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362A -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 Google Patents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362A
KR20160041362A KR1020140135072A KR20140135072A KR20160041362A KR 20160041362 A KR20160041362 A KR 20160041362A KR 1020140135072 A KR1020140135072 A KR 1020140135072A KR 20140135072 A KR20140135072 A KR 20140135072A KR 20160041362 A KR20160041362 A KR 2016004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ctc
soil
petroleum
accession
pseudomo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852B1 (ko
Inventor
배장영
오승택
김국진
민상윤
인 이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이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이코스
Priority to KR102014013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8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석유로 오염된 토양을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수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수탁번호 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수탁번호 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수탁번호 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수탁번호 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수탁번호 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로 처리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균주를 사용하여 토양을 정화하면, 석유가 500~7000 ppm 정도의 낮은 농도로 오염된 토양, 특히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정화토로서, 석유가 500~2000 ppm 정도의 낮은 농도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어 토양의 생태건전성을 회복하여 재활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Method And Agent For Soil Purification By Petroleum-Decomposing Microbe}
본 발명은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유가 500~7000 ppm 정도의 농도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적합한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에 관한 것이다.
정제되지 않은 원유, 휘발유, 등유, 경유와 같은 석유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존 공법들은 대부분 강한 물리적·화학적 반응 기작들을 이용하므로 정화과정 중에 토양이 가지고 있던 생태적 기능의 열화가 수반된다. 이로 인해 정화토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기후변화와 같은 외적 스트레스 변화에 적응능력이 매우 낮으며, 그 외 토양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는 데에도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화토의 경우 유효한 재활용이 온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매립 또는 폐기처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토양자원을 필요로 하는 건설자재, 성토 현장, 제방축조, 매립지건설과 같은 현장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사토를 자원이 아닌 폐기물로 처분한다면 사토 발생 현장이나 토양자원 수요처에서나 크게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정화토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토양질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화토양을 생태학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열화된 생태적 기능을 복구하기 위한 개량제 혼입이나 입도보강 등의 방안이 있다. 하지만 향후 토지의 사용방법에 따른 정화기준치 이내로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토양정화의 특성상 정화된 토양에 잔류하는 오염성분, 그 중에서도 특히 잔류석유오염성분이 생태적 재활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잔류석유오염성분을 제거하지 않으면 식물의 발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향후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기 때문에 정화토양을 생태학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잔류석유오염성분의 제거가 필요하다.
특허등록 제10-0435231호(2004. 05. 31. 등록)는 신규한 중·저온 유류분해균주 로도코커스 sp. YHLT-2KCTC 10203B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유류 제거 방법을 개시한다. 특허공개 제10-2004-0014714호(2004. 02. 18. 공개)는 윤활유 분해 활성을 지니는 아시네토박터 주니 균주를 개시한다. 특허등록 제10-0676929호(2007. 01. 25. 등록)는 윤활유 분해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 JN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오염된 윤활유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등록 제10-1432425호(2014. 08. 13. 등록)는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정화토양이 단순히 채움재로 사용되거나 폐기물로 처리되는 문제점과 정화과정에 있어 생태적 기능이 손실되는 단점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정화토양을 개선하는 과정에 있어서 정화토양 내에 존재하는 잔류석유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석유분해미생물을 개발함으로써 정화토양의 생태건전성을 회복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석유가 500~7000 ppm 정도의 농도로 오염된 토양, 특히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정화토로서, 석유가 500~2000 ppm 정도의 낮은 농도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적합한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은 석유로 오염된 토양을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수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수탁번호 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수탁번호 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수탁번호 