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057A -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057A
KR20180034057A KR1020160124093A KR20160124093A KR20180034057A KR 20180034057 A KR20180034057 A KR 20180034057A KR 1020160124093 A KR1020160124093 A KR 1020160124093A KR 20160124093 A KR20160124093 A KR 20160124093A KR 20180034057 A KR20180034057 A KR 2018003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trol command
button
vehicle
inpu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870B1 (ko
Inventor
권기덕
노희진
석동희
민정상
이종복
홍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60K2350/1004
    • B60K2350/1008
    • B60K2350/1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입력수단의 접근, 터치, 및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이 하나 이상 마련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INPUT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다양한 입력방법에 따른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장치들이 내장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장치에는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이때, 차량에는 내장되는 입력장치는 주행환경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도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 내장되는 입력장치는 주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외부 진동 및 충격이나 고열에도 내구성이 유지되어야만,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주행 중에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고 발생의 확률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주행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보장되는 입력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입력수단의 접근, 터치, 및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이 하나 이상 마련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또는 상기 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차량 내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 간의 표시방법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 간의 밝기, 및 깜박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지 여부에 따라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입력장치 내부의 임피던스 값, 정전용량 값, 전류 값, 및 전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의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2개 이상의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 받은 경우, 비상등이 켜지도록 헤드램프 및 테일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의 접근, 입력수단의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2개 이상의 버튼을 통해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판단한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입력수단의 접근,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의 접근에 의한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지 여부에 따라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입력수단과 접근,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또는 상기 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차량 내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 간의 표시방법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 간의 밝기, 및 깜박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지 여부에 따라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입력장치 내부의 임피던스 값, 정전용량 값, 전류 값, 및 전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수단의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2개 이상의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 받은 경우, 비상등이 켜지도록 헤드램프 및 테일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의 접근, 입력수단의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버튼을 통해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판단한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에 신호 전달부가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이 버튼에 근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이 버튼에 접촉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 내지 도 10의 과정 동안, 변화되는 임피던스 값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버튼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여 입력 받은 제어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8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93, 94)를 포함한다. 차체(80)는 후드(81), 프런트 휀더(82), 도어(84), 트렁크 리드(85), 및 쿼터 패널(8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체(8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샤인 루프(sunshine roof, 97)가 마련될 수 있다. 선샤인 루프(97)는 선루프라 하기도 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루프라 하기로 한다.
또한, 차체(80)의 외부에는 차체(8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87),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윈도(88), 도어(84)에 설치되어 차량(200) 후방 및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91, 92), 및 차체(80)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9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체(80)의 외부에는 차량(1)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조등, 즉 헤드라이트(headlight)를 조사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95, 96)가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체(80)의 외부에는 차량(1)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 시야의 확보 또는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차량(1)의 위치 파악을 돕기 위해 후미등, 즉 테일라이트(taillight)를 방출하는 테일 램프(tail lamp,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의 선루프(97), 헤드램프(95, 96), 테일램프 등의 동작은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의 내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1)의 내부에는 공조장치(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조장치(150)는 차량(1)의 실내/외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과 같은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조장치(150)는 통풍구(151)를 통해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여 차량(1)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공조장치(150)에는 공조장치(150)의 제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버튼은 후술할 바와 같이 다양한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내비게이션 단말(20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외에도, 내비게이션 단말(200)은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200)은 각종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 내 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단말(200)은 디스플레이(201)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대시 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20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01)는 터치, 클릭, 드래그 등과 같은 다양한 터치 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입력부(202)는 디스플레이(201)와 인접한 영역에 버튼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 입력부(202)는 다양한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포함한 입력장치를 통해 구현되어, 운전자는 운전 중이라도 보다 손쉽게 제어 명령을 입력 할 수 있다.
한편, 센터 콘솔(40)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버튼 타입의 센터 입력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운전석 시트(21)와 조수석 시트(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41)와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센터 입력부(43)는 내비게이션 입력부(202)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터 입력부(43) 또한 버튼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다양한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내부에는 클러스터(144)가 마련될 수 있다. 클러스터(144)는 계기판이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클러스터(144)라 하기로 한다. 클러스터(144)에는 차량의 주행속도, 엔진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 연료량 등이 표시된다.
