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981A -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981A
KR20160041981A KR1020167005787A KR20167005787A KR20160041981A KR 20160041981 A KR20160041981 A KR 20160041981A KR 1020167005787 A KR1020167005787 A KR 1020167005787A KR 20167005787 A KR20167005787 A KR 20167005787A KR 20160041981 A KR20160041981 A KR 2016004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luid
accommodating
container
suction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188B1 (ko
Inventor
마사미 야마카와
미유키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390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94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8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059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0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5535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비
Publication of KR2016004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9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 B01L3/0293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for liquids
    • B01L3/0296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for liquids from piercable tubing, e.g. in extracorporeal blood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3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75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Abstract

체액을 흡인하는 흡인부(1), 흡인부(1)가 흡입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기로(21)를 포함하는 본체
부(2), 및 본체부(2)와 흡인부(1) 사이에 설치되어 흡인부(1) 측의 내경보다 본체부(2)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
의 개구부(31)가 형성되어 흡인부(1)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2)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3)를 구비한다. 흡
인부(1)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저지부(3)에 형성된 개구부(31)의 내경이 흡인부(1)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흡인부(1)에 의해 흡인된 체액이 소정량보다 많이 흡인되는 것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Body Fluid Collector, Body Fluid Container, and Body Fluid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체액채취기, 체액 및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 사용되는 혈액, 소변 등의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체액채취기가 알려져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체액채취기는, 체액에 접해서 흡인할 수 있는 섬유의 집합체인 흡수체(예컨대, 흡수섬유)를 포함하여, 체액을 채취하는 사용자가 체액을 흡수체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체액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혈액인 경우, 흡수체를 혈장분리기 내의 분리액에 담근 상태로 혈장분리기의 여과막이 장착된 실린더에 압력을 가해서 혈장을 분리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번호 2005-17280호
그러나, 체액을 흡수체에 흡수시키는 경우,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의 양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예컨대, 혈액을 흡수체에 흡수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흡수체의 색의 변화에 따라 흡수한 혈액의 대략적인 양을 파악할 수는 있지만, 흡수된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체액채취기를 사용하여 체액을 채취하는 경우, 체액채취량에 변동이 생기므로 채취한 체액을 이용한 검사 결과에도 변동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의 성분을 분리하는 경우, 분리하는 과정에서 체액이 변질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흡수체에 흡수된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하는 경우, 혈액 내의 혈장이 파괴됨으로 인해 혈액 검사 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에 비추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의 하나는 흡수체를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양의 체액을 채취할 수 있는 체액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액채취기는 체액을 흡인하는 흡인부, 흡인부가 흡인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기로를 포함한 본체부, 및 본체부와 흡인부 사이에 설치되어, 흡인부 측의 내경보다 본체부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흡인부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구비한다. 흡인부와 저지부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저지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경은 흡인부의 내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체액채취기를 구성함으로써 흡인부에 의해 흡인된 체액이 소정량보다 많이 흡인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 사용되는 혈액, 소변 등의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체액채취기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체액채취기는, 체액에 접해서 흡인할 수 있는 섬유의 집합체인 흡수체(예컨대, 흡수섬유)를 포함하여, 체액을 채취하는 사용자가 체액을 흡수체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체액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혈액인 경우, 흡수체를 혈장분리기 내의 분리액에 담근 상태로 혈장분리기의 여과막이 장착된 실린더에 압력을 가해서 혈장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흡인부, 본체부, 및 저지부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저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흡인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흡인부, 본체부, 및 저지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체액채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외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내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외측 덮개부 및 내측 덮개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외측 덮개부 및 내측 덮개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내측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체액채취기의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내측 결합부의 단면도(변형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20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용기(7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외측 용기(701)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내측 용기(702)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외측 덮개부(712) 및 상부 덮개부(722)를 닫은 상태에서 외측 덮개부(712) 및 상부 덮개부(722)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수용부(730)의 제1수용부(720)에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소경 수용부와 대경 수용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2는 원심 분리 후의 내측 용기(702) 내의 혈액과 분리제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3은 혈액의 채집에서 검사까지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기는 체액을 흡인하는 흡인부, 흡인부가 흡인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기로를 포함한 본체부, 및 본체부와 흡인부 사이에 설치되어, 흡인부 측의 내경보다 본체부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흡인부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구비한다. 흡인부와 저지부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저지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경은 흡인부의 내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체액채취기를 구성함으로써 흡인부에 의해 흡인된 체액이 소정량보다 많이 흡인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전술한 체액채취기는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흡인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체부에 형성된 통기로는, 예컨대, 본체부와 저지부가 접하는 면의 내경이 가장 작다. 본체부와 저지부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통기로의 내경은, 예컨대, 개구부의 내경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저지부의 외경은 흡인부가 본체부에 접하는 위치에서 흡인부의 내경보다 작아서, 저지부를 흡인부의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흡인부는 저지부가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용기는 체액채취기에 의해 채취된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 공동부를 포함하는 내측 수용부, 내측 수용부의 내측 공동부를 덮는 내측 덮개부, 내측 수용부를 수용하는 외측 공동부를 포함하는 외측 수용부, 및 내측 덮개부에 의해 내측 공동부가 덮힌 상태의 내측 수용부가 외측 공동부에 삽입된 상태로 외측 공동부를 덮는 외측 덮개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체액용기는 내측 덮개부와 내측 수용부를 결합하는 절곡 가능한 내측 결합부 및 외측 덮개부와 외측 수용부를 결합하는 절곡 가능한 외측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내측 수용부는 내측 수용부가 외측 수용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외측 수용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외측 수용부는 돌출부에 접함으로써 내측 공동부에 내측 수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덮개부는 돌출부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제1내측 덮개부 및 제1내측 덮개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내측 덮개부를 포함하고, 내측 덮개부가 내측 공동부를 덮은 상태에서 제1내측 덮개부는 내측 공동부에서 돌출부와 접하며, 제2내측 덮개부는 돌출부에 대해 내측 공동부에서 체액이 수용되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는 체액을 채취하는 체액채취기 및 전술한 체액용기를 구비하고, 체액채취기가 내측 공동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위치까지 내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액채취기의 선단과 내측 공동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값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는 체액을 채취하는 체액채취기 및 전술한 체액용기를 구비하고, 체액채취기는 체액채취기가 내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측 수용부 또는 외측 수용부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함으로써 체액채취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위치결정부가 내측 수용부 또는 외측 수용부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하는 위치까지 체액채취기가 내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액채취기의 선단과 내측 공동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값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르면, 원심분리되는 체액을 수용 가능한 체액용기에 있어서, 체액을 수용하는 제1공동부를 포함하는 제1수용부, 제1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공동부와 함께 체액을 수용하는 제2공동부를 포함하는 제2수용부로, 제2공동부의 내경이 제1공동부의 내경보다 작은 제2수용부, 및 제2수용부가 제1수용부에 장착되는 쪽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체액용기를 제공한다.
제2수용부는 제1수용부의 제2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압입함으로써 장착할 수도 있다. 제2수용부는 제1수용부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수용부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수용부는 형성되어, 제2수용부로서, 각각 내경이 다른 소경 수용부 및 대경 수용부로부터 선택한 수용부를 제1수용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대경 수용부의 외경은 소경 수용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체액은 혈장 및 혈구를 포함하는 혈액으로, 체액을 원심분리하면 제1수용부는 혈장을 수용하고 제2수용부는 혈구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분리제를 수용 가능하며, 체액이 원심분리되면 분리제는 제1공동부와 제2공동부의 접속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르면, 원심분리되는 체액을 수용 가능한 내측 용기 및 내측 용기를 수용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는 체액용기에 있어서, 내측 용기는 체액을 수용하는 제1공동부를 포함하는 제1수용부, 제1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수용부와 함께 체액을 수용하는 제2공동부를 포함하는 제2수용부로, 제2공동부의 내경이 제1공동부의 내경보다 작은 제2수용부, 및 제2수용부가 제1수용부에 장착되는 쪽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체액용기를 제공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흡인부(1), 본체부(2), 및 저지부(3)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체액채취기(100)는 흡인부(1), 본체부(2), 저지부(3), 및 압력발생기(4)를 구비한다. 흡인부(1), 본체부(2), 저지부(3), 및 압력발생기(4)는,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흡인부(1)는 흡인구(11) 및 흡인접시(12)를 포함한다. 흡인구(11)는 흡인접시(12)를 통해 흡인한 체액을 축적하는 축적부(13)를 내부에 포함한다. 사용자가 채취 대상의 체액에 흡인접시(12)를 담그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흡인구(11)의 내부에 체액이 흡인되어 축적부(13)에 축적된다.