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수탁번호 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수탁번호 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로 처리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서, 상기 석유로 오염된 토양의 C/N/P 비율이 100/10/1~100/1/0.5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토양에 질소원 및 인산원을 추가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유로 오염된 토양에서 석유 성분은 500 ~ 7000 pp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석유로 오염된 토양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정화토로서, 석유 성분을 500 ~ 2000 ppm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수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수탁번호 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수탁번호 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수탁번호 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수탁번호 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수탁번호 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토양정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수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수탁번호 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수탁번호 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수탁번호 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수탁번호 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수탁번호 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균주를 사용하여 토양을 정화하면, 석유가 500~7000 ppm 정도의 농도로 오염된 토양, 특히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정화토로서, 석유가 500~2000 ppm 정도의 낮은 농도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어 토양의 생태건전성을 회복하여 재활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Arthrobacter sp.의 결정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2은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의 결정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3은 Caulobacter henricii의 결정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4은 Acinetobacter oleivorans의 결정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5은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의 결정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6은 Pseudomonas sp.의 결정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균주 처리에 따른 고농도 TPH 농도와 오염 토양 복원 일수의 상관 관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8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균주 처리에 따른 저농도 TPH 농도와 오염 토양 복원 일수의 상관 관계 그래프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정제되지 않은 원유, 휘발유, 등유, 경유와 같은 석유로 강하게 오염된 토양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정화된다. 이렇게 정화된 정화토는 500~2000 ppm 정도로 낮은 농도지만 여전히 석유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잔류 석유로 인하여 정화토는 생태적으로 재활용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500 ~ 7000 ppm의 범위의 석유 성분에 의하여 오염된 토양, 특히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정화토로서, 500 ~ 2000 ppm의 범위의 석유 성분에 의하여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 정화제 및 미생물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미생물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들은, 원유로 오염된 토양에서 분리된 미생물 균주들 중에서 원유가 유일 탄소원으로 존재하는 배지에서의 성장 속도가 빠른 미생물 균주들만을 선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분리, 동정하였다.
먼저, 탄소원을 제외한 영양분이 풍부한 배지에 원유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접종한 후 탄소원으로서 원유가 500ppm이 되도록 상기 배지에 추가로 첨가하여 원유분해 미생물 균주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배양하였다.
10일 후 배양액 내에서 우점을 차지한 미생물 균주들 중 탄소원으로서 원유를 함유한 고체상 평판배지에서 생장하는 미생물 균주 10종(M1~M10)을 분리하고, 분리된 미생물 균주 10종 중 탄소원으로서 500ppm의 원유를 함유한 액체 영양배지에서 성장력이 우수한 미생물 균주 6종을 재분리하여 각각 CO1, CO2, CO3, CO4, CO5, CO6 으로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미생물 균주들을 16S rDNA의 부분 염기서열 결정 및 유사도 분석을 이용하여 동정한 바, 각각 Arthrobacter sp.,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aulobacter henricii, Acinetobacter oleivorans,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Pseudomonas sp. 에 해당하는 신규한 균주임을 확인하였으며, 각각 Arthrobacter sp. CO1,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 Caulobacter henricii CO3, Acinetobacter oleivorans CO4,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 Pseudomonas sp. CO6 으로 명명하여 2014년 2월 5일 균주의 국제기탁기관인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KCTC)에 수탁번호 KCTC 12547BP, KCTC 12548BP, KCTC 12549BP, KCTC 12550BP, KCTC 12551BP 및 KCTC 12552BP로 기탁하였다.
상기 분리된 균주들은 필수 미네랄 성분과 탄소원으로서 원유오염물질이 함유된 최소배지에서 모두 OD = 10 이상으로 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한 균주들은 원유에 대하여 내성이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이 가능한 바, 이들 균주를 이용하여 원유에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였다.
