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776A - 콤팩트 휴대용 거울 - Google Patents

콤팩트 휴대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776A
KR20160043776A KR1020140138405A KR20140138405A KR20160043776A KR 20160043776 A KR20160043776 A KR 20160043776A KR 1020140138405 A KR1020140138405 A KR 1020140138405A KR 20140138405 A KR20140138405 A KR 20140138405A KR 20160043776 A KR20160043776 A KR 20160043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cking
support plate
base support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918B1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4013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9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4Pocket or handbag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휴대용 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서로 열리고 닫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커 어셈블리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 지지판(31);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릴리스 버튼(34)에서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부쪽으로 돌출된 록킹 후크편(35)이 구비되고 상기 릴리스 버튼(34)의 내측단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에 지지되어 상기 제2케이스(20) 내부에 수용되는 록킹 탄성체(36)가 구비된 록킹부재(33); 상기 제1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33)의 상기 록킹 후크편(35)에 걸려지는 록킹 걸림편(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팩트 휴대용 거울{Compact portable mirror}
본 발명은 콤팩트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고 케이스를 열어주고자 할 경우에는 간단하게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록커 어셈블리의 구조가 간소화되며 자체의 두께가 최대한 슬림하게 구현된 콤팩트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거울은 간편한 휴대성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러한 휴대용 거울로는 한 쌍의 케이스용 커버의 내부에 거울을 구비하여, 한 쌍의 커버가 열리고 닫히게 된 것이 있다. 이처럼 한 쌍의 커버가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닫히는 거울을 폴더형 휴대용 거울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폴더형 휴대용 거울은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식으로 서로 열리고 닫히는 한 쌍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거울을 포함하는데,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한 쌍의 케이스가 닫혔을 때에 각 케이스를 잡아서 케이스가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케이스들을 닫아주도록 잡아주는 잠금장치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고, 잠금장치의 구조가 복잡한 만큼 두께가 그만큼 더 두꺼워지게 되어서, 잠금장치를 장착한 케이스들의 두께도 그에 대응하여 더 두꺼워져야 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에는 케이스를 최대한 슬림하게 구현하여 콤팩트하게 소지하고 다니도록 하는 기능 등에 있어서 미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만큼 제작 코스트도 많이 들어가고 작업 공수도 더 늘어나는 등의 문제도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65804호(1999.11.11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7708호(2004.11.03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94816호(2000.06.23 등록) 국내공개특허 특2003-0044984호(2003.06.09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록커 어셈블리에 의해 견실하게 유지하고 케이스를 열어주고자 할 경우에는 푸시 버튼식으로 케이스를 간단하게 열어줄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닫은 상태와 개방시키는 상태를 구현하는 록커 어셈블리의 구조가 기존에 비하여 간소화된 새로운 콤팩트 휴대용 거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록킹 걸림편이 구비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케이스에서 개폐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커 어셈블리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 지지판;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릴리스 버튼과, 상기 릴리스 버튼에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록킹 걸림편이 걸려지는 록킹 후크편과, 상기 릴리스 버튼의 내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판에 지지된 록킹 탄성체를 구비한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은 접합제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의 안쪽면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안쪽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돌출 섹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 섹터의 표면에 접합제에 의해 거울이 부착되어, 상기 거울의 둘레부에 인접한 배면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의 전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가 확보되며, 상기 제2케이스의 측벽부에는 상기 스페이스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판이 걸려지도록 지지하는 고정 