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07A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07A
KR20160041807A KR1020150140710A KR20150140710A KR20160041807A KR 20160041807 A KR20160041807 A KR 20160041807A KR 1020150140710 A KR1020150140710 A KR 1020150140710A KR 20150140710 A KR20150140710 A KR 20150140710A KR 20160041807 A KR20160041807 A KR 2016004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bar
user interface
entry
display unit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이노 벤겔리크
프랑크 알토프
마리아 에스더 메지아 곤잘레즈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4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2Instrument input devices with reconfigurable control functions, e.g. reconfigurable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3)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 단계들, 즉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1) 상에 메뉴 바(3)를 표시하는 단계,
- 사용자 인터페이스(5)의 기능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메뉴 바(3) 내에 표시 가능한 엔트리들(6)의 2차원 배치(7)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디스플레이 유닛(1) 상에 배치(7)를 표시하는 단계,
- 메뉴 바(3)의 엔트리 또는 배치(7)의 엔트리(6)에 대해서 미리 규정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이에 응답해서
- 메뉴 바(3)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MENU BAR ON USER INTERFACE}
본 발 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광학 디스플레이 상의 광범위한 기능 범위를 제공하는 이동 수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 광학 디스플레이 상에서 광범위한 기능을 재현하는 차량 및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공개되어 있다. 이 경우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는 항상 제한되기 때문에 편의상 항상 액세스 가능한 기능들의 선택만이 실제로 표시된다. 표시되는 기능 범위의 사용자 맞춤형 구성이 선행기술에 또한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Tesla Motors사의 현재의 사용자 맞춤형 구성에서 고정적인 메뉴 바는 다양한 기능 그룹에 액세스를 위해 사용된다. 1차원 연장부에 상이한 기능 그룹들을 나타내는 상이한 아이콘들이 나열된 이동 가능하게 구현된 메뉴 바만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체 기능 그룹에 신속한 액세스를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시스템의 선택적인 컨텐츠에 액세스를 위해, 소정의 기능 범위가 파악되고 또는 조작될 수 있을 때까지 다수의 메뉴 항목이 호출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특히 이동 수단의 조작 중에 사용자는 교통 상황으로부터 주의를 돌리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교통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의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맞게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그리고 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단계에서 메뉴 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스크린일 수 있고, 상기 스크린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의 조합 장치로서,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CID)로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메뉴 바는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엔트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범위 또는 기능 그룹을 나타낸다. 다음 단계에서 2차원적 이용의 표시를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이 경우 2차원 배치는 예들 들어 열 및 행으로 배치된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엔트리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범위를 나타낸다. 2차원 배치는 특히 메뉴 바보다 많은 수의 엔트리를 포함한다. 후속해서 2차원 배치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되고, 메뉴 바의 엔트리 또는 배치의 엔트리에 대해서 미리 규정된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 다시 말해서, 메뉴 바에 배치된 엔트리를 보충하거나 줄이기 위해, 사용자는 메뉴 바 내의 엔트리 또는 2차원 배치 내의 엔트리를 선택한다. 메뉴 바는 메뉴 바가 나타내는 기능 범위에 선택적인 신속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2차원 배치는 메뉴 바에 표시된 기능 범위의 선택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메뉴 바에 포함된 엔트리들의 선택적인, 융통성 있는 그리고 신속한 조정이 실행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 시 주행 안전성 또는 교통 안전성이 높아진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를 제시한다.
메뉴 바는 특히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바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뉴 바에 포함된 엔트리들의 1차원 시퀀스는 상기 엔트리들을 상하로 또는 나란히 배치한다. 대안으로서, 메뉴 바를 소위 분할 스크린(Split Screen)의 2개의 구성 요소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2개의 스크린 영역을 메뉴 바에 의해 시각적으로 서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배치 시 메뉴 바의 엔트리에 의해 컨텐츠의 임의의 지정을 위해 실행되는 스와이프 제스처의 거리가 감소한다.
2차원 배치는 특히 메뉴 바에 기본적으로 표시 가능한 엔트리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2차원 배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하나의 스크린 표시에 걸쳐 또는 다수의 스크린 표시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한 배치들은 운영 시스템 iOS 또는 Android에서 응용을 위해 다른 맥락에서 공개되어 있다.