이때, 상기 종의 균주들은 각각 독자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6 종류의 균주들 중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이 혼합 배양된 상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균주들의 유류 분해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균주들이 원유성분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질소원과 인산원을 오염된 탄소원의 몰비 농도와 비교하여 질소원으로는 황산암모늄, 요소, 질산암모늄 등을 질소 몰수로 첨가하고, 인산원으로는 인산칼륨, 이인산칼륨 등을 인산 몰수로 공급하여 토양의 C/N/P 비율이 기준 범위 이내로 즉, C/N/P 비율이 100/10/1~100/1/0.5의 범위로 조절되도록 오염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발된 본 발명의 균주들과 영양분을 이용한 인위적인 원유분해 효과와, 자연적으로 원유성분이 휘발되는 동시에 오염 토양 중에 있는 자연 미생물에 의해 원유성분이 분해되는 자연적인 원유분해 효과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들은 원유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고, 원유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였음을 설명하였지만, 원유 대신에 정제된 석유 성분, 예를 들어, 휘발유, 등유 및 경유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임은 명백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원유분해 균주의 분리
원유분해 균주의 분리 및 동정을 위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은 배지성분을 투입하고 원유로 오염된 배지 1리터당 10g이 되도록 첨가한 후 30℃ 진탕배양기에서 160rpm으로 배양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의 증식 단계에서 생장한 배양액을 다음의 표 2와 같은 원유분해 균주 분리 배지에 도말 후 30℃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육안으로 균체의 생장이 확인되는 미생물 군락 10종을 선별하여 M1~M10로 명명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그리고, 탄소원으로서 원유가 함유된 액체 영양배지에서 선별된 10종의 균주를 48시간 배양한 후 600nm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여 다음의 표 3과 같이 OD가 10 이상인 균주 6종(CO1, CO2, CO3, CO4, CO5, CO6)을 선별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와 같이 선별된 6종의 균주를 16S rDNA의 부분 염기서열 결정 결과, CO1 균주는 Arthrobacter sp., CO2 균주는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3 균주는 Caulobacter henricii, CO4 균주는 Acinetobacter oleivorans, CO5 균주는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6 균주는 Pseudomonas sp.에 해당하는 신규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영양제 공급
미생물 균주의 오염물 분해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오염원 내에 함유된 탄소원에 대하여 영양제로서 적절한 양의 질소와 인이 필요로 되는 바, 오염 토양 중 미생물이 이용 가능한 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인산 농도를 분석하여 오염된 TPH 중 분해해야 할 탄소 농도와의 몰수비를 100/10/1~ 100/1/0.5 범위가 되도록 질소 공급원으로서 황산암모늄, 요소, 질산암모늄 등을, 인의 공급원으로서 인산칼륨, 이인산칼륨 등을 첨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N/P = 100/10/1이 되도록 다음의 표 4와 같이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1의 신규 미생물과 함께 토양에 첨가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4

실시예 3: 원유오염 토양의 복원
실시예 1과 2의 본 발명 균주와 영양제를 이용하여 15m x 90.4m 크기의 비닐 하우스 처리장을 만든 후 하부에 침출수 수집을 위한 모래, 부직포, 집수정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오염된 토양을 60cm 두께로 적층하였다.
상기 적층된 오염 토양 1톤당 1109CFU/ml로 배양된 본 발명의 균주를 3ml 첨가한 후 실시예 2와 같이 오염된 원유성분의 탄소 몰수와 질소 및 인산 농도를 확인하여 C/N/P 농도를 100/10/1100/1/0.5 범위가 되도록 영양제를 제조하여 균주 투입 3일전 공급하였으며, 오염된 토양의 뒤집기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주당 23회 실시하였고, 수분의 공급은 하우스 상부에 설치된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매일 분무하였다.
원유로 오염된 초기 및 복원 후의 오염농도를 중량법으로 확인한 결과 50일 후 대략 7,000ppm에서 대략 1,000ppm으로 복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50일 후 대략 820ppm에서 대략 250ppm으로 복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항들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에는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 처리에 따른 고농도 TPH 농도(7000ppm)와 오염 토양 복원 일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도 8에는 저농도 TPH 농도(800ppm 이상)와 오염 토양 복원 일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 KCTC12547BP 20140205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 KCTC12547BP 20140205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 KCTC12549BP 20140205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 KCTC12550BP 20140205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 KCTC12551BP 20140205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 KCTC12552BP 20140205
