진층(22a)을 위한 재료로서 적절하되, 왁스 층(22b)은 폴리올레핀, 셀룰로스 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스 에테르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외부를 향하여, 즉, 캐리어 요소(3)의 접착층에 접합하는 복제층(23)은 0.2㎛에서 20㎛, 바람직하게는 0.5에서 5㎛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가지며, 예컨대 엠보싱 롤러에 의해 복제층(23)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를 갖는다. 릴리프 구조는 1차원 또는 2차원 회절 격자 구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100lines/mm에서 2500lines/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00lines/mm에서 20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다. 특정 광학적 효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릴리프 구조는 광 회절 및/또는 광 굴절 및/또는 광 산란 및/또는 광 포커싱 마이크로구조 또는 나노구조, 등방성 또는 이방성 매트 구조, 이원의 또는 연속하는 프레넬 렌즈, 마이크로프리즘 구조, 100lines/mm에서 3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블레이즈드 격자, 특히 2500lines/mm에서 4000lines/mm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0차 회절 구조, 특히 5㎛에서 50㎛ 사이의 마이크로렌즈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어레이뿐만 아니라 이들을 결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제조에 필수적인 높은 정확도로 인하여, 이러한 구조는 위조되기 어려운 보안 요소로서 사용된다.
복제층(23)의 광학적 효과는 외부와 인접한 복제층(24)과 특히 공조하여 형성된다. 이것은 0.005㎛에서 2㎛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01㎛에서 0.2㎛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에서 0.1㎛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알루미늄, 은, 구리, 크롬 또는 금과 같은 금속뿐만 아니라 HRI 물질(HRI= 고굴절률), 이로써 예컨대 이산화 티타늄 또는 황화아연과 같은 고굴절률을 갖는 물질은 반사층을 위한 재료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물질의 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광학적 효과는 반사층(24)이 연속하지 않고 패턴에 적용될 경우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복제층(23)의 구조에 의해 예컨대 보완될 수 있으며 그 전체가 원하는 이미지를 드러낸다. 상이한 재료로 구성된 여러 패턴은 또한 반사층(24)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4) 내의 또는 반사층(24)과 복제층(23) 사이의 정확히 여러, 보충 패턴은 제조에 필수적인 등록 정확도로 인하여 비네트의 위조에 대한 보안을 상당히 증진시킨다.
제 2 서브 요소(2)는 캐리어 층(3)으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그 측 상에서 접착제(25)에 의해 밀봉된다. 이들은 반사층(24) 상에 놓인 냉 접착층(25a)을 포함한다. 외측을 향하여, 냉 접착층(25a)은 종이 층(25c)에 의해 보호되며 중간 실리콘 층(25b)으로 인한 냉 접착층(25a)을 벗겨낼 수 있다.
냉 접착층(25a)은 바람직하게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며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다. 종이층(25c)은 30㎛에서 30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6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냉 접착층(25a) 너머로 측방으로 돌출하며 그 결과 종이 층(25c)을 쉽게 벗겨내기 위한 탭이 형성된다.
대안으로, 펀칭된 구멍이 종이 층(25c)에 제공될 수 있어서 종이 층은 캐리어의 밴딩에 의해 펀칭된 구멍에서 분리되어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종이 층(25c)이 벗겨진 후에, 실리콘 층(25b)이 종이 층(25c)에 남게 되고 냉 접착층(25a)이 노출되며, 그 결과 폴드 에지(33)에서의 캐리어 요소의 폴딩에 의해 2개의 서브 소자(1, 2)가 중첩되게 되며 접착될 수 있다. 제 2 서브 요소는 제 1 서브 요소보다 바람직하게 더 크며, 그 결과 모든 측 상에서 바람직하게 돌출하는 냉 접착층(25a)의 에지가 남는다. 마감된 비네트가 윈드 쉴드에 고정될 때, 제 1 서브 요소(1)는 냉 접착층(11)에 의해 윈드 쉴드에 접합하되 마찬가지로 냉 접착층(25a)의 돌출하는 에지는 윈드 쉴드에 제 2 서브 요소(2)를 접합하고 그 결과 특별히 우수한 고정이 성취된다.
