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610A -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610A
KR20160043610A KR1020140137810A KR20140137810A KR20160043610A KR 20160043610 A KR20160043610 A KR 20160043610A KR 1020140137810 A KR1020140137810 A KR 1020140137810A KR 20140137810 A KR20140137810 A KR 20140137810A KR 20160043610 A KR20160043610 A KR 2016004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parts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호
신승식
진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610A/ko
Priority to EP14903980.2A priority patent/EP3208312B1/en
Priority to CN201480082516.3A priority patent/CN107075236B/zh
Priority to US15/518,585 priority patent/US20170275448A1/en
Priority to PCT/KR2014/012971 priority patent/WO2016060333A1/ko
Publication of KR2016004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140 중량부;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 내지 80 중량부; 및 유리섬유 1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Description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자기소화성, 치수안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부품, 렌즈 및 유리 대체 소재 등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투명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유리 대비 내스크래치성이 매우 떨어지고,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스크래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를 얼로이(alloy)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C/PMMA 수지 조성물은 수지간 상용성이 낮고 굴절율의 차이가 커서, 투명성이 저하되고 외관 품질이 나빠질 수 있으며, 오히려,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기전자 제품의 투명 외장재 등 투명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모두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52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할로겐계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140 중량부;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 내지 80 중량부; 및 유리섬유 1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9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R3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이고, 굴절률이 1.57 내지 1.60이며,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 g/mol이고, 굴절률이 1.495 내지 1.59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R6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이고, R7은 레조시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A, 또는 비스페놀-S의 디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것(알코올을 제외한 부분)이며,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굴절률이 1.51 내지 1.59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는 0.001 내지 0.01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두께 1.0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전광성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헤이즈(haze)가 1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3 내지 15 kgf·cm/cm이고, ASTM D790에 의거하여 두께 6.4 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굴곡탄성률이 40,000 내지 70,000 kgf/cm2이며, ASTM D696에 의거하여 측정한 선형 열팽창계수가 20 내지 60 ㎛/(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투명 외장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할로겐계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B) (메타)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140 중량부, (C)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 내지 80 중량부, 및 (D) 유리섬유 1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를 포스겐, 할로겐산 에스테르, 탄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고,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탄산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8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542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절률이 1.57 내지 1.60, 예를 들면, 1.58 내지 1.59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섬유의 굴절률에 따라, (메타)아크릴계 수지와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B) (메타)아크릴계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9의 아릴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시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비페닐기, 벤질페닐기, 더욱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메톡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치환된"이란 용어는 수소 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5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3 내지 5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0 내지 99 중량%, 예를 들면 50 내지 97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R3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통상의 중합방법, 예를 들면, 괴상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 반복단위에 해당하는 단량체에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에 해당하는 단량체로는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에틸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브로모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비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에 해당하는 단량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에틸에타클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라디칼 중합개시제이고, 상기 중합은 굴절률 등을 고려하여 현탁 중합일 수 있고, 상기 현탁 중합은 현탁안정제 및 연쇄이동제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량체에 라디칼 중합개시제 및 연쇄이동제를 투입하여 반응 혼합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반응 혼합액을 현탁안정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투입하여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현탁 중합)할 수 있다. 여기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중합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옥탄오일 퍼옥사이드, 데칸오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모노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p-메틸벤조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02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쇄이동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하고, 열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은 단량체에 포함되는 중합개시제의 함량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연쇄이동제에 의해 중합 반응이 정지되면 사슬의 말단은 제2 탄소 구조가 된다. 이것은 연쇄이동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생성되는 이중 결합을 갖는 사슬의 말단보다 결합 강도가 더 강하다. 