<110> OIKOS CO., LTD. <120> Method And Agent For Soil Purification By Petroleum-Decomposing Microbe <130> kyd140076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891 <212> DNA <213> Arthrobacter sp. <400> 1 ttagtggcga acgggtgagt aacacgtgag taacctgccc ttgactctgg gataagcctg 60 ggaaactggg tctaataccg gatatgactc ctcatcgcat ggtggggggt ggaaagcttt 120 tgtggttttg gatggactcg cggcctatca gcttgttggt gaggtaatgg ctcaccaagg 180 cgacgacggg tagccggcct gagagggtga ccggccacac tgggactgag acacggccca 240 gactcctacg ggaggcagca gtggggaata ttgcacaatg ggcgcaagcc tgatgcagcg 300 acgccgcgtg agggatgacg gccttcgggt tgtaaacctc tttcagtagg gaagaagcga 360 aagtgacggt acctgcagaa gaagcgccgg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420 gtagggcgca agcgttatcc ggaattattg ggcgtaaaga gctcgtaggc ggtttgtcgc 480 gtctgccgtg aaagtccggg gctcaactcc ggatctgcgg tgggtacggg cagactagag 540 tgatgtaggg gagactggaa ttcctggtgt agcggtgaaa tgcgcagata tcaggaggaa 600 caccgatggc gaaggcaggt ctctgggcat taactgacgc tgaggagcga aagcatgggg 660 agcg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tgccgtaaa cgttgggcac taggtgtggg 720 ggacattcca cgttttccgc gccgtagcta acgcattaag tgccccgcct ggggagtacg 780 gccgcaaggc taaaactcaa aggaattgac gggggcccgc acaagcggcg gagcatgcgg 840 attaattcga tgcaacgcga agaaccttac caaggcttga catggaccgg a 891 <210> 2 <211> 873 <212> DNA <213>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400> 2 taacgcgtgg gaacgtgcct tccggttcgg aataaccctg ggaaactagg gctaataccg 60 gatacgccct tatggggaaa ggtttactgc cggaagatcg gcccgcgtct gattagctag 120 ttggtggggt aacggcctac caaggcgacg atcagtagct ggtctgagag gatgatcagc 180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ggg gaatattgga 240 caatgggcgc aagcctgatc cagccatgcc gcgtgagtga tgaaggcctt agggttgtaa 300 agctctttta tccgggacga taatgacggt accggaggaa taagccccgg ctaacttcgt 360 gccagcagcc gcggtaatac gaagggggct agcgttgctc ggaatcactg ggcgtaaagg 420 gcgcgtaggc ggcgttttaa gtcgggggtg aaagcctgtg gctcaaccac agaatggcct 480 tcgatactgg gacgcttgag tatggtagag gttggtggaa ctgcgagtgt agaggtgaaa 540 ttcgtagata ttcgcaagaa caccggtggc gaaggcggcc aactggacca ttactgacgc 600 tgaggcgcga aagcgtgggg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cgccgtaaa 660 cgatgaatgc cagctgttgg ggtgcttgca ccgcagtagc gcagctaacg ctttgagcat 720 tccgcctggg gagtacggtc gcaagattaa aactcaaagg aattgacggg ggcccgcaca 780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caga accttaccat cctttgacat 840 ggcgtgttac ccagagagat ttggggtcca ctt 873 <210> 3 <211> 873 <212> DNA <213> Caulobacter henricii <400> 3 tcgaacggat ccttcgggat tagtggcgga cgggtgagta acacgtggga acgtgccctt 60 tggttcggaa caactcaggg aaacttgagc taataccgga tgtgcccttc gggggaaaga 120 tttatcgcca ttggagcggc ccgcgtagga ttagctagtt ggtggggtaa aggcccacca 180 aggcgacgat ccttagctgg tctgagagga tgatcagcca cattgggact gagacacggc 240 ccaaactcct acgggaggca gcagtgggga atcttgcgca atgggcgaaa gcctgacgca 300 gccatgccgc gtgaatgatg aaggtcttag gattgtaaaa ttctttcacc ggggacgata 360 atgacggtac ccggagaaga agccccggct aacttcgtgc cagcagccgc ggtaatacga 420 agggggctag cgttgctcgg aattactggg cgtaaaggga gcgtaggcgg actgtttagt 480 cagaggtgaa agcccagggc tcaaccttgg aatagccttt gatactggca gtcttgagta 540 cggaagaggt atgtggaact ccgagtgtag aggtgaaatt cgtagatatt cggaagaaca 600 ccagtggcga