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905A -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905A
KR20120137905A KR1020110057064A KR20110057064A KR20120137905A KR 20120137905 A KR20120137905 A KR 20120137905A KR 1020110057064 A KR1020110057064 A KR 1020110057064A KR 20110057064 A KR20110057064 A KR 20110057064A KR 20120137905 A KR20120137905 A KR 2012013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ub
main
menus
favo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원대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5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905A/ko
Publication of KR2012013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탐색과정을 줄이고 터치와 핸들에 부착된 조향 장치와 동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차량의 핸들에 형성된 조이스틱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메인 메뉴 표시부; 및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인 복수의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복수의 메인 메뉴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표시하는 서브 메뉴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USER INTERFACE APPARATUS FOR AUTOMOBIL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3D HMI를 차량용 오픈소스 플랫폼에 탑재하여 주행 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주행중에도 안전하게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차량에는 내비게이션,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등이 설치되고, 휴대폰은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에 따라, 차량용 단말기 및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유저 익스피리언스(UX; User eXperience)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7인치 혹은 8인치 압전 방식의 터치 스크린 기준의 버튼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는 각 스마트폰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전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차량용 터미널 모드를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그대로 차량에서 사용하려는 제품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기존의 국내 에프터 마켓(AM)의 내비게이션은 차량의 조향 장치와의 연동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조가 아니고 비포 마켓(BM) 또한 단순 버튼 나열 방식으로 해당 항목을 직접 터치로 진입하고 나서야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국외 시장의 경우 포드사의 마이포드 싱크는 클러스터와 헤드 유닛 간의 연동으로 조향 장치로 클러스터의 메인 메뉴를 선택하면 헤드 유닛에 그에 해당하는 메뉴를 보여주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 내에서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내비게이션 혹은 순정 AVN(Audio Visual Navigation)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터치 기반이긴 하지만 종래 아날로그 버튼 방식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원하는 콘텐츠의 탐색에 많은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어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 내에서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내비게이션 혹은 순정 AVN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터치 기반이긴 하지만 종래 아날로그 버튼 방식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주행 혹은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해당 버튼을 누를 때마다 다른 화면으로 대체되는 불편함이 많았다. 스마트폰 같은 경우 검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성이 되어 편의성을 주지만 차량 내에서 주행중에 사용하기에는 차량 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탐색과정을 줄이고 터치와 핸들에 부착된 조향 장치와 동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차량의 핸들에 형성된 조이스틱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메인 메뉴 표시부; 및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인 복수의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복수의 메인 메뉴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표시하는 서브 메뉴 표시부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 및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과, 및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 또는 진입 명령, 메뉴 복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조이스틱은 전방향 이동, 후방향 이동, 좌방향 이동, 우방향 이동 및 버튼 눌림을 구분하여 입력하고, 입력부는 조이스틱의 버튼 눌림 상태 유지 시간을 근거로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다.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터치 패널의 터치 유지 시간을 근거로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다.
메인 메뉴 표시부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메인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
서브 메뉴 표시부는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되, 서브 메뉴 표시부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서브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서브 메뉴들에 대해 실행 빈도를 근거로 메인 메뉴의 즐겨찾기 메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메뉴 관리부는,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롱키가 입력되면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메뉴 관리부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롱키가 입력되면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구동 방법은, 터치 패널 및 차량의 핸들에 형성된 조이스틱의 조작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인 복수의 서브 메뉴를 복수의 메인 메뉴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 및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과, 및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 또는 진입 명령, 메뉴 복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메인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의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서브 메뉴는 메인 메뉴 표시부의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서브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복수의 서브 메뉴들에 대해 실행 빈도를 근거로 메인 메뉴의 즐겨찾기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생성된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되지 않은 서브 메뉴들 중에서 디스프레이부의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는,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롱키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롱키 입력을 감지하면 즐겨찾기 메뉴 추가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는 단; 및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들 중에서 