따라서, 연쇄이동제 첨가는 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국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쇄이동제로는 중합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연쇄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n-부틸 머캡탄, n-옥틸 머캡탄, n-도데실 머캡탄, t-도데실 머캡탄, 이소프로필 머캡탄 및 n-아밀 머캡탄 등을 포함하는 CH3(CH2)nSH(n은 1 내지 20의 정수임) 형태의 알킬 머캡탄; 알파 메틸스티렌 다이머 또는 알파 에틸스티렌 다이머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쇄이동제의 사용량은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상기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02 내지 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제조 시, 상기 현탁 안정제와 함께 통상의 현탁 안정보조제 등이 더욱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현탁 안정제로는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폴리올레핀-말레인산,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등의 유기 현탁 안정제, 트리칼슘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현탁 안정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현탁 안정보조제로는 디소듐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소듐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수용성 고분자나 단량체의 용해도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듐 설페이트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제조 시, 상기 중합 온도와 중합 시간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5 내지 125℃의 중합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중합이 완료된 후에는 냉각, 세척, 탈수, 건조 공정을 거쳐 입자 형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면, 1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등 광학적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ASTM D542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절률이 1.495 내지 1.590, 예를 들면, 1.495 내지 1.5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섬유의 함량 및 굴절률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40 중량부, 예를 들면 20 내지 14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인계 난연제로서, 할로겐 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다.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R6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이고, R7은 레조시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A, 또는 비스페놀-S의 디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것(알코올을 제외한 부분)이며, m은 0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면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m이 0인 경우, 디페닐페닐포스포네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4,6-트리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m이 1인 경우, 비스페놀-A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비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히드로퀴논 비스[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히드로퀴논 비스[비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 예를 들면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제외한 나머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ASTM D542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절률이 1.56 내지 1.60, 예를 들면, 1.57 내지 1.59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 난연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 유리섬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평균 직경이 5 내지 20 ㎛이고, 평균 길이가 1.5 내지 8 mm인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보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의 평균 길이가 상기 범위일 경우 압출기에 투입하기 용이하다.
상기 유리섬유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아령 모양 등일 수 있고, 단면의 장경(a)과 단경(b)의 비율(a/b)이 1.0 내지 1.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리섬유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 열가소성 수지와의 반응을 방지하고 함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유리섬유 처리제로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처리는 섬유 제조 시 또는 후공정에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처리제로는 윤활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는 유리섬유 제조 시 일정한 직경 두께를 갖는 양호한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커플링제는 유리섬유와 수지와의 양호한 접착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유리섬유 처리제를 사용되는 수지와 유리섬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물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굴절률이 1.51 내지 1.59, 예를 들면 1.52 내지 1.58, 구체적으로 1.54 내지 1.58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는 0.02 이하, 예를 들면, 0.001 내지 0.010일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과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가 0.02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섬유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면 20 내지 100 중량부, 구체적으로 20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치수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안정제,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UV 조사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색상 변화 및 광반사성 저하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광증백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4-(벤조옥사졸-2-일)-4'-(5-메틸벤조옥사졸-2-일)스틸벤 또는 4,4'-비스(벤조옥사졸-2-일)스틸벤 등과 같은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용도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두께 1.0 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전광성 투과율이 80%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95%일 수 있고, 헤이즈(haze)가 10%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투명성 외장재 용도에 적합한 투명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함에도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서,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3 내지 15 kgf·cm/cm, 예를 들면 3 내지 8 kgf·cm/cm일 수 있고, ASTM D790에 의거하여 두께 6.4 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굴곡탄성률이 40,000 내지 70,000 kgf/cm2, 예를 들면 40,000 내지 60,000 kgf/c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96에 의거하여 측정한 선형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α))가 20 내지 60 ㎛/(m℃), 예를 들면 25 내지 55 ㎛/(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금속과 유사한 수축률을 얻을 수 있고, 투명 텔레비전 하우징 등 전기전자 제품의 투명 외장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성 성분과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들을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투명성 및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할로겐계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므로, 투명 텔레비전 하우징 등 전기전자 제품의 투명 외장재로 특히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분자량: 25,000 g/mol, 굴절률: 1.585)를 사용하였다.
(B) (메타)아크릴계 수지
(B1)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70 중량%에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30 중량%를 현탁 중합하여 제조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수지(중량평균분자량: 35,000 g/mol, 굴절률: 1.515)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B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제조사: LG MMA, 제품명: IF850, MI(230℃/3.8kg): 12 g/10분, 굴절률: 1.490)를 사용하였다.