지지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지지돌부는 상기 제2케이스의 상기 측벽부를 가압하는 가공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의 중심부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페이스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후크편은 상기 제2케이스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록킹 걸림편은 상기 제1케이스의 중심부쪽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장된 곡선형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록킹 걸림편이 상기 록킹 걸림편의 상기 곡선형 걸림부가 상기 제2케이스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상기 록킹 후크편에 걸려져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은 상기 록커 어셈블리를 향하는 선단부측의 양쪽에 한 쌍의 결합 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상기 록킹 탄성체는 탄성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내측단에 한 쌍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는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좌우 양쪽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판의 상기 한 쌍의 결합 지지홈에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은 선단부측에 상부로 더 돌출된 결합 지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편의 양단부와 제2케이스의 안쪽면 사이에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가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결합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의 상기 돌출 섹터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의해 상기 거울의 안쪽면과 상기 제2케이스의 안쪽면 사이가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거울과 상기 케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은 접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은 상기 돌출 섹터 주위의 안쪽면이 접합제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의 안쪽면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의 선단부측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안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공간부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콤팩트 휴대용 거울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고,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는 록커에 의해 견고하게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록커를 푸시버튼식으로 눌러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열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2케이스측의 록킹 후크편으로 제1케이스측의 록킹 걸림편을 잡아서 록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견고하게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열고자 할 때에는 간단하게 록킹부재의 릴리스 버튼만 눌러주면 되므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손쉽게 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은 얇은 판형태(철판 형태)로 제작되어서 자체의 두께가 최대한 슬림해지므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두께를 최대한 작게 하여 콤팩트하고 간편하게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록킹부재의 구조 자체가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간소화되므므로 제작시에 보다 유리하고 제작 코스트의 절감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휴대용 거울의 주요부인 베이스 지지판과 케이스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베이스 지지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지지판과 거울의 접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케이스와 베이스 지지판 및 록킹부재의 분해 사시도로서 베이스 지지판과 록킹부재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지지판과 록킹부재를 제2케이스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휴대용 거울의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콤팩트 휴대용 거울의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케이스와 록킹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록킹부재가 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6의 A-A선 종단면도로서 케이스를 닫아서 록킹한 상태와 케이스의 록킹을 해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6의 B-B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7의 C-C선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인 제2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케이스에 베이스 지지판과 거울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제2케이스와 베이스 지지판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콤팩트 휴대용 거울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콤팩트 휴대용 거울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열리고 닫히는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록커 어셈블리는 베이스 지지판(31)과 록킹부재(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기존에 비하여 록커 어셈블리의 구조가 보다 심플해지고 두께가 더 얇아서 최대한 슬림한 두께(콤팩트한 두께)로 제품이 구현된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둘레부를 따라 구비된 측벽부(12)에 의해 내부에 거울(8) 수용부가 있는 구조이다. 