흡인구(11)는 흡인접시(12)에 접속되는 부분의 내경이 가장 작고, 흡인접시(12)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다. 축적부(13)도 흡인접시(12)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다. 축적부(13)가 이러한 테이퍼 형태를 가짐으로써 흡인되는 체액이 축적부(13)의 내부에 퍼져서 체액을 쉽게 흡인할 수 있다.
흡인접시(12)는 흡인구(11)와 접속되는 부분이 가장 좁은 깔때기 형태로 되어 있다. 흡인접시(12)가 깔때기 형태를 가짐으로써 체액이 효율적으로 흡인구(11)로 흡인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2)는 흡인부(1)가 흡인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기로(21) (통기로(21a) 및 통기로(21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기로(21)는 압력발생기(4)에 의해 발생되는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흡인부(1) 측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에 의해, 흡인부(1)를 향해 기체가 흐르도록 한다. 예컨대, 외부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통기로(21)를 통과함으로써 축적부(13)에 축적된 체액이 흡인접시(12)를 통해 배출된다. 통기로(21a) 및 통기로(21b)는 서로 결합되어, 압력발생기(4)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해 통기로(21a)에서 통기로(21b)로 기체가 흐르게 된다.
본체부(2)는 결합부(22)를 포함한다. 결합부(22)는 흡인부(1)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원통 형태의 부위이다. 흡인부(1)의 본체부(2)에 접하는 영역의 외경은 결합부(22)의 내경보다 작아서 흡인부(1)가 결합부(22)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예컨대, 결합부(22)에 흡인부(1)가 삽입됨으로써 흡인부(1)와 본체부(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저지부(3)는 본체부(2)와 흡인부(1) 사이에 설치된다. 저지부(3)에는 흡인부(1) 측의 내경보다 본체부(2)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의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저지부(3)는 흡인부(1)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2)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도 3은 저지부(3)의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는 저지부(3)의 흡인부(1) 측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저지부(3)의 본체부(2) 측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저지부(3)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인부(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흡인부(1), 본체부(2), 및 저지부(3)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개구부(31)의 흡인부(1) 측의 내경은 R1이고 본체부(2) 측의 내경은 R2로, R1>R2의 관계를 갖는다.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흡인구(11)의 내면에는 흡인부(1)와 저지부(3)의 흡인부 측의 면이 접하는 면의 위치인 위치(a)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a)에 있어서 축적부(13)의 내경은 R3이다. 저지부(3)의 외경은 흡인부(1)가 본체부(2)에 접하는 위치에서 흡인부(1)의 내경보다 작아서, 저지부(3)가 흡인부(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흡인부(1)에 있어서 본체부(2) 측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위치(a)까지 저지부(3)가 삽입된다. 여기서, 흡인부(1)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저지부(3)에 형성된 개구부(31)의 내경은 흡인부(1)의 내경보다 작다. 즉, 저지부(3)에 형성된 개구부(31)의 흡인부(1) 측의 내경 R1은 위치(a)에서의 흡인부(1)의 내경 R3보다 작다. 그 결과, 저지부(3)가 흡인부(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저지부(3)가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위치(a)에 단차가 생기게 된다. 이 단차가 흡인부(1)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2)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구체적으로, 흡인접시(12)가 담겨진 체액은 모세관현상에 의해 축적부(13)로 유입된다. 체액은 위치(a)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유입되나, 위치(a)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체액을 유입시키는 압력보다 크므로, 체액이 위치(a)보다 본체부(2)에 가까운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인부(1)의 선단을 체액에 담그기만 함으로써 위치(a)까지 체액을 흡인할 수 있다.
위치(a)에 형성되는 단차의 크기, 즉, R3-R1의 길이는 채취하는 체액의 점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위치(a)까지 흡인된 체액은 압력발생기(4)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해 배출할 수 있다. 압력발생기(4)는, 예컨대, 스포이드 또는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빨아들인 공기를 포함한 기체 또는 본체부(2)에 잔류하고 있는 기체를 본체부(2)의 통기로(21a)로 유입시킨다. 통기로(21a)에 유입된 기체는 통기로(21b) 및 개구부(31)를 통해 축적부(13)에 축적된 체액을 밀어낸다. 압력발생기(4)는 흡인부(1)가 체액을 흡인하는 동안 흡인부(1)에 들어있는 기체를 방출하는 개구(41)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 개구를 손가락으로 막음으로써 흡인부(1)에 들어있는 체액을 배출할 수 있다.
통기로(21b)는 본체부(2)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서 내경이 가장 작다. 통기로(21b)는, 예컨대, 저지부(3)에 가까울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다. 통기로(21b)가 이러한 테이퍼 형태를 가짐으로써 압력발생기(4)로부터 유입된 기체의 압력이 저지부(3)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므로 체액을 배출하는 압력이 증가한다.
본체부(2)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서의 통기로(21b)의 내경은 본체부(2)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서의 개구부(31)의 내경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2)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서의 통기로(21b)의 내경은 본체부(2)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서의 개구부(3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이다. 본체부(2)와 저지부(3)가 접하는 면에서의 통기로(21b)의 내경이 개구부(31)의 내경 이상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통기로(21b)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전부가 체액을 배출하는데 사용된다.
개구부(31)에 유입된 기체는 개구부(31)가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어서 경사진 방향으로 확산되어 축적부(13)에 축적된 체액의 표면 전체에 압력이 가해진다. 기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흐르므로 기체의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어렵고, 위치(a)의 단차 부분에 체액이 잔류하지 않아서 거의 전부의 체액을 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출된 체액을 다른 용기에 봉입해서 검사기관으로 보낼 수 있다. 단차의 크기를 체액의 점도를 토대로 결정하는 경우, 모세관현상에 의한 체액의 유입을 저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설정함으로써 단차의 하측에 체액이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체액채취기에 있어서, 저지부(3)에 형성된 개구부(31)의 흡인부(1) 측의 내경 R1이 흡인부(1)의 저지부(3) 측의 내경 R3보다 작고, 저지부(3)와 흡인부(1)와의 접합부에 단차가 존재한다. 그 결과, 체액을 흡인할 때 체액의 유입이 단차의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하므로 정확한 양의 체액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1)가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어서, 채취된 체액이 잔류하지 않고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확한 양의 체액을 채취해서 검사기관으로 보낼 수 있다.
흡인부(1)는 저지부(3)가 장착된 상태로 본체부(2)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축적부(13)의 용량이 각각 다른 흡인부(1)를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체액의 흡인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기(100)를 사용함으로써 검사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양의 체액을 채취할 수 있다.
변형예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체액채취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체액채취기(200)는 선단에 흡인접시(12)를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낸 체액채취기(100)와 다를 뿐, 그 밖의 점에서는 체액채취기(100)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액채취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험예
시물질 함유 용액에 의한 정량 샘플링 용구의 용량검정법을 사용해서 체액채취기(100)에 의한 채취량을 검정하였다. 먼저, 1000 mg의 D(+)-글루코스, 1000 mg의 NaN3, 1000 mg의 알긴산나트륨, 미량의 브릴리언트블루를 용해시킨 100 ml의 지시물질 함유 용액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채취량이 25 ml인 체액채취기(100)로 모세관현상을 이용해서 전술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을 자동으로 흡인하였다. 채취량이 소정량에 달한 시점에서 자동으로 흡인이 정지되었다.
계속해서, 오토피펫(Eppendorf Reference)에 의해 정확하게 나눈 500 ml의 생리식염수 중에 채취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을 토출하여 사전세정을 5회 수행하였다. 생리식염수에 의해 희석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을 혼화한 후, 자동분석장치(일본전자 BM6050)를 사용해서 글루코스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희석하기 전의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글루코스 농도도 분석하였다.
희석 전의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글루코스 농도를 a mg/dl, 희석 후의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글루코스 농도를 b mg/dl, 체액채취기(100)에 의해 흡인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양을 x ml라고 하면, x [ml] = 500 × b ÷ (a - b)에 의해 체액채취기(100)에 의해 흡인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표 1은 5회의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표에서 숫자의 단위는 [ml]이다.