제 1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스와이프 제스처일 수 있고, 상기 제스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시작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심 영역을 향한다. 특히 메뉴 바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이 시작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심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드래그 제스처). 이에 응답해서 본 발명에 따라 메뉴 바의 구성을 위한 2차원 배치가 표시된다. 이로 인해 메뉴 바의 직관적인 조정이 가능하고, 미리 정해진 구성 메뉴를 호출하지 않아도 된다.
제 2 사용자 입력에 관해 스와이프 제스처로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제스처는 메뉴 바의 엔트리에서 시작해서 2차원 배치를 향한다. 이러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메뉴 바는 해당 엔트리만큼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엔트리는 이 경우 2차원 배치에 추가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엔트리는 이미 사전에 2차원 배치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스와이프 제스처 형태의 제 2 사용자 입력은 2차원 배치의 엔트리에서 시작해서 메뉴 바를 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2차원 배치 내에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바의 엔트리가 추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 입력은 메뉴 바에서 종료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메뉴 바의 달성 전에 또는 2차원 배치의 달성 전에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손가락을 제거함으로써 스와이프 제스처가 중단된 후에, 선택된 엔트리의 이동은 엔트리에 부여된 가상의 관성에 따라 속행될 수 있다. 이는 조작 시 효율을 높이는데, 그 이유는 적절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더 짧은 동작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메뉴 바 내의 1차원 시퀀스에 또는 2차원(격자- 또는 그리드) 배치에 포함된 엔트리들은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기능 범위 또는 기능 그룹은 상기 아이콘에 의해 재현된다. 이는 정보 밀도의 개선을 위한 짧은 텍스트 구성 요소들의 제공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아이콘들은 스마트 폰의 공개된 상기 운영 시스템의 응용의 경우와 유사하게 현재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데이터의 수용을 위해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콘들은 기능 범위의 동일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구성 가능한 디스플레이-/조작 요소들로 이동 시 상기 기능 범위의 호출을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메뉴 바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처에 응답 시에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나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바는 제 1 시점에 완전히 숨겨질 수 있거나 스크린 표시의 가장자리 영역에 식별하기 힘든 힌트(예를 들어 "글로우")에 의해서만 공지될 수 있고, 이러한 힌트 영역에서 시작하여 스크린 중심을 향하는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엔트리의 1차원 배치가 제공되는 한편, 스와이프 제스처의 재개된 실시 또는 스와이프 제스처의 반복된 실시는 메뉴 바에 추가하여 상기 메뉴 바의 조정을 위한 2차원 배치도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이동 수단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안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바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이 경우 메뉴 바는 전술한 설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입력 유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감응형(투명)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입력 유닛은 검출 및 평가를 위해 자유롭게 입체로 구현된 (3D)-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3D-제스처의 형태로 구현된 스와이프 제스처를 위해 입력 영역의 위치마다 각각의 스와이프 동작의 시작/타깃점이 제공되고, 상기 시작/타깃점은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전술한 위치에 상응한다. 평가 유닛은 사용자 입력의 평가를 위해 제공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메뉴 바 내에 표시 가능한 엔트리의 2차원 배치를 표시하도록 형성된다. 메뉴 바의 엔트리 또는 배치의 엔트리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응하게 조정된(하나의 엔트리만큼 감소한 또는 보충된) 메뉴 바를 표시한다.
특징들, 특징의 조합 및 그로 인한 장점들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된 실시예에 명백하게 상응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공개 내용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다른 이동 무선 통신 장치)가 제안되고, 사용자 단발기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메뉴 바 내의 또는 2차원 장치 내의 엔트리들은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를 들어 데이터 메모리)이 제안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작동시킨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CD, DVD, 블루 레이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RAM/ROM, 캐시(Cache)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라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가 제안되고, 상기 명령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이를 위해 필요한 저장 수단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적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명령의 정보 기술적인 제공은 보호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예를 들어 승용차, 대형 화물차, 상용차, 선박 및/또는 항공기)이 제안된다. 메뉴 바 또는 2차원 배치의 엔트리들은 이러한 경우에 이동 수단의 기능 범위를 나타낸다.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수단의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관해 개략적으로 개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시 조작 단계 및 그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은 이동 수단으로서 승용차(10)가 도시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디스플레이 유닛(1)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입력 유닛으로서 투명 터치 감응형 인터페이스(2)를 갖고, 평가 유닛으로서 전자 제어 유닛(4)에 정보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도 2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태블릿 PC(20)를 도시하고, 상기 태블릿 PC는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터치스크린(1, 2)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는 평가 유닛으로서 마이크로세서(4)에 의해 수신되고, 메뉴 바의 조정된 표시를 야기한다.