(C)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DAIHACHI사의 비스페놀-A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bisphenol A bis(diphenyl phosphate): BDP, 제품명: CR-741)를 사용하였다.
(D) 유리섬유
(D1) OCV사의 183F(평균 직경, 13 ㎛, 평균 길이: 3 mm, 굴절률: 1.554)를 사용하였다.
(D2) OCV사의 910(평균 직경, 13 ㎛, 평균 길이: 3 mm, 굴절률: 1.544)을 사용하였다.
(D3) Asahi사의 KK03(평균 직경, 13 ㎛, 평균 길이: 3 mm, 굴절률: 1.578)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7
하기 표 1 및 2의 조성에 따라 각 구성 성분을 첨가하고, 240 내지 280℃로 가열된 이축 용융압출기 내에서 용융 및 혼련하고 압출하여, 칩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칩을 80℃의 온도에서 5 시간 이상 건조한 다음, 240 내지 280℃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사용하여 하기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물성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투명성: ASTM D1003에 의거하여, 두께 1.0 mm의 시편에 대해 전광성 투과율(전 투과광(TT), 단위: %) 및 헤이즈(haze, 단위: %)를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여기서, 전광성 투과율이 높을수록, 헤이즈가 낮을수록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2)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의 아이조드 시편에 노치(Notch)를 만들어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률(단위: kgf/cm2): ASTM D790에 의거하여 두께 6.4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하였다.
(4) 선형 열팽창계수(단위: ㎛/(m℃)): ASTM D696에 의거하여 두께 6.4mm의 시편으로 측정하였다.
(5) 난연도: 두께 0.8 mm의 시편을 제조하여,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80 100 100 100 140 20
(C) (중량부) 45 45 35 45 35 60
(D1) (중량부) 45 45 45 35 - -
(D2) (중량부) - - - - 45 -
(D3) (중량부) - - - - - 45
수지 혼합물((A)+(B1)+(C))
굴절률
1.558 1.556 1.556 1.556 1.547 1.575
유리섬유 굴절률 1.554 1.554 1.554 1.554 1.544 1.578
수지 혼합물과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 0.004 0.002 0.002 0.002 0.003 0.003
전광성 투과율 (%) 87 88 87 90 91 88
헤이즈 (%) 5 3 4 2 3 3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4.3 4.5 4.2 4.0 4.8 4.2
굴곡탄성률 (kgf/cm2) 64,000 62,000 60,000 55,000 59,000 61,000
선형 열팽창계수
(㎛/(m℃))
30 30 30 37 32 31
난연도 V-2 V-2 V-2 V-2 V-2 V-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B1) - 180 120 30 100 100 -
(B2) - - - - - - 100
(C) (중량부) 45 45 5 120 45 45 45
(D1) (중량부) 45 45 45 45 - 150 45
수지 혼합물((A)+(B)+(C))
굴절률
1.583 1.544 1.544 1.576 1.553 1.553 1.541
유리섬유 굴절률 1.554 1.554 1.554 1.554 - 1.554 1.554
수지 혼합물과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 0.029 0.01 0.01 0.022 1.553 0.001 0.013
전광성 투과율 (%) 78 87 88 76 90 88 82
헤이즈 (%) 64 6 7 45 2.5 12 25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4.6 1.8 2 2 2 3 2
굴곡탄성률 (kgf/cm2) 62,000 48,000 53,000 65,000 18,000 80,000 48,000
선형 열팽창계수
(㎛/(m℃))
36 40 39 37 75 25 32
난연도 V-2 fail fail V-2 V-2 fail fail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내충격성, 굴곡탄성률, 난연성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형 열팽창계수가 30 내지 37 ㎛/(m℃)로 저수축 특성을 가져 외장재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투명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충격 및 난연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소량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난연성이 저하됨 알 수 있고,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과량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선팽창 계수가 증가하고, 강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유리섬유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투명성 및 난연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아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비교예 7은 헤이즈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140 중량부;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 내지 80 중량부; 및
    유리섬유 1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9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9

    R3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이고, 굴절률이 1.57 내지 1.60이며,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 g/mol이고, 굴절률이 1.495 내지 1.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9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R6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이고, R7은 레조시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A, 또는 비스페놀-S의 디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것(알코올을 제외한 부분)이며,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굴절률이 1.51 내지 1.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유리섬유의 굴절률 차이는 0.001 내지 0.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두께 1.0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전광성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헤이즈(haze)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3 내지 15 kgf·cm/cm이고, ASTM D790에 의거하여 두께 6.4 mm의 시편에 대해 측정한 굴곡탄성률이 40,000 내지 70,000 kgf/cm2이며, ASTM D696에 의거하여 측정한 선형 열팽창계수가 20 내지 6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투명 외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40137810A 2014-10-13 2014-10-13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043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10A KR20160043610A (ko) 2014-10-13 2014-10-13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14903980.2A EP3208312B1 (en) 2014-10-13 2014-12-2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CN201480082516.3A CN107075236B (zh) 2014-10-13 2014-12-29 具有优异的透明度和机械强度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包含其的模制产品