aggcgacata ctggtccgtt actgacgctg aggctcgaaa gcgtggggag 660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gctgtaaacg atgagtgcta gttgtcggca 720 ggcatgcctg tcggtgacgc agctaacgca ttaagcactc cgcctgggga gtacggtcgc 780 aagattaaaa ctcaaag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840 ttcgaagcaa cgcgcagaac cttaccacct ttt 873 <210> 4 <211> 869 <212> DNA <213> Acinetobacter oleivorans <400> 4 tgcaagtcga gcggagagag gtagcttgct actgatctta gcggcggacg ggtgagtaat 60 gcttaggaat ctgcctatta gtgggggaca acatttcgaa aggaatgcta ataccgcata 120 cgtcctacgg gagaaagcag gggatcttcg gaccttgcgc taatagatga gcctaagtcg 180 gattagctag ttggtggggt aaaggcctac caaggcgacg atctgtagcg ggtctgagag 240 gatgatccgc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ggg 300 gaatattgga caatgggcgg aagcctgatc cagccatgcc gcgtgtgtga agaaggcctt 360 atggttgtaa agcactttaa gcgaggagga ggctacttta gttaatacct agagatagtg 420 gacgttactc gcagaataag caccggctaa ctctgtgcca gcagccgcgg taatacagag 480 ggtgcaagcg ttaatcggat ttactgggcg taaagcgcgc gtaggcggct aattaagtca 540 aatgtgaaat ccccgagctt aacttgggaa ttgcattcga tactggttag ctagagtgtg 600 ggagaggatg gtagaattcc aggtgtagcg gtgaaatgcg tagagatctg gaggaatacc 660 gatggcgaag gcagccatct ggcctaacac tgacgctgag gtgcgaaagc atggggagca 720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tgc cgtaaacgat gtctactagc cgttggggcc 780 tttgaggctt tagtggcgca gctaacgcga taagtagacc gcctggggag tacggtcgca 840 agactaaaac tcaaatgaat tgacggggg 869 <210> 5 <211> 953 <212> DNA <213>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400> 5 tgcaagtcga gcggcagcac gggtacttgt acctggtggc gagcggcgga cgggtgagta 60 atgcctagga atctgcctgg tagtggggga taacgttcgg aaacgaacgc taataccgca 120 tacgtcctac gggagaaagc aggggacctt cgggccttgc gctatcagat gagcctaggt 180 cggattagct agttggtgag gtaatggctc accaaggcga cgatccgtaa ctggtctgag 240 aggatgatca gtcacactgg aactgagaca cggtccagac tcctacggga ggcagcagtg 300 gggaatattg gacaatgggc gaaagcctga tccagccatg ccgcgtgtgt gaagaaggtc 360 ttcggattgt aaagcacttt aagttgggag gaagggcagt tacctaatac gtaattgttt 420 tgacgttacc gacagaataa gcaccggcta actctgtgcc agcagccgcg gtaatacaga 480 gggtgcaagc gttaatcgga attactgggc gtaaagcgcg cgtaggtggt tcgttaagtt 540 ggatgtgaaa tccccgggct caacctggga actgcattca aaactgtcga gctagagtat 600 ggtagagggt ggtggaattt cctgtgtagc ggtgaaatgc gtagatatag gaaggaacac 660 cagtggcgaa ggcgaccacc tggactgata ctgacactga ggtgcgaaag cgtggggagc 720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gtaaacga tgtcaactag ccgttgggag 780 ccttgagctc ttagtggcgc agctaacgca ttaagttgac cgcctgggga gtacggccgc 840 aaggttaaaa ctcaaat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900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c cttgacatcc aatgaacttt cca 953 <210> 6 <211> 858 <212> DNA <213> Pseudomonas sp. <400> 6 tgcaagtcga gcggatgaaa ggagcttgct cctggattca gcggcggacg ggtgagtaat 60 gcctaggaat ctgcctggta gtgggggaca acgtttcgaa aggaacgcta ataccgcata 120 cgtcctacgg gagaaagcag gggaccttcg ggccttgcgc tatcagatga gcctaggtcg 180 gattagctag ttggtgaggt aatggctcac caaggcgacg atccgtaact ggtctgagag 240 gatgatcagt cacactggaa ctgagacacg gtccagactc ctacgggagg cagcagtggg 300 gaatattgga caatgggcga aagcctgatc cagccatgcc gcgtgtgtga agaaggtctt 360 cggattgtaa agcactttaa gttgggagga agggttgtag attaatactc tgcaattttg 420 acgttaccga cagaataagc accggctaac tctgtgccag cagccgcggt aatacagagg 480 gtgcaagcgt taatcggaat tactgggcgt aaagcgcgcg taggtggttc gttaagttgg 540 atgtgaaatc cccgggctca acctgggaac tgcatccaaa actggcgagc tagagtatgg 600 tagagggtgg tggaatttcc tgtgtagcgg tgaaatgcgt agatatagga aggaacacca 660 gtggcgaagg cgaccacctg gactgatact gacactgagg tgcgaaagcg tggggagcaa 720 acaggattag ataccctggt agtccacgcc gtaaacgatg tcaactagcc gttgggagcc 780 ttgagctctt agtggcgcag ctaacgcatt aagttgaccg cctggggagt acggccgcaa 840 ggttaaaact caaatgaa 858