디스프레이부의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롱키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롱키 입력을 감지하면 즐겨찾기 메뉴 삭제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는 단계; 및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 또는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에서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브 메뉴 및 메인 메뉴를 회전시켜 검색한 서브 메뉴를 추가하고,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를 회전시켜 검색한 서브 메뉴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여러 개의 메뉴를 체인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3차원으로 배열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메뉴를 표시할 수 있어 유저 익스피리언스의 공간적인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메인메뉴 조작 단계, 서브 메뉴 조작 단계, 서브 메뉴 실행 단계만으로 서브 메뉴를 검색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게 서브 메뉴를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하나의 레이어에서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로 구성된 두 개의 카테고리가 동시에 맞물려 검색하도록 구성하여 기존 버튼 나열 방식에 비해 검색 단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제한된 하나의 표시장치에서 효율적인 검색 방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메뉴에서 음악을 선택해서 진입한 후 음악이라는 카테고리 내부에서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된다고 가정했을 때 메인메뉴는 음악 내부 카테고리가 될 것이고 서브메뉴는 음악 리스트가 되어 검색단계로 한 단계 더 줄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검색 단계를 최소화하고, 검색 단계를 버튼식이 아닌 3차원 배열로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차량 환경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주행중에 기존의 타사 제품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향후 투명디스플레이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때 핸들에 부착된 몇 개의 방향키로 효율적이고 직관적 조작이 가능하며 기존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또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차량 주행중의 조작에 있어서 위험성이나 편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즐겨찾기 메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즐겨찾기 메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25는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국제 표준 차량용 오픈 소스 기반인 GENIVI 플랫폼에 유저 익스피리언스(UX)를 탑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0)에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고, 메인 메뉴에 따라 서브 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메인 메뉴 표시부(120)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00), 입력부(200), 제어부(300), 메뉴 관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입력부(200)는 입력 및 화면표시가 가능한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을 메뉴 형태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DMB와 비디오와 음악 및 사진 앨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SNS와 소셜 사이트와 메신저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차량 정보 서비스, 오피스 서비스 등을 메뉴 형태로 화면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복수의 메인 메뉴와 복수의 서브 메뉴를 하나의 화면상에 화면 표시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는 메인 메뉴 표시부(120),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하부 영역에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메인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복수의 메인 메뉴를 3차원 체인 방식으로 표시한다.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메인 메뉴를 밝게 표시하여 활성화를 표시한다.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메인 메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하여 활성화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메인 메뉴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서브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3차원 체인 방식으로 표시한다.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서브 메뉴를 밝게 표시하여 활성화를 표시한다.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서브 메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하여 활성화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여러 개의 메뉴를 체인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3차원으로 배열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메뉴를 표시할 수 있어 유저 익스피리언스의 공간적인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즉, 입력부(200)는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과, 및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 또는 진입 명령, 메뉴 복귀 명령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0)는 전방향 이동, 후방향 이동, 좌방향 이동, 우방향 이동 및 버튼 눌림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조이스틱(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입력부(200)는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다. 즉, 입력부(200)는 조이스틱(220)의 버튼 눌림 상태 유지 시간을 근거로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이스틱(220)이 설정 시간 이상 눌린 상태를 유지하면 롱키로 인식하고, 설정 시간 미만으로 눌린 상태가 유지되면 숏키로 인식한다.
입력부(200)는 차량 핸들에 배치된다. 이때, 입력부(200)는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차량 핸들의 일측(즉, 차량 핸들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대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다.
입력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로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될 수도 있다. 즉, 입력부(200)는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통해 감지되는 정전기, 압력 등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이때, 입력부(200)는 터치 패널의 터치 유지 시간을 근거로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다.
