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31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1310A KR20160041310A KR1020140134945A KR20140134945A KR20160041310A KR 20160041310 A KR20160041310 A KR 20160041310A KR 1020140134945 A KR1020140134945 A KR 1020140134945A KR 20140134945 A KR20140134945 A KR 20140134945A KR 20160041310 A KR20160041310 A KR 201600413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door
- storage chamber
- frame
- seal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5—Breaking str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내상 및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 및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을 연결하고, 상기 단열재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열 저항 분포가 상이한 이방성(異方性)을 가지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의 본체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단열재로는 폴리우레탄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단열재는 발포 후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고, 자체 접착력에 의해 내상과 외상을 고정시키므로 시중의 대다수의 냉장고는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내부가 진공으로 밀봉되는 외피재 및 외피재의 내부에 마련되는 심재를 구비하고, 단열 효율이 뛰어난 진공 단열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단열재의 사용과 더불어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도어 및 본체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열교(Heat bridge)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외상 및 내상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저장실의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본체 및 도어의 밀착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 및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열 저항 분포가 상이한 이방성(異方性)을 가지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의 열 저항은 상기 저장실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의 외부 및 내부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외상 및 상기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방열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의 열 저항은 상기 방열 파이프에서 상기 저장실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前)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와 마주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 가능한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 상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도록 접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섬모 형상을 가지는 건식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는 열전도계수가 공기보다 작은 다공성 매질로 채워지는 발포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매질은 폴리스티렌 폼 및 폴리우레탄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챔버의 적어도 일 벽에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단열재와 마주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외상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 및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전(前)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가지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진공단열재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진공단열재와 마주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은 상기 진공단열재에 대응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은 불연속적으로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 1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도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3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프레임,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3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은 상기 내상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에 인접한 내상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에는 상기 내상의 외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는 상기 내상의 일 단부에는 상기 내상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상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은 상기 내상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외벽과 마주하는 내상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내상을 사이에 두고 절곡되어 상기 내상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은 상기 내상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에 인접한 내상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발포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포부재는 열전도계수가 공기보다 작은 다공성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매질은 폴리스티렌 폼 및 폴리우레탄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는 상기 발포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외상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상과 동일한 재질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및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저장실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재 상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도록 접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비닐 실록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 가능하고,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 및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전(前)면에 개방되도록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을 연결하는 플랜지 및 상기 저장실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접촉면에 밀착 가능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 상에는 상기 접촉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나노미터 및 마이크로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굵기 단위를 가지는 섬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실링부재 상에 고정되는 바디 및 상기 접촉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삼각형과 같이 방향성이 있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꼭지점 중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분리시작점을 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밀착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밀착방향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의 중심선 및 상기 접착부재의 중심선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접근 및 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인접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저항 분포가 상이한 이방성 플랜지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플랜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실의 외부 및 내부 사이의 열전달량을 줄일 수 있다.
플랜지의 접촉면에 다공성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장고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금속 재질을 가지는 플랜지를 사용함으로써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에 외상 및 내상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외상 및 내상의 결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상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 상에 건식 접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접촉면에 대한 실링부재의 밀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와 플랜지의 결합을 위하여 실링부재에 자석 대신 건식 접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플랜지의 금속부위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플랜지의 금속부위에서 발생하는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외상 및 내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플랜지 및 도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및 플랜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가이드가 추가된 도어 및 플랜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접착부재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1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2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3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a 내지 도 18c의 접착부재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접착부재에 있어서, 헤드의 위치에 따른 접착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4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a 내지 도 21c의 접착부재에 있어서, 바디의 기울어짐에 따른 접착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외상 및 내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플랜지 및 도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및 플랜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가이드가 추가된 도어 및 플랜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접착부재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1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2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3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a 내지 도 18c의 접착부재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접착부재에 있어서, 헤드의 위치에 따른 접착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4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a 내지 도 21c의 접착부재에 있어서, 바디의 기울어짐에 따른 접착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외상 및 내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실(20)을 구비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내상(11) 및 내상(11)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은 내상(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의 외관은 외상(12)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외상(12)과 내상(11)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외상(12)은 내구성을 고려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상(11)은 단열성 및 제조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상(12)은 강철(Steel)로 형성될 수 있고, 내상(11)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상(12) 및 내상(11)의 재질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실(20)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前)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며, 본체(10)의 우측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되고, 본체(10)의 좌측에는 냉동실(22)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냉장실(21) 및 냉동실(22)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선반(미도시)이 마련되어 저장실(20)을 복수 개로 구획할 수 있고, 선반의 상부에는 식품 등의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저장박스(미도시)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팽창밸브(미도시), 증발기(미도시) 및 송풍팬(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는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어가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핸들(35)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3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모듈(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모듈(40)은 상부 힌지(41) 및 하부 힌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을 단열할 수 있도록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유닛(100)이 마련될 수 있다.