제1케이스(10)의 내부 거울(8) 수용부에는 거울(8)이 수용되고, 거울(8)의 뒷면은 접합제(BD)에 의해 제1케이스(10)의 안쪽면에 부착된다. 제1케이스(10)는 내부의 거울(8) 수용부가 제2케이스(20) 내부의 거울(8) 수용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케이스(10)는 원형 케이스 형태인데, 원형 케이스 이외에 사각 케이스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케이스(10)의 기단부에는 제2케이스(20)와의 힌지부를 구성하는 핀보스가 구비된다. 핀보스는 일정 간격 이격된 홈에 의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0)의 선단부(즉, 제1케이스(10)의 핀보스가 구비된 기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는 록킹 걸림편(14)이 구비된다. 록킹 걸림편(14)은 제1케이스(10)의 측벽부(12)의 일부를 따내는 가공을 한 다음, 상기 측벽부(12)의 따내어진 록킹 걸림편 포밍편을 절곡시켜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록킹 걸림편(14)은 제1케이스(10)의 중심부쪽으로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곡선형 걸림부(14a)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 걸림편 포밍편의 일부를 제1케이스(10)의 중심부쪽으로 둥글게 절곡시킴으로써 록킹 걸림편(14)에 단면 라운드 형태의 곡선형 걸림부(1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곡선형 걸림부(14a)는 제1케이스(10)의 안쪽으로 대략 둥글게 절곡된 구조이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기단부에는 힌지부를 매개로 제2케이스(20)의 기단부 연결된다. 제2케이스(20)의 기단부에는 핀보스가 구비된다. 핀보스는 일정 간격 이격된 홈에 의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의 핀보스 옆에 확보된 홈에 제2케이스(20)의 핀보스가 끼워지고, 제1케이스(10)의 핀보스는 제2케이스(20)의 핀보스 옆에 확보된 홈에 끼워진 다음, 상기 제1케이스(10)의 핀보스와 제2케이스(20)의 핀보스에 공통으로 힌지핀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핀보스와 힌지핀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기단부측 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서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
상기 제2케이스(20)도 둘레부를 따라 구비된 측벽부(22)에 의해 내부에 거울(8) 수용부가 있는 구조이다. 제2케이스(20) 내부의 거울(8) 수용부에는 거울(8)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지지판(31)과 록킹부재(33)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제2케이스(20)는 내부의 거울(8) 수용부가 제1케이스(10) 내부의 거울(8) 수용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제2케이스(20)는 원형 케이스 형태인데, 원형 케이스 이외에 사각 케이스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즉, 제2케이스(20)의 핀보스가 구비된 기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는 릴리스 버튼(34) 결합홀이 구비된다. 릴리스 버튼(34) 결합홀은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측 측벽부(22)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접합제(BD)(접착제 등)에 의해 뒷면이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된다. 베이스 지지판(31)은 외곽 둘레부에서 중심부쪽으로 일정 너비만큼 들어온 위치에 돌출 섹터(32)가 구비된다. 돌출 섹터(32)는 대략 반달형 돌기 형태이다. 돌출 섹터(32)의 뒷면은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즉, 베이스 지지판(31)의 돌출 섹터(32) 뒷면과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S)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돌출 섹터(32)를 제외한 나머지 뒷면이 접합제(BD)에 의해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합제(BD)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는 록커 어셈블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러한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 양쪽에 각각 하나씩 결합 지지홈(31G)이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이 베이스 록킹 지판의 선단부측 양쪽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선단부측에 상부로 더 돌출된 결합 지지편(31S)이 구비된다. 결합 지지편(31S)은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의 표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제1케이스(10)의 내부 거울(8) 수용부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편의 상단부에 이어지면서 제2케이스(20)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지지편(31S)의 양단부측 뒷면과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사이에 록커 어셈블리의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지지홈(31G)이 각각 형성된다. 즉, 결합 지지편(31S)은 양쪽 측단부에 제2케이스(20) 안쪽면과 이격된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을 구비한 것이다. 록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록킹부재(33)의 록킹 탄성체(36)가 결합 지지편(31S)의 뒷면(아래면)에 걸려지므로, 상기 록킹부재(33)의 록킹 탄성체(36)가 앞으로 이탈되지 않고 탄성적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에는 결합 지지편(31S)의 양쪽 측단부에 배치되도록 각각 하나씩 오목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 지지판(31)은 결합 지지편(31S)이 구비된 부분이 양쪽 한 쌍의 오목홈부보다 록킹부재(33) 쪽으로 산 모양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록킹부재(33)는 릴리스 버튼(34)과 록킹 후크편(35) 및 록킹 탄성체(36)를 포함한다.
