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15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159A
KR20160041159A KR1020140134488A KR20140134488A KR20160041159A KR 20160041159 A KR20160041159 A KR 20160041159A KR 1020140134488 A KR1020140134488 A KR 1020140134488A KR 20140134488 A KR20140134488 A KR 20140134488A KR 20160041159 A KR20160041159 A KR 20160041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panel
roller
support member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135B1 (ko
Inventor
이상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135B1/ko
Priority to US14/681,232 priority patent/US9560750B2/en
Priority to TW104121112A priority patent/TWI668679B/zh
Priority to CN201510563125.XA priority patent/CN105489628B/zh
Priority to CN202011425884.7A priority patent/CN112531004A/zh
Publication of KR2016004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분리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이격 시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부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부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분리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이격 시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롤러에 권취시키거나 권출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경로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포일(Metal foil)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를 봉지하는 박막 봉지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는 휴대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와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30), 롤러(미표기), 디스플레이 패널(120), 절연부재(170), 지지부재(160), 제어보드부(181), 베터리부(182), 탄성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1 롤러(140)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10)과 서로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130)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지지부재(160) 및 제2 롤러(15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30)은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30)은 지지부재(160)가 인출되는 경우 지지부재(16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131)는 지지부재(160)의 인출방향에 대해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끝단 중 하나는 제1 롤러(1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끝단 중 다른 하나는 제2 하우징(13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끝단 중 다른 하나는 제2 하우징(130) 및 제어보드부(181)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기판(121) 및 표시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0)는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1) 상에 상기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되고, 이들을 덮도록 패시베이션막(127a)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127a) 상에 유기 발광 소자(1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1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121)이 폴리이미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1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1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123)이 형성된 후, 활성층(123)이 게이트 절연층(1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123)은 소스 영역(123a)과 드레인 영역(123c)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123b)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1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1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1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1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1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123)은 버퍼층(1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123a) 및 드레인 영역(123c)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된다.
게이트 절연층(124)의 상면에는 활성층(1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126)과 게이트 절연층(1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126) 상에 소스 전극(127b) 및 드레인 전극(127c)을 각각 소스 영역(123a) 및 드레인 영역(123c)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127a)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127a)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128, OLED)의 화소 전극(128a)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128a)은 패시베이션막(127a)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127c)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27a)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127a)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127a) 상에 화소 전극(128a)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128a) 및 패시베이션막(127a)을 덮도록 화소 정의막(1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128a)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128a) 상에 중간층(128b) 및 대향 전극(128c)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128a)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128c)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28a)과 대향 전극(128c)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128a)과 대향 전극(128c)은 상기 중간층(128b)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128b)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128b)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128b)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하거나,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128)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128, 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무기층, 제 1 유기층, 제 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128, 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무기층, 제 1 유기층, 제 2 무기층, 제 2 유기층, 제 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128, 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무기층, 제 1 유기층, 제 2 무기층, 상기 제 2 유기층, 제 3 무기층, 제 3 유기층, 제 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28, OLED)와 제 1 무기층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 1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128, O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유기층은 제 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유기층도 제 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는 외부의 물체, 제1 하우징(110), 지지부재(160) 등에 접촉하는 경우 파손이나 스크래치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표면에 코팅이나 보호필름(미도시)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표면에 보호코팅이나 보호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재(160)는 제2 하우징(130)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60)의 끝단 중 하나는 제2 롤러(1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60)의 끝단 중 다른 하나는 제1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60)의 끝단 중 다른 하나는 제1 하우징(11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0)에 일부가 삽입되어 제1 하우징(1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인출 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60)는 금속 재질과 같이 충분한 경도를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재(160)는 금속 포일(Metal foi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재(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연부재(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절연부재(170)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페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절연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재(17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부재(170)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170)는 별도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절연부재(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제1 하우징(110)으로 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지지부재(16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롤러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를 권취하거나 권출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롤러(140)와 제2 하우징(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롤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는 선택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140)만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 롤러(150)만 제2 하우징(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롤러(140)는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제2 롤러(150)는 제2 하우징(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롤러(140)와 제2 롤러(150)가 각각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롤러에는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롤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상기 탄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제1 롤러(140)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191)와 제2 롤러(150)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롤러(140), 제2 롤러(150), 제1 탄성부(191) 및 제2 탄성부(19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롤러(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권취하거나 권출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표시부(미표기)가 제1 롤러(140)의 외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1 롤러(140)에 권취될 수 있다.