단열유닛(100)은 단열재(110) 및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110)는 진공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VIP)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 및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심재는 외피재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외피재는 심재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심재를 밀봉할 수 있다. 심재는 내구성이 좋고, 열전도도가 낮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 또는 유리 섬유(glass fiber)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외피재는 가스 및 수분 투과성이 낮은 알루미늄 호일 또는 금속 및 무기물이 증착된 증착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진공단열재는 외피재 내부의 가스 및 수분을 흡착하여 외피재 내부의 진공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착제(get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착제로써 생석회(CaO)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케이스(120)는 외상(12)의 내측에 마련되어 외상(1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외상(1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20) 및 외상(12)은 별도의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20) 및 외상(12)의 결합방식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120)는 내부에 단열재(110)를 수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단열재(110)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외상(12)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110)는 내상(11)의 외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외상(12), 케이스(120), 단열재(110) 및 내상(11)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강철(steel) 및 스테인리스스틸(SUS)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케이스(12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스(120)는 금속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유닛(100)은 저장실(20)을 냉장실(21) 및 냉동실(22)로 구획하는 격벽(17)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열유닛(100)은 격벽(17)을 형성하는 내상(11)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재(110)는 냉동실(22)을 향하도록 격벽(1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냉장실(21)을 향하도록 격벽(1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단열유닛(100)의 배치구조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단열유닛(100)은 도어(30)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실링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저장실(20)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30) 및 본체(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링부재(50)는 저장실(20)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어(30) 및 플랜지(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플랜지(200)와 마주하도록 도어(3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실링부재(50)는 도어(3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플랜지(200)와 마주하도록 도어(3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밀착력이 우수한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써, 실링부재(50)는 고무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제 3프레임(230)은 접촉면(231)과 동일하거나, 접촉면(231)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플랜지(flange)(200)(도4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00)는 단열재(110)와 함께 저장실(20)을 단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200)는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200)는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200)는 외상(12) 및 내상(11)을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200)는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200)는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200)는 단열유닛(1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200)는 도어(30)와 마주하도록 단열재(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200)는 열교(heat bridg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 저항 분포가 상이한 이방성(異方性)을 가질 수 있다. 열교 현상은 본체(10)의 모서리, 즉, 외상(12) 및 내상(11)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따라 저장실(20)을 향하여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열 저항 분포가 상이한 이방성 플랜지(200)를 사용함으로써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장고(1)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실링부재(50) 및 플랜지(200)의 접촉부위를 통한 에너지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플랜지(200)의 열 저항은 저장실(20)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200)의 열 저항은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실(20)의 외부 온도는 저장실(20)의 내부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열은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열 저항이 커지도록 플랜지(200)를 설계함으로써 저장실(20)을 향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냉장고(1)는 방열 파이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저장실(20)의 외부 및 내부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외상(12) 및 플랜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본체(10)의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외상(12)에 인접하도록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외상(12) 및 플랜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보강부재(400) 및 플랜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플랜지(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200)의 열 저항은 방열 파이프(500)에서 저장실(20)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200)의 열 저항은 상대적으로 고온인 방열 파이프(500)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인 저장실(20)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 파이프(500)에서 저장실(20)을 향할수록 열 저항이 커지도록 플랜지(200)를 설계함으로써 저장실(20)을 향한 열전달 내지 에너지전달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열 파이프(500)는 냉동실(22)과 냉장실(21)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격벽(17)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격벽(17)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랜지(200)는 접촉면(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231)은 플랜지(200)의 전(前)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면(231)은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실링부재(50)와 밀착 가능하도록 플랜지(20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접촉면(231)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perforated section)(25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구간(250)은 저장실(20)에 인접하도록 접촉면(231)에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구간(250)은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홀(251)을 가질 수 있다.
다공성 구간(250)은 접촉면(231)의 열 저항을 크게 하여 접촉면(231)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즉, 다공성 구간(250)은 접촉면(231)을 통한 열 전달을 어렵게 함으로써 저장실(20)을 향한 열 전달을 저감할 수 있다.
다공성 구간(250)은 플랜지(200) 및 발포부재(300)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200)는 프레임(210,220,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220,230)은 제 1프레임(210), 복수의 제 2프레임(220) 및 제 3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프레임(210)은 단열재(110)와 마주하고, 내상(11) 및 외상(1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프레임(210)은 방열 파이프(500) 및 보강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프레임(210)은 방열 파이프(500) 및 보강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와 단열재(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프레임(210)은 단열재(110)에 대응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프레임(210)은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진공단열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 1프레임(21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제 1프레임(210) 및 제 3프레임(2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프레임(230)은 도어(30)와 마주하도록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프레임(230)은 접촉면(231)과 동일하거나, 접촉면(231)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촉면(231)은 실링부재(50)와 밀착 가능하도록 제 3프레임(230)의 전(前)면에 형성되는 일 부분으로 정의한다.
제 3프레임(230)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2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면(231)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250)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200)는 복수의 리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40)는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브(240)는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210,220,230) 및 복수의 리브(240)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프레임(210), 복수의 제 2프레임(220), 제 3프레임(230) 및 복수의 리브(24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방열 파이프(500) 및 내상(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방열 파이프(5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서로 상이한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플랜지(200)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는 제 1프레임(210), 복수의 제 2프레임(220), 제 3프레임(230) 및 복수의 리브(240)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는 다양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200)는 프레임(210,220,230), 리브(240) 및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를 포함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해 내지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는 발포챔버(261)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챔버(261)는 본체(10)의 내상(11)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포챔버(261)의 적어도 일 벽에는 다공성 구간(2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발포챔버(261)의 적어도 일 벽은 다공성 구간(250)이 마련된 제 3프레임(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포챔버(261)의 내부는 공기(air)로 채워질 수 있다.
플랜지(200)는 낮은 열전달계수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플랜지(200)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CNT-Compos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외상(12)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외상(12)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플랜지(200)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방열 파이프(500)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외상(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강부재(400)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보강부재(400)는 강철(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은 플랜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 2프레임(220)은 내상(11)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상(11)에 인접한 내상결합프레임(22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결합프레임(221)에는 내상(11)의 외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의 일 단부에는 걸림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내상(11)의 일 단부에는 내상(11)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걸림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은 걸림부(11a)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에 걸림으로써, 또는 고정됨으로써 내상결합프레임(221)에 결합될 수 있다.