도 3은 사용자가 손(8)으로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메뉴 바(3)에서 시작해서 스크린 중심을 향해 화살표(P)를 따른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2차원 배치의 표시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메뉴 바는 이 시점에 4개의 엔트리(6)만을 나타내는 상이한 기능 범위를 포함한다. 또한 메뉴 바에 텍스트 "MENU"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는 타이핑 제스처에 의한 2차원 배치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상호 작용의 결과를 도시하고, 상기 사용자 상호 작용에 의해 메뉴 바(3)의 우측 옆에 상이한 엔트리(6)의 2개의 다른 열과 8개의 행이 나타났다. 2개의 열의 엔트리들(6)은 2차원 배치(7)("그리드"라고도 함)의 구성 요소이고, 상기 배치로부터 사용자의 손(8)은 차량 기능들을 선택하고, 이로써 화살표(P)를 따라 정렬된 메뉴바(3)에 와이핑 제스처에 의해 상기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된 조작 단계의 결과를 도시한다. 메뉴 바(3)는 추가로 보드 컴퓨터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6)을 포함한다. 2차원 배치(7)도 이러한 엔트리(6)를 여전히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배치는 항상 엔트리들(6)에 의해 설명되는 이동 수단의 기능 범위 전체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다. 단계(100)에서 입력 유닛은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처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해서 단계(200)에서 메뉴 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된다. 단계(300)에서 입력 유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범위를 나타내는, 메뉴 바 내에 표시 가능한 엔트리들의 2차원 배치의 표시를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S400)에서 2차원 배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된다. 단계(500)에서 메뉴 바의 엔트리에 대해서 미리 규정된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즉 검출 및 평가되고, 이에 응답해서 단계(600)에서 메뉴 바는 상기 엔트리만큼 간소한다.
메뉴 바에 포함된 엔트리들은 (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롭 제스처에 의해) 자유롭게 구성 가능한 디스플레이-/조작 범위(예를 들어 타일)를 구성할 수 있는 "링크" 또는 "쇼트 컷(Short Cut)"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엔트리의 드래그 인에 의해 타일 또는 다른 표시 영역(분할 스크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엔트리에 의해 표시되는 기능 범위가 지정될 수 있다. 지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에 표시된 기능들은 현재 데이터의 표시 또는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용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은 더 효율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이로써 조작 중에 교통안전이 선행기술에 따른 것보다 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태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설명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었더라도, 당업자는 도시된 실시예의 특징들의 변형 및 조합이 가능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보호 범위를 갖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1 디스플레이 유닛
2 입력 유닛
3 메뉴 바
4 평가 유닛
5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엔트리
7 2차원 배치
8 사용자의 손
10 승용차
20 태블릿 PC
100 내지 600 방법 단계
P 화살표

Claims (15)

  1. 사용자 인터페이스(5) 상에서 메뉴 바(3)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 즉
    - 사용자 인터페이스(5)의 디스플레이 유닛(1) 상에 메뉴 바(3)를 표시하는 단계(200),
    -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의 기능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메뉴 바(3)에 표시 가능한 엔트리들(6)의 2차원 배치(7)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300),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 상에 배치(7)를 표시하는 단계(400),
    - 상기 메뉴 바(3)의 엔트리 또는 상기 배치(7)의 엔트리(6)에 대해서 미리 규정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500) 및 이에 응답해서
    - 상기 메뉴 바(3)를 조정하는 단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뉴 바(3)는 엔트리들(6)의 3차원 정렬이고, 상기 메뉴 바는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배치(7)는 상기 메뉴 바(3) 내에 표시 가능한 엔트리(6)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입력은 스와이프 제스처이고, 상기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시작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의 중심 영역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입력은 스와이프 제스처이고,
    - 상기 제스처는 상기 메뉴 바(3)의 엔트리(6)에서 시작해서 2차원 배치(7)를 향하고 및/또는