제1 롤러(140)는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제1 롤러바디부(141), 제1 롤러바디부(14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 절연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부(142)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페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절연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절연부(142)는 상기 표시부가 형성되지 않는 기판(121)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롤러(140)에는 제1 탄성부(19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부(191)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1 탄성부(191)의 일단은 제1 롤러바디부(1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탄성부(191)의 타단은 제1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탄성부(191)는 제1 롤러(14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권출될 때, 제1 롤러(14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 롤러(14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롤러(150)에는 지지부재(160)가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롤러(150)는 제1 롤러(14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롤러(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2 롤러(150)에는 제2 탄성부(19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192)는 지지부재(160)가 제2 롤러(150)로부터 권출되는 경우 제2 롤러(15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2 롤러(15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롤러(150)는 제1 롤러(14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100)는 상기 탄성부를 포함하는 대신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부재를 권취하거나 권출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는 제1 롤러(140)에 설치되는 제1 구동부(미도시)와, 제2 롤러(150)에 설치되는 제2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100)가 상기 탄성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보드부(181)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베터리부(182)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보드부(181)는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30)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보드부(181)가 제2 하우징(13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보드부(181)는 베터리부(18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보드부(181)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하는 회로기판 또는 제어보드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터리부(182)는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30)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터리부(182)는 제어보드부(181)와 동일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베터리부(182)는 제2 하우징(13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베터리부(182)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터리부(182)는 제2 하우징(1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터리부(182)는 제2 하우징(1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30)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 사이를 이격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제1 롤러(140)로부터 권출되어 제1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끝단 중 다른 하나는 제어보드부(181)에 고정됨으로써 제2 하우징(130)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움직이는 동안, 지지부재(160)는 제2 하우징(1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60)는 제2 롤러(150)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지지부재(160)가 각각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3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표시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지지부재(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절연부재(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지지부재(16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지지부재(160)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조작부(미도시) 내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터치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사용자는 음성, 손동작 등과 같은 모션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조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면 커짐 등과 같은 초기 동작은 다양한 형태의 모션, 음성, 터치, 상기 조작부를 통한 신호 입력,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30)의 이격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신호에 의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를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부(191) 및 제2 탄성부(192)는 각각 제1 롤러(140) 및 제2 롤러(15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롤러(140) 및 제2 롤러(150)가 각각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지지부재(160)를 권취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보관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와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200)는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30), 롤러(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220), 절연부재(270), 지지부재(260), 슬라이딩부(292), 가이드부(293), 스토퍼부(294), 제어보드부(281), 베터리부(282)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30), 디스플레이 패널(220), 절연부재(270), 지지부재(260), 제어보드부(281) 및 베터리부(282)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슬라이딩부(292)는 지지부재(260)의 끝단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93)는 슬라이딩부(292)가 안착하거나 삽입되어 이동할 때, 슬라이딩부(29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293)는 제2 하우징(2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부(292)와 가이드부(29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슬라이딩부(292)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부(293)는 슬라이딩부(292)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슬라이딩부(292)는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292)는 롤러가 이동 가능한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슬라이딩부(292)와 가이드부는 선형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슬라이딩부(292)와 가이드부(293)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부(292)는 지지부재(260)의 운동 시 함께 움직이고, 가이드부(293)는 슬라이딩부(292)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는 제1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롤러(2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제1 롤러(240)에 설치되는 제1 구동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24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구동부(291)는 베터리부(282) 및 제어보드부(2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제1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이나 삽입 시 작동하여 제1 롤러(2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부(291)는 일반적인 소형 모터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구동부(291) 대신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191)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구동부(291)을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베터리부(282)는 제1 하우징(210) 또는 제2 하우징(230) 중 하나에 설치되거나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30)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베터리부(282)가 