내상결합프레임(221)은 내상(11)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상(11)의 외벽과 마주할 수 있다. 내상결합프레임(221)의 일 단부는 내상(11)을 사이에 두고 절곡되어 내상(11)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내상(11)에 인접한 복수의 제 2프레임(220) 중 하나는 절곡되어 내상(11)을 수용할 수 있는 내상체결홈(223)을 형성할 수 있다. 내상체결홈(223)의 일 내벽에는 내상체결홈(22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은 내상(11)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11a)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에 고정됨으로써 내상체결홈(22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챔버(261)는 발포부재(300)로 채워질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낮은 열전달계수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열전도계수가 공기보다 작은 다공성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다공성 매질은 폴리스티렌 폼(polystyrene foam, PS foam) 및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PU fo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발포챔버(26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부재(300)는 발포챔버(261)를 포함하는 플랜지(200)의 압출 성형 과정에서 인서트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플랜지(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플랜지(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단열재(110)와 마주하는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은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은 불연속적으로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에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211)를 형성함으로써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이동하는 열전달량을 줄일 수 있다. 즉, 저장실(20)의 외부로부터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을 따라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이동하는 열의 흐름은 제 1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21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부재(300)는 플랜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분리 가능하도록 플랜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내상(11)에 인접하도록 플랜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내상결합프레임(22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플랜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발포부재고정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발포부재고정부(310)는 저장실(20)의 후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포부재고정부(310)는 발포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일면을 가질 수 있다. 내상결합프레임(221)은 발포부재고정부(310)의 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발포부재고정부(310)는 내상결합프레임(221), 내상결합프레임(221)에 연결되는 제 1프레임(210) 및 내상결합프레임(22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 2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발포부재(300)는 낮은 열전달계수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폴리스티렌 폼(polystyrene foam, PS foam) 및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PU fo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110)와 마주하는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은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은 불연속적으로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200)의 제 1프레임(210)에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211)를 형성함으로써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이동하는 열전달량을 줄일 수 있다.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발포부재(300)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복수의 홀(251)을 가지는 다공성 구간(250)(도4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체(10)의 내상(11), 외상(12) 및 플랜지(200a)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결합구조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로써, 본체(10)의 내상(11), 외상(12) 및 플랜지(200a)의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0a)는 본체(10)의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10)의 외상(12) 및 내상(11)을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200a)는 외상(12) 및 내상(11)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200a)는 도어(30)와 마주하도록 단열재(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의 공간은 카트리지(27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단열재(110) 및 플랜지(200a)는 카트리지(27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즉, 단열재(110) 및 플랜지(200a) 사이에는 카트리지(270)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110)는 카트리지(27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플랜지(200a)는 카트리지(27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200a)는 벽(280)을 포함할 수 있다.
벽(280)은 제 1벽(281), 제 2벽(282), 제 3벽(283) 및 제 4벽(2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벽(281)은 카트리지(270)와 마주하고, 내상(11) 및 외상(1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벽(281)은 단열재(110) 또는 카트리지(270)에 대응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벽(281)은 날개(285)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285)는 본체(10)의 외상(12)을 향하도록 제 1벽(281)에서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할 제 2벽(282)은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날개(285)보다 내상(11)측에 가깝도록 제 1벽(2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벽(282)은 본체(10)의 외상(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벽(282)은 외상(12)의 내벽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벽(282)은 보강부재(4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벽(282)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 1벽(2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벽(282)은 제 1벽(281) 및 제 4벽(284)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벽(282)은 제 1벽(281) 및 제 4벽(284)을 연결할 수 있다.
제 3벽(283)은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서 제 2벽(282)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벽(283)은 본체(10)의 내상(11)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벽(283)은 내상(11)의 외벽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벽(283)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 1벽(2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벽(283)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 1벽(2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벽(283)은 제 1벽(281) 및 제 4벽(284)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벽(283)은 제 1벽(281) 및 제 4벽(284)을 연결할 수 있다.
제 4벽(284)은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4벽(284)은 도어(3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4벽(284)은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4벽(284)의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2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구간(250)은 제 4벽(284)의 열 저항을 크게 하여 제 4벽(284)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제 1벽(281), 제 2벽(282), 제 3벽(283) 및 제 4벽(284)은 서로 결합하여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200a)는 복수의 리브(24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40a)는 플랜지(200a)의 적어도 하나의 벽(28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복수의 리브(240a)는 서로 마주하는 제 2벽(282) 및 제 3벽(283)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40a)는 서로 어긋나도록 제 2벽(282) 및 제 3벽(283)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40a)는 내상(11)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2벽(282)에 연결된다. 복수의 리브(240a)는 외상(12)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3벽(283)에 연결된다.