입력부(200)는 조이스틱(220) 및 터치 패널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200)가 조이스틱(220)으로 구성된 경우, 운전자가 조이스틱(220)을 좌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우방향로 조작한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 하나에 커서가 활성화된다. 이때, 운전자가 조이스틱(220)을 좌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우방향로 다시 조작하면 다음 메인 메뉴(즉, 도 5에서 내비게이션 메뉴 또는 커뮤니케이션 메뉴)가 활성화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활성화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가 화면 표시한다. 이때, 운전자가 조이스틱(220)을 상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서브 메뉴가 표시된 서브 메뉴 표시부(140)로 이동한다. 운전자가 조이스틱(220)을 하방향으로 조작하면 다시 메인 메뉴 표시부(120)의 커서가 활성화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메뉴의 화면 출력 및 실행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메뉴 활성화를 표시하는 커서를 메인 메뉴 또는 서브 메뉴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하도록 메인 메뉴 표시부(120)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메뉴를 좌우로 스크롤하여 화면 표시하도록 메인 메뉴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활성화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들을 화면 표시하도록 서브 메뉴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 표시된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서브 메뉴를 좌우로 스크롤하여 화면 표시하도록 서브 메뉴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활성화된 서브 메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진입 명령이 입력된 서브 메뉴가 하위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하위 메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메뉴 복귀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가 표시된 메뉴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메뉴 관리부(400)는 서브 메뉴들에 대해 실행 빈도를 근거로 메인 메뉴의 즐겨찾기 메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400)를 더 포함한다. 즉, 메뉴 관리부(400)는 복수의 서브 메뉴 중에서 운전자에 의한 실행 빈도가 높은 서브 메뉴를 메인 메뉴의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된 서브 메뉴 중에서 실행 빈도가 낮은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이때, 메뉴 관리부(400)는 추가 또는 삭제를 위해 선택된 서브 메뉴의 상단에 별도의 기호(예를 들면, 화살표)를 표시하여 다른 서브 메뉴들과 구분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디스를레이부(100)의 일측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즉,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입력부(200)의 조이스틱(220) 또는 터치 패널에 통해 표시된 서브 메뉴를 설정시간 이상 누른 상태로 유지(즉, 롱키)하면,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 추가로 판단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 표시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에 표시된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즉,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부(200)의 조이스틱(220)을 통해 롱키가 입력되면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예컨대, 좌측)에 표시하고, 입력부(200)를 통해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디스를레이부(100)의 타측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한다. 즉,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입력부(200)의 조이스틱(220) 또는 터치 패널을 통해 표시된 서브 메뉴를 설정시간 이상 누른 상태로 유지(즉, 롱키)하면,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 삭제로 판단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즉,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의 반대측)에 표시한다. 메뉴 관리부(4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에 표시된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한다. 예를 들어, 즉, 메뉴 관리부(400)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부(200)의 조이스틱(220)을 통해 롱키가 입력되면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예컨대, 우측)에 표시하고, 입력부(200)를 통해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전방 유리에 표시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Head Up Display), 증강현실 시스템 등과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차량 전면 유리 사용시 운전자의 시점에 맞추어 3차원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서 사용가능한 7개의 메인 메뉴와 각각의 메인 메뉴에 상응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가 상단에 배치된다. 각 메뉴에 대한 카테고리 및 설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메인 메뉴는 내비게이션 메뉴, 차량정보 메뉴, 오피스 메뉴, 커뮤니케이션 메뉴, 멀티미디어 메뉴, 즐겨찾기 메뉴, MyApp 메뉴로 구성된다. 여기서, 7개의 메인 메뉴 중에서 중심에 위치한 메인 메뉴의 상단에 표시되는 서브 메뉴는 메인 메뉴가 좌우로 움직일 때 각 메인 메뉴 상단에 해당 서브 메뉴도 바뀌도록 구성된다.
내비게이션 메뉴는 환경설정, 내비게이션, 자주 가는 곳, 주소검색, 명칭검색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차량정보 메뉴는 AS, 운전정보, 주행정보, 점검정보, 자동진단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오피스 메뉴는 메일, 개인정보, 메모, 일정, 연락처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커뮤니케이션 메뉴는 인터넷, 블루투스, 전화, 메시지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메뉴는 음악, 사진, DMB, 마이엘범, 비디오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즐겨찾기 메뉴는 일반 메뉴에서 추가 후 즐겨찾기 메뉴로 이동 후 삭제 동작 실행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MyApp 메뉴는 USB를 연결했을 때 음악, 비디오, 사진 또는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등의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먼저,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복수의 메인 메뉴를 화면 출력한다(S110). 즉,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내비게이션 메뉴, 차량정보 메뉴, 오피스 메뉴, 커뮤니케이션 메뉴, 멀티미디어 메뉴, 즐겨찾기 메뉴, MyApp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동시에,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활성화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화면 출력한다(S120). 이때,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들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화면 출력한다. 예를 들어, S110 단계에서 출력된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오피스 메뉴가 활성화된 경우,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오피스 메뉴의 서브 메뉴인 메일, 개인정보, 메모, 일정, 연락처를 화면에 출력한다.
입력부(200)는 운전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S130). 즉, 운전자는 화면을 터치 또는 스크롤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 운전자는 차량의 핸들에 배치된 조이스틱(220)을 조작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부(200)는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 및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과, 및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 또는 진입 명령, 메뉴 복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운전자는 원하는 메인 메뉴를 가운데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터치 패널과 차량 핸들(500)에 부착된 조이스틱(220)을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조작하여 이동 명령을 입력한다. 운전자는 서브 메뉴에 커서가 위치했을 때 조이스틱(220)을 눌러 해당 서브 메뉴로 진입을 위한 진입 명령 또는 서브 메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실행 명령을 입력한다. 운전자는 서브 메뉴의 진입 또는 실행 상태에서 초기 메뉴 화면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조이스틱(220)을 길게 눌러 메뉴 복귀 명령을 입력한다.