또한, 차량(1) 내에는 음성 입력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19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9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운전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효과적인 음성의 입력을 위하여, 음성 입력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닝(13)에 장착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시보드(10) 위에 장착되거나 스티어링 휠(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운전 중인 운전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기에 적합한 위치이면 어디든 제한이 없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충전과 관련된 각종 경고 음성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내비게이션 입력부(102), 센터 입력부(43) 외에도, 차량(1)의 내부에는 전술한 기기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내부 기기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블록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에 신호 전달부가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이 버튼에 근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이 버튼에 접촉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 내지 도 10의 과정 동안, 변화되는 임피던스 값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버튼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여 입력 받은 제어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은 전술한 헤드램프(95, 96), 테일램프(97, 98), 스피커(143)외에도, 디스플레이부(200), 입력장치(10), 및 차량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램프(95, 96), 테일램프(97, 98), 및 스피커(143)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201)뿐만 아니라,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윈드쉴드 디스플레이(windshield display)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1)의 전면 프론트 윈도(87)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로써, 프론트 윈도(87)에 운전 시 필요한 실시간 정보들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한편, 이하에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빛을 반사경에 투영하고,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프론트 윈도(87)로 비추게 되어 가상의 차선을 표시하는 윈드쉴드 타입, 및 별도의 스크린을 마련하여, 가상의 차선을 표시하는 컴바이너 타입이 존재하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 내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이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차량(1)에는 입력장치(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10)는 차량(1) 내에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곳이면 어디에든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10)는 전술한 센터 입력부(43, 도 2)에 대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장치(10)는 전자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입력장치(10)는 내비게이션 단말(200)에 포함되며, 내비게이션 입력부(202)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조장치(150, 도 2)에는 공조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버튼 타입의 입력장치(1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입력장치(10)는 전자장치에 포함되거나 또는 차량(1) 내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는 등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입력장치(10)는 각종 입력수단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버튼 그룹(100), 및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10)가 전자장치에 내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3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차량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행주체가 변경되더라도 차량 또는 전자장치가 후술할 실시예들을 수행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버튼 그룹(9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다양한 입력방법에 따른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버튼 그룹(90)은 하나의 버튼만을 통해 다양한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버튼 그룹(90)은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버튼 중에서 2개 이상의 버튼을 통해 동시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그룹에 대해 설명하나 후술할 바와 같이 버튼 그룹은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버튼(100)과, 버튼(100)에 형성되어 입력수단의 직접적인 접촉, 간접적인 접촉 등을 감지하는 신호전달부(113)와, 신호전달부(11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가 마련되는 기판(120)과, 기판(120)과 버튼(10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40)와, 수신부(121)에서의 각종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90)은 입력수단이 접촉하는 터치부(101)와 터치부(101)에서 기판(1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접촉은 직접적인 접촉 및 간접적인 접촉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직접적인 접촉은 입력수단이 입력장치(10)에 닿은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수단이 버튼(90)을 터치한 경우를 의미하고, 간접적인 접촉은 입력수단이 입력장치(10)에 닿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가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접근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이 버튼(90)의 터치부(101)에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면, 입력장치(10) 내부에서 정전용량 등이 변화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이를 기초로 입력수단을 감지하여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터치부(101)는 장착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입력수단이 접촉되는 상면과 장착면의 내부에 가려지는 하면으로 구성된다. 터치부(101)는 도면과 같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원형 또는 막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터치부(101)의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터치부(101)의 곡면은 곡률이 일정한 곡면과 곡률이 변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01)의 곡면은 곡률이 두 개 이상인 곡면과, 좌표에 따라 굽은 방향이 다른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101)의 상면과 하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102)는 터치부(101)의 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연결부(102)는 기판(120)의 수신부(121)와 접속되는 접속부(103)와 아랫면에서 위로 요입되는 중공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03)는 연결부(102)에서 아래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03)는 기판(120)의 수신부(121)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중공부(104)는 광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은 빛을 방사하는 소자로서, LED(Light Emitting Semiconductor) 뿐만 아니라, 광을 생성하여 방사하는 기 공지된 모든 소자,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광원은 필요에 따라 중공부(104)에 삽입되어, 버튼(100)이 발광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버튼(100)은 반투명 소재 또는 투명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버튼(100)의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입력장치(10)에 