복수의 리브(240a)는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플랜지(200a)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도4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챔버(260)는 제 1벽(281), 제 2벽(282), 제 3벽(283), 제 4벽(284) 및 복수의 리브(240a)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외상(12)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외상(12)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플랜지(200a)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부재(400)는 제 2벽(282)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카트리지(270)와 이격되도록 카트리지(27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 및 카트리지(270) 사이에는 날개고정부(286)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고정부(286)는 제 1벽(281)에서 연장된 날개(285)가 고정 내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외상(12) 및 플랜지(200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파이프(500)는 외상(12) 및 플랜지(200a)의 제 2벽(28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200a)는 외상(12) 및 내상(11)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90)는 외상체결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외상(12)의 단부는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외상(12)의 단부는 내상(11)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외상(12)의 단부는 외상체결부(291)에 결합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는 제 2벽(282)에 마련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는 본체(10)의 내상(11)을 향하여 절곡된 제 2벽(282) 사이의 틈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상체결부(291)는 본체(10)의 외상(12)을 향하는 일 면이 개방된 "⊃" 형상을 포함하는 제 2벽(28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상체결부(291)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외상(12)의 단부는 방열 파이프(5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외상체결부(291)에 결합될 수 있다.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외상(12)의 단부는 보강부재(400) 및 방열 파이프(500)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상체결부(291)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290)는 내상체결부(2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상체결부(292)는 제 3벽(283)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제 3벽(283)의 일 단부는 본체(10)의 내상(11)을 사이에 두고 절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제 3벽(283)의 일 단부는 본체(10)의 내상(11)을 감쌀 수 있다. 내상체결부(292)는 제 3벽(283)의 절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상체결부(292)의 일부는 내상(11)의 외측에 위치하고, 내상체결부(292)의 다른 일부는 내상(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내상체결부(292)는 본체(10)의 내상(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 면을 포함하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은 내상체결부(29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7을 참조한다. 또한, 도 4 및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벽(281)에서 연장된 날개(285)는 날개고정부(286)에 고정 내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랜지(200a)는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에 결합된 외상(12) 및 방열 파이프(500)의 사이에는 절곡된 제 2벽(282)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외상체결부(291)에 결합된 외상(12) 및 방열 파이프(500)는 절곡된 제 2벽(282)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2벽(282)에는 본체(10)의 내상(1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곡부 중 어느 하나에는 방열 파이프(500)가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절곡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외상(12)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절곡부 중 다른 하나는 외상체결부(291)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열 파이프(500)는 복수의 절곡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 외상(12)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7을 참조한다. 또한, 도 4 및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벽(281)에서 본체(10)의 외상(12)을 향하여 연장되는 날개(285)는 생략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는 제 2벽(282)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제 2벽(282)의 일 단부는 본체(10)의 외상(12)을 사이에 두고 절곡될 수 있다. 또는,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제 2벽(282)의 일 단부는 방열 파이프(500) 및 보강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사이에 두고 절곡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는 제 2벽(282)의 절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는 본체(10)의 외상(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상체결부(291)는 본체(10)의 외상(12)을 감쌀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외상체결부(291)는 외상(12)의 외벽과 마주하도록 제 2벽(282)에서 연장된 연장부(293)와 외상(12)의 내벽과 마주하도록 외상(12) 및 제 2벽(282)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4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외상체결부(291)는 외상(12)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 2벽(282)의 연장부(293)와 보강부재(4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플랜지 및 도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30) 및 플랜지(200) 사이에는 실링부재(50)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도어(3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는 도어(30)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홈(36)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고정부(51) 및 고정홈(36)의 결합에 의해 도어(3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자석(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52)은 금속 재질의 외상(12)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5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실링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냉장고(1)에는 도 11 내지 도 22에서 후술할 실링부재(6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60)는 자석(52) 대신 접착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실링부재(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와 마주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접착부재(600)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랜지(20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및 플랜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저장실(20)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어(30)에 설치되고,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플랜지(200b)에 밀착 가능한 실링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00b)는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200b)는 본체(10)의 내상(11) 및 외상(12)을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200b)는 저장실(20)의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231a)을 가질 수 있다.
접촉면(231a)은 낮은 열전달계수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231a)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접촉면(231a)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CNT-Compos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231a)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장고(1)에는 도 4 내지 도 10b에서 설명한 플랜지(200,200a)가 적용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60)는 접착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실링부재(60)가 플랜지(200b)의 접촉면(231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내지 접착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b)의 접촉면(231a)과 마주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비닐 실록산(Polyvinyl siloxane, PV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건식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섬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나노미터(nm) 및 마이크로미터(μm) 중 적어도 하나의 굵기 단위를 가지는 섬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바디(body)(6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30)는 실링부재(6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630)는 플랜지(200b)의 접촉면(231a)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바디(63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헤드(head)(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610)는 접촉면(231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내지 접착될 수 있도록 바디(630)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610)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헤드(610)는 플랜지(200b)의 접촉면(231a)에 대응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610)는 바디(630)와 동일하거나, 바디(630)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610)는 접착부재(600)의 길이방향(L)으로 바디(630)와 동일하거나, 바디(630)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넥(neck)(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넥(620)은 헤드(610)와 바디(6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넥(620)은 헤드(610)와 바디(6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넥(620)은 헤드(610) 및 바디(63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넥(620)은 접착부재(600)의 길이방향(L)으로 헤드(610) 및 바디(63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0.1mm 이상 1.0mm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접착부재(600)의 두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접착부재(600)는 실링부재(60)의 단위면적(cm2)당 104개 이상 1012개 이하의 개수를 가질 수 있으나, 접착부재(600)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10)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법으로써, 금속재질의 외상(12) 및 실링부재(60)에 마련되는 자석(52)(도10a참고)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는 경우, 금속재질의 외상(12)을 따라 발생하는 열교 현상으로 인해 상당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체(10)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법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접촉면(231a) 및 실링부재(60)에 마련되는 접착부재(600) 사이의 결합력(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하는 경우, 플랜지(200b)에 마련되는 금속부위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열교 현상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60)에서 자석(52)(도10a참고)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60)의 두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60)의 내부에 자석(52)(도10a참고)을 배치할 경우,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실링부재(60)의 두께는 8mm 이상 12mm 이하일 수 있다. 반면, 실링부재(60)의 내부에서 자석(52)(도10a참고)을 제거할 경우, 즉, 실링부재(60) 상에 접착부재(600)를 배치할 경우,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실링부재(60)의 두께는 3mm 이상 5mm 이하일 수 있다.
