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420A -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420A
KR20130041420A KR1020110105640A KR20110105640A KR20130041420A KR 20130041420 A KR20130041420 A KR 20130041420A KR 1020110105640 A KR1020110105640 A KR 1020110105640A KR 20110105640 A KR20110105640 A KR 20110105640A KR 20130041420 A KR20130041420 A KR 2013004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formation
vehicle
touc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1420A/ko
Publication of KR2013004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버튼을 터치한 경우에 해당 버튼의 기능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버튼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그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주변장치; 상기 다수의 각 주변장치에 차량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터치를 감지한 해당 주변장치로부터 버튼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고, 해당 버튼의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버튼표시기;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GUIDANCE SYSTEM FOR BUTTON INFORM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버튼을 터치한 경우에 해당 버튼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버튼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에 있어서도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편의를 위해 주변장치를 선택사양으로 추가하여 사용하므로 운전자는 보다 편리한 기술 혜택을 누리고 있는 실정이다. 주변장치의 예로서 소망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유도하는 차량항법장치(navigation system for vehicle), 오디오 시스템, 파워 윈도우 및 헤저드 스위치(hazard switch)등, 전기의 공급에 의해 동작되는 장치들이 그 대표적인 케이스이고, 이와 같은 주변장치는 통상 시스템의 작동을 선택하거나 기능을 설정 및 설정된 기능을 작동시킬 때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적으로 버튼(스위치)을 이용하여 해당 주변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변장치 등을 탑재한 차량 내에는 다수의 버튼(스위치)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고, 사용자가 이러한 주변장치를 능숙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생산자가 제공한 사용지침서 등의 안내서적을 보고 차량 내에 마련된 다수의 버튼들의 기능과 사용방법을 습득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주변장치를 신속 정확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운전자가 초보운전일 경우에는 이러한 버튼의 기능 및 사용방법이 더욱 낯설기 때문에 더 많은 습득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초보 운전자가 일반적인 주변장치(AVN, 도어 등) 외에 특수한 주변장치가 탑재된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모든 버튼의 기능 및 사용방법을 완전히 습득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심적 부담감을 느끼게 되고, 어두운 주변 환경일 경우에는 버튼의 위치를 찾지 못하여 원활하게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에 음성인식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가 음성명령을 하면, 이를 인식하여 주변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었다. 그러나 음성인식기술은 주변장치의 갯수가 적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주변장치의 갯수가 많아지면서 사용자가 인지하여야 하는 음성명령어가 늘어나게 되고, 나아가 많은 음성명령어로 인해 음성명령어를 기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흔히 사용하는 주변장치에만 국한되어 사용하는 등 고급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주변장치의 버튼을 터치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해당 버튼의 기능 및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알려주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가 차량 내의 모든 버튼의 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차량 내의 버튼의 위치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터치한 버튼의 기능을 음성으로 들려준다 하더라도 원하는 버튼의 위치의 위치를 알 수 없음은 물론 버튼의 위치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그 주변장치의 버튼 대부분을 터치하여 여러 번의 음성을 들은 후에야 비로소 원하는 버튼을 찾을 수 있어 번거로우며,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비해 그 정확도가 낮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차량의 주변장치를 조작하고자 할 때 그 버튼의 위치를 알려주어 버튼조작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차량 내부의 버튼을 터치한 경우 해당 버튼의 아이콘과 인접한 버튼 아이콘이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조작하고자 하는 버튼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로 해당 버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은 버튼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그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주변장치; 상기 다수의 각 주변장치에 차량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터치를 감지한 해당 주변장치로부터 버튼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고, 해당 버튼의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버튼표시기;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은 각각의 버튼에 설치된 터치센서 또는 각각의 버튼을 이중동작 모드로 형성한 이중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버튼표시기는 각 주변장치에 대한 버튼의 아이콘과 기능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버튼정보DB와, 상기 주변장치에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의 정보를 상기 버튼정보DB에 엑세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의 정보와 그 버튼에 인접한 버튼의 정보를 버튼정보DB로부터 엑세스하여 해당 버튼의 아이콘과 인접한 버튼의 아이콘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버튼표시기는 각 주변장치에 위치된 버튼들의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성정보DB와,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의 기능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에 따르면, 주행 중 조작하고자 하는 버튼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버튼 조작에 따른 운전방해를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원거리에 위치한 버튼의 이용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의 아이콘을 통해 현재 터치한 버튼이 무엇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노인 등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배려함은 물론 이에 따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터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콘솔부 버튼조작시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은 버튼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서로 다른 동작을 하는 다수의 주변장치(10)와, 그 주변장치(10) 중 어느 하나의 주변장치의 버튼을 터치한 경우에 그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버튼의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버튼표시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장치(10)는 차량 내부에 차량의 동작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장치들로서, 그 주변장치의 각 버튼들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감지수단(30)이 설치된다.
따라서, 감지수단에 의해 터치하였음을 감지한 경우, 주변장치(10)는 터치 신호를 전달받게 되고, 그 터치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통신모듈(CAN, MOST, LIN 등)을 통해 버튼표시기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주변장치의 각 버튼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센서일 수 있고, 또는 각 버튼을 가볍게 누르는 모드와 깊게 누르는 모드를 갖는 이중동작 모드로 형성한 이중버튼일 수 있다.
상기 버튼표시기(20)는 각 주변장치에 차량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주변장치와 버튼의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버튼의 아이콘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표시기(20)는 각 주변장치에 대한 버튼의 아이콘과 기능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버튼정보DB(22)와, 상기 주변장치(10)에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의 정보를 상기 버튼정보DB(22)에 엑세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주변장치의 버튼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24)에서는 그 해당 주변장치로부터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그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의 정보를 버튼정보DB(22)에 엑세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변장치에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는 필터링하여 잡음 등과 같은 노이즈가 제거된 후 증폭되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24)에서는 전달된 터치 신호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로서, 터치 신호가 연속으로 1초 이상 입력되는 경우에만 유효한 신호로 인정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잘못 터치되는 경우에는 에러로 처리하도록 한다.
이를 도 2의 순서도를 통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여 터치 신호가 버튼표시기의 제어부로 전달된 경우에 제어부에서는 터치 신호가 유효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터치 신호가 유효한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버튼정보DB를 탐색하여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게 되며, 터치 신호가 유효한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무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24)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의 정보 외에도 그 해당 버튼에 인접한 버튼의 정보를 버튼정보DB로부터 엑세스하여 해당 버튼의 아이콘과 함께 인접한 버트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더욱 확실하게 터치한 버튼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의 아이콘을 화면에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출력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표시기(20)에는 각 주변장치에 위치된 버튼들의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성정보DB(26)와,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의 기능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28)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주변장치의 버튼을 터치하는 동작에 의해 버튼의 기능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버튼의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받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튼표시기(20)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차량이 자동으로 해당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능활성화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버튼표시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차량에 장착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을 통해 AVN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별도 장착되는 네비게이션과 연결하여 네비게이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버튼표시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콘솔부 버튼조작시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콘솔부의 버튼(FM/AM)을 터치한 경우 주변장치는 해당 버튼의 감지수단을 통해 터치 신호를 전달받게 되고, 버튼표시기(20)로 그 터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버튼표시기(20)에서는 콘솔부의 해당 버튼(FM/AM)에 대한 정보를 버튼정보DB(22)로부터 엑세스하여 화면에 그 버튼(FM/AM)의 아이콘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행 중 고개를 숙여 콘솔부의 버튼을 확인하지 않고도 전방을 주시하면서 버튼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된 콘솔부의 버튼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주변장치 20: 버튼표시기
22: 버튼정보DB 24: 제어부
26: 음성정보DB 28: 음성출력수단
30: 감지수단