입력된 제어 명령이 메뉴 이동 명령이면(S140; YES), 상술한 S110 단계 및 S120 단계를 수행하여 메뉴 이동 명령에 따라 메뉴 화면을 재출력한다. 즉, 메인 메뉴 표시부(120)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 간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메뉴 표시부(120)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메인 메뉴 표시부(120)의 메인 메뉴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이스틱(22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커서를 서브 메뉴로 이동시킨다.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메뉴 표시부(120)는 메인 메뉴를 하나씩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때,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즉, 커서가 위치한 메인 메뉴, 또는 중심부에 위치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를 화면 표시한다.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 표시된 복수의 서브 메뉴에 대한 좌우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서브 메뉴 표시부(140)는 표시된 복수의 서브 메뉴를 하나씩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입력된 제어 명령이 메뉴 실행 명령이면(S150; YES), 제어부(300)는 활성화된 서브 메뉴를 실행한다(S160). 즉, 제어부(300)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메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 내비게이션 메뉴가 활성화되어, 서브 메뉴인 환경설정, 내비게이션, 자주 가는 곳, 주소검색, 명칭검색 등이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 표시되어 있다. 운전자가 서브 메뉴 중에서 내비게이션을 선택한 후에 실행하면(즉, 내비게이션 메뉴의 더블 클릭, 또는 내비게이션 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에 조이스틱(220)을 누름), 제어부(300)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 이때, 운전자가 메뉴 복귀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 후에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하여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제어부(300)는 활성화된 서브 메뉴가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경우, 서브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메인 메뉴 표시부(120) 및 서브 메뉴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은 메인메뉴 조작 단계, 서브 메뉴 조작 단계, 서브 메뉴 실행 단계만으로 서브 메뉴를 검색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게 서브 메뉴를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의 즐겨찾기 메뉴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즐겨찾기 메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즐겨찾기 메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운전자의 메뉴 실행 빈도를 근거로 메인 메뉴에 포함된 즐겨찾기 메뉴를 생성한다(S210).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실행 빈도가 높은 서브 메뉴인 음악, 환경설정을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이용 중에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고자 하는 서브 메뉴가 있는 경우, 운전자는 메인 메뉴를 1~2초가 길게 눌러 즐겨찾기 메뉴 관리 모드로 진입한다.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부로 해당 서브 메뉴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해당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S220).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조이스틱(220)의 롱키 입력을 감지하면 즐겨찾기 메뉴 추가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에 표시한다. 이때,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메뉴인 'A/S 정보'의 아이콘에 화살표를 표시하여 다른 서브 메뉴들과 구분하여 표시한다.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에 표시된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서브 메뉴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해당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한다. 그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 메뉴에는 차량정보(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인 'A/S 정보'의 아이콘이 추가된다.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서브 메뉴가 있는 경우, 운전자는 메인 메뉴를 1~2초가 길게 눌러 즐겨찾기 메뉴 관리 모드로 진입한다.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부로 해당 서브 메뉴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해당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한다(S230).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조이스틱(220)의 롱키 입력을 감지하면 즐겨찾기 메뉴 삭제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에 표시한다.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메뉴인 'A/S 정보'의 아이콘에 화살표를 표시하여 다른 서브 메뉴들과 구분하여 표시한다. 운전자는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인 'A/S 정보'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에 표시된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 드래그한다. 그에 따라, 즐겨찾기 메뉴에서 차량정보(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인 'A/S 정보'의 아이콘이 삭제된다.
서브 메뉴가 추가되거나(S220; YES), 서브 메뉴가 삭제되면(S230; YES),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추가/삭제된 서브 메뉴를 즐겨찾기 메뉴에 반영하여 즐겨찾기 메뉴를 변경한다(S24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과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의 차이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6 내지 도 25는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은 한 화면에 배열되어 있는 버튼방식에서 원하는 메뉴를 검색하는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보다 효율적이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방법에 비해 메뉴 카테고리를 검색하는 단계가 한 단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진입해야 하는 메뉴 카테고리 레이어(Layer)가 4개, 해당 메뉴 안에 있는 카테고리 및 리스트도 7개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4번째 레이어에 있는 A라는 메뉴를 검색하는 것을 기존의 버튼 방식과 본 발명의 경우를 비교한다.