실링부재(60)는 도어(3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는 도어(30)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60)는 고정부(51) 및 고정홈(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도어(3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레플리카 몰딩(replica molding) 및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착부재(600)는 하나의 층으로 구성되거나(도12참고),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13참고).
접착부재(600)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로써, 이하, 접착부재(600)가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도11참고)으로 적층된 두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실링부재(60)에 고정되는 제 1접착부재(600a) 및 제 1접착부재(600a)의 헤드(610)에 고정되는 제 2접착부재(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접착부재(600a) 및 제 2접착부재(600b)의 각각의 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제 2접착부재(600b)는 제 1접착부재(600a)의 헤드(610) 상에 고정되므로, 제 2접착부재(600b)의 굵기는 제 1접착부재(600a)의 굵기보다 얇을 수 있다.
제 1접착부재(600a)의 헤드(610) 상에는 제 2접착부재(600b)의 바디(630a)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가이드가 추가된 도어 및 플랜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640)는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접근 및 밀착이 용이하도록 실링부재(60)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640)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에 정확히 결합 내지 접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접착부재(6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640)는 접착부재(600)의 길이방향(L)으로 실링부재(6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64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접착부재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는 저장실(2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60)는 고정부(51)에 의해 도어(30)의 배면에 고정된다.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접촉면(231a)과 마주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적층된다. 저장실(20)을 닫는 과정에서 도어(30)는 플랜지(200b)를 향하여 접근한다. 다시 말하면, 접착부재(600)는 플랜지(200b)에 마련된 접촉면(231a)을 향하여 접근한다.
도 15b는 저장실(2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이 닫힌 경우, 실링부재(6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가압된다. 또한, 접착부재(600)는 실링부재(60)가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가압됨에 따라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접착된다. 이 때, 실링부재(60)는 가압력에 의해 납작해진다.
도 15c는 저장실(20)이 닫힌 후, 실링부재(6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두께를 되찾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실링부재(6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탄성력에 의해 상쇄되면 원래의 두께를 회복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1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밀착방향은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어(30)의 제 1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가장 바람직한 도어(30)의 개방과정에 해당한다.
도 16a는 저장실(2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b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c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저장실(2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고정부(51)의 중심선(M) 및 접착부재(600)의 중심선(N)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고정부(51)의 중심선(M) 및 접착부재(600)의 중심선(N)은 서로 어긋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1)의 중심선(M)이 접착부재(600)의 중심선(N)보다 상대적으로 외상(12)과 가까이 형성될 경우, 접착부재(600)는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된다. 접착부재(600)를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힘보다 작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접착부재(600)는 접촉면(231a)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2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a는 저장실(2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17b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c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저장실(2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고정부(51)의 중심선(M)(도16a참고) 및 접착부재(600)의 중심선(N)(도16a참고)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저장실(20)이 닫힌 경우, 접착부재(600)는 평평한 상태로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경우, 실링부재(60)가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60)는 실링부재(60)의 양 측면에서 실링부재(60)의 중심부를 향하여 실링부재(6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실링부재(60)의 변형에 의해 접착부재(600)는 주름진 상태로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접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접착부재(600) 및 접촉면(231a)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면서 접착부재(600)는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3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a 내지 도 18c의 접착부재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접착부재에 있어서, 헤드의 위치에 따른 접착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a는 저장실(2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18b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c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저장실(2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고정부(51)의 중심선(M)(도16a참고) 및 접착부재(600)의 중심선(N)(도16a참고)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의 헤드(610)는 다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부재(600)의 헤드(610)는 방향성이 있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부재(600)의 헤드(610)는 삼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610)의 꼭지점 중 하나는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시작점(D)을 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부재(600)는 헤드(610)의 꼭지점 중 하나가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시작점(D)을 향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실(20)이 닫힌 경우, 접착부재(600)는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헤드(610)의 꼭지점 중 하나는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시작점(D)을 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경우, 분리시작점(D)으로부터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가 시작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접착부재(600)는 헤드(610)의 꼭지점 중 하나가 본체(10)의 외상(12)을 향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실(20)이 닫힌 경우, 접착부재(600)는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헤드(610)의 꼭지점 중 하나는 본체(10)의 외상(12)을 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경우, 본체(10)의 외상(12)에서 내상(11)을 향하는 방향(X)으로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가 시작된다.