캐리어 요소(3)는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 특히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자립형 필름으로 구성되며 25㎛에서 25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5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가지며 특히 투명하고,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하다. 이것은 UV 접착제를 경화하도록(harden) 캐리어 소자(3)를 통해 UV 접착층(21a)을 조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 기재된 시스템(100)의 추가 실시예가 기재된다. 일치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붙으며 시스템(100)을 참조하여 이미 기재된 특성 및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개별화된 비네트를 제조하기 위한 대안적인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모든 구성요소에 있어서 시스템(100)과 상응하며 제 1 서브 요소(1)의 개별화 특징(14)뿐만 아니라 폴리머 층(12)과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사이에서 배열된다. 이러한 바니쉬 층은 개별화 특징(14) 또는 부분 광학적 가변층(13)의 개별화의 접촉을 개선한다. 특히 PVC(폴리염화비닐)는 바니쉬를 위한 재료로서 적합하다.
시스템(200)과 마찬가지로 도 3에서 표시되는 대안적인 시스템(300)은 개별화 특징(14)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바니쉬 층(15)을 포함한다. 이것은 추가적으로 분리층(21) 및 캐리어 요소(3)의 구조에 있어서 시스템(200)과 추가적으로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캐리어 요소(3)는 30㎛에서 30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6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종이로 구성된다. 캐리어 요소(3)를 통한 UV 접착층(21a)의 조명은 이로써 여기서 불가능하며, 조명은 제 2 서브 요소(2)의 기타 측으로부터 영향받아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그러므로 제 2 서브 요소(2)의 추가 층이 UV 접착층(21a)의 조명에 필수적인 파장의 UV 방사선에 대한 충분한 투과율을 가질 경우에만 가능하다.
캐리어 요소(3)로부터의 제 2 서브 요소(2)의 신뢰가능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분리층(21)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형된다. 분리층은 냉 접촉층(21c)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제 2 서브 요소(2)는 캐리어 요소(3)에 단단히 고정된다. 외측을 향하여, 이것은 추가 폴리머층(21d)에 의해 인접하며, 이것은 UV 접착층(21a) 및 폴리머 층(21b)의 이미 기재된 층 구조가 뒤따른다. 제 2 서브 요소(2)는 캐리어 요소로부터 분리되고 UV 접착층(21a)과 폴리머층(21b) 사이의 접합이 해제된다. 폴리머 층(21b)만이 먼저 기재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서브 요소(2) 상에 유지된다. UV 접착층(21a), 추가 폴리머층(21d) 및 냉 접착층(21c)은 캐리어 요소 상에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시스템(400)은 다시 시스템(300)에 상응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제 2 서브 요소의 분리층(21)의 냉 접착층(21d) 및 추가 폴리머층(21d)은 층의 나머지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분리를 더 쉽게 만들며 더 큰 층(21c 및 21d)이 기재된 바와 같이 캐리어 요소(3) 상에 남게 되므로 마감된 비네트의 변경을 야기하지 않는다.
도 5에 따른 시스템(500)은 도 3에 따른 시스템(300)으로부터 유래한다. UV 접착층(21a) 대신에, 방사선 경화를 요하지 않으며 예컨대 쉽게 인쇄될 수 있는 리버서블하게 분리 가능한 접착층(21e)이 제 2 서브 요소에 제공된다. 특히 폴리비닐 알콜을 기초로 한 제형은 접착제로서 적합하다. 접착제 층(21e)의 층 두께는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이다. 캐리어 요소(3)는 여기서 종이로 구성되므로 캐리어 요소(3)를 통한 조명은 불가능하다. 접착층(21e)을 위한 리버서블하게 분리 가능한 접착제의 사용은 조명이 제 2 서브 요소(2)의 상면으로부터 불가능할 경우에도 시스템(500)을 사용하여 가능해진다. 시스템(30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서브 요소가 분리되면 오직 폴리머 층(21b)이 제 2 서브 요소(2) 상에 남게 되고, 접착층(21e), 추가 폴리머 층(21d) 및 냉 접착층(21c)은 캐리어 요소에 남게 된다.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21e)은 제 2 서브 요소의 전체 폭에 대하여 연장할 필요가 없다. 도면에서 알수 있듯이, 약간의 보호가 유지될 경우 분리는 쉬워진다.