입력수단이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면 정전용량이 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신호전달부(113)는 터치부(101)에 마련되는 제1 신호전달부(113a)와 연결부(102)에 마련되는 제2 신호전달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신호전달부(113a)는 터치부(101)의 하면에 넓은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신호전달부(113a)가 마련되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입력수단로부터 제어명령을을 입력 받는 터치영역의 크기는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신호전달부(113a)는 연결부(102)가 연결되는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신호전달부(113a)는 사각 기둥 형태의 연결부(102)의 외측을 둘러싸는 사각 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신호전달부(113b)는 연결부(102)의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전달부(113b)의 일 측은 제1 신호전달부(113a)와 연결되고, 타 측은 접속부(103)의 측면을 지나 접속부(103)의 아랫면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호전달부(113b)는 접속부(103)의 아랫면까지 연장되어, 기판(120)에 마련된 수신부(121)와 근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신호전달부(113)는 버튼(100)에 형성되는 전극 홈(112)에 마련될 수 있다. 버튼(100)은 모재(110)와 모재(110)의 일 면에 코팅되는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의 일 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전극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베이스(111) 상에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LDS 공법은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지지재를 형성하고, 지지재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 후, 지지재를 금속화(Metalizing) 하여 지지재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구조를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지재는 베이스(111)에 대응될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도전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전달부(113)는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중에서도 전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구리 외에 금(Au) 등의 금속으로 신호전달부(113)를 구현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베이스(111)는 금속 복합체를 사출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111)는 다른 소재(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를 사출하고, 그 위에 금속 복합체를 코팅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111)는 레진(Resin)과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레진(Resin)은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은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베이스(111)는 모재(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재(1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한편, 베이스(111)의 일 면에는 신호전달부(113)를 수용하는 전극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신호전달부(113)는 전극 홈(11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홈(112)은 베이스(111)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베이스(111)는 금속으로 환원되고, 금속으로 환원된 부분은 전극 홈(112)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한다.
신호전달부(113)는 전극 홈(112) 상에 도금됨으로써 형성된다. 금속 시드 상에 도금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금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신호전달부(113)는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금 공정과 증착 공정을 결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전달부(113)가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신호전달부(113)는 구리(Cu) 도금을 포함하고, 구리 도금 상에 니켈(Ni)을 도금하여 산화방지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금(Au) 도금을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1)는 다양한 소재로 마련되는 모재(110)의 일 면에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모재(110)는 수지(Resin), 유리, 또는 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재(110)는 표면이 딱딱하거나(Stiff) 탄력이 있을 수 있다(Elastic). 그리고 모재(110)는 굳어서 변형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Rigid) 구부러짐이 가능할 수도 있다(Flexible). 그리고 모재(110)는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재(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사출되며, 모재(110)의 윗면 또는 저면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베이스(111)를 코팅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신호전달부(113)도 터치면의 곡률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111)는 모재(110)의 형상에 따라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111)의 일 면은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홈(112)은 베이스(111)의 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홈(112)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111)의 형상에 상관없이 복잡한 형상의 전극 홈(1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홈(112) 상에는 신호전달부(113)가 도금될 수 있다. 이때, 도금 공정의 특성상 전극 홈(112)의 형상에 상관없이 신호전달부(113)가 도금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홈(112)이 직선 또는 평면으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신호전달부(113)가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전달부(113)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111)는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11)는 금속 복합체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수지, 유리, 또는 가죽 등의 기타 소재의 일 면에 금속 복합체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전극 홈(112)은 베이스(111)의 일 면에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가 조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되는 열은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으로 환원시키고, 전극 홈(112)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시킨다.
전극 홈(112)은 곡면으로 마련되는 베이스(111)의 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를 조사하여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111)의 표면 형상에 상관 없이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금속 시드가 노출된 전극 홈(112)을 금속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금속화 공정은 도금 또는 증착에 의할 수 있다.
기판(120)에는 수신부(121)와, 다양한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20)은 인쇄회로기판(120, 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기판(12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구현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수신부(121)는 금속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21)는 전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금속 중에서도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으나, 구리 외에 금(Au) 등의 금속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제한은 없다.