도어(30)의 제 3개방과정은 접착부재(600)의 분리 방향에 따른 접착 에너지 차이에서 기인한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부재(600)의 헤드(610)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접착부재(600)는 헤드(61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접착 에너지를 가진다. 삼각형에 표시된 화살표는 분리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접착부재(600)는 헤드(610)의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시작점(D)을 향하도록 실링부재(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의 그래프에서, 헤드(610)의 위치는 x축에 각도(°)로써 표시되고, 접착 에너지는 y축에 J/m2의 단위로써 표시된다. 도 20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헤드(610)의 꼭지점(0°, 120°참고)에서의 접착 에너지는 헤드(610)의 모서리에서의 접착 에너지보다 작다. 따라서, 헤드(610)의 꼭지점 중 하나가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분리시작점(D)을 향하도록 접착부재(600)가 실링부재(60) 상에 배치될 경우, 접촉면(231a)으로부터 접착부재(600)의 분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제 4개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a 내지 도 21c의 접착부재에 있어서, 바디의 기울어짐에 따른 접착 에너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a는 저장실(2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21b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에 더욱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c는 접착부재(600)가 접촉면(231a)으로부터 분리되어 저장실(2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고정부(51)의 중심선(M)(도16a참고) 및 접착부재(600)의 중심선(N)(도16a참고)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의 바디(630)는 저장실(20)에 대한 도어(30)의 개폐과정에서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이 닫힌 경우, 접착부재(600)는 접촉면(231a)에 결합 내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바디(63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본체(10)의 외상(12)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정도 내지 가압정도가 커질수록 바디(630)의 경사도는 더 커질 수 있다. 즉,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정도 내지 가압정도가 커질수록 바디(630)는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본체(10)의 외상(12)측을 향하여 더 기울어질 수 있다.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본체(10)의 외상(12)측을 향한 바디(630)의 경사도가 커질수록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접착력이 증가한다.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경우,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바디(630)의 기울기가 작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경우,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외상(12)을 향하는 바디(630)의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본체(10)의 외상(12)측을 향한 바디(630)의 경사도가 작아질수록 접촉면(231a)에 대한 접착부재(600)의 접착력이 감소한다. 사용자가 저장실(20)을 열기위해 도어(30)를 잡아당기는 경우,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에 대하여 본체(10)의 외상(12)측을 향한 바디(630)의 경사도가 작아지므로, 접촉면(231a)으로부터 접착부재(6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어(30)의 제 4개방과정은 기울어진 바디(630)의 분리 방향에 따른 접착 에너지 차이에 기인한다. 도 22의 그래프에서, 바디(630)의 기울어진 각도는 x축에 각도(°)로써 표시되고, 접착 에너지는 y축에 N/cm2의 단위로써 표시된다. x축의 각도는 실링부재(60)의 길이방향(P)을 기준으로 한다. 즉, 바디(630)가 실링부재(60)의 길이방향(P)으로 누워 있는 경우, x축의 0°에 해당한다. 도 22의 그래프에서 점(S)을 기준으로 할 때, 실링부재(60)와 접촉면(231a)이 가까워질수록, 다시 말하면, 실링부재(60)의 길이방향(P)에 대하여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을 향하는 바디(630)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접착 에너지의 크기는 커진다. 반면, 점(S)을 기준으로 할 때, 실링부재(60)와 접촉면(231a)이 멀어질수록, 다시 말하면, 실링부재(60)의 길이방향(P)에 대하여 플랜지(200b)에 대한 도어(30)의 밀착방향(Y)을 향하는 바디(630)의 각도가 커질수록 접착 에너지의 크기는 작아진다. 실링부재(60)와 접촉면(231a)이 가까워지는 경우는 저장실(20)이 닫힌 상태에 대응하고, 실링부재(60)와 접촉면(231a)이 멀어지는 경우는 저장실(20)이 열린 상태에 대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플랜지(200,200a,200b)의 구조 및 접착부재(600)가 마련된 실링부재(60)의 구조는 진공단열재가 사용된 냉장고(1)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발포단열재가 사용된 냉장고 및 일반적인 발포단열재와 진공단열재가 함께 사용된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내상 11a : 걸림부
12 : 외상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2 : 냉동실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핸들 36 : 고정홈
40 : 힌지모듈 41 : 상부 힌지
43 : 하부 힌지 50,60 : 실링부재
51 : 고정부 52 : 자석
100 : 단열유닛 110 : 단열재
120 : 케이스 200,200a,200b : 플랜지
210 : 제 1프레임 211 : 단절부
220 : 제 2프레임 221 : 내상결합프레임
222 : 돌기부 223 : 내상체결홈
230 : 제 3프레임 231,231a : 접촉면
240,240a : 리브 250 : 다공성 구간
251 : 홀 260 : 챔버
261 : 발포챔버 270 : 카트리지
280 : 벽 281 : 제 1벽
282 : 제 2벽 283 : 제 3벽
284 : 제 4벽 285 : 날개
286 : 날개고정부 290 : 체결부
291 : 외상체결부 292 : 내상체결부
293 : 연장부 300 : 발포부재
310 : 발포부재고정부 400 : 보강부재
500 : 방열 파이프 600 : 접착부재
600a : 제 1접착부재 600b : 제 2접착부재
610 : 헤드 620 : 넥
630,630a : 바디 640 : 가이드
11 : 내상 11a : 걸림부
12 : 외상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2 : 냉동실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핸들 36 : 고정홈
40 : 힌지모듈 41 : 상부 힌지
43 : 하부 힌지 50,60 : 실링부재
51 : 고정부 52 : 자석
100 : 단열유닛 110 : 단열재
120 : 케이스 200,200a,200b : 플랜지
210 : 제 1프레임 211 : 단절부
220 : 제 2프레임 221 : 내상결합프레임
222 : 돌기부 223 : 내상체결홈
230 : 제 3프레임 231,231a : 접촉면
240,240a : 리브 250 : 다공성 구간
251 : 홀 260 : 챔버
261 : 발포챔버 270 : 카트리지
280 : 벽 281 : 제 1벽
282 : 제 2벽 283 : 제 3벽
284 : 제 4벽 285 : 날개
286 : 날개고정부 290 : 체결부
291 : 외상체결부 292 : 내상체결부
293 : 연장부 300 : 발포부재
310 : 발포부재고정부 400 : 보강부재
500 : 방열 파이프 600 : 접착부재
600a : 제 1접착부재 600b : 제 2접착부재
610 : 헤드 620 : 넥
630,630a : 바디 640 : 가이드
Claims (42)
- 내상 및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열 저항 분포가 상이한 이방성(異方性)을 가지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열 저항은 상기 저장실을 향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외부 및 내부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외상 및 상기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방열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의 열 저항은 상기 방열 파이프에서 상기 저장실을 향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前)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와 마주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 가능한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상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도록 접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섬모 형상을 가지는 건식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는 열전도계수가 공기보다 작은 다공성 매질로 채워지는 발포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매질은 폴리스티렌 폼 및 폴리우레탄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챔버의 적어도 일 벽에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단열재와 마주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단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내상 및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전(前)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가지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진공단열재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진공단열재와 마주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상기 진공단열재에 대응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불연속적으로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 1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프레임; 및