상기 릴리스 버튼(34)은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릴리스 버튼(34)은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측 측벽부(22)에 형성된 버튼 결합홀(22H)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록킹 후크편(35)은 릴리스 버튼(34)의 내측단에 구비된다. 릴리스 버튼(34)의 내측단 중앙부에 록킹 후크편(35)이 구비된다. 릴리스 버튼(34)을 내측단 중앙부를 따내기 가공하여 록킹 후크편(35) 포밍편을 형성하고, 상기 록킹 후크편(35) 포밍편을 릴리스 버튼(34)의 상면 쪽으로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록킹 후크편(3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록킹 후크편(35)은 릴리스 버튼(34)의 외측단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록킹부재(33)의 일측에서 볼 때에 록킹 후크편(35)이 릴리스 버튼(34)에서 위로 직각으로 연장되지 않고 릴리스 버튼(34)의 외측단 쪽으로 더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 탄성체(36)는 외측단이 릴리스 버튼(34)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의 외측단이 릴리스 버튼(34)의 내측단 중에서 록킹 후크편(35)의 양쪽 내측단에 연결되어 있다. 록킹 탄성체(36)는 판스프링 구조이다. 록킹 탄성체(36)는 양면 사이의 두께보다 상하단 사이의 두께가 더 큰 판스프링 구조를 가진다. 상기 록킹부재(33)가 스프링강과 같이 자체 탄성이 있는 금속재로 구성되므로, 상기 록킹 후크편(35)은 물론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자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록킹부재(33)는 스프링강 이외에도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자체 탄성력을 가진 재질이면 모두 채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서로 벌어진 형태를 이룬다. 즉,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록커 어셈블리의 좌우 양쪽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된다. 정확하게는, 릴리스 버튼(34)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벌어진 형태로 배열된다.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측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거리가 점점 벌어지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의 내측단이 베이스 지지판(31)의 양쪽에 확보된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에 삽입 결합된다. 즉,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의 내측단이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 결합 지지편(31S) 양쪽 뒷면과 제2케이스(20) 안쪽면 사이에 확보된 각각의 결합 지지홈(31G)에 삽입된다. 따라서, 릴리스 버튼(34)을 누르면 릴리스 버튼(34)과 록킹 후크편(35)은 제2케이스(20)의 내부로 전진하고 동시에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베이스 지지판(31)의 결합 지지편(31S)의 양쪽 측단부에 의해 밖으로 밀리면서 벌어지며,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벌어지면 탄성 복원력을 받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에는 결합 지지편(31S)의 양쪽에 중심부 쪽으로 더 들어간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베이스 지지판(31)의 결합 지지편(31S)에 의해 눌려지면서 벌어질 때에 상기 오목홈부 영역에서 전진하므로, 록킹 탄성체(36)의 내측단이 베이스 지지판(31)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벌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릴리스 버튼(34)을 누른 상태에서는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벌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한 상태이므로, 릴리스 버튼(34)을 누르는 상태를 해제하면 록킹 탄성체(36)가 원래 위치로 오므라들면서 릴리스 버튼(34)을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측 측벽부(22)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전면에는 거울(8)이 부착된다. 거울(8)의 뒷면이 베이스 지지판(31)에 구비된 돌출 섹터(32)의 표면에 접합제(BD)를 통해서 부착된다. 그러면, 거울(8)의 뒷면 중에서 돌출 섹터(32)와 붙은 면을 제외한 나머지 뒷면은 베이스 지지판(31)의 전면에서 떠 있게 된다. 돌출 섹터(32)가 베이스 지지판(31)의 둘레부에 중심부 쪽으로 일정 거리 들어온 위치에 구비되므로, 거울(8)의 뒷면 중에서 둘레부에서 일정 너비 안으로 들어온 영역의 뒷면이 베이스 지지판(31)의 전면에서 떠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록킹 지지편에 붙지 않은 거울(8)의 둘레부 인접 뒷면과 베이스 록킹 지지편의 둘레부 인접 전면 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된 스페이스(S)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열고 닫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열린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케이스(20) 방향으로 제1케이스(10)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근접)시키면, 상기 제1케이스(10)에 구비된 록킹 걸림편(14)이 제2케이스(20)에 구비된 록킹부재(33)의 록킹 후크편(35) 상단부에 접촉된다. 제1케이스(10)의 록킹 걸림편(14) 하측에 구비된 단면 원주 형태의 곡선형 걸림부(14a)가 록킹부재(33)의 록킹 후크편(35)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케이스(10)를 제2케이스(20) 방향으로 더 눌러주면 상기 록킹 후크편(35)이 제2케이스(20)의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하고, 록킹 후크편(35)이 전진하면 릴리스 버튼(34)도 제2케이스(20)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하고 동시에 릴리스 버튼(34)에 구비된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제2케이스(20) 내부의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결합 지지편(31S)의 양쪽 결합 지지홈(31G)에서 서로 벌어지면서 자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록킹 걸림편(14)에 구비된 곡선형 걸림부(14a)가 제2케이스(20)에 구비된 록킹부재(33)의 록킹 후크편(35)에 완전히 걸려지면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좁혀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록킹부재(33)의 록킹 후크편(35)과 릴리스 버튼(34)이 원위치로 후진 복귀한다. 