Claims (5)

  1. 버튼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그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주변장치;
    상기 다수의 각 주변장치에 차량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터치를 감지한 해당 주변장치로부터 버튼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고, 해당 버튼의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버튼표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은 각각의 버튼에 설치된 터치센서 또는 각각의 버튼을 이중동작 모드로 형성한 이중버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표시기는 각 주변장치에 대한 버튼의 아이콘과 기능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버튼정보DB와,
    상기 주변장치에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의 정보를 상기 버튼정보DB에 엑세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의 정보와 그 버튼에 인접한 버튼의 정보를 버튼정보DB로부터 엑세스하여 해당 버튼의 아이콘과 인접한 버튼의 아이콘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표시기는 각 주변장치에 위치된 버튼들의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성정보DB와,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의 기능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버튼 안내시스템.
KR1020110105640A 2011-10-17 2011-10-17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KR20130041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0A KR20130041420A (ko) 2011-10-17 2011-10-17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0A KR20130041420A (ko) 2011-10-17 2011-10-17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420A true KR20130041420A (ko) 2013-04-25

Family

ID=4844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40A KR20130041420A (ko) 2011-10-17 2011-10-17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14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3860B2 (en) 2013-12-17 2016-05-1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guiding execution of main function of vehicle
KR101879870B1 (ko) * 2016-09-27 2018-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207585B2 (en) 2013-12-19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method of inputting command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input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3860B2 (en) 2013-12-17 2016-05-1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guiding execution of main function of vehicle
US10207585B2 (en) 2013-12-19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method of inputting command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input apparatus
KR101879870B1 (ko) * 2016-09-27 2018-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9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881605B2 (en) In-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in-vehicle control method
JP4388359B2 (ja) 車載用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29440B1 (en) On-board apparatus
CN103085734A (zh) 具有错误触摸反馈的接近开关
JP5876013B2 (ja) 入力装置
US201402819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uidance of gesture input on a touch pad
JP6144947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502064B1 (ko) 터치 입력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5034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30041420A (ko)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KR20190065821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200050348A1 (en) Touch-type input device and operation detection method
JP2015084194A (ja) 入力装置
KR20060026157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조향 장치
US10705719B2 (en) Operating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system
KR20130106929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제어 장치
KR20130073718A (ko) 차량의 기능 안내 장치
KR101148981B1 (ko)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JP2010281572A (ja) 車載装置およ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KR20110121932A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메뉴 아이콘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3079056A (ja)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運転者特定方法
JP5051277B2 (ja) 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
KR101875626B1 (ko) 차량 제어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0512879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