Figure pct00001
글루코스 농도 분석은 삼중측정을 수행하여 체액채취기(100)에 의해 흡인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양을 산출하는데 있어서는 삼중측정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양은, 523.4 [ml], 521.8 [ml], 521.9 [ml], 523.5 [ml], 522.2 [ml]로, 체액채취기(100)에 의해 흡인된 지시물질 함유 용액의 양의 산출에 있어서 이들의 평균값인 522.6 [ml]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산출된 채취량의 일치율은 98.4% ~ 104.4%로, 채취량의 산포가 충분히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 실험예
오토피펫에 의한 채취량의 정확도를 검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2는 채취량을 20 [ml]로 설정한 오토피펫으로 위의 실험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사전세정 횟수를 5회 이상으로 하면 산출된 채취량이 한정되고, 이렇게 산출한 채취량의 평균값은 20.00 [ml]로, 설정한 채취량과의 일치율은 100%를 보이고 있다.
Figure pct00002
표 3은 채취량을 50 [ml]로 설정한 오토피펫으로 위의 실험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20 [ml]로 설정한 경우의 실험 결과로부터 사전 세정을 5회 이상 수행하면 산출된 채취량이 안정되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본 실험은 사전 세정 횟수를 5회 이상 수행하였다. 산출된 채취량의 평균값은 49.90 [ml]로, 설정한 채취량과의 일치율은 99.8%를 보이고 있다.
Figure pct00003
표 4는 채취량을 100 [ml]로 설정한 오토피펫으로 위의 실험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산출된 채취량의 평균값은 100.84 [ml]로, 설정한 채취량과의 일치율은 100.8%를 보이고 있다.
Figure pct00004
체액채취기(100)를 이용한 경우의 채취량과 설정한 채취량과의 일치율이 98.4% ~ 104.4%인데 반해, 오토피펫을 사용은 경우의 채취량과 설정한 채취량과의 일치율은 99.8% ~ 100.8%이었다. 체액채취기(100)는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고가의 오토피펫에 손색 없는 정확도로 체액을 채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실시형태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 사용하는 혈액, 소변 등의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체액용기가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번호 2010-190731호 참조). 이 체액용기에 있어서는 체액을 수용하는 용기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를 장착함으로써 체액이 새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검사에 사용하는 체액을 체액용기에 수용하는 경우, 체액이 채취되고 나서 검사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체액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약액을 사전에 체액용기에 넣어 둘 필요가 있다. 최근에 체액의 채취 방법 및 검사 방법의 개량으로 검사에 사용하는 체액의 채취량이 소량화(예컨대, 2 ml ~ 20 ml)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전에 체액용기에 넣어 두는 약액도 소량화되는 경향이 있다.
약액은 체액용기의 제조 시에 체액용기에 수용된다. 체액용기가 제조되어 사용될 때까지는 유통기간과 보관기간이 있어서 장기간을 요하므로 약액이 증발해서 약액의 양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체액이나 약액의 양이 적으면 미량의 약액의 감소에 의해서도 체액의 검사에 영향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체액용기에 있어서는, 체액이나 약액의 소량화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필요한 약액의 소량화에 대응해서 종래의 체액용기를 소형화하기만 해서는 증발이나 누출로 인해 약액이 감소하여 체액 분석의 정확도가 저하되고 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체액이나 약액의 감소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7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10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체액채취장치(1000)는 체액채취기(300) 및 체액용기(500)를 구비한다. 체액용기(500)는 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나, 도 7에 있어서는, 체액채취기(300)에 체액용기(500)가 끼워져 있는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체액채취기(300)는 흡인부(1), 본체부(2), 저지부(3), 및 압력발생기(4)를 포함한다. 흡인부(1), 본체부(2), 저지부(3), 및 압력발생기(4)는,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채취 대상의 체액에 흡인부(1)의 선단을 담그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흡인부(1)의 내부로 체액이 흡인되어 흡인부(1)의 내부에 축적된다. 흡인부(1)는 2개의 공동부(13a 및 13b)를 포함하여 어느 한쪽을 통해서 체액을 흡인한다.
본체부(2)는 흡인부(1)가 흡인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기로는 압력발생기(4)에 의해 발생하는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흡인부(1) 측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에 의해, 흡인부(1)를 향해 기체가 흐르게 한다. 예컨대, 외부로부터 빨아들인 공기가 통기로(21) (통기로(21a, 21b)를 흘러서 흡인부(1)에 축적된 체액이 배출된다.
저지부(3)는 본체부(2)와 흡인부(1)의 사이에 설치된다. 저지부(3)에는 흡인부(1) 측의 내경보다 본체부(2)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저지부(3)는 흡인부(1)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2)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체액용기(500)는 체액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제조 시에 주입된 약액과 체액채취기(300)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체액용기(500)는 외측 용기(501)와 내측 용기(502)를 포함하고, 외측 용기(501)에 수용된 내측 용기(502) 내에 약액 및 체액을 수용한다. 사용자는 흡인부(1)에 체액을 축적한 상태의 체액채취기(300)를 체액용기(500)에 삽입한 상태로 압력발생기(4)를 눌러서 흡인부(1)에 축적된 체액을 내측 용기(502)에 수용할 수 있다.
도 8은 외측 용기(501)의 측면도이다. 외측 용기(501)는 외측 수용부(510), 외측 덮개부(512), 및 외측 결합부(514)를 포함한다. 외측 수용부(510)는 내측 수용부(520)를 수용하는 외측 공동부(511)를 포함한다. 외측 공동부(511)는 외측 수용부(510)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 용기(502)의 형상과 동등한 형상의 공동이다.
또한, 외측 수용부(510)는 내측 용기(502)에 형성된 후술하는 돌출부(523)와 접함으로써 외측 공동부(511)에 내측 수용부(520)를 고정하는 고정부(513)를 포함한다. 고정부(513)는 내측 수용부(520)가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외측 수용부(510)의 내벽에 형성된 원환형의 영역이다.
외측 덮개부(512)는 후술하는 내측 덮개부(522)에 의해 내측 공동부(521)가 덮힌 상태의 내측 수용부(520)가 외측 공동부(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 공동부(511)를 덮는다. 외측 덮개부(512)의 내경은 외측 공동부(511)의 개구 측의 단부에 있어서 외측 수용부(510)의 외경보다 크다.
외측 결합부(514)는 외측 덮개부(512)와 외측 수용부(510)를 결합하는, 파단되지 않고 절곡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된 부재이다.
도 9는 내측 용기(502)의 측면도이다. 내측 용기(502)는 내측 수용부(520), 내측 덮개부(522), 및 내측 결합부(524)를 포함한다. 내측 수용부(520)는 체액을 채취하는 체액채취기(300)를 삽입할 수 있는 내측 공동부(521)를 포함하고, 체액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약액과 체액채취기(300)에 의해 채취된 체액을 수용한다. 내측 수용부(520)는 외측 공동부(511)에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측 수용부(520)가 외측 수용부(510)에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외측 수용부(510)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23)를 포함한다.