즉, 록킹부재(33)의 록킹 후크편(35)이 제1케이스(10)에 구비된 록킹 걸림편(14)를 잡아주는 한편, 상기 릴리스 버튼(34)은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측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20)의 록킹부재(33)에 구비된 록킹 후크편(35)은 제2케이스(2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편(35)이 제1케이스(10)의 록킹 걸림편(14)을 확실하게 잡아주게 되므로, 록킹부재(33)의 릴리스 버튼(34)을 누르지 않는 이상 제2케이스(20)측의 록킹 후크편(35)에서 제1케이스(10)측의 록킹 걸림편(14)이 록킹 해제되어 제2케이스(20)에서 제1케이스(10)가 다시 열리는 일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서로 닫히고 상기와 같은 록커에 의해 견고하게 닫혀진 상태에서 록킹부재(33)의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로 돌출되어 있는 릴리스 버튼(34)을 눌러주면, 상기 제1케이스(10)의 록킹 걸림편(14)(곡선형 걸림부(14a))을 잡고 있던 록킹 후크편(35)이 안으로 밀리면서 록킹 걸림편(14)을 잡은 상태(록킹한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10)의 핀보스와 제2케이스(20)의 핀보스는 미리 텐션을 가한 상태(프리 텐션 상태)이므로, 상기 제2케이스(20)의 록킹 후크편(35)에서 제1케이스(10)측의 록킹 걸림편(14)이 이탈된 순간에 상기 프리 텐션이 가해진 핀보스들에 의해 제1케이스(10)가 제2케이스(20)의 위로 약간 열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케이스(10)를 손으로 잡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케이스(20)에서 열어주기가 보다 편리하다. 상기 록킹부재(33)의 릴리스 버튼(34)을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한 쌍의 벌어졌던 록킹 탄성체(3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킹부재(33)가 원래 위치로 후진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휴대용 거울은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록커 어셈블리에 의해 견실하게 유지하고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열어주고자 할 경우에는 푸시 버튼식으로 록커 어셈블리에 의한 록킹 상태를 간단하게 해제하여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손쉽게 열여줄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닫은 상태와 개방시키는 상태를 구현하는 록커 어셈블리의 구조가 기존에 비하여 간소화되며 자체의 케이스 두께가 최대한 슬림하게 구현되어 콤팩트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2케이스(20)측의 록킹 후크편(35)으로 제1케이스(10)측의 록킹 걸림편(14)을 잡아서 록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견고하게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열고자 할 때에는 간단하게 록킹부재(33)의 릴리스 버튼(34)만 눌러주면 되므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손쉽게 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33)은 얇은 판형태(철판 형태)로 제작되어서 자체의 두께가 최대한 슬림해지므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두께를 최대한 작게 하여 콤팩트하고 간편하게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록킹부재(33)의 구조 자체가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간소화되므므로 제작시에 보다 유리하고 제작 코스트의 절감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33)에서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서로 대칭되도록 벌어진 상태로 배열되고,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제2케이스(20) 내부의 베이스 지지판(31)의 결합 지지편(31S) 양쪽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에서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벌어지고 좁혀지는 작동을 하게 되므로, 록킹부재(33)에 의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닫은 상태의 유지 및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개방시키는 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에 의해 록킹부재(33)가 양쪽에서 균형있게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작동되므로,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 후크편(35)과 록킹 걸림편(14)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이고, 상기 록킹 후크편(35)과 록킹 걸림편(14)의 결합 해제에 있어서도 보다 안정적이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33)의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자체 탄성이 있는 스프링강 등으로 구성되어서 각 록킹 탄성체(36)가 쉽게 록킹부재(33)에서 파단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33)와 베이스 지지판(31)을 제2케이스(20) 내부의 거울(8) 수용부에 조립할 때에는 먼저 록킹부재(33)의 릴리스 버튼(34)을 제2케이스(20)의 선단부측 측벽부(22)의 버튼 결합홀(22H)에 끼우고 록킹 후크편(35)과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제2케이스(20)의 거울(8) 수용부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 탄성체(36)를 베이스 지지판(31)의 결합 지지편(31S) 양쪽 측단부에서 벗어나도록 약간 벌려준 상태에서 베이스 지지판(31)의 뒷면을 접합제(BD)에 의해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고정하고, 상기 벌려준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를 베이스 지지판(31)의 결합 지지편(31S) 양쪽 측단부에 확보된 상기 결합 지지홈(31G)에 끼워주면 되므로, 록킹부재(33)와 베이스 지지판(31)을 제2케이스(20) 내부에 함께 조립하는 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접합제(BD)에 의해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에는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돌출 섹터(32)가 구비된다. 