더욱이, 시스템(500)은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제 2 서브 요소(2)의 컷(16, 26)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개별 서브 요소(1, 2)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통해 연장한다. 이것은 이미 부착된 비네트의 부적절한 분리가 발생할 때 보안 특징의 파손에 기여한다.
바니쉬 층(15)은 여기에 제공되지 않되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폴리머 층의 표면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컨대 냉 접착제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에 일반적으로 잘 접착하는 접착 시스템이 다시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실리콘화 또는 얇은 분리 층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이것은 왁스 기반 시스템에 의해 묶인다(bound).
도 6에 따른 시스템(600)은 시스템(500)에 상응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제 2 서브 요소(2)의 분리층(21)의 냉 접착층(21c) 및 추가 폴리머층(21d)이 생략된다는 점이다. UV 접착층(21a)과 다르게 여기서 사용된 리버서블하게 분리 가능한 접착층(21e)은 문제가 없는 캐리어 요소(3)의 종이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시스템(500)으로부터의 추가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에 따른 시스템(100)으로부터 시작하는 완전한 개별화된 비네트를 위한 제조 단계는 도 7에 표시된다.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이 먼저 제공되며 개시된 방식으로 개별화 특징(14)이 인쇄된다. 이로써, 제 2 서브 요소(2)의 접착제(25)의 종이층(25c)은 화살표 방향으로 실리콘 층(25b)과 함께 벗겨진다.
제 2 서브 요소(2)의 접착제(25)의 냉 접착층(25a)이 노출되는 도 7b에 도시된 중간체(100b)이 이로써 얻어진다. 도 7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체(100b)의 캐리어 요소(3)는 폴드 에지(33)를 통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폴딩된다. 도 7d에 도시된 중간체가 여기서 형성된다. 제 1 서브 요소(1)의 폴리머 층(12),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및 개별화 특징(14)은 제 2 서브 요소의 냉 접착층(25a) 상에 놓이고 그 결과 서브 요소(1, 2)가 접착된다. 개별화 특징(14)은 조작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폴리머층(12)과 냉 접착층(25a) 사이에서 둘러싸인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요소(3)는 영역(31)에서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서브 요소(1 및 2)의 복합물을 먼저 벗겨낸다. 분리층(34)은 분리를 더 쉽게 하고 캐리어 요소(3) 상에 남는다. 추가로, 분리층(34)은 캐리어 요소(3)에 대한 제 2 서브 요소(2)의 냉 접착층(25a)의 원치않는 접착을 방지한다. 제 1 서브 요소(1)의 냉 접착층(11)은 그렇게 함으로써 노출되며 도 7f에서 도시된 중간체(100d)가 얻어진다. 이러한 중간체(100d)에서, 서브 요소(1 및 2)의 복합물은 제 2 서브 요소(2)의 분리층(21)의 UV 분리층(21a)을 통해 영역(32)에서 캐리어 요소(3)에만 접합된다. 캐리어 요소(3)는 평평한 플라이(ply)내로 다시 폴딩된다.
마지막으로, 도 7g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브 요소(2)는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어 요소(3)에서 서브 요소(1 및 2)의 복합물을 벗겨냄으로써 영역(32)의 캐리어 요소(3)로부터 분리된다. 제 2 서브 요소(2)의 분리층(21)의 UV 접착층(21a)은 분리층(21)의 폴리머층(21b)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서,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에 있어서, 여전히 접착하는 UV 접착층(21a) 및 분리층(34)을 갖는 남아있는 캐리어 요소(100f)뿐만 아니라 마감된 개별화된 비네트(4)가 얻어진다.
도 7i에서 별도로 다시 표시되는 마감된 비네트(4)는 이제 냉 접착층(11), 폴리머층(12),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개별화 특징(14), 냉 접착층(25a), 반사층(24), 복제층(23), 접착층(22) 및 폴리머층(21b)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비네트(4)는 차량 내부(5)를 면하는 윈드 쉴드(6)의 측(61)에 부착되어야 한다. 이것은 제 1 서브 요소(1)의 냉 접착층(11)에 의해 먼저 이뤄진다. 도 7j에서 인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서브 요소(2)는 에지 영역(27)에서 제 1 서브 요소(1)를 넘어서 돌출된다. 이러한 에지 영역에서, 제 2 서브 요소(2)의 냉 접착층(25a)이 노출된다. 이러한 에지 영역은 윈드 쉴드(6)에 접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윈드 쉴드(6) 상의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개별화된 비네트(4)가 최종적으로 생성된다. 폴리머 층(21b)은 윈드 쉴드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비네트의 표면(41)을 형성하며 환경 조건으로부터 이것을 보호한다.