내측 덮개부(522)는 체액채취기(3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내측 수용부(520)의 내측 공동부(521)를 덮는다. 내측 덮개부(522)는 돌출부(523)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제1내측 덮개부(522a)와 제1내측 덮개부(522a)보다 직경이 작은 제2내측 덮개부(522b)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523)의 폭이란 내측 수용부(520)를 외측 수용부(510)에 삽입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523)의 길이이다. 제1내측 덮개부(522a)의 두께는 돌출부(523)의 폭에서 돌출부(523)를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를 뺀 값을 갖는다.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공동부(521)를 덮은 상태에서 제1내측 덮개부(522a)가 돌출부(523)에 접함과 동시에 제2내측 덮개부(522b)는 돌출부(523)에 대해 내측 공동부(521)에 있어서 체액이 수용되는 측에 위치한다. 제1내측 덮개부(522a) 및 제2내측 덮개부(522b)를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수용부(520)를 덮은 상태에서 내측 수용부(520)와 내측 덮개부(522)의 외측의 공간을 연결하는 경로가 길어지므로 체액 및 약액의 증발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또한, 내측 공동부(521)에 체액을 수용하기 전에 있어서도 체액용기에 미리 수용된 약액의 감소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내측 결합부(524)는 내측 덮개부(522)와 내측 수용부(520)를 결합하는, 파단되지 않고 절곡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된 부재이다. 내측 결합부(524)는 최소한 어느 한 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내측 결합부(524)의 형상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내측 수용부(520), 내측 덮개부(522), 및 내측 결합부(524)는, 예컨대, 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형성부재로 해서 구성된다. 액체를 흡수하기 어려운 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함으로써 내측 수용부(520)에 체액을 수용한 경우에 내측 수용부(520)나 내측 덮개부(522)에 체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약액을 단기간(예컨대, 1개월 정도)만 보존하는 경우와 같이 용도에 따라 내측 수용부(520), 내측 덮개부(522), 및 내측 결합부(524)의 형성부재로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외측 덮개부(512) 및 내측 덮개부(522)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0에는 외측 덮개부(512), 외측 결합부(514), 내측 덮개부(522), 및 내측 결합부(524)의 측면도와 내측 수용부(520)가 삽입된 상태의 외측 수용부(510) 및 내측 수용부(520)의 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외측 수용부(510)의 단부에 있어서의 외경을 R10, 내측 수용부(520)의 돌출부(523)에 있어서의 내경을 R20, 내측 수용부(520)의 돌출부(523)의 아래 부분의 내경을 R30, 외측 덮개부(512)의 내경을 r10, 제1내측 덮개부(522a)의 직경을 r20, 제2내측 덮개부(522b)의 직경을 r30이라고 하면 R10 < R20 < r10, R20 > r20, 및 R30 > r30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러한 관계가 만족되면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공동부(521)를 덮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공동부(521)를 밀폐한 상태에서 외측 덮개부(512)가 외측 수용부(510)를 밀폐하여 내측 덮개부(522)를 덮도록 함으로써 내측 공동부(521)를 덮을 수 있다. 즉, 체액용기(500)는 이중 밀폐 구조를 갖는다.
도 11은, 외측 덮개부(512) 및 내측 덮개부(522)를 닫은 상태에서 외측 덮개부(512) 및 내측 덮개부(522) 부근의 단면도이다.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수용부(520)에 형성된 돌출부(523)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내측 수용부(520)가 밀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측 덮개부(512)가 외측 수용부(510)에 밀착한 상태로 내측 덮개부(522)를 덮고 있으므로 높은 밀폐성을 실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측 결합부(524)가 내측 덮개부(522), 외측 덮개부(512), 및 외측 수용부(5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내측 결합부(524)는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 덮개부(522), 외측 덮개부(512), 및 외측 수용부(5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외측 수용부(510)의 내벽은,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절곡된 내측 결합부(5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부(513)의 위쪽이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내측 결합부(524)의 단면도이다. 외측 결합부(514)는 내측 결합부(524)와 동등한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내측 결합부(524)를 늘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b)는 내측 결합부(524)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측 결합부(524)는 토대부(524a)와 토대부(524a)에 형성된 삼각형의 복수의 돌기부(524b)를 포함한다. 토대부(524a)는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수용부(520)에 장착된 상태의 곡률보다 큰 곡률로 구부릴 수 있다.
도 12(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측 결합부(524)를 구부리면 토대부(524a)가 구부러지면서 복수의 돌기부(524b) 각각의 방향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돌기부(524b) 각각이 구부러진 상태의 내측 결합부(524)의 내측의 소정의 위치를 향한 상태로 된다. 내측 결합부(524)가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측 결합부(524)는 파단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 ABS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해서 내측 덮개부(522), 외측 덮개부(512), 및 외측 수용부(5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간에 수용되도록 커다란 곡률로 구부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체액채취기(300)의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체액채취기(300)는 본체부(2)에 있어서 내측 수용부(520)에 삽입되는 영역과 내측 수용부(520)에 삽입되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 영역에 형성된 위치결정부(23: 23a, 23b)를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위치결정부(23a) 및 위치결정부(23b)의 두 개의 위치결정부(23)를 보이고 있으나, 본체부(2)는 임의의 개수의 위치결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부(23)는 체액채취기(300)가 내측 수용부(5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측 수용부(520) 또는 외측 수용부(510)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함으로써 체액채취기(3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체액채취기(300)를 내측 수용부(520)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위치결정부(23)의 선단이 돌출부(523)에 닿으면 체액채취기(300)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위치결정부(23)가 내측 수용부(520) 또는 외측 수용부(510)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하는 위치까지 체액채취기(300)가 내측 수용부(5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액채취기(300)의 선단과 내측 수용부(520)의 내측 공동부(521)의 선단 간의 거리는 소정의 값보다 크다.
예컨대, 위치결정부(23)의 선단이 돌출부(523)에 접하는 위치에서 체액채취기(300)의 선단은 흡인부(1)가 흡인할 수 있는 용량의 체액이 내측 수용부(520)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 수용부(520)에 수용된 체액 및 약액에 닿지 않는 위치에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체액채취기(300)의 선단이 체액 및 약액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액 및 체액이 체액채취기(300)의 선단에 부착됨으로 인해 내측 수용부(520)에 수용되는 체액 및 약액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결정부(23)의 길이는 흡인부(1)의 길이 및 흡인 가능량에 따라 결정된다. 흡인부(1)가 길수록 위치결정부(23)의 길이를 길게 하고 흡인부(1)가 흡인 가능한 체액의 양이 많을수록 위치결정부(23)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흡인부(1)가 긴 경우나 흡인 가능량이 많은 경우에도 체액채취기(300)의 선단이 체액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결정부(23)는 본체부(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위치결정부(23)는 본체부(2)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본체부(2)에 고정되는 볼록부를 포함한다. 위치결정부(23)가 본체부(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흡인부(1)의 길이나 흡인 가능량에 따라 최적의 길이의 위치결정부(23)로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체액채취기(300)에 있어서 흡인부(1)를 교환할 수 있는 경우에 흡인부(1)의 교환에 따라 위치결정부(23)도 교환함으로써 사용자는 체액채취기(300)의 흡인 가능량을 전환하면서 흡인 가능량이 다른 체액채취기(300)일지라도 동일한 체액용기(500)를 사용할 수 있다.
변형예 1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측 수용부(510)와 외측 덮개부(512)가 외측 결합부(514)에 의해 결합되고 내측 수용부(520)와 내측 덮개부(522)가 내측 결합부(524)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변형예 1에서는, 외측 수용부(510)와 외측 덮개부(512)가 결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내측 수용부(520)와 내측 덮개부(522)가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변형예 2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부(523)가 원환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돌출부(523)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변형예 2에서는, 돌출부(523)는 90도 간격으로 내측 수용부(520)의 단부에 형성된 4개의 돌기부로 구성되어 해당 돌기부가 고정부(513)에 접함으로써 내측 용기(502)가 외측 용기(501)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변형예 3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체액채취기(300)는 본체부(2)에 설치된 위치결정부(23)가 내측 수용부(520) 또는 외측 수용부(510)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함으로써 체액채취기(300)의 선단과 내측 수용부(520)의 내측 공동부(521)의 선단부 간의 거리를 소정의 값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변형예 3에서는, 체액채취기(300)가 내측 공동부(5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위치까지 내측 수용부(5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액채취기(300)의 선단과 내측 공동부(521)의 선단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체부(2)가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측 수용부(520)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를 넘어서 체액채취기(300)가 삽입되어 내측 수용부(520)에 수용된 체액에 흡인부(1)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4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결합부(524)의 토대부(524a)의 한쪽에 복수의 돌기부(524b)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변형예 4에서는, 내측 결합부(524)는 복수의 돌기부(524b)를 갖지 않는 직방체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토대부(524a)의 양측에 돌기부(524b) 및 돌기부(524c)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 및 14에 있어서는 돌기부(524b) 또는 돌기부(524c)가 삼각형인 예를 설명하였으나, 선단부의 폭이 기저부의 폭보다 작기만 하면 다른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제3실시형태
종래에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 사용하는 혈액이나 소변 등의 체액은 체액채취기로 채취된 후에 체액용기에 수용되었다. 일본공개특허번호 H9-141135호에는 체액채취기인 관체에 수용된 혈액을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액의 조성 성분인 혈구와 혈장을 분리한 후에 혈구 부분과 혈장 부분을 추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추출된 혈구 부분과 혈장 부분을 검사 및 분석함으로써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체액의 채취 방법 및 검사 방법의 개량이 진행되어 검사에 사용하는 체액의 채취량이 소량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검사 정확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채취된 소량의 체액으로부터 검사 대상 성분(예컨대, 혈구 등)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는 체액용기의 구성이 필요하다. 원하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체액을 수용한 체액용기를 원심분리기에 넣어서 성분 별로 원심분리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액용기를 사용해서 원심분리 하는 경우에는 원심분리 후에 복수의 조성 성분이 적층된 체액용기에 마이크로피펫을 삽입해서 원하는 성분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해당 성분과 다른 조성 성분이 혼합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번호 H9-141135호에 기재된 관체의 선단에는 원심분리 후의 혈액의 혈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가는 돌출부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은 통상적으로 금형을 사용해서 수행하지만, 금형에 의한 성형이므로 가는 돌출부의 성형 위치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워서 돌출부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3실시형태에서는 원심분리된 체액 중의 원하는 성분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는 체액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액채취장치의 개요
도 15 및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채취장치(20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용기(7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체액채취장치(2000)는 체액채취기(600) 및 체액용기(700)를 구비한다. 체액용기(70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나, 도 15에서는 체액용기(700)에 체액채취기(600)가 삽입되어 있는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체액채취기(600)는 흡인부(601), 본체부(602), 저지부(603), 및 압력발생부(604)를 구비한다. 흡인부(601), 본체부(602), 저지부(603), 및 압력발생부(604)는,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채취 대상 체액에 흡인부(601)의 선단을 담그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흡인부(601)의 내부에 체액이 흡인되어 흡인부(601)의 내부에 축적된다. 흡인부(601)는 2개의 공동부(613a, 613b)를 포함하여 어느 한쪽을 통해 체액을 흡인한다.