따라서, 베이스 지지판(31)의 돌출 섹터(32) 뒷면과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사이에는 스페이스(S)가 확보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돌출 섹터(32)와 제2케이스(20) 사이의 스페이스(S)는 에어 패킹 기능을 하게 되어서 혹시라도 본 발명의 휴대용 거울을 떨어뜨리는 충격 등에 의해 베이스 지지판(31)을 접합시킨 접합제(BD)가 제2케이스(20)에서 떨어지려 하여도 상기 돌출 섹터(32)에 의해 베이스 지지판(31)과 제2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된 에어 패킹 작용 스페이스(S)로 인하여 베이스 지지판(31)과 이에 부착된 거울(8)이 제2케이스(20)에서 쉽게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품으로서의 견고성과 신뢰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베이스 지지판(31)은 돌출 섹터(32) 주위의 안쪽면(뒷면)이 접합제(BD)에 의해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의 안쪽면(뒷면)에는 제2케이스(20)의 안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공간부(VP)가 확보된다. 베이스 지지판(31)의 뒷면 중에서 접합제(BD)에 의해 제2케이스(20) 안쪽면에 붙어 있지 않고 그냥 떠 있는 부분이 생기도록 하는데, 이처럼 베이스 지지판(31)의 뒷면 중에서 제2케이스(20) 안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이 공간부(VP)가 된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 안쪽면에 확보된 공간부(VP)(제2케이스(20)에서 떠 있는 부분)도 에어 패킹 기능을 하게 되어서 혹시라도 본 발명의 휴대용 거울을 떨어뜨리는 충격 등에 의해 베이스 지지판(31)을 접합시킨 접합제(BD)가 제2케이스(20)에서 떨어지려 하여도 상기 에어 패킹 작용 공간부(VP)로 인하여 베이스 지지판(31)과 이에 부착된 거울(8)이 제2케이스(20)에서 쉽게 떨어지는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품으로서의 견고성과 신뢰성이 한층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지지판(31)에 형성된 돌출 섹터(32)의 표면(전면)에 거울(8)의 뒷면이 접합제(BD)(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거울(8)이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거울(8)의 둘레부에 인접한 배면과 베이스 지지판(31)의 전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S)가 확보되는데, 이러한 거울(8)과 베이스 지지판(31) 사이에 확보된 스페이스(S)에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고정 지지돌부(24)에 의해 베이스 지지판(31)을 잡아주게 된다. 베이스 지지판(31)의 뒷면이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제(BD)에 의해 고정된 것에 더하여 제2케이스(20)에서 돌출된 고정 지지돌부(24)에 베이스 지지판(31)의 둘레부에 인접한 전면이 걸려지기 때문에, 제2케이스(20) 앞으로 베이스 지지판(31)이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즉, 베이스 지지판(31)이 접합제(BD)에 의해 1차로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고정 지지돌부(24)에는 2차로 베이스 지지판(31)이 물리적으로 걸려지는 2중 고정 지지구조이기 때문에 베이스 지지판(31)과 이에 부착된 거울(8)이 제2케이스(20) 앞으로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지지돌부(24)는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를 가압하는 가공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20)의 중심부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페이스(S)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베이스 지지판(31)을 앞쪽에서 잡아주도록 할 수 있다.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 전체를 가압하는 가공에 의해 고정 지지돌부(24)가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의 거의 전체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의 군데군데를 가압하는 가공에 의해 복수개의 고정 지지돌부(24)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케이스(20)에 내장된 베이스 지지판(31)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 지지돌부(24)를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를 눌러주는 가공으로만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 지지판(31)과 거울(8)이 제2케이스(20) 내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돌출 섹터(32)에는 구멍(32H)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32H)에 의해 거울(8)의 안쪽면(뒷면)과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사이가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멍(32H)을 통하여 거울(8)과 케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은 접합제(BD)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판(31)의 돌출 섹터(32)에 구멍(32H)을 먼저 뚫고, 상기 구멍(32H)으로 접합제(BD)(접착제 등)를 주입하면, 접합제(BD)가 상기 돌출 섹터(32)의 뒷면과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영역의 일부에 채워지고 동시에 상기 구멍(32H)으로는 접합제(BD)가 노출되는데, 상기 구멍(32H)에 노출된 접합제(BD)에 거울(8)의 뒷면을 부착하면, 거울(8)이 제2케이스(20)에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지지판(31)의 구멍(32H)을 통해 주입된 접합제(BD)가 베이스 지지판(31)과 제2케이스(20)를 접합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뒷면 중에서 돌출 섹터(32) 주위의 다른 뒷면은 다른 접합제(BD)에 의해 제2케이스(20)에 접합하고, 상기 구멍(32H)으로 채워진 접합제(BD)는 거울(8)의 뒷면을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직접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거울(8)의 뒷면 중에서 구멍(32H) 부분의 접합제(BD)에 의해 부착된 뒷면 이외에 다른 뒷면도 역시 또 다른 접합제(BD)에 의해 베이스 지지판(31)의 전면에 고정되므로, 제2케이스(20)와 베이스 지지판(31) 및 거울(8) 사이의 접합 구조가 더욱더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제1케이스 12. 측벽부