제2 하우징(230)에 설치되는 경우 지지부재(260)에 전원케이블 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291)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2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제2 하우징(230)에 설치되는 스토퍼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294)는 슬라이딩부(292)의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294)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지지부재(260)가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도록 슬라이딩부(292)의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스토퍼부(294)는 제2 하우징(230)의 특정 위치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29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294)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생부재로 슬라이딩부(292)의 끝단에 연결되는 등과 같이 스토퍼부(294)의 경로를 제한하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2 롤러(150)를 통하여 지지부재(260)를 권출하거나 권취하는 경우 제2 롤러(150)에 제2 탄성부(192) 대신 제2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구동부는 제1 구동부(29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작동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30)을 이격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20) 및 지지부재(260)는 각각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절연부재(270)는 지지부재(260)와 디스플레이 패널(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231)은 지지부재(260)의 인출 시 지지부재(2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260)가 인출되는 경우 슬라이딩부(292)는 가이드부(293)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일정한 거리를 움직인 후 스토퍼부(294)에 의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291)는 제1 롤러(240)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권출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인출이 완료되면, 조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0)가 원하는 동작이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제1 하우징(210)으로 삽입하는 경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30)을 근접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제1 구동부(291)가 작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제1 롤러(240)에 권취시킬 수 있다. 이때, 조작부(미도시)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통하여 터치,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30)의 근접, 일정한 힘을 감지하는 경우 등과 같이 일정한 신호가 발생할 때 제1 구동부(291)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제1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딩부(292)는 가이드부(293)를 따라 상기와 반대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지지부재(260)는 제2 하우징(230)의 내면을 따라 운동함으로써 제2 하우징(2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보관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300)는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30), 롤러(미표기), 탄성부(미표기), 디스플레이 패널(320), 절연부재(370), 지지부재(360), 슬라이딩부(392), 가이드부(393), 스토퍼부(394), 제어보드부(381) 및 베터리부(3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30), 디스플레이 패널(320), 절연부재(370), 지지부재(360), 제어보드부(381) 및 베터리부(38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롤러는 제2 하우징(330)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롤러(3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롤러(35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2 롤러(15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제2 롤러(350)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39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391)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2 탄성부(192)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슬라이딩부(392)는 디스플레이 패널(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392)는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부(392)는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부(392)는 제1 하우징(31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93)는 제1 하우징(3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부(392)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393)는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토퍼부(394)는 제1 하우징(31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394)는 제1 하우징(3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부(392)의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394)는 슬라이딩부(392)의 이동 시 슬라이딩부(392)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394)는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30)을 이격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20), 절연부재(370) 및 지지부재(360)는 각각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3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330)에 구비된 지지돌기(331)는 지지부재(360)의 인출 시 지지부재(360)를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20)은 제2 하우징(330)과 연결됨으로써 제2 하우징(330)의 운동에 따라 제1 하우징(31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370)는 디스플레이 패널(320)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패널(320)과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딩부(392)는 디스플레이 패널(320)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20)의 운동에 의해 가이드부(39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슬라이딩부(392)는 디스플레이 패널(320)이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스토퍼부(394)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20)은 최대 인출 길이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지지부재(360)는 제2 롤러(350)로부터 권출되어 제2 하우징(33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60)는 제1 하우징(310)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310)의 이동 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20)과 지지부재(360)가 인출되면, 지지부재(360)는 디스플레이 패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20)과 지지부재(360) 사이에는 절연부재(370)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20)을 지지부재(36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30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방법은 상기와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30)을 서로 근접시키는 경우 슬라이딩부(392)는 가이드부(393)를 따라 이동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20) 및 절연부재(370)는 제1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탄성부(391)는 제2 롤러(350)에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지지부재(360)를 권취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재(360)는 제2 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3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20)의 보관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400)는 표시 장치(400)는 제1 하우징(410), 제2 하우징(430), 디스플레이 패널(420), 절연부재(470), 지지부재(460), 슬라이딩부(492), 가이드부(493), 스토퍼부(494), 제어보드부(481) 및 베터리부(4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410), 제2 하우징(430), 디스플레이 패널(420), 절연부재(470), 지지부재(460),제어보드부(481) 및 베터리부(482)는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슬라이딩부(492)는 