    - 상기 제스처는 상기 2차원 배치(7)의 상기 엔트리(6)에서 시작해서 상기 메뉴 바(3)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입력은 스와이프 제스처이고, 상기 제스처는 상기 메뉴 바(3)의 엔트리에서 시작해서 상기 2차원 배치(7)를 향하고, 상기 메뉴 바(3)의 조정은 상기 메뉴 바(3)로부터 엔트리의 제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입력은 스와이프 제스처이고, 상기 제스처는 상기 2차원 배치(7)의 엔트리에서 시작해서 상기 메뉴 바(3)를 향하고, 상기 메뉴 바(3)의 조정은 상기 메뉴 바(3)에 상기 엔트리(6)의 추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6)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단계들 즉,
    -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100) 및 이에 응답해서
    - 사용자 인터페이스(5)의 디스플레이 유닛(7) 상에 메뉴 바(3)를 표시하는 단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이동 수단(10)의 디스플레이 유닛(1) 상에서 메뉴 바(3)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 사용자 인터페이스(5)의 기능 범위를 나타내는 엔트리(6)를 포함하는 메뉴 바(3)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1),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유닛(2),
    - 사용자 입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유닛(4)을 포함하고,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은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메뉴 바(3) 내에 표시 가능한 엔트리들(6)의 2차원 배치(7)를 표시하도록 형성되고,
    - 메뉴 바(3)의 엔트리 또는 배치의 엔트리(6)에 대해서 미리 규정된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조정된 메뉴 바(6)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추가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5)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특히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로서, 엔트리들(6)은 사용자 단말기(20)의 기능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의 평가 유닛(4)에서 실행될 때, 상기 평가 유닛(4)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시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의 평가 유닛(4)에서 실행될 때, 상기 평가 유닛(4)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시하게 하는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
  15.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5)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상기 엔트리(5)는 상기 이동 수단(10)의 기능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수단.
KR1020150140710A 2014-10-08 2015-10-07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60041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8031.0-1959 2014-10-08
EP14188031.0A EP3007050A1 (de) 2014-10-08 2014-10-08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Menüleiste auf einer Anwenderschnittst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07A true KR20160041807A (ko) 2016-04-18

Family

ID=516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710A KR20160041807A (ko) 2014-10-08 2015-10-07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03567A1 (ko)
EP (1) EP3007050A1 (ko)
KR (1) KR20160041807A (ko)
CN (1) CN1055735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742A (ko) * 2014-09-15 2016-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네비게이션
CN108268190A (zh) * 2016-12-30 2018-07-10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频谱仪自定义菜单设置方法及装置
US10606448B2 (en) * 2017-01-04 2020-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rching and displaying child objects of a parent object
JP6824047B2 (ja) * 2017-01-20 2021-02-0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EP3372435B1 (de) * 2017-03-06 2019-08-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ediensystem zum bereitstellen einer bedienschnittstelle
CN107547750B (zh) * 2017-09-11 2019-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ES2929517A1 (es) * 2021-05-26 2022-11-29 Seat Sa Metodo implementado por ordenador de configuracion de un monitor tactil, programa de ordenador y sistema
CN113703902A (zh) * 2021-09-10 2021-11-26 广州朗国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用菜单栏构建方法及装置
FR3140460A1 (fr) * 2022-09-29 2024-04-05 Psa Automobiles Sa Gestion du caractère privatif des contenus visuels d’une interface graphique affichée sur un écran sphérique d’une interface homme-machine d’un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3810B1 (fr) * 1991-06-03 1997-01-10 Apple Computer Systemes d'interfaces d'utilisateurs a acces direct a une zone secondaire d'affichage.