14. 록킹 걸림편 14a. 곡선형 걸림부
20. 제2케이스 22. 측벽부
22H. 버튼 결합홀 24. 고정 지지돌부
31. 베이스 지지판 31G. 결합 지지홈
31S. 결합 지지편 32. 돌출 섹터
32H. 구멍 33. 록킹부재
34. 릴리스 버튼 35. 록킹 후크편
36. 록킹 탄성체 BD. 접합제
S. 스페이스 VP. 공간부

Claims (9)

  1. 록킹 걸림편(14)이 구비된 제1케이스(10);
    상기 제1케이스(10)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케이스(10)에서 개폐되는 제2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커 어셈블리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 지지판(31);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릴리스 버튼(34)과, 상기 릴리스 버튼(34)에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기 록킹 걸림편(14)이 걸려지는 록킹 후크편(35)과, 상기 릴리스 버튼(34)의 내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에 지지된 록킹 탄성체(36)를 구비한 록킹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접합제(BD)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에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돌출 섹터(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섹터(32)의 표면에 접합제(BD)에 의해 거울(8)이 부착되어, 상기 거울(8)의 둘레부에 인접한 배면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전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S)가 확보되며,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벽부(22)에는 상기 스페이스(S)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이 걸려지도록 지지하는 고정 지지돌부(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돌부(24)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상기 측벽부(22)를 가압하는 가공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20)의 중심부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페이스(S)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편(35)은 상기 제2케이스(20)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기 록킹 걸림편(14)은 상기 제1케이스(10)의 중심부쪽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장된 곡선형 걸림부(14a)를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기 록킹 걸림편(14)이 상기 록킹 걸림편(14)의 상기 곡선형 걸림부(14a)가 상기 제2케이스(2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상기 록킹 후크편(35)에 걸려져서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가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상기 록커 어셈블리를 향하는 선단부측의 양쪽에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을 형성하고,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상기 록킹 탄성체(36)는 탄성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내측단에 한 쌍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는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좌우 양쪽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상기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에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선단부측에 상부로 더 돌출된 결합 지지편(31S)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편(31S)의 양단부와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사이에 상기 록커 어셈블리의 상기 한 쌍의 록킹 탄성체(36)가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결합 지지홈(31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상기 돌출 섹터(32)에는 구멍(32H)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32H)에 의해 상기 거울(8)의 안쪽면과 상기 제2케이스(20)의 안쪽면 사이가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멍(32H)을 통하여 상기 거울(8)과 상기 케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은 접합제(BD)에 의해 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은 상기 돌출 섹터(32) 주위의 안쪽면이 접합제(BD)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20)의 안쪽면에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31)의 선단부측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안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공간부(VP)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휴대용 거울.