비네트(4)를 마감하고 부착하기 위한 방법이 시스템(100)을 참조하여 기재되었으나, 상기 기재된 방법은, 물론 시스템(200 내지 500) 및 기재된 모든 추가 변형 에 적용되고 청구항에 의해 포함될 수 있다.
1 제 1 서브 요소
2 제 2 서브 요소
3 캐리어 요소
4 비네트(vignette)
5 차량 내부
6 윈드 쉴드(windshield)
11 냉 접착층
12 폴리머 층(서브 요소(1))
13 광학적 가변층
14 개별화 특징
15 바니쉬 층
16 컷
21 분리층
21a UV 접착층
21b 폴리머 층(서브 요소(2))
21c 냉 접착층
21d 폴리머 층(서브 요소(2))
21e 리버서블하게 분리 가능한 접착층
22 접착층
22a 접착 촉진층
22b 부분 왁스층
23 복제층
24 반사층
25 접착제
25a 냉 접착층
25b 실리콘층
25c 종이층
26 컷
27 에지 영역
31 (캐리어 요소의) 제 1 서브 영역
32 (캐리어 요소의) 제 2 서브 영역
33 폴드 에지
34 분리층
41 (비네트의) 표면
61 (윈드 쉴드의) 내측

Claims (53)

  1. 보안 요소(4), 특히 표면을 위한 비네트(vignette), 특히 운송 수단의 윈도우(6)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00, 200, 300, 400, 500, 600)으로서,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캐리어 요소(3)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요소(4)의 제 1 서브 요소(1)는 상기 제 1 표면의 제 1 영역(31)에 배열되며 상기 보안 요소(4)의 제 2 서브 요소(2)는 폴드 에지(33)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31)으로부터 분리된 제 1 표면의 제 2 영역(32)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서브 요소는 폴드 에지(33)를 따르는 상기 캐리어 요소(3)의 폴딩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요소(1)와 중첩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의 측 상에 배열된 접착제(25)를 가지며, 개별화 특징(14)이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 및/또는 상기 제 1 서브 요소(1)의 측에 부착될 수 있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가 몰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제층(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제층(3)은 0.2㎛에서 20㎛까지, 바람직하게는 0.5㎛에서 5㎛까지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는 특히 100lines/mm에서 2500lines/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00lines/mm에서 2000lines/mm 사이의 공간 주파수를 갖고 특히 1차원 또는 2차원의 회절 격자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구조는, 광 회절 및/또는 광 굴절 및/또는 광 산란 및/또는 광 포커싱 마이크로구조 또는 나노구조, 등방성 또는 이방성 매트 구조, 이원의 또는 연속하는 프레넬 렌즈, 마이크로프리즘 구조, 100lines/mm와 300lines/mm 사이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블레이즈 격자, 특히 2500lines/mm와 4000lines/mm사이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0차 회절 구조, 특히 5㎛와 50㎛ 사이의 마이크로렌즈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및 이들을 결합하는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릴리프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층(24), 특히 금속층 또는 HRI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층(24)은 광학적 정보의 제 1 항목의 형태로 패터닝, 특히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2개 이상의 상이한 반사층(24)을 갖고, 상기 상이한 반사층은 특히 상이한 금속 재료로부터 형성되며 특히 광학적 정보의 상이한 제 1 항목의 형태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24)은 0.005㎛에서 2㎛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01㎛에서 0.2㎛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에서 0.1㎛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및/또는 광학적 가변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가변층(13) 또는 광학적 가변층 시스템은, 이것이 시야 각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함유하고 및/또는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층 및/또는 시야각에 따른 간섭색 효과(interference color effect)를 갖는 박막 층 스택 및/또는 특히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몰딩된 릴리프 구조를 갖는 복제층(23)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는 특히 상기 운송 수단의 윈드 쉴드(6)에 상기 보안 요소(4)를 접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층(11)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상기 제 1 접착층(11)은 상기 캐리어 요소(3)에 면하는 상기 제 1 서브 요소(1)의 측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1)은 특히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냉 접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층(34), 특히 실리콘층이 상기 제 1 서브 요소(1)와 상기 캐리어 요소(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는 특히, 폴리에스테르, 특히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PP(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이를 갖는 폴리머 층(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층(12)은 6㎛에서 125㎛까지의, 바람직하게는 6㎛에서 7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에서 5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는 상기 개별화 특징(14)의 접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바니쉬 