수신부(121)와 신호 전달부(131) 간의 정전용량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를 터치하거나 또는 터치부(101)에 근접함에 따라 변화된다. 이때, 수신부(121)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과 터치부(101) 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하는 경우, 신호 전달부(131)와 수신부(121) 간에는 정전용량 값이 변화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와 연결되어,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버튼(100)을 누르거나 또는 눌린 버튼(100)에서 손가락을 떼면, 버튼(10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수신부(121)와 신호 전달부(113) 사이의 거리가 변화된다. 그러면, 수신부(121)와 신호 전달부(113) 간의 정전용량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수신부(121)와 신호전달부(113)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는 수신부(121)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전달되며, 제어부(130)는 전술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에서의 전류, 전압과 같은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수신부(121)는 LDS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20)의 일 면에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111)가 코팅될 수 있다. 또는, 기판(120)의 일면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복합체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수신부(121)가 형성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수신부(121)는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과 기판(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외력에 의해 버튼(100)이 아래로 이동하는 때에 탄성부재(140)가 탄성 변형되면서 반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0)가 형상 복원되면서 버튼(10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의 접속부(103)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의 접속부(103)를 지지하는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의 측면은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40)의 상부는 버튼(100)의 접속부(103)를 수용하도록 요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속부(103)의 단면이 사각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탄성부재(140)의 상부에는 사각 형태의 홈이 요입되어 접속부(103)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는 기판(120)을 덮도록 마련되어, 기판(120)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0)는 기판(120)을 덮도록 마련되는 러버일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이 설치되는 틈새 등으로 침투하는 이물질로부터 기판(120)을 보호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일반적으로 넓은 판 또는 막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력에도 버튼(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상 변형이 가능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의 저면에는 저항부재(141)가 부착될 수 있다. 저항부재(141)는 예를 들어,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저항부재(141)는 수신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의 외력에 의해 버튼(100)이 아래로 이동하면, 탄성부재(140)가 탄성 변형되면서 저항부재(141)는 수신부(121)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0)가 형상 복원되면서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서 떨어지게 된다. 즉, 저항부재(141)는 입력수단의 외력에 의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서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는 경우,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이 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와 연결되어,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통해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저항부재(141)와 수신부(121) 간에 접촉 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 또는 전압 값을 파악하여,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121)는 기판(12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신부(121)가 기판(120) 상에 복수 개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하나의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 변화를 파악하여,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 변화를 파악하여,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을 정확하게 누르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수신부(121) 중에서 하나의 수신부(121)에만 저항부재(141)가 닿으면, 제어부(130)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입력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MCU(Micro Control Unit, MCU)와 같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되거나 또는 기판(120)에 집적될 수 있는 등 구현형태에 제한은 없다.
제어부(130)는 정전용량 값, 임피던스 값, 전류 값, 및 전압 값 등과 같은 파라미터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입력수단이 버튼에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여, 즉 입력수단이 근접함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값, 임피던스 값 등을 통해 제어명령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입력수단이 버튼에 근접함에 따라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제1 제어명령이라 하기로 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입력수단이 버튼에 터치됨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값, 임피던스 값 등을 통해 제어명령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입력수단이 버튼에 접촉함에 따라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제2 제어명령이라 하기로 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입력수단이 압력을 통해 버튼을 누름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값, 임피던스 값, 전류 값, 및 전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명령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입력수단이 압력을 가해 버튼을 누름에 따라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제3 제어명령이라 하기로 한다.