Claims (6)

  1. 석유로 오염된 토양을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수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수탁번호 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수탁번호 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수탁번호 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수탁번호 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수탁번호 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로 처리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로 오염된 토양의 C/N/P 비율이 100/10/1~100/1/0.5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토양에 질소원 및 인산원을 추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로 오염된 토양에서 석유 성분은 500 ~ 7000 pp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로 오염된 토양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정화토로서, 석유 성분을 500 ~ 2000 ppm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5.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기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토양정화제.
  6. 아트로박터 속 CO1(Arthrobacter sp. CO1)(기탁번호 KCTC 12547BP),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제 CO2(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O2)(KCTC 12548BP), 카울로박터 헨리치 CO3(Caulobacter henricii CO3)(KCTC 12549BP), 아시네토박터 올레이보란스 CO4(Acinetobacter oleivorans CO4)(KCTC 12550BP), 슈도모나스 프레데리크스베르겐시스 CO5(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CO5)(KCTC 12551BP), 슈도모나스 속 CO6(Pseudomonas sp. CO6)(KCTC 12552BP)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석유분해 미생물 균주.
KR1020140135072A 2014-10-07 2014-10-07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KR10163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072A KR101636852B1 (ko) 2014-10-07 2014-10-07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072A KR101636852B1 (ko) 2014-10-07 2014-10-07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362A true KR20160041362A (ko) 2016-04-18
KR101636852B1 KR101636852B1 (ko) 2016-07-06

Family

ID=5591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072A KR101636852B1 (ko) 2014-10-07 2014-10-07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30B1 (ko) * 2018-03-30 2019-08-22 이성기 미생물을 이용한 유류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CN111922057A (zh) * 2020-07-30 2020-11-13 北京丰泽绿源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石油类污染土壤的原位修复方法
CN115029275A (zh) * 2022-06-23 2022-09-09 哈尔滨师范大学 一种氯苯降解菌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57B1 (ko) * 2017-08-09 2018-06-20 (주)에코필 탄소(c) 25 이상의 풍화된 유류를 정화하기 위한 미생물 제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689B1 (ko) * 2000-10-24 2003-06-27 정병철 유류분해능을 가지는 신규 아시네토박터 캘코아세티쿠스에이취에스1 및 이를 이용한 유류 분해 방법
KR20040014714A (ko) 2002-08-10 2004-02-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윤활유 분해 활성을 지니는 아시네토박터 주니 균주
KR100421655B1 (ko) * 2001-01-09 2004-03-10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신규한 원유분해 균주 및 그 생산방법
KR100435231B1 (ko) 2002-03-19 2004-06-09 바이오세인트(주) 신규한 중·저온 유류분해균주 로도코커스sp.YHLT-2 KCTC 10203BP 균주 및 이를이용한 생물학적 유류 제거 방법
KR100676929B1 (ko) 2005-10-26 2007-02-01 유희욱 윤활유 분해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 jn4 균주 및 이를이용한 오염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오염된 윤활유를제거하는 방법
KR100998035B1 (ko) * 2003-05-14 2010-12-03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류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 미생물 및 상기미생물을 이용한 유류 오염 물질의 처리 방법