층(15), 특히 접착 촉진층을 가지며, 상기 바니쉬 층(15)은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폴리머 층(12)의 측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또는 광학적 가변층 시스템은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폴리머 층(12)의 측면 상에 배열되는, 특히 상기 바니쉬 층(15) 상에 배열되는 것 그리고 상기 개별화 특징(14)이 상기 부분 광학적 가변층(13) 또는 광학적 가변층 시스템을 갖는 공통 층 평면에, 특히 상기 층(13) 또는 상기 층 시스템에 인접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 및 상기 제 2 서브 요소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25)는 제 2 접착층(25a), 특히 냉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25a)은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25)는 분리층(25b, 25c), 특히 분리가능한 실리콘화된 종이 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층은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측면 상의 상기 제 2 접착층(25a)에 적용되며 상기 분리층 아래에 놓인 상기 제 2 접착층(25a)을 적어도 영역들에서 특히 오버행(overha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종이층(25c)은 30㎛에서 30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6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상기 캐리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 2 서브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층(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21)은 특히, 폴리에스테르, 특히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PP(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가지며, 6㎛에서 125㎛까지의, 바람직하게는 6㎛에서 7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에서 5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층(21b, 21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21)은 적어도 하나의 UV 접착층(2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UV 접착층(21a)은 0.1㎛에서 1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1㎛에서 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21)은 적어도 하나의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21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21e)은 1㎛에서 4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접착층(21a) 또는 상기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21e)은 2개의 폴리머 층폴리머 층들(21b, 21d)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21)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요소의 상기 표면 평면의 상기 제 2 서브 요소(2)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을 넘어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영역들에서 상이한 인접 층들(21, 23)에 대한 접착의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22)을 갖고 특히 상기 접착층이 제공되는 지점에서 상기 인접 층들(21, 23)의 접착을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22)은 접착 촉진층(2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접착 촉진층(22a)은 0.005㎛에서 2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5㎛에서 5㎛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에서 2.5㎛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22)은 부분 왁스층(22b) 또는 부분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부분 왁스층(22b)은 0.002㎛에서 1㎛까지의, 바람직하게는 0.005㎛에서 0.2㎛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에서 0.1㎛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 그리고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을 다시 인용할 경우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22)은 상기 복제층(23)과 상기 분리층(21)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25㎛에서 25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5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종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30㎛에서 30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60㎛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20㎛까지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상기 개별 서브 요소(1, 2)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통해,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개별 서브 요소(1, 2)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 층(3)의 연장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컷(cut)(16, 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요소(2)는 상기 캐리어 요소(3)의 연장의 평면에 위치된 모든 방향으로 상기 제 1 서브 요소(1)보다 더 큰 연장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3. 보안 요소(4), 특히 차량의 윈드 쉴드(6)를 위한 비네트를 개별화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단계:
    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100, 200, 300, 400, 500, 600)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제 1 서브 요소(1)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의 측면에 개별화 특징(14)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폴드 에지(33)를 따라 상기 캐리어 요소(3)를 폴딩하는 단계 - 상기 서브 요소(1, 2)는 서로 중첩하도록 만들어짐 - ;
    d)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의 측면 상에 배열되는 상기 접착제(25)에 의해 상기 서브 요소(1, 2)를 접착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특징(14)은 인쇄에 의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청구항 43 또는 청구항 44에 있어서,
    일련번호, 성명, 면허증 번호 등이 개별화 특징(14)으로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의 폴딩 전에, 분리층(25b, 25c), 특히 분리가능한 실리콘화된 종이 층은 상기 캐리어 요소(3)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분리층(25b, 25c) 및 제 2 접착층(25a)을 포함하는 접착제(25)의 상기 제 2 접착층(25a)은 단계 d)에서의 접착을 위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의 폴딩 동안, 상기 서브 요소(1, 2)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가 모든 측면 상에서 상기 제 1 서브 요소(1)를 넘어서 돌출하도록 중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단계 e)에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접착된 상기 서브 요소(1, 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단계 e)에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분리층(34), 특히 실리콘 층을 따라 상기 제 1 서브 요소(1)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 1 서브 요소의 접착층(11)은 노출되며, 이로써 상기 보안 요소(4)는 차량의 표면, 특히 윈드 쉴드(6)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단계 e)에서, 상기 캐리어 요소(3)는 상기 제 2 서브 요소(2)로부터 분리되어서 상기 제 2 서브 요소(2)의 분리층(21)이 분리되고, 상기 분리층(21)의 접착층(21a, 21c, 21e)은 상기 캐리어 요소(3) 상에서 남게 되며 상기 분리층(21)의 폴리머 층(21b, 21d)은 상기 보안 요소(4)의 표면(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UV 접착층, 냉 접착층 또는 리버서블하게 분리가능한 접착층은 접착층(21a, 21c, 21e)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5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보안 요소(4), 특히 차량을 위한 비네트.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보안 요소(4)는 차량의 윈드 쉴드(6)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요소(4).
KR1020167007282A 2013-08-19 2014-08-08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4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8906.2 2013-08-19
DE102013108906.2A DE102013108906A1 (de) 2013-08-19 2013-08-19 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dividualisierten Sicherheitselements
PCT/EP2014/067064 WO2015024797A1 (de) 2013-08-19 2014-08-08 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dividualisierten sicherheitsel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031A true KR20160044031A (ko) 2016-04-22

Family

ID=5129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282A KR20160044031A (ko) 2013-08-19 2014-08-08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155407B2 (ko)
EP (1) EP3036112B1 (ko)
JP (1) JP2016534904A (ko)
KR (1) KR20160044031A (ko)
CN (1) CN105658439B (ko)
AU (1) AU2014310796B2 (ko)
CA (1) CA2920982C (ko)
DE (1) DE102013108906A1 (ko)
HU (1) HUE049767T2 (ko)
MX (1) MX356104B (ko)
RS (1) RS60173B1 (ko)
WO (1) WO2015024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722A1 (ja) * 2015-10-02 2017-04-06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構造体
EP3763539A1 (en) * 2019-07-11 2021-01-13 Gemalto Sa Multi-page personalization for a multi-page security document
DE102021003199A1 (de) 2021-06-22 2022-12-22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Sicherheitselement mit einer Markierungsschicht mit mehreren Aussparungen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icherheitselements
DE102022000409A1 (de) * 2022-02-03 2023-08-03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Sicherheitselement-Transfermateria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4297A (ko) 1974-02-16 1975-09-08
JPS50114297U (ko) * 1974-03-04 1975-09-18
GB2128581B (en) * 1982-09-28 1985-11-06 Bdk Ind Prod Ltd Self-adhesive transparent film
ATE43735T1 (de) * 1984-08-07 1989-06-15 Dudzik Joachim Sicherheitsaufkleber.