입력수단이 버튼(100)에 근접하거나 또는 버튼(100)을 터치하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와 연결되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 값을 파악하고, 파악한 결과를 기초로 입력수단이 버튼(100)에 근접한지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제어명령 또는 제2 제어명령 중 어떠한 제어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전용량 값 또는 정전용량 값의 변화량은 입력수단이 버튼(100)의 터치부(101)에 근접한지 또는 접촉한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되기 전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정전용량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 내이거나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범위 내인 경우, 입력수단과 버튼(100) 간에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게 되어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하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게 되며, 이때의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근접하는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와는 다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정전용량 값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 내에 위치하는 때에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하여, 제2 제어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수단의 압력에 의해 버튼(100)이 눌리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게 된다. 이때의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는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와는 다르다. 제어부(130)는 정전용량 값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 내인지 여부에 따라, 제3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부(121)와 저항부재(141) 간에 접촉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에서 감지되는 전류, 값 전압 값을 통해 제3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 내지 도 10의 과정 동안, 변화되는 임피던스 값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면, 임피던스 값 또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1의 그래프는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근, 터치부(101)에 접촉, 터치부(101)를 누름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래프의 y 축은 전체 임피던스값을, x 축은 시간의 변화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1의 A구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근접한 상태로써, x축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즉 시간이 경과될수록 입력수단은 터치부(101)에 근접하게 된다. 이때, 임피던스 값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 구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며, x축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버튼(100)에 가해지는 압력은 강해진다. 즉, 시간이 지날수록 버튼(100)이 눌려진 정도가 커진다. 이때, 임피던스 값은 버튼(100)이 많이 눌려질수록, 즉 신호전달부(113)가 수신부(121)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구간과 B구간의 경계인 D지점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한 순간을 나타낸다.
C구간은 버튼(10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까지 눌려 저항부재(141)와 수신부(121)가 접촉된 상태에 해당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C구간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관계없이, 임피던스 값이 일정하며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 구간과 C 구간의 경계인 E 지점은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한 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정전용량 값 또는 정전용량 값의 변화량을 기초로 다양한 입력방법에 따른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임피던스 값 또는 임피던스 값의 변화량을 기초로 다양한 입력방법에 따른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의 메모리에는 정전용량, 전류, 전압, 임피던스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 별 인식방법에 관한 데이터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감지되는 파라미터 값을 비교하여, 제어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장치(10) 외에, 차량(1)의 구성요소에 대해 더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에는 차량(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210)는 MCU와 같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210)의 메모리에는 차량(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제어부(21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통해 차량(1)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1) 내 구성요소 간에는 차량내 통신망을 통해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차량내 통신망은 차량(1)에 마련된 각종 장치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내 통신망은 계측 제어기 통신망(Controller Area Network, CAN)을 포함한다. 여기서, 계측 제어기 통신망은 차량(1)의 각종 장치들 간에 디지털 직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네트워크로서, 차량(1) 내 전자 장치들의 복잡한 전기 배선과 릴레이를 직렬 통신선으로 대체하여 실시간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그러나, 차량내 통신망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기 공지된 다양한 차량내 통신망을 통해 차량(1) 내 장치 간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차량(1) 내 구성요소 간에는 차량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제어부(210)는 차량내 통신망을 통해 입력장치(1)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면, 차량 제어부(210)는 제어신호를 통해 차량(1)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부(210)는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제어명령 중 어떠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명령에 따른 프로세스 결정방법, 프로세스에 따른 차량(1)내 구성요소들의 제어방법은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로 구현되어, 차량 제어부(21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최근 차량(1) 내에는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내장되고 있으며, 내장된 전자장치들의 조작버튼 또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든 전자장치들의 조작 버튼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주행 중에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일일이 확인하고 제어명령을 입력할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선이 분산되어,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동일한 버튼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았더라도, 입력방법에 따라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 내 임의의 버튼(100)으로부터 제1 제어명령을 입력 받으면, 차량 제어부(210)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과 관련된 설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210)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 제어부(210)는 스피커(143)를 통해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에 관한 설명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차량 제어부(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유지 보조시스템의 활성화 버튼입니다'라는 설명정보가 포함된 팝업 메시지(1200)를 디스플레이(20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부(210)는 팝업 메시지(1200)를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에도 표시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버튼을 터치 또는 눌러,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전방에 시선을 유지하면서,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차량 제어부(210)가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과 관련된 설명정보만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행을 원하는 특정 버튼의 대략적인 위치는 아나, 정확한 위치는 모르는 상황일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부(210)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과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 주변에 마련된 다른 버튼들에 관한 설명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명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버튼을 터치 또는 눌러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전술한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차량(1) 간의 각종 정보, 명령의 교환 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그래픽으로 구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은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로 생성되어, 차량 제어부(21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1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콘(1400), 제2 아이콘(1410), 제3 아이콘(1430을 표시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의 형태는 차량(1) 내 버튼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 텍스트, 기호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아이콘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아이콘을 