본체부(602)는 흡인부(601)가 흡인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기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기로는 압력발생부(604)에 의해 발생되는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흡인부(601) 측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에 의해, 흡인부(601)를 향해 기체가 흐르게 한다. 예컨대, 외부로부터 빨아들인 공기가 통기로(621)(통기로(621a, 621b)를 흘러서 흡인부(601)에 축적된 체액이 배출된다.
저지부(603)는 본체부(602)와 흡인부(601)의 사이에 설치된다. 저지부(603)에는 흡인부(601) 측의 내경보다 본체부(602)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저지부(603)는 흡인부(601)가 흡인한 체액이 본체부(602)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흡인부(601)와 저지부(603)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채집하는 혈액량에 대응하는 크기의 흡인부 및 저지부를 선택해서 장착할 수 있다.
체액용기(700)는 체액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제조 시에 주입된 약액과 체액채취기(600)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체액용기(700)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외측 용기(701)와 내측 용기(702)를 포함하여, 외측 용기(701)에 수용된 내측 용기(702) 내에 약액 및 체액을 수용한다. 사용자는 흡인부(601)에 체액을 축적한 상태의 체액채취기(600)를 체액용기(7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압력발생부(604)를 누름으로써 흡인부(601)에 축적된 체액을 내측 용기(702)에 수용할 수 있다.
체액용기(700)의 구성
도 17 및 18을 참조하여 체액용기(700)의 상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체액용기(700)를 구성하는 외측 용기(70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 다음에 내측 용기(702)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외측 용기(701)
도 17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외측 용기(701)의 측면도이다. 외측 용기(701)는 내측 용기(702)를 수용한다. 외측 용기(701)는 외측 수용부(710), 외측 덮개부(712), 및 외측 결합부(714)를 포함한다.
외측 수용부(710)는 내측 용기(702)를 수용하는 외측 공동부(711)를 포함한다. 외측 공동부(711)는 외측 수용부(710)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 용기(702)보다 약간 큰 공동이다.
또한, 외측 수용부(710)는 내측 용기(702)에 형성된 후술하는 돌출부(723)에 접함으로써 외측 공동부(711)에 내측 용기(70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713)를 포함한다. 고정부(713)는 내측 용기(702)가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 수용부(710)의 내벽에 형성된 원환형의 영역이다.
외측 덮개부(712)는 후술하는 내측 용기(702)의 상부 덮개부(722)에 의해 제1공동부(721)가 덮힌 상태의 내측 용기(702)가 외측 공동부(7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 공동부(711)를 덮는다 (도 19 참조). 즉, 체액용기(700)는 이중 밀폐 구조로 되어 있다. 외측 덮개부(712)의 내경은 외측 공동부(711)의 개구 측의 단부에 있어서 외측 수용부(710)의 외경보다 크다. 도 19는 외측 덮개부(712) 및 상부 덮개부(722)를 덮은 상태에서 외측 덮개부(712) 및 상부 덮개부(722) 부근의 단면도이다.
외측 결합부(714)는 외측 덮개부(712)와 외측 수용부(710)를 결합한다. 외측 결합부(714)는 파단되지 않고 절곡 가능한 형태로 가공된 부재이다.
내측 용기(702)
도 18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내측 용기(702)의 측면도이다. 내측 용기(702)는 원심분리되는 체액을 수용한다. 내측 용기(702)는 제1수용부(720), 상부 덮개부(722), 내측 결합부(724), 제2수용부(730), 및 하부 덮개부(7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체액으로 혈구와 혈장을 포함하는 혈액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수용부(720)는 혈액을 채취하는 체액채취기(600)를 삽입할 수 있는 제1공동부(721)를 포함하여, 혈액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약액과 체액채취기(600)에 의해 채취된 혈액을 수용한다. 제1수용부(720)는 외측 공동부(711)에 수용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1수용부(720)가 외측 수용부(710)에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외측 수용부(710)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23)를 포함한다.
상부 덮개부(722)는 체액채취기(6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수용부(720)의 제1공동부(721)를 덮는다. 상부 덮개부(722)는 돌출부(723)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제1상부 덮개부(722a)와 제1상부 덮개부(722a)보다 직경이 작은 제2상부 덮개부(722b)를 포함한다.
상부 덮개부(722)가 제1공동부(721)를 덮은 상태에서 제1상부 덮개부(722a)가 돌출부(723)에 접하고, 제2상부 덮개부(722b)는 돌출부(723)에 대해 제1공동부(721)에 혈액이 수용되는 측에 위치한다. 제1상부 덮개부(722a)와 제2상부 덮개부(722b)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부 덮개부(722)가 제1수용부(720)를 덮은 상태에서 제1수용부(720)와 상부 덮개부(722)의 외측의 공간을 연결하는 경로가 길어지므로 혈액 및 약액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공동부(721)에 혈액을 수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도 체액용기에 미리 수용된 약액의 감소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내측 결합부(724)는 상부 덮개부(722)와 제1수용부(720)를 결합하는, 파단되지 않고 절곡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된 부재이다. 내측 결합부(724)는 최소한 어느 한 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도 19 참조).
제1수용부(720), 상부 덮개부(722), 및 내측 결합부(724)는, 예컨대, 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형성부재로 해서 구성된다. 액체를 흡수하기 어려운 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함으로써 제1수용부(720)에 체액을 수용한 경우에 제1수용부(720)나 상부 덮개부(722)에 체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약액을 단기간(예컨대, 1개월 정도)만 보존하는 경우와 같이 용도에 따라 제1수용부(720), 상부 덮개부(722), 및 내측 결합부(724)의 형성부재로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수용부(730)는 제1공동부(721)와 함께 혈액을 수용하는 제2공동부(731)를 포함한다. 제2수용부 (7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2공동부(731)의 내경은 제1공동부(721)의 내경보다 작다. 제2공동부(731)는 원심분리 전에는 혈구와 혈장을 포함하는 혈액을 수용하지만, 원심분리 후에는 혈구와 혈장 중에서 혈구만을 수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원심분리 후에 제2공동부(731)가 혈구를 수용하도록 제2공동부(731)의 축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제2공동부(731)는 상부 측에 혈장을 약간 수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제2수용부(730)의 제1수용부(720)에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수용부(730)는 제1수용부(7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제2수용부(730)는 제1수용부(720)와는 별개의 부재이다. 이 경우, 제2수용부와 제1수용부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경우에 비해 제2수용부(730)의 축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혈구의 양이 많더라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사출성형 등으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축 방향을 길게 해서 제2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왜냐하면, 일체 성형은 금형을 사용하는데, 금형에 의한 성형에서 내경이 작은 제2수용부의 성형 부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제2수용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2수용부(730)는 제1수용부(720)의 제2수용부(730)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인 피장착부(726)에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착 후의 제2수용부(730)와 제1수용부(720)의 접속 부분이 밀착하게 되므로 별도 부재인 제1수용부(720)와 제2수용부(730)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혈액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수용부(720)에는 다른 종류의 제2수용부(730)를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수용부(730)로, 도 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 내경이 다른 소경 수용부와 대경 수용부로부터 선택해서 제1수용부(720)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는 2개의 수용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3개 이상의 내경이 다른 수용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제1수용부(72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1은 소경 수용부와 대경 수용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1(a)에 대경 수용부(730A)를 나타내고 도 21(b)에 소경 수용부(730B)를 나타낸다. 대경 수용부(730A) 및 소경 수용부(730B)는 각각 혈액을 수용하는 대경 공동부(731A)와 소경 공동부(731B)를 포함한다.