KR20130100532A (ko) * 2012-03-02 2013-09-11 장동훈 유류 오염물질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니트로덕션―octo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류 오염물질 분해 방법
KR101432425B1 (ko) 2013-01-27 2014-08-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689B1 (ko) * 2000-10-24 2003-06-27 정병철 유류분해능을 가지는 신규 아시네토박터 캘코아세티쿠스에이취에스1 및 이를 이용한 유류 분해 방법
KR100421655B1 (ko) * 2001-01-09 2004-03-10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신규한 원유분해 균주 및 그 생산방법
KR100435231B1 (ko) 2002-03-19 2004-06-09 바이오세인트(주) 신규한 중·저온 유류분해균주 로도코커스sp.YHLT-2 KCTC 10203BP 균주 및 이를이용한 생물학적 유류 제거 방법
KR20040014714A (ko) 2002-08-10 2004-02-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윤활유 분해 활성을 지니는 아시네토박터 주니 균주
KR100998035B1 (ko) * 2003-05-14 2010-12-03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류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 미생물 및 상기미생물을 이용한 유류 오염 물질의 처리 방법
KR100676929B1 (ko) 2005-10-26 2007-02-01 유희욱 윤활유 분해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 jn4 균주 및 이를이용한 오염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오염된 윤활유를제거하는 방법
KR20130100532A (ko) * 2012-03-02 2013-09-11 장동훈 유류 오염물질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니트로덕션―octo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류 오염물질 분해 방법
KR101432425B1 (ko) 2013-01-27 2014-08-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30B1 (ko) * 2018-03-30 2019-08-22 이성기 미생물을 이용한 유류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CN111922057A (zh) * 2020-07-30 2020-11-13 北京丰泽绿源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石油类污染土壤的原位修复方法
CN115029275A (zh) * 2022-06-23 2022-09-09 哈尔滨师范大学 一种氯苯降解菌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852B1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nningham et al. Comparison of bioaugmentation and biostimulation in ex situ treatment of diesel contaminated soil
CN101580808B (zh) 一株赤红球菌及其在降解烃类化合物中的应用
Viamajal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 (VI) reducing Cellulomonas spp. from subsurface soils: Implications for long-term chromate reduction
KR101636849B1 (ko) 윤활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CN108102979B (zh) 一种含油污泥中石油烃类的降解菌株jn5及其应用
CN103555612B (zh) 一种微黄分支杆菌及其在降解石油组分多环芳烃中的应用
KR101636852B1 (ko) 석유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및 토양정화제
Sivakumar et al. Bioremediation studies on reduction of heavy metals toxicity
Ellis et al. Bioremediation of oil contaminated land
CN108048374B (zh) 一种含油污泥中石油烃类的降解菌株jn4及其应用
JPWO2020009097A1 (ja) 石油関連物質により汚染された環境の除染方法および使用する資材
CN109482638A (zh) 一种假单胞菌属降油菌l-1及其微生物混合菌剂和石油污染土壤原位修复方法
JP2008528029A (ja) 扱い難い有機物および重金属の汚染修復のための界面活性生体触媒
CN108034626B (zh) 一种含油污泥中石油烃类的降解菌株jn1及其应用
Anani et al. Application of biosurfactant as a noninvasive stimulant to enhance the degradation activities of indigenous hydrocarbon degraders in the soil
CN109161499A (zh) 一种产表面活性剂细菌及其在煤/石油化工废水中原位削减多环芳烃的应用
CN108102978B (zh) 一种含油污泥中石油烃类的降解菌株jn8及其应用
Dadrasnia et al. Bio-enrichment of waste crude oil polluted soil: amended with Bacillus 139SI and organic waste
Ossai et al. Biological treatments for petroleum hydrocarbon pollutions: the eco-friendly technologies
CN115449489A (zh) 降油菌及其复合菌剂和制备方法及应用
CN108114978A (zh) 一种化学-微生物高效修复土壤的方法
CN108034625B (zh) 一种含油污泥中石油烃类的降解菌株jn7及其应用
Jayaprakash et al. Bioaugmentation and biostimulation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heavy metal lead contaminant
CN112608862B (zh) 一株石油烃降解功能菌scsio 19801及其应用
CN117305145A (zh) 一种在高盐条件下有效降解苯系物与烷烃的菌株及其获取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