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을 참조하면, 제2 아이콘(1410)이 제1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표현한 것이고, 제1 아이콘(1400)은 운전석에서 프론트 윈도를 바라봤을 때 제1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좌측에 마련된 버튼을 표현한 것이며, 제3 아이콘(1420)은 제1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우측에 마련된 버튼을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210)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의 제2 아이콘(1410)을 중심에 배치하고, 운전석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의 좌측/우측에 마련된 버튼을 제2 아이콘(1410)의 좌측/우측에 나타내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헤드-업 디스플레이(203)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부(21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1400, 1410, 1420)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할 수 있으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1400, 1410, 1420)이 세로로 배치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210)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을 표시하는 아이콘과,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다른 버튼을 표시하는 아이콘 간에 표현방법이 다르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다른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 간의 밝기, 깜박임 등을 다르게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실선으로,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다른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는 등 표현에 차이를 주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차량 제어부(210)는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2 제어명령 또는 제3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2 제어명령 또는 제3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명정보를 확인하고, 버튼을 터치하거나 또는 누를 경우, 차량 제어부(210)는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용자가 운전 중에 원하지 않는 버튼을 터치 또는 눌러, 원하지 않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현방법은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로 생성되어, 차량 제어부(21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부(210)는 설명정보가 제공된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 및 주변에 마련된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버튼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차량 제어부(210)는 설명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버튼이라도, 바로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버튼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설명정보가 제공된 버튼으로부터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에만 버튼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지, 또는 설명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버튼이라도 바로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버튼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명령 또는 제3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프로세스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10)는 스피커(143)의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으로부터 제2 제어멍령 또는 제3 제어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음량의 조절 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음량의 증가 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으로부터 제2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제어부(210)는 음량을 N레벨만큼 올라가도록 스피커(14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음량의 증가 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으로부터 제3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제어부(210)는 음량을 M레벨만큼 올라가도록 스피커(14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M>N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여 음량의 증가 명령에 관한 버튼을 누르면, 차량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음량을 더 빨리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스피커(143)를 제어하여 음량을 더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부(210)는 제어명령의 입력방법뿐만 아니라, 제어명령이 입력된 버튼의 개수를 고려하여,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는 차량(1) 내에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10)는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버튼에 대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입력장치(10)는 복수 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한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입력부(202)는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급박한 상황에 놓이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급박한 상황에 대한 제스처를 취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입력부(202)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한 입력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 제어부(210)는 외부에 급박한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비상등 온(ON)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10)는 제어신호를 통해 헤드램프(95, 96)와 테일램프(97, 98)를 제어하여, 비상등이 켜지게끔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 개의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제어부(210)는 복수 개의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 복수 개의 버튼이 마련된 위치 등을 고려하여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1)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장치(1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버튼이 마련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 개의 버튼 중에서 우측에 마련된 버튼부터 좌측에 마련된 버튼 순으로 정전용량 값, 임피던스 값 등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복수의 제1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시간을 기초로 입력방향, 즉 제스처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력방향과 입력장치(10)가 내장된 공조장치(150)의 특성을 기초로,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10)는 제어명령에 관한 정보를 전달 받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5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210)는 입력방법,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뿐만 아니라,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 예를 들어 공조제어와 관련된 기능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220)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제어부(220)는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20)는 버튼 그룹(90)에 포함된 버튼(100)에 직접 연결되어,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 임피던스 등과 같은 각종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등을 파악하여, 제어명령의 입력을 인식하고,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부(220) 은 전술한 차량 제어부(210, 도3)와 제어부(130, 도3)가 수행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어떠한 프로세스를 수행할지, 예를 들어, 차량(1)내 구성요소들을 어떻게 제어할지에 관한 방법은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제어부(13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의 메모리에는 유저인터페이스의 구현방법,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명령에 따라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제어신호를 통해 차량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차량(1) 내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입력방법에 따른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결정한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은 입력장치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차량은 다양한 입력방법에 따라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입력장치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 입력수단의 터치, 입력수단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에 기초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1600).
이때, 차량은 입력장치 내부의 수신부와 신호 전달부 간의 정전용량 값, 및 임피던스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입력방법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수신부에 흐르는 전류 값, 전압 값을 기초로 입력방법을 식별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입력방법을 판단하는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량은 입력 받은 제어명령이 제1 내지 제3 제어명령 중 어떠한 것인지, 즉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프로세스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1610).