디스플레이 패널(420) 및 지지부재(46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410)의 내면 및 제2 하우징(430)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494)는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3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부(492)의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부(493)는 제1 하우징(410)의 내면 및 제2 하우징(430)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부(492)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492)는 디스플레이 패널(420) 또는 지지부재(460) 중 하나와 연결되며, 제1 하우징(410) 또는 제2 하우징(430)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부(491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492)는 디스플레이 패널(420) 또는 지지부재(460)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며, 제1 하우징(410) 또는 제2 하우징(430)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49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슬라이딩부(491a)는 디스플레이 패널(420)에 연결되며, 제1 하우징(410)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슬라이딩부(492a)는 지지부재(460)에 연결되며, 제2 하우징(43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토퍼부(494)는 제1 하우징(410) 또는 제2 하우징(430)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부(494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부(494)는 제1 하우징(410) 또는 제2 하우징(43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부(49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토퍼부(494a)와 제2 스토퍼부(494b) 각각은 제1 슬라이딩부(491a)와 제2 슬라이딩부(492a)의 운동 또는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스토퍼부(494a)는 제1 슬라이딩부(491a)에 대응되도록 제1 하우징(410)에 형성되며, 제2 스토퍼부(494b)는 제2 슬라이딩부(492a)에 대응되도록 제2 하우징(430)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493)는 제1 하우징(410) 내면 또는 제2 하우징(430) 내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493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93)는 제1 하우징(410) 내면 또는 제2 하우징(430) 내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49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493a) 및 제2 가이드부(493b) 각각은 제1 슬라이딩부(491a) 및 제2 슬라이딩부(492a)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가이드부(493a)는 제1 슬라이딩부(491a)에 대응되도록 제1 하우징(410)에 형성되며, 제2 가이드부(493b)는 제2 슬라이딩부(492a)에 대응되도록 제2 하우징(430)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400)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30)이 이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20)은 제1 하우징(4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60)와 절연부재(470)는 제2 하우징(4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430)에 구비된 지지돌기(431)는 지지부재(460)의 인출 시 지지부재(46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470)는 지지부재(460)의 표면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420)과 지지부재(460)가 이동하는 경우 제1 슬라이딩부(491a)는 제1 가이드부(493a)를 따라 이동하고, 제2 슬라이딩부(492a)는 제2 가이드부(493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20)과 지지부재(460)가 각각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3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1 스토퍼부(494a)와 제2 스토퍼부(494b)는 각각 제1 슬라이딩부(491a)의 위치와 제2 슬라이딩부(492a)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420) 및 지지부재(460)는 일정 거리 이상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420)이 인출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420)의 사용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420) 및 지지부재(460)를 각각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3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30)이 서로 근접하면, 제1 슬라이딩부(491a) 및 제2 슬라이딩부(492a)는 각각 제1 가이드부(493a) 및 제2 가이드부(493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420)는 제2 하우징(430)으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제1 하우징(410) 내부로 삽입되고, 지지부재(460)는 제1 하우징(410)으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제2 하우징(4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30)의 초기 위치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4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4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20)의 보관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 표시 장치
110,210,310,410: 제1 하우징
120,220,320,420: 디스플레이 패널
130,230,330,430: 제2 하우징
131,231,331,431: 지지돌기
140,240: 제1 롤러
150,250,350: 제2 롤러
160,260,360,460: 지지부재
170,270,370,470: 절연부재
181,281,381,481: 제어보드부
182,282,382,482: 베터리부
191: 제1 탄성부
192,391: 제2 탄성부
291: 제1 구동부
292,392,492: 슬라이딩부
293,393,493: 가이드부
294,394,494: 스토퍼부

Claims (20)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분리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이격 시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 중 하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롤러에 권취시키거나 권출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경로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포일(Metal foil)인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를 봉지하는 박막 봉지층;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기판인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적층 구조인 표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인출되는 표시 장치.
KR1020140134488A 2014-10-06 2014-10-06 표시 장치 KR10226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88A KR102269135B1 (ko) 2014-10-06 2014-10-06 표시 장치
US14/681,232 US9560750B2 (en) 2014-10-06 2015-04-08 Display device
TW104121112A TWI668679B (zh) 2014-10-06 2015-06-30 顯示裝置
CN201510563125.XA CN105489628B (zh) 2014-10-06 2015-09-07 显示装置
CN202011425884.7A CN112531004A (zh) 2014-10-06 2015-09-07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88A KR102269135B1 (ko) 2014-10-06 2014-10-0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59A true KR20160041159A (ko) 2016-04-18
KR102269135B1 KR102269135B1 (ko) 2021-06-25

Family

ID=5563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488A KR102269135B1 (ko) 2014-10-06 2014-10-0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0750B2 (ko)
KR (1) KR102269135B1 (ko)
CN (2) CN112531004A (ko)
TW (1) TWI668679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36A (ko) * 2016-06-24 2018-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6533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909A1 (ko) * 2017-11-29 2019-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WO2019146865A1 (ko) * 2018-01-29 2019-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129297A (ko) * 2018-05-10 2019-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1580A (ko) * 2018-08-20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7222B (zh) * 2013-07-01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365299B1 (ko) * 2014-08-01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31363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07170B2 (en) * 2015-07-01 2018-02-27 Intel Corporation FPC connector for better signal integrity and design compaction