US15/518,585 US20170275448A1 (en) 2014-10-13 2014-12-2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PCT/KR2014/012971 WO2016060333A1 (ko) 2014-10-13 2014-12-29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10A KR20160043610A (ko) 2014-10-13 2014-10-13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610A true KR20160043610A (ko) 2016-04-22

Family

ID=5574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810A KR20160043610A (ko) 2014-10-13 2014-10-13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75448A1 (ko)
EP (1) EP3208312B1 (ko)
KR (1) KR20160043610A (ko)
CN (1) CN107075236B (ko)
WO (1) WO2016060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50B1 (ko) * 2018-03-30 2020-12-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80351B1 (ko) 2018-12-21 2021-07-2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9825055B (zh) * 2019-01-15 2021-06-1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876830A (zh) * 2021-01-20 2021-06-01 金旸(厦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玻纤增强阻燃pc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9140B2 (en) * 2004-07-22 2006-10-10 Ronald Basham Transparent films,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1511850B (zh) * 2006-08-31 2013-04-24 苏普雷斯塔有限责任公司 低聚二磷酸酯阻燃剂以及含有它的组合物
US20100316860A1 (en) * 2006-10-16 2010-12-16 Idemitsu Kosan Co., Ltd.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KR101004040B1 (ko) * 2007-12-18 2010-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88349B1 (ko) * 2008-12-17 2012-10-05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110000440A (ko) * 2009-06-26 2011-01-03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09808B1 (ko) * 2010-07-30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51614B1 (ko) * 2010-11-05 2014-02-17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20100523A (ko) * 2011-03-04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스크래치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US10017640B2 (en) * 2013-03-08 2018-07-10 Covestro Llc Halogen free flame retarded poly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5236A (zh) 2017-08-18
EP3208312A4 (en) 2018-06-20
EP3208312A1 (en) 2017-08-23
WO2016060333A1 (ko) 2016-04-21
US20170275448A1 (en) 2017-09-28
CN107075236B (zh) 2020-07-03
EP3208312B1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1218B2 (en) Branched (meth)acrylate copolymer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602997B2 (ja) ガラス繊維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524463B2 (ja)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鏡筒
US9340670B2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scratch resistance
JP5048948B2 (ja) ガラス繊維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614511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0962389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351614B1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07078035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light reflectance and good flame retardancy
KR101489953B1 (ko) 난연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1411004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N107075236B (zh) 具有优异的透明度和机械强度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包含其的模制产品
KR20150127929A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8231441A (ja) ガラス繊維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447273B1 (ko)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TWI404763B (zh) 抗刮聚碳酸酯樹脂組成物及成形物件
KR2019007288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14875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4870367B2 (ja) 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577131B1 (ko) 난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637798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20140074087A (ko)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4008677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00077985A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0007764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