US7246329B1 (en) * 2001-05-18 2007-07-17 Autodesk, Inc. Multiple menus for us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237240B1 (en) * 2001-10-30 2007-06-26 Microsoft Corporation Most used programs list
US8095879B2 (en) * 2002-12-10 2012-01-10 Neonode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handheld computer unit
KR20060052717A (ko) * 2003-06-27 2006-05-19 소프트스코프 엘엘씨 가상 데스크 탑, 프로그램 예의 배열을 리콜링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예를 관리하는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
US7543244B2 (en) * 2005-03-22 2009-06-02 Microsoft Corporation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list of most commonly used items
KR100842604B1 (ko) * 2007-04-09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387270B1 (ko) * 2009-07-14 2014-04-18 주식회사 팬택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US8626141B2 (en) * 2009-07-30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menu
JP2013515295A (ja) * 2009-12-20 2013-05-02 キーレス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データ入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9367205B2 (en) *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EP2372512A1 (en) * 2010-03-30 2011-10-0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user interface unit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DE102010045974A1 (de) * 2010-09-18 2012-03-22 Volkswagen Ag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S20120204131A1 (en) * 2011-02-07 2012-08-09 Samuel Hoang Enhanced application launcher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20120226978A1 (en) * 2011-03-04 2012-09-06 Leica Camera Ag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n Orbital Menu System
US9341493B2 (en) * 2011-04-18 2016-05-17 Volkswagen A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particularly in a vehicle
US9310958B2 (en) * 2011-06-02 2016-04-12 Lenovo (Singapore) Pte. Ltd. Dock for favorite applications
KR20120137905A (ko) * 2011-06-13 2012-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US20130019201A1 (en) * 2011-07-11 2013-01-17 Microsoft Corporation Menu Configuration
US9086794B2 (en) * 2011-07-14 2015-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ing gestures on context based menus
US9582187B2 (en) * 2011-07-14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context based menus
US9026944B2 (en) * 2011-07-14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content through actions on context based menus
US20130057587A1 (en) *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CN103782259A (zh) * 2011-09-08 2014-05-07 戴姆勒股份公司 机动车用操控装置及操作该机动车用操控装置的方法
JP6086689B2 (ja) * 2011-09-28 2017-03-01 京セラ株式会社 装置及びプログラム
DE102011056940A1 (de) * 2011-12-22 2013-06-27 Bauhaus Universität Weimar Verfahren zum Betrieb einer mehrfachberührungsfähigen Anzeige und Vorrichtung mit einer mehrfachberührungsfähigen Anzeige
US9141262B2 (en) * 2012-01-06 2015-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based hooking gestures for invoking user interfaces
US8890808B2 (en) * 2012-01-06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Repositioning gestures for chromeless regions
JP5565421B2 (ja) * 2012-02-07 2014-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操作装置
US9223483B2 (en) * 2012-02-24 2015-12-2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that indicates content operators
EP2631760A1 (en) * 2012-02-24 2013-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enabling selection of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relation to content
US20140309930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Automatic camera image retrieval based on route traffic and conditions
US10019066B2 (en) * 2012-09-28 2018-07-10 Tesla, Inc. Method of launching an application and selecting the application target window
US20140195972A1 (en) * 2013-01-07 2014-07-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grams or icons
EP2767896B1 (en) * 2013-02-14 2019-01-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20140282231A1 (en) * 2013-03-15 2014-09-18 Vectorform, LLC Dynamically reconfigurable multiframe user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9547417B2 (en) * 2013-03-29 2017-01-17 Deere & Company Retracting shortcut bars, status shortcuts and edit run page sets
US9699496B2 (en) * 2013-07-15 2017-07-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dia servic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EP3036126B1 (de) * 2013-08-20 2020-07-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erfahren für eine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nd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KR102213490B1 (ko) * 2013-09-03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50153897A1 (en) * 2013-12-03 2015-06-04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adaptation from an input source identifier change
US20150160794A1 (en) * 2013-12-09 2015-06-11 Microsoft Corporation Resolving ambiguous touches to a touch screen interface
DE102014200993A1 (de) * 2014-01-21 2015-07-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Ansicht auf einer Anzeigeeinheit
EP2930049B1 (de) * 2014-04-08 2017-12-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Ansicht auf einer Anzeigeeinheit
DE102014211342A1 (de) * 2014-06-13 2015-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Anpassen einer semantischen Skalierung einer Kach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7050A1 (de) 2016-04-13
US20160103567A1 (en) 2016-04-14
CN105573583A (zh)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80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 바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65135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장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JP6012859B2 (ja) 分割画面表示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の電子デバイス
KR100823272B1 (ko) 3차원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9894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JP6017891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00013B1 (en) Interactive multi-touch remote control
EP2813930A1 (en) Terminal reselection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US20140351758A1 (en) Object selecting device
EP2869182A1 (en) Method for adding application ic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pplication icon
WO2015151619A1 (ja) 車載情報装置
EP2706449B1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136500A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JP2008123476A5 (ko)
JP6058790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76704A (zh) 快速找出需进行操作的功能菜单开关的方法及其终端
CN108108078B (zh) 电子设备、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JP5779063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10882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459447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15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타일을 정의하기 위한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JP2010049318A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3503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61088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6325653B (zh) 图形用户界面交互方法、装置及触摸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