먼저, 종래의 방법에 따른 A메뉴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1번 레이어에서 메뉴를 검색하여 2번 레이어로 이동한다. 이때,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조작 3회, 하측방향 이동 조작 1회, 레이어 진입 조작 1회를 조작하여 2번 레이어로 이동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2번 레이어에서 메뉴를 검색하여 3번 레이어로 이동한다. 이때,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조작 3회, 하측방향 이동 조작 1회, 레이어 진입 조작 1회를 조작하여 3번 레이어로 이동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3번 레이어에서 메뉴를 검색하여 4번 레이어로 이동한다. 이때,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조작 3회, 하측방향 이동 조작 1회, 레이어 진입 조작 1회를 조작하여 4번 레이어로 이동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4번 레이어에서 메뉴를 검색하여 A메뉴로 진입한다. 이때,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조작 3회, 하측방향 이동 조작 1회, 레이어 진입 조작 1회를 조작하여 A메뉴에 진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A메뉴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하단에 배치된 메인 메뉴 영역을 터치하여 우측방향 이동 명령을 3회 입력하여 2번 레이어를 선택한다. 이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상방향 이동 명령을 1회 입력하여 2번 레이어로 진입한다.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명령을 3회 입력하여 서브 메뉴에서 3번 레이어를 선택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서브 메뉴의 3번 레이어를 선택하여 3번 레이어로 진입한다. 그에 따라, 메인 메뉴 표시부(120)에는 3번 레이어의 메인 메뉴들이 표시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명령을 3회 입력하여 4번 레이어를 선택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상방향 이동 명령을 1회 입력하여 4번 레이어로 진입한다. 운전자는 우측방향 이동 명령을 3회 입력하여 A 메뉴를 선택한다. 이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선택 버튼(240)을 눌러 A메뉴로 진입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종래의 방법에서는 A메뉴로의 진입을 위해 이동 명령 16회, 진입 명령 4회로 총 20회의 제어 명령 입력을 필요로 한다. 반면,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서는 A메뉴로의 진입을 위해 이동 명령 14회, 진입 명령 2회로 총 16회의 제어 명령 입력을 필요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메뉴 진입 단계와 조작 횟수가 훨씬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이 레이어 진입이 4:2로 2배 효율적이고 조작 횟수도 16:14으로 10~20%가량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은 하나의 레이어에서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로 구성된 두 개의 카테고리가 동시에 맞물려 검색하도록 구성하여 기존 버튼 나열 방식에 비해 검색 단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여러 개의 메뉴를 체인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3차원으로 배열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메뉴를 표시할 수 있어 유저 익스피리언스의 공간적인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메인메뉴 조작 단계, 서브 메뉴 조작 단계, 서브 메뉴 실행 단계만으로 서브 메뉴를 검색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게 서브 메뉴를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하나의 레이어에서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로 구성된 두 개의 카테고리가 동시에 맞물려 검색하도록 구성하여 기존 버튼 나열 방식에 비해 검색 단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제한된 하나의 표시장치에서 효율적인 검색 방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메뉴에서 음악을 선택해서 진입한 후 음악이라는 카테고리 내부에서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된다고 가정했을 때 메인메뉴는 음악 내부 카테고리가 될 것이고 서브메뉴는 음악 리스트가 되어 검색단계로 한 단계 더 줄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검색 단계를 최소화하고, 검색 단계를 버튼식이 아닌 3D 배열로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차량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주행중에 기존의 타사 제품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향후 투명디스플레이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때 핸들에 부착된 몇 개의 방향키로 효율적이고 직관적 조작이 가능하며 기존의 차량용 UI의 차량 주행중의 조작에 있어서 위험성이나 편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디스플레이부 120: 메인 메뉴 표시부
140: 서브 메뉴 표시부 200: 입력부
220: 조이스틱 300: 제어부
400: 메뉴 관리부 500: 차량 핸들

Claims (20)

  1. 차량의 핸들에 형성된 조이스틱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메인 메뉴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인 복수의 서브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표시하는 서브 메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과, 및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 또는 진입 명령, 메뉴 복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은 전방향 이동, 후방향 이동, 좌방향 이동, 우방향 이동 및 버튼 눌림을 구분하여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버튼 눌림 상태 유지 시간을 근거로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유지 시간을 근거로 롱키 및 숏키를 구분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메뉴 표시부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메인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메뉴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되,
    상기 서브 메뉴 표시부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서브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브 메뉴들에 대해 실행 빈도를 근거로 상기 메인 메뉴의 즐겨찾기 메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뉴 관리부는,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롱키가 입력되면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뉴 관리부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롱키가 입력되면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10. 차량의 핸들에 형성된 조이스틱의 조작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된 복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활성화된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인 복수의 서브 메뉴를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메뉴 및 서브 메뉴 간의 이동 명령,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메뉴의 좌우 이동 명령과, 및 서브 메뉴의 실행 명령 또는 진입 명령, 메뉴 복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추가 명령, 즐겨찾기 메뉴 삭제 명령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메인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의 체인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메뉴는 상기 메인 메뉴 표시부의 중심에 배치된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 메뉴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서브 메뉴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하는 3차원 체인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메뉴들에 대해 실행 빈도를 근거로 상기 메인 메뉴의 즐겨찾기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되지 않은 서브 메뉴들 중에서 디스프레이부의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는,