상기 도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3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프레임,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 상기 제 3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은 상기 내상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에 인접한 내상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에는 상기 내상의 외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는 상기 내상의 일 단부에는 상기 내상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상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은 상기 내상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외벽과 마주하는 내상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내상을 사이에 두고 절곡되어 상기 내상의 내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프레임은 상기 내상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에 인접한 내상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내상결합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발포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는 열전도계수가 공기보다 작은 다공성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매질은 폴리스티렌 폼 및 폴리우레탄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는 상기 발포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다공성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상과 동일한 재질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저장실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재 상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도록 접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비닐 실록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 가능하고,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내상 및 외상을 구비하는 본체;
전(前)면에 개방되도록 상기 내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을 연결하는 플랜지; 및
상기 저장실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접촉면에 밀착 가능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 상에는 상기 접촉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나노미터 및 마이크로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굵기 단위를 가지는 섬모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실링부재 상에 고정되는 바디; 및
상기 접촉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삼각형과 같이 방향성이 있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꼭지점 중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분리시작점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밀착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밀착방향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의 중심선 및 상기 접착부재의 중심선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접착부재의 접근 및 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인접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4945A KR102254221B1 (ko) | 2014-10-07 | 2014-10-07 | 냉장고 |
PCT/KR2015/008884 WO2016056745A1 (ko) | 2014-10-07 | 2015-08-25 | 냉장고 |
CA2963924A CA2963924C (en) | 2014-10-07 | 2015-08-25 | Refrigerator |
US15/512,716 US10852054B2 (en) | 2014-10-07 | 2015-08-25 | Refrigerator |
AU2015328918A AU2015328918B2 (en) | 2014-10-07 | 2015-08-25 | Refrigerator |
EP15848346.1A EP3205959B1 (en) | 2014-10-07 | 2015-08-25 | Refrigerator |
CN201580054756.7A CN106796076B (zh) | 2014-10-07 | 2015-08-25 | 冰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4945A KR102254221B1 (ko) | 2014-10-07 | 2014-10-07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310A true KR20160041310A (ko) | 2016-04-18 |
KR102254221B1 KR102254221B1 (ko) | 2021-05-20 |
Family
ID=5565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4945A KR102254221B1 (ko) | 2014-10-07 | 2014-10-07 | 냉장고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852054B2 (ko) |
EP (1) | EP3205959B1 (ko) |
KR (1) | KR102254221B1 (ko) |
CN (1) | CN106796076B (ko) |
AU (1) | AU2015328918B2 (ko) |
CA (1) | CA2963924C (ko) |
WO (1) | WO201605674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44756A (ja) * | 2016-09-09 | 2018-03-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冷蔵庫 |
WO2021251533A1 (ko) * | 2020-06-12 | 2021-12-16 |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2092950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6410B1 (ko) * | 2014-10-16 | 2022-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
EP3452766B1 (en) * | 2016-05-03 | 2023-04-19 | Whirlpool Corporation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vacuum insulation and a hinge support |
US11320193B2 (en) * | 2016-07-26 | 2022-05-03 | Whirlpool Corporation | Vacuum insulated structure trim breaker |
EP3516285B1 (en) * | 2016-09-26 | 2022-05-18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incorporating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
KR20180074514A (ko) * | 2016-12-23 | 2018-07-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US10718558B2 (en) * | 2017-12-11 | 2020-07-21 | Global Cooling, Inc. | Independent auxiliary thermosiphon for inexpensively extending active cooling to additional freezer interior walls |