US4778153A (en) * 1985-08-02 1988-10-18 Dittler Brothers, Inc. Promotional articl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548210Y2 (ko) 1985-12-05 1993-12-21
US4986868A (en) * 1988-08-31 1991-01-22 Wallace Computer Services, Inc. Method of making an intermediate blank for identification card or the like
US5318326A (en) * 1993-03-22 1994-06-07 Wallace Computer Services, Inc. Identification card intermediate and method
JP3552262B2 (ja) 1994-02-09 2004-08-11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432062C1 (de) 1994-09-09 1995-11-30 Kurz Leonhard Fa Visuell identifizierbares optisches Element
ATE194313T1 (de) * 1995-03-24 2000-07-15 Fofitec Ag Formular mit integrierter, heraustrennbarer karte sowie mehrschichtmaterial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formulars
FR2742906B1 (fr) * 1995-12-22 1998-03-06 Hologram Ind Sarl Etiquette de marquage securise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57984B1 (fr) * 1996-12-30 1999-03-26 Hologram Ind Sarl Systeme de marquage securise personnalisable
US6214153B1 (en) * 1999-07-06 2001-04-10 Moore North America, Inc. Self laminating clean release card
US20090324907A1 (en) * 1999-07-08 2009-12-31 D Amato Salvatore F Tamper evident and resisting informational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6514587B1 (en) * 1999-12-17 2003-02-04 Promaxx Inovative Pc Print Media Gmbh Set for lamination of a print carrier with a protective element
JP2002366036A (ja) * 2001-06-07 2002-12-20 Kurz Japan Kk 車両認識用ステッカー
AU2002361144B2 (en) * 2001-12-21 2008-01-31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Security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L203882B1 (pl) * 2001-12-22 2009-11-30 Ovd Kinegram Ag Dyfrakcyjny element zabezpieczający
FR2843559B1 (fr) 2002-08-13 2005-02-25 Gemplus Card Int Carte multicouches personnalisee comportant des amorces de ruptu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carte
WO2004096571A2 (en) * 2003-04-25 2004-11-11 Process Label Systems Printable intermediate
JP2004333530A (ja) * 2003-04-30 2004-1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車両認証用ラベルを使用する保険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車両認証用ラベル
FR2891386B1 (fr) * 2005-09-29 2007-11-30 Hologram Ind Sarl Systeme de marquage de securite
JP4705902B2 (ja) * 2006-10-12 2011-06-22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ラベル帳票
JP4908347B2 (ja) * 2007-08-24 2012-04-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貼付シート
CA2656506A1 (en) 2009-02-27 2010-08-27 Bank Of Canada Security device
AT510505B1 (de) * 2010-08-13 2013-02-15 Hueck Folien Gmbh Sicherheitsetikett mit manipulationsnachweis
DE102010054853A1 (de) * 2010-12-17 2012-06-21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mit Kennzeichnung
FR2984002B1 (fr) * 2011-12-07 2014-01-10 Hologram Ind Etiquette securisee multicouch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0134A1 (en) 2016-07-14
CN105658439A (zh) 2016-06-08
CA2920982C (en) 2021-10-26
US10155407B2 (en) 2018-12-18
EP3036112A1 (de) 2016-06-29
HUE049767T2 (hu) 2020-10-28
CN105658439B (zh) 2018-03-30
EP3036112B1 (de) 2020-02-19
CA2920982A1 (en) 2015-02-26
AU2014310796B2 (en) 2019-03-21
WO2015024797A1 (de) 2015-02-26
DE102013108906A1 (de) 2015-02-19
RS60173B1 (sr) 2020-05-29
AU2014310796A1 (en) 2016-03-10
MX356104B (es) 2018-05-14
MX2016001945A (es) 2016-06-02
JP2016534904A (ja)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208B1 (ko) 전사 필름 및 전사 필름 제조 방법
JP6649275B2 (ja) 多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70992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а также переносимой пленки
US10850551B2 (en) Multi-layer bod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7000462B (zh) 多层体和用于生产多层体的方法
MX2007007949A (es) Estructura de documento de id con recubrimiento de diseno que proporciona caracteristicas de seguridad variable.
CN108602340B (zh) 用于将全息图集成到安全文件体中的方法和安全文件体
CA2926821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element, and multilayer element
TWI757464B (zh) 多層膜製造方法和多層膜以及防偽元件和防偽文件
KR20160044031A (ko) 개별화된 보안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A3024906A1 (en) Sheet of paper for a security document, method for producing the sheet of paper, and security document produced therewith
EP3576958A1 (en) Method of forming a security document
US20070298205A1 (en) Security Laminates and Documents
TW201808669A (zh) 僞造防止構造體
EA006467B1 (ru)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ая кар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карты
US2021023749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ecurity element having two security features and use of the method
JP7441222B2 (ja) フィルム中間生成物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フィルム中間生成物および生成物の生成方法
BR112016003347B1 (pt) Sistema para produção de um elemento de segurança, método para a individualização de um elemento de segurança e elemento de segurança
TW202003264A (zh) 層合體和層壓薄膜的製造方法以及層合體和層壓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