    즐겨찾기 메뉴를 제외한 메인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롱키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롱키 입력을 감지하면 즐겨찾기 메뉴 추가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는 단; 및
    상기 즐겨찾기 메뉴 추가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들 중에서 디스프레이부의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롱키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롱키 입력을 감지하면 즐겨찾기 메뉴 삭제로 판단하여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즐겨찾기 메뉴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서브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20.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추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서 삭제하는 단계에서는,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브 메뉴 및 메인 메뉴를 회전시켜 검색한 서브 메뉴를 추가하고,
    즐겨찾기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즐겨찾기 메뉴에 포함된 서브 메뉴를 회전시켜 검색한 서브 메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 구동 방법.
KR1020110057064A 2011-06-13 2011-06-13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20137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64A KR20120137905A (ko) 2011-06-13 2011-06-13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64A KR20120137905A (ko) 2011-06-13 2011-06-13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905A true KR20120137905A (ko) 2012-12-24

Family

ID=4790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064A KR20120137905A (ko) 2011-06-13 2011-06-13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90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11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573583A (zh) * 2014-10-08 2016-05-11 大众汽车有限公司 用户界面和用于在用户界面上适配菜单栏的方法
KR20160064846A (ko) * 2014-11-28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패널
US9696542B2 (en) 2013-11-22 2017-07-04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disposed in hand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34057A (ko) * 2016-09-27 201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2256185A (zh) * 2020-10-23 2021-01-22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3d菜单的展示方法、展示装置、处理器和显示设备
IT202200004016A1 (it) * 2022-03-03 2023-09-03 Automobili Lamborghini Spa Metodo di gestione e veicol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6542B2 (en) 2013-11-22 2017-07-04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disposed in hand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50075011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972796B2 (en) 2013-12-24 2021-04-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36960B2 (en) 2013-12-2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573583A (zh) * 2014-10-08 2016-05-11 大众汽车有限公司 用户界面和用于在用户界面上适配菜单栏的方法
KR20160064846A (ko) * 2014-11-28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패널
KR20180034057A (ko) * 2016-09-27 201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79870B1 (ko) * 2016-09-27 2018-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2256185A (zh) * 2020-10-23 2021-01-22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3d菜单的展示方法、展示装置、处理器和显示设备
CN112256185B (zh) * 2020-10-23 2022-09-30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3d菜单的展示方法、展示装置、处理器和显示设备
IT202200004016A1 (it) * 2022-03-03 2023-09-03 Automobili Lamborghini Spa Metodo di gestione e veicolo
WO2023166432A1 (en) * 2022-03-03 2023-09-07 Automobili Lamborghini S.P.A. Managemement method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305B1 (ko) 제안 시스템의 추천된 조작 액션 및 제안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02010B2 (en) Layer-based user interface
CN108509115B (zh) 页操作方法及其电子装置
EP1962480B1 (en) A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133410B1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20137905A (ko)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EP30050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1586627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706428B (zh) 提供消息的方法以及支持所述方法的用户设备
KR102216123B1 (ko) 타스크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2011118857A (ja) 車両の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操作用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101882554B1 (ko)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022766A (ja) ユーザから車両への対話型操作のためのタッチパッド
JP5876363B2 (ja)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533424A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JP6747835B2 (ja) 画像表示装置
CN105677163A (zh) 用于车辆的集中控制系统
KR102016650B1 (ko)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JP5461030B2 (ja) 入力装置
CN107003796B (zh) 用户界面和用于在运输工具中使显示内容个性化的方法
KR102301652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20289029A1 (en) User interfaces with variable appearances
KR102323440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8123320A1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