KR102530909B1 (ko) | 2017-12-13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11095B1 (ko) | 2017-12-13 | 2023-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68737B1 (ko) | 2017-12-13 | 2023-08-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66446B1 (ko) | 2017-12-13 | 2022-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66448B1 (ko) * | 2017-12-13 | 2022-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617454B1 (ko) * | 2018-06-27 | 2023-1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693079B1 (ko) * | 2018-09-05 | 2024-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US10697699B2 (en) * | 2018-11-05 | 2020-06-30 | Whirlpool Corporation | Cabinet assembly of an appliance |
US10801773B2 (en) * | 2018-12-29 | 2020-10-13 | Whirlpool Corporation | Metallic trim breaker for a refrigerating appliance having a thermal bridge geometry |
USD957481S1 (en) | 2019-06-21 | 2022-07-12 | Whirlpool Corporation | Outer appliance panel |
KR20210006698A (ko) * | 2019-07-09 | 2021-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20210006717A (ko) * | 2019-07-09 | 2021-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모듈, 및 냉장고 |
US11709013B2 (en) | 2021-01-20 | 2023-07-25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trim breaker |
US11340008B1 (en) * | 2021-01-20 | 2022-05-24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trim breaker assembl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8509A (ja) * | 2006-02-17 | 2007-08-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冷凍冷蔵庫 |
CN103398527A (zh) * | 2013-06-08 | 2013-11-20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制冷设备 |
JP2014504253A (ja) * | 2010-12-15 | 2014-02-20 | サン−ゴバン・イソベール | 断熱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890053C (de) * | 1949-01-30 | 1953-09-17 | Bosch Gmbh Robert | Doppelwandiger Behaelter, insbesondere Kuehlschrank |
US3401997A (en) * | 1967-06-15 | 1968-09-17 | Gen Motors Corp | Refrigerator with segmented modular inner liner |
JPS4920162U (ko) * | 1972-05-19 | 1974-02-20 | ||
JPS5529997B2 (ko) | 1972-06-24 | 1980-08-07 | ||
US4080021A (en) * | 1976-08-19 | 1978-03-21 |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 Refrigerator liner assembly |
US4199205A (en) * | 1978-09-18 | 1980-04-22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
KR19990013159A (ko) | 1997-07-31 | 1999-02-25 | 배순훈 | 냉장고 도어의 실링장치 |
JP3546345B2 (ja) | 1997-12-05 | 2004-07-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凍冷蔵庫 |
ES2160010B1 (es) * | 1998-07-24 | 2002-05-01 | Bsh Fabricacion Sa | Junta de obturacion para una puerta de refrigerador |
KR100554287B1 (ko) | 1999-08-26 | 2006-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병립형 냉장고의 중간격벽 커버장치 |
ITMI20012548A1 (it) * | 2001-12-04 | 2003-06-04 | Ilpea Ind Spa | Guarnizione per mobili frigoriferi e simili atta in particolare a compensare tolleranze di fabbricazione |
KR100500237B1 (ko) | 2002-12-26 | 2005-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0564970B1 (ko) * | 2003-11-26 | 2006-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실링 구조 |
EP1584878A3 (en) * | 2004-04-06 | 2007-07-25 | Lg Electronics Inc. | Seal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
DE102005059145A1 (de) * | 2005-12-10 | 2007-06-28 | Rehau Ag + Co | Gefrierschranktürbaugruppe sowie Gefrierschrank mit einer derartigen Gefrierschranktürbaugruppe |
CA2717633C (en) * | 2009-10-14 | 2018-06-19 | Simon Fraser University | Biomimetic dry adhesiv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for |
EP2804919A4 (en) * | 2012-01-19 | 2015-09-09 | Univ Tulane | USE OF SCISSORS FOR INCREASING THE INCLIN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REVERSIBLE GECKO-INSPIRED ADHESIVES |
-
2014
- 2014-10-07 KR KR1020140134945A patent/KR1022542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8-25 CN CN201580054756.7A patent/CN106796076B/zh active Active
- 2015-08-25 CA CA2963924A patent/CA296392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8-25 WO PCT/KR2015/008884 patent/WO201605674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25 US US15/512,716 patent/US10852054B2/en active Active
- 2015-08-25 EP EP15848346.1A patent/EP3205959B1/en active Active
- 2015-08-25 AU AU2015328918A patent/AU2015328918B2/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8509A (ja) * | 2006-02-17 | 2007-08-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冷凍冷蔵庫 |
JP2014504253A (ja) * | 2010-12-15 | 2014-02-20 | サン−ゴバン・イソベール | 断熱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
CN103398527A (zh) * | 2013-06-08 | 2013-11-20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制冷设备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44756A (ja) * | 2016-09-09 | 2018-03-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冷蔵庫 |
WO2021251533A1 (ko) * | 2020-06-12 | 2021-12-16 |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2092950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56745A1 (ko) | 2016-04-14 |
EP3205959A1 (en) | 2017-08-16 |
KR102254221B1 (ko) | 2021-05-20 |
AU2015328918A1 (en) | 2017-04-13 |
CA2963924A1 (en) | 2016-04-14 |
CN106796076B (zh) | 2020-01-07 |
CN106796076A (zh) | 2017-05-31 |
EP3205959A4 (en) | 2017-09-20 |
CA2963924C (en) | 2020-10-13 |
EP3205959B1 (en) | 2021-01-13 |
US20170292776A1 (en) | 2017-10-12 |
US10852054B2 (en) | 2020-12-01 |
AU2015328918B2 (en) | 2018-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41310A (ko) | 냉장고 | |
CN105627657B (zh) | 冰箱 | |
EP3193110B1 (en) | Refrigerator with vacuum insulating panel | |
JP6850756B2 (ja) | 冷蔵庫 | |
CN110140019B (zh) | 冰箱 | |
TWI392841B (zh) | refrigerator | |
CN108700366B (zh) | 冰箱及其制造方法 | |
JP6005341B2 (ja) | 冷蔵庫 | |
KR101998569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 | |
KR20160079278A (ko)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 |
EP2789938A1 (en) | Refrigerator | |
JP5868152B2 (ja) | 冷蔵庫 | |
JP6232578B2 (ja) | 断熱扉 | |
JP2007211913A (ja) | 断熱パネル | |
CN106796079B (zh) | 冰箱 | |
JP6113610B2 (ja) | 冷蔵庫 | |
JP2016001063A (ja) | 冷蔵庫 | |
JPH11247549A (ja) | シャッター及びそのパネル連結部材 | |
CN118517850A (zh) | 制冷器具 | |
CN116538750A (zh) | 冰箱的门以及冰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