대경 수용부(730A)의 내경(D2)은 소경 수용부(730B)의 내경(D3)보다 작다. 한편, 대경 수용부(730A) 및 소경 수용부(730B)의 축 방향의 길이(L)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경 수용부(730A)(대경 공동부(731A))가 수용할 수 있는 혈액의 양은 소경 수용부(730B)(소경 공동부(731B))가 수용할 수 있는 혈액의 양보다 많다. 다시 말하면, 원심분리 후에 대경 수용부(730A)가 수용할 수 있는 혈구의 양은 소경 수용부(730B)가 수용할 수 있는 혈구의 양보다 많다. 따라서, 검사에 필요한 혈구의 양에 따라 대경 수용부(730A) 또는 소경 수용부(730B)를 장착함으로써 원심분리 후에 혈장과 혈구를 각각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
대경 수용부(730A)의 외경(D1)은 소경 수용부(730B)의 외경(D1)과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경 수용부(730A)의 두께(t1)를 소경 수용부(730B)의 두께(t2)보다 작게 함으로써 대경 수용부(730A)의 외경과 소경 수용부(730B)의 외경을 동일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수용부(720)의 피장착부(726)(도 20 참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대경 수용부(730A)와 소경 수용부(730B)를 피장착부(726)에 압입해서 장착할 수 있다.
위의 기재에서는 대경 수용부(730A) 및 소경 수용부(730B)의 외경(D1)이 동일한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경 수용부(730A)의 외경은 소경 수용부(730B)의 외경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위의 기재에서는 대경 수용부(730A) 및 소경 수용부(730B)의 축 방향의 길이(L)가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경 수용부(730A)의 축 방향의 길이가 소경 수용부(730B)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착된 제2수용부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혈구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위의 기재에서는 제2수용부(730)을 제1수용부(720)에 압입해서 장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수용부(720)를 제2수용부(730)에 압입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수용부(730)를 상부 덮개부(722)에 고정시키는 부재를 별도 장착할 수도 있다. 즉, 제1수용부(720)에 대해 제2수용부(730)를 밀착시키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용기(702)의 혈액이 원심분리되면 비중이 큰 혈구가 아래쪽의 제2수용부(730)에 수용되고 비중이 작은 혈장이 위쪽의 제1수용부(720)에 수용된다. 이처럼, 원심분리 후에 혈장과 혈구가 다른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혈장과 혈구를 개별적으로 추출하기 쉽게 된다. 예컨대, 혈구를 수용한 제2수용부(730)를 내측 용기(702)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심분리 후에 혈장보다도 내측 용기(702)의 저부 측에 위치하는 혈구만을 간단하게 추출 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용부(73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장착부(726)의 개구로부터 혈장을 배출하거나 마이크로피펫으로 혈장을 추출할 때 혈장이 혈구와 혼합되는 일이 없으므로 혈장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제2수용부(7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ABS 수지 등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720)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수용부(730)는 유리나 경질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2수용부(730)의 강성이 강하므로 제2수용부(730)를 제1수용부(720)에 대해 압입할 때 제2수용부(730)를 제1수용부(720)의 피장착부(726)에 삽입하기 쉬워지므로 제2수용부(730)를 피장착부(726)에 장착하기 쉽게 된다.
제1수용부(72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수용부(730)를 제1수용부(720)에 대해 압입할 때 제1수용부(720)의 피장착부(726)가 제2수용부(730)에 눌려서 퍼지기 쉽게 되므로 제2수용부(730)를 피장착부(726)에 장착하기 쉽게 된다.
하부 덮개부(740)는, 도 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수용부(730)의 제1수용부(720)에의 장착 측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폐쇄한다. 하부 덮개부(740)는 제2수용부(730)에 수용된 혈액(원심분리 후에는 혈장)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개로 기능한다. 하부 덮개부(740)는 착탈 가능하게 제2수용부(730)에 장착된다. 하부 덮개부(740)는 제2수용부(730)에 밀착하도록, 예컨대, 돌출부(741)가 압입되어 장착된다.
하부 덮개부(740)는 제2공동부(731) 측의 표면에 액체가 고이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덮개일 수 있다. 이 액체가 고이는 부분에는, 제1수용부(720) 내에 약액(예컨대, 세정액)이 수용되는 경우, 해당 약액이 고이게 된다. 또한, 오목부에 원심분리 후의 혈장도 수용되므로 제2수용부(730)의 수용량을 늘릴 수 있다.
제1수용부(720)와 제2수용부(730)는 분리제를 수용할 수도 있다. 분리제는 원심분리 전에 혈액과 함께 제1수용부(720)에 수용된다. 분리제는 소위 요변성(Thixotropie)을 나타낸다. 요변성이란 겔 같은 소성고체와 졸 같은 비뉴턴액체의 중간적인 물질이 나타내는 성질이다. 이러한 분리제는 원심분리 후에 겔 상태에서 액상으로 바뀌어 혈구 부분과 혈장 부분 사이로 이동하여 원심분리 후에 다시 겔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분리제는 제1수용부(720)에 수용된 혈장과 제2수용부(730)에 수용된 혈구 간을 차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2는 원심분리 후의 내측 용기(702) 내의 혈액과 분리제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혈액이 원심분리되면 분리제(도 22의 분리제(790))는 제1공동부(721)와 제2공동부(731)의 접속 위치에 위치한다. 이 경우, 원심분리 후에 혈장은 제1공동부(721)에만 수용되고, 혈구는 제2공동부(731)에만 수용되므로 이후에 혈장과 혈구를 개별적으로 추출하기 쉽게 된다. 즉, 제2수용부(730)를 분리함으로써 혈구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분리제는 전술한 요변성을 가지므로 원심분리 후에 제2수용부(730)가 분리되어도 피장착부(726)의 개구로부터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분리제가 피장착부(726)의 개구를 메우게 되므로 제1수용부(720)에 수용된 혈장도 피장착부(726)의 개구로부터 유출되지 않는다. 즉, 분리제가 마개로 기능하게 된다.
혈액의 채취에서 검사까지의 흐름의 일례
종래에는 원심분리기에 의한 혈액의 원심분리는 검사 및 분석을 행하는 분석기관에서 수행되었다. 하지만, 분석기관의 원심분리기는 장치 자체가 고가일뿐 아니라, 가동 비용도 고가이어서 비용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전술한 구성의 체액용기(700)를 사용하면 분석기관 이외의 시설(예컨대, 약국 등)에서 저가의 원심분리기로 혈액의 원심분리를 행한 후에 분석기관에 검사 및 분석을 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석기관에서의 원심분리기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흐름의 일례를 도 2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혈액의 채집에서 검사까지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서비스에 있어서, 혈액 검사를 원하는 사용자는 약국 등에서 체액채취기(600)를 받아서 혈액을 채집한다 (S102). 즉, 사용자는 체액채취기(600)의 흡인부(601)로 채집 대상 혈액을 흡인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또는 약국의 점원 등은 체액채취기(600)의 혈액을 체액용기(700)로 배출한다 (S104). 즉, 점원 등은 체액채취기(600)를 체액용기(700)(구체적으로, 내측 용기(702))에 삽입한 상태에서 체액채취기(600)의 압력발생부(604)를 눌러서 흡인부(601)에 축적된 혈액을 체액용기(700)로 배출한다. 여기서 체액용기(700)에의 혈액의 배출 전 또는 배출 후에 분리제도 체액용기(700)에 수용한다.