예를 들어, 차량은 동일한 버튼이라도 제1 제어명령, 제2 제어명령 또는 제3 제어명령을 입력 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개의 버튼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으면,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제어멍령을 입력받았을 때와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 유지시간, 및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다양한 입력방법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뿐만 아니라,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입력 받은 버튼이 지원하는 기능, 입력 유지시간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unit)", "~기", "~블록(block)", "~부재(member)",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
10: 입력장치, 100: 버튼, 101: 터치부, 102: 연결부
103: 접속부, 104: 중공부, 110: 모재, 111: 베이스
112: 전극 홈, 113: 신호전달부, 120: 기판, 121: 수신부
130: 제어부, 140: 탄성부재, 141: 저항부재

Claims (20)

  1. 입력수단의 접근, 터치, 및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이 하나 이상 마련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또는 상기 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차량 내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 간의 표시방법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 간의 밝기, 및 깜박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지 여부에 따라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입력장치 내부의 임피던스 값, 정전용량 값, 전류 값, 및 전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을 인식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의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2개 이상의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 받은 경우, 비상등이 켜지도록 헤드램프 및 테일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의 접근, 입력수단의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2개 이상의 버튼을 통해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판단한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10. 입력수단의 접근,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의 접근에 의한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지 여부에 따라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차량.
  12. 입력장치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입력수단과 접근,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의 입력방법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또는 상기 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차량 내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에 관한 설명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 간의 표시방법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과, 상기 버튼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과 관련된 아이콘 간의 밝기, 및 깜박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수단과 버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지 여부에 따라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입력장치 내부의 임피던스 값, 정전용량 값, 전류 값, 및 전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방법을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수단의 압력에 의한 제어명령을 2개 이상의 버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 받은 경우, 비상등이 켜지도록 헤드램프 및 테일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의 접근, 입력수단의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법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버튼을 통해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판단한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24093A 2016-09-27 2016-09-27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7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93A KR101879870B1 (ko) 2016-09-27 2016-09-27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93A KR101879870B1 (ko) 2016-09-27 2016-09-27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57A true KR20180034057A (ko) 2018-04-04
KR101879870B1 KR101879870B1 (ko) 2018-07-19

Family

ID=6197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93A KR101879870B1 (ko) 2016-09-27 2016-09-27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8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905A (ko) * 2011-06-13 2012-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15A (ko) * 2011-04-20 2012-10-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스위치 구성방법
KR101305602B1 (ko) * 2011-06-23 2013-09-09 주식회사 대동 차량 스위치용 모션 인식장치
KR20130041420A (ko) * 2011-10-17 2013-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KR20130063911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중 운전자의 시선 이탈 방지 시스템
CN104350452A (zh) * 2012-05-29 2015-02-1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
US20160077601A1 (en) * 2013-04-25 2016-03-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magement Co., Ltd. Input system for on-board use
KR20150100099A (ko) * 2014-02-24 2015-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905A (ko) * 2011-06-13 2012-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870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0643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CN104914986B (zh) 终端设备、具有终端设备的车辆及控制终端设备的方法
US10824262B2 (en) Touch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ouch control device
JP2018150043A (ja) 自動車における情報伝送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500130B1 (ko)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CN107111445B (zh) 手指条和手指条的使用
CN105751996A (zh) 用于在操作开关之前辅助用户的装置和方法
US20170147105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58747A (ko)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WO2015049837A1 (ja) スイッチ装置
EP2703226A1 (en) Vehicle-mounted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program
US20150063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input-service
KR101879870B1 (ko)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41515B1 (ko) 차량용 입력장치
CN109656424A (zh) 接近传感器
JP2013206376A (ja) 車載機器の表示制御装置
US11155206B2 (en) Proximity sensor
US10732780B2 (en) Touch input device having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sensor electrode and printed circuit board by cont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667196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3206377A (ja) 空調機器の表示制御装置
KR10237960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556509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1163967A (zh) 具有三维显示器的车辆操作系统
KR20180081298A (ko) 터치 패드 및 이의 동작 방법
GB2539329A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