KR1020140138405A 2014-10-14 2014-10-14 콤팩트 휴대용 거울 KR10163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05A KR101636918B1 (ko) 2014-10-14 2014-10-14 콤팩트 휴대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05A KR101636918B1 (ko) 2014-10-14 2014-10-14 콤팩트 휴대용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76A true KR20160043776A (ko) 2016-04-22
KR101636918B1 KR101636918B1 (ko) 2016-07-20

Family

ID=5591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405A KR101636918B1 (ko) 2014-10-14 2014-10-14 콤팩트 휴대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91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04Y1 (ko) 1997-02-19 2000-01-15 윤정식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KR200194816Y1 (ko) 2000-04-20 2000-09-01 안인기 휴대폰 등에 결착되어 휴대가능한 거울
KR20030044984A (ko) 2003-05-21 2003-06-09 박철희 여성용 휴대거울
KR200367708Y1 (ko) 2004-08-19 2004-11-12 유인태 거치가 가능한 폴더형 휴대거울
KR200418848Y1 (ko) * 2006-03-17 2006-06-14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휴대용 라이트 미러
JP2008295935A (ja) * 2007-06-04 2008-12-11 Nichiei Kogaku Kogyosho:Kk 手鏡
KR101222087B1 (ko) * 2011-11-30 2013-01-1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다단형 화장품 용기
KR101285335B1 (ko) * 2010-12-28 2013-07-11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04Y1 (ko) 1997-02-19 2000-01-15 윤정식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KR200194816Y1 (ko) 2000-04-20 2000-09-01 안인기 휴대폰 등에 결착되어 휴대가능한 거울
KR20030044984A (ko) 2003-05-21 2003-06-09 박철희 여성용 휴대거울
KR200367708Y1 (ko) 2004-08-19 2004-11-12 유인태 거치가 가능한 폴더형 휴대거울
KR200418848Y1 (ko) * 2006-03-17 2006-06-14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휴대용 라이트 미러
JP2008295935A (ja) * 2007-06-04 2008-12-11 Nichiei Kogaku Kogyosho:Kk 手鏡
KR101285335B1 (ko) * 2010-12-28 2013-07-11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KR101222087B1 (ko) * 2011-11-30 2013-01-1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다단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918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80Y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반자동 슬라이드 케이스
JP5260199B2 (ja) コンパクト容器
CN106505167B (zh) 电子设备及用于该电子设备的壳体锁持机构
JP2005167488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KR101636918B1 (ko) 콤팩트 휴대용 거울
JP2009118949A (ja) 化粧料容器
TWI552454B (zh) 按壓式隨身存儲裝置
KR100975765B1 (ko) 휴대용 메모리스틱 조립체
JP3157928U (ja) 連結具
JP3455176B2 (ja) 記憶媒体内蔵板状体ホルダ
TWI587993B (zh) Hand tools storage box
US11175753B2 (en) Mouse
JP7493889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317770Y2 (ko)
JP2005334363A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2003180443A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610887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S6329445Y2 (ko)
JP4777049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装着構造
JPS5825938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07159783A (ja) 化粧料容器
JPH077844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9108035A (ja) コンパクト
JP3097670B2 (ja) 携帯型機器用チルトユニット
JP4762599B2 (ja) コンパクトの蓋係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