다음으로, 점원은 체액용기(700)를 약국에 설치된 원심분리기에 설치하여 체액용기(700)에 수용된 혈액을 원심분리한다 (S106). 원심분리 시의 회전속도 등의 조건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원심분리를 수행하면 혈액 중의 혈구와 혈장의 비중 차로 인해, 예컨대, 도 2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혈구가 제2수용부(730)에 수용되고 혈장이 제1수용부(720)에 수용된다. 원심분리는 내측 용기(702)를 수용한 외측 용기(701)를 원심분리기에 설치한 상태로 수행할 수도 있고, 내측 용기(702)만을 원심분리기에 설치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원심분리 후의 체액용기(700)는 혈액의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기관으로 보내진다 (S108). 분석기관에서는 제1수용부(720)에 장착된 제2수용부(730)가 분리된다 (S110). 즉, 압입된 제2수용부(730)가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분리된다.
다음으로, 제2수용부(730)로부터 혈구가 추출된다 (S112). 구체적으로, 먼저 하부 개구를 폐쇄하는 하부 덮개부(740)를 제2수용부(73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제2수용부(730)에 수용된 혈구를 하부 개구를 통해 배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마이크로피펫 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혈구만을 개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수용부(720)로부터 혈장을 추출한다 (S114), 구체적으로, 먼저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덮개부(722)를 연다. 그리고, 상부 개구로부터 마이크로피펫 등의 기구를 삽입해서 혈장을 흡인해서 추출한다. 혈장은 제1수용부(720)의 피장착부의 개구로부터 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피펫 등의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분석기관은 추출한 혈장 및 혈구에 관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한다 (S116). 이것으로 혈액이 채취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서비스에 있어서는, 혈액의 원심분리 등에 숙련되지 않은 약국의 점원 등일지라도 체액용기(700)를 원심분리기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원심분리가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분석기관에서 행해지던 혈액의 원심분리를 약국 등에서 행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체액용기(700)는, 도 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공동부(721)와 함께 체액(구체적으로 혈액)을 수용하는 제2공동부(731)를 포함하는 제2수용부(730)와 제2수용부(730)의 제1수용부(720)에의 장착 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하부 덮개부(740)를 구비한다. 제2수용부(730)는 제1수용부(7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공동부(731)의 내경은 제1공동부(721)의 내경보다 작다.
이 경우에는, 제2수용부와 제1수용부가 일체 성형된 경우에 비해 제2수용부(730)의 축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혈구의 양이 많더라도 제2수용부(730)에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용부(730)를 제1수용부(720)로부터 분리해서 하부 덮개부(740)를 열면 용이하게 혈액 중의 혈구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 행해지던 마이크로피펫 등으로 혈구를 흡인해서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다.
위의 기재에서는, 체액용기(700)가 혈액을 수용하는 내측 용기(702)와 내측 용기(702)를 수용하는 외측 용기(701)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체액용기(700)는 내측 용기(702)만으로 구성되어 외측 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위의 기재에서는 체액의 일례로서 혈액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체액은 소변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원심분리 후에 소변 중의 혈구 등이 제2수용부(730)에 수용되므로 소변의 혈구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위의 기재에서는 체액채취기(600)의 흡인부(601)에 축적된 혈액을 체액용기(700)로 배출해서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흡인부(601) 및 저지부(603)를 분리해서 (구체적으로, 본체부(602)로부터 저지부(603)의 부분을 잘라서) 체액용기(700)의 내측 용기(702)에 장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본체부(602)와 저지부(603)를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내측 용기(702)의 내벽을 본체부(602)와 저지부(603)의 형상을 따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내측 용기(702)의 상부 덮개부(722)에 흡인부(601)와 저지부(603)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설치해도 좋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점원 등이 혈액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혈액이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발생기(604)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해 통기로(621)를 통해 기체가 흐르게 함으로써 혈액을 체액용기(700)로 배출하는 경우에 비해 원심분리에 의해 내측 용기(702)에 장착된 흡인부(601)로부터 혈액을 빠짐 없이 배출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상부 덮개부(722)를 열어서 원심분리 후에 흡인부(601)와 저지부(60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사용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재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1: 흡인부 2: 본체부
3: 저지부 4: 압력발생부
11: 흡인구 12: 흡인접시
13: 축적부 21: 통기로
22: 결합부 31: 개구부
41: 개구 100: 체액채취기
200: 체액채취기 300: 체액채취기
500: 체액용기 501: 외측 용기
502: 내측 용기 510: 외측 수용부
511: 외측 공동부 512: 외측 덮개부
513: 고정부 514: 외측 결합부
520: 내측 수용부 521: 내측 공동부
522: 내측 덮개부 522a: 제1내측 덮개부
523: 돌출부 524: 내측 결합부
700: 체액용기 701: 외측 용기
702: 내측 용기 720: 제1수용부
721: 제1공동부 726: 피장착부
730: 제2수용부 730A: 대경 수용부
730B: 소경 수용부 731: 제2공동부
740: 하부 덮개부 1000: 체액채취장치
2000: 체액채취장치

Claims (20)

  1.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체액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체액을 흡인하는 흡인부;
    상기 흡인부가 흡인한 상기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기로를 포함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흡인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인부 측의 내경보다 상기 본체부 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인부가 흡인한 상기 체액이 상기 본체부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부와 상기 저지부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경이 상기 흡인부의 내경보다 작은,
    체액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기체를 상기 흡인부 측으로 이동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체액 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저지부가 접하는 면에서 내경이 가장 작은,
    체액 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저지부가 접하는 면에서 상기 통기로의 내경이 상기 개구부의 내경 이상의 크기를 갖는,
    체액 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의 외경은 상기 흡인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흡인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저지부는 상기 흡인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체액 채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는 상기 저지부가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체액 채취기.
  7. 제1항의 체액채취기에 의해 채취된 체액을 수용 가능한 내측 공동부를 포함하는 내측 수용부;
    상기 내측 수용부의 상기 내측 공동부를 덮는 내측 덮개부;
    상기 내측 수용부를 수용하는 외측 공동부를 포함하는 외측 수용부; 및
    상기 내측 덮개부에 의해 상기 내측 공동부가 덮힌 상태의 상기 내측 수용부가 상기 외측 공동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공동부를 덮는 외측 덮개부를 구비하는,
    체액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부와 상기 내측 수용부를 결합하는, 절곡 가능한 내측 결합부; 및
    상기 외측 덮개부와 상기 외측 수용부를 결합하는, 절곡 가능한 외측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체액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내측 수용부가 상기 외측 수용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외측 수용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수용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외측 공동부에 상기 내측 수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체액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제1내측 덮개부와 상기 제1내측 덮개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내측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덮개부가 상기 내측 공동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 덮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하며, 상기 제2내측 덮개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내측 공동부에서 체액이 수용되는 측에 위치하는,
    체액용기.
  11.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체액채취부; 및
    제7항의 체액용기를 구비하는 체액채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액채취기가 상기 내측 공동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위치까지 상기 내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액채취기의 선단과 상기 내측 공동부의 선단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보다 큰,
    체액채취장치.
  12.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체액채취기; 및
    제7항의 체액용기를 구비한 체액채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액채취기는 상기 체액채취기가 상기 내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용부 또는 상기 외측 수용부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함으로써 상기 체액채취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내측 수용부 또는 상기 외측 수용부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접하는 위치까지 상기 체액채취기가 상기 내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액채취기의 선단과 상기 내측 공동부의 선단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보다 큰,
    체액채취장치.
  13. 제1항의 체액채취기에 의해 채취되어 원심분리된 체액을 수용 가능한 체액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액을 수용하는 제1공동부를 포함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공동부와 함께 상기 체액을 수용하는 제2공동부를 포함하는 제2수용부로, 상기 제2공동부의 내경이 상기 제1공동부의 내경보다 작은, 제2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의 상기 제1수용부에의 장착 측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체액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상기 제2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체액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체액용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체액용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부로서, 내경이 서로 다른 소경 수용부와 대경 수용부로부터 선택된 수용부가 상기 제1수용부에 장착되고,
    상기 대경 수용부의 외경은 상기 소경 수용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체액용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은 혈장과 혈구를 포함하는 혈액이고,
    상기 체액이 원심분리되면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혈장을 수용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혈구를 수용하는,
    체액용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분리제를 수용 가능하며,
    상기 체액이 원심분리되면 상기 분리제는 상기 제1공동부와 상기 제2공동부의 접속 위치에 위치하는,
    체액용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을 수용 가능한 내측 용기; 및
    상기 내측 용기를 수용하는 외측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는 상기 제 1수용부, 상기 제 2수용부, 및 상기 덮개부를 포함하는,
    체액용기.
KR1020167005787A 2013-09-05 2014-09-04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KR101851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3901 2013-09-05
JP2013183901A JP5909470B2 (ja) 2013-09-05 2013-09-05 体液採取器
JP2013248855A JP2015105902A (ja) 2013-12-02 2013-12-02 体液収容器及び体液採取装置
JPJP-P-2013-248855 2013-12-02
JPJP-P-2014-150113 2014-07-23
JP2014150113A JP5955353B2 (ja) 2014-07-23 2014-07-23 体液収容器
PCT/JP2014/073363 WO2015034009A1 (ja) 2013-09-05 2014-09-04 体液採取器、体液収容器、及び体液採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981A true KR20160041981A (ko) 2016-04-18
KR101851188B1 KR101851188B1 (ko) 2018-04-24

Family

ID=5262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787A KR101851188B1 (ko) 2013-09-05 2014-09-04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6211B2 (ko)
EP (1) EP3043165B1 (ko)
KR (1) KR101851188B1 (ko)
CN (1) CN105518433B (ko)
SG (1) SG11201601547RA (ko)
WO (1) WO201503400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89B1 (ko) *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KR20180123057A (ko) * 2016-08-17 2018-11-14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블러드 사이언스 혈액 채취기 및 혈액 수용기를 포함하는 혈액 채취 기구
KR20190061717A (ko) * 2017-11-28 2019-06-05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KR20220076928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프로메타바이오 체액 채취 기구 및 체액 채취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0043B2 (en) 2015-03-17 2020-08-04 Micro Blood Science Inc. Sample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JP5955477B1 (ja) * 2016-03-25 2016-07-20 みゆき 山川 体液採取器及び体液採取排出方法
WO2018008672A1 (ja) * 2016-07-06 2018-01-11 ニプロ株式会社 検体採取チップ、検体調製容器および検体調製キット
US11399755B2 (en) 2016-08-24 2022-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for obtaining a blood sample
CN106475164B (zh) * 2016-10-24 2019-01-11 深圳市孔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离心装置
JP6957014B2 (ja) * 2017-09-25 2021-11-02 伸晃化学株式会社 液体採取器具
CN108387402B (zh) * 2018-04-03 2020-11-06 浙江任我行教育科技有限公司 电镀线用的镀液取样试管及专用的便携式试管架
CN109100179B (zh) * 2018-08-14 2021-06-11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感染科防护式病原样本采集装置
PL3849706T3 (pl) * 2018-09-11 2023-10-02 Corning Incorporated Konstrukcja pipety i sposoby jej zastosowania
CN113116393A (zh) * 2019-08-09 2021-07-16 杭州安旭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样本收集及检测的装置
CN112284825B (zh) * 2020-10-19 2023-10-13 华兰生物工程重庆有限公司 一种可独立使用的挥发性物质密封取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0242A (en) * 1969-02-28 1971-10-05 David S Sheridan Medico-surgical suction systems
DE2848535C2 (de) * 1978-11-09 1982-12-02 Walter Sarstedt Kunststoff-Spritzgußwerk, 5223 Nümbrecht Blutaufnahmevorrichtung
US4436098A (en) * 1981-03-16 1984-03-13 Becton Dickinson Company Needle assembly with vein entry indicator
US4942966A (en) * 1989-06-05 1990-07-24 Kemp David R Containment device for a test tube
US5052403A (en) * 1989-12-29 1991-10-0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Self-contained, safety blood collection system
US5257984A (en) * 1991-10-02 1993-11-02 Norfolk Scientific, Inc. Blood collector
CA2145528A1 (en) * 1992-09-29 1994-04-14 John Adrian Donkers Containers for potentially hazardous substances
AT400802B (de) * 1993-12-16 1996-03-25 Greiner & Soehne C A Haltevorrichtung für ein blutprobenentnahmeröhrchen einer blutabnahmevorrichtung
JPH08108096A (ja) * 1994-08-17 1996-04-30 Toshiki Uchida 遠心分離用容器
IT1272932B (it) 1995-01-24 1997-07-01 Pier Giorgio Righetti Reattore ad enzima immobilizzato
JPH09141135A (ja) 1995-11-17 1997-06-03 Blue Jiyuuji:Kk 遠心分離用の試料管
US5873841A (en) * 1997-02-07 1999-02-23 Vascular Logics, Inc. Syringe with decelerating device
DE19716073A1 (de) * 1997-04-17 1998-10-22 Boehringer Mannheim Gmbh Dosiervorrichtung zur Abgabe kleiner Flüssigkeitsmengen
US7452508B2 (en) * 2000-02-22 2008-11-18 Jacobs Merrit N Aspirating and mixing of liquids within a probe tip
US6641993B1 (en) * 2000-02-22 2003-11-04 Ortho Clinical Diagnostics, Inc. Aspirating and mixing of liquids within a probe tip
US6817256B2 (en) * 2001-02-27 2004-11-16 Alfa Wassermann, Inc. Pipette sampling system
US7278972B2 (en) * 2002-01-24 2007-10-09 Worldwide Medical Technologies, Llc Combined bone marrow aspiration and core biopsy device
JP2004321905A (ja) * 2003-04-23 2004-11-18 Enomoto Co Ltd 使い捨てピペット
JP2005017280A (ja) 2003-06-03 2005-01-20 Enomoto Co Ltd 使い捨てピペット及び採血器
DE202004004951U1 (de) * 2004-03-26 2004-08-19 Sarstedt Ag & Co.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Kapillarblut
US7226432B2 (en) 2004-05-03 2007-06-05 Clear View Patient Safety Products, Llc Blood drawing device
ES2552096T3 (es) 2005-09-26 2015-11-25 Qiagen Gmbh Método para procesar un fluido
WO2007123182A1 (ja) * 2006-04-19 2007-11-01 Panasonic Corporation 体液採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体液測定装置
JP5105925B2 (ja) * 2007-03-26 2012-12-26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遠心分離用デバイス
EP2153900B1 (en) * 2008-07-30 2015-09-02 F. Hoffmann-La Roche AG Pipette tip and use of the pipette tip
JP2010190731A (ja) 2009-02-18 2010-09-02 Beckman Coulter Inc 血液検査用マイクロ反応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89B1 (ko) *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KR20180123057A (ko) * 2016-08-17 2018-11-14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블러드 사이언스 혈액 채취기 및 혈액 수용기를 포함하는 혈액 채취 기구
KR20190061717A (ko) * 2017-11-28 2019-06-05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KR20220076928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프로메타바이오 체액 채취 기구 및 체액 채취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601547RA (en) 2016-04-28
US10126211B2 (en) 2018-11-13
US20160245729A1 (en) 2016-08-25
WO2015034009A1 (ja) 2015-03-12
EP3043165A1 (en) 2016-07-13
CN105518433A (zh) 2016-04-20
KR101851188B1 (ko) 2018-04-24
CN105518433B (zh) 2018-04-03
EP3043165B1 (en) 2018-05-30
EP3043165A4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188B1 (ko)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EP1690085B1 (en) Disposable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KR101009447B1 (ko) 체액 샘플링, 전처리 및 투입장치 및 방법
KR100799354B1 (ko) 시약용기
KR20110084240A (ko) 혈액 분석기의 혈액 분석용 일회용 카세트 및 혈액 분석에 사용하는 방법
US20120251411A1 (en) Centrifuge tube
US20130055829A1 (en) Method of Sampling Specimen, Test Method and Dropping Pipette and Specimen Sampler to be Used Therein
US9925539B2 (en) Fluid rapid testing device
JP2007532260A (ja) 試料を採取、処理及び分析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CN103217401A (zh) 可弃置流体分析盒
US7993610B2 (en) Blood centrifuge rotor with fill indicator
CN116439753A (zh) 流体收集单元以及相关装置和方法
JP2008279195A (ja) 血液分離フィルタ装置
JP5955353B2 (ja) 体液収容器
JP5909470B2 (ja) 体液採取器
CN216854715U (zh) 一种分段式尿液采样管
JP7261526B1 (ja) 血液保存容器および血液採取器具
JP3193194U (ja) シリンジ及び血清移送キット
JP5955478B2 (ja) 体液採取器
JP2023062899A (ja) 血液保存容器および血液採取器具
JP3597827B2 (ja) 生体試料分離器具及びその分離方法
JP3597827B6 (ja) 生体試料分離器具及びその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