KR102372173B1 (ko) * 2015-07-0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25924B1 (ko) * 2015-07-3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173855B1 (en) * 2015-11-27 2020-12-09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CN107636570B (zh) * 2016-06-28 2020-10-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装置
KR102527213B1 (ko) * 2016-07-05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534444B2 (en) * 2016-07-06 2020-01-1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evice
KR102534580B1 (ko) * 2016-07-2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3528B1 (ko) * 2016-08-11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US10602623B1 (en) 2017-01-04 2020-03-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tructures
CN106713554A (zh) 2017-02-23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组件和移动终端
CN109151097B (zh) * 2017-06-19 2022-06-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和显示方法
KR102332711B1 (ko) *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N108230937A (zh) * 2018-03-26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08520702B (zh) * 2018-04-02 2022-05-1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产品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0040B1 (ko) * 2018-08-03 2023-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9222B1 (ko) * 2018-09-28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CN111326070B (zh) * 2018-12-17 2022-02-22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20200115940A (ko)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831058A (zh) * 2019-04-1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047385A (zh) * 2019-04-30 2019-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0033707B (zh) * 2019-05-06 2024-03-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0047387B (zh) * 2019-05-06 2024-02-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CN111953820A (zh) * 2019-05-17 2020-11-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233918A (zh) * 2019-06-18 2019-09-13 陈健 一种折叠屏、折叠屏展开装置以及终端
KR20210040219A (ko) * 2019-10-02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727678B1 (ja) * 2019-10-15 2020-07-22 株式会社デジメット 情報端末装置
CN110706600B (zh) 2019-10-29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0910767B (zh) * 2019-11-29 2020-12-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13132512B (zh) * 2019-12-31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CN111243438B (zh) * 2020-02-07 2022-0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10111398A (ko) * 2020-03-0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4562B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508372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1683166B (zh) * 2020-05-28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501915A (zh) * 2020-10-27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720147B2 (en) * 2020-12-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119337A1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77429A (ko) * 2020-12-02 2022-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596772A (zh) * 2020-12-07 2022-06-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伸缩驱动机构和电子设备
US11651712B2 (en) * 2020-12-30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632452B2 (en) * 2021-03-25 2023-04-18 Lepton Computing Llc Expandable display mobile device
CN113438339B (zh) * 2021-06-04 2023-05-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3707024B (zh) * 2021-09-02 2023-08-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5188270A (zh) * 2022-06-30 2022-10-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模块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648A (ja) * 2004-02-02 2005-08-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80144265A1 (en) * 2006-12-13 2008-06-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5900B1 (en) 2002-11-21 2013-04-10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JP4860154B2 (ja) * 2002-12-10 2012-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組み合わせ使用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728141A1 (en) * 2004-03-16 2006-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ollable electronic panel device
CN1973240B (zh) * 2004-05-21 2010-12-22 聚合物视象有限公司 应变降低的可卷曲显示设备
US7667962B2 (en) * 2004-08-20 2010-02-23 Mullen Jeffrey D Wireless devices with flexible monitors and keyboards
TWI354745B (en) * 2004-10-05 2011-12-21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EP1889139B1 (en) * 2005-05-23 2016-03-30 Creator Technology B.V. Partially flexible display device
TWM298294U (en) * 2006-01-27 2006-09-21 Hoolin Res Co Ltd Adjustment structure of fixture seat of a monitor
CN101535919B (zh) * 2006-06-22 2015-03-18 创造者科技有限公司 可自动关闭的柔性显示设备
JP2008052040A (ja) * 2006-08-24 2008-03-06 Fujifilm Corp 表示装置
TWI370419B (en) 2006-10-31 2012-08-11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hinged frame
JP5108293B2 (ja) * 2006-12-20 2012-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JP2009021660A (ja) * 2007-07-10 2009-01-29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20090006606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WO2009067010A2 (en) 2007-11-21 2009-05-28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JP5302027B2 (ja) * 2009-01-30 2013-10-0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
KR101077146B1 (ko) * 2010-01-12 2011-10-27 삼현테크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TWM395340U (en) * 2010-08-04 2010-12-21 Micro Star Int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27380A2 (en) * 2010-08-24 2012-03-01 Peter Salmon Retractable device
TW201227639A (en) * 2010-12-29 2012-07-0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of flexible display apparatus
TWM408716U (en) * 2011-01-20 2011-08-01 Applied Optoelectronics Inc System management module with storable display
KR101780419B1 (ko) 2011-02-15 2017-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8605421B2 (en) * 2011-08-17 2013-12-10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101860880B1 (ko) * 2011-11-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971031B2 (en)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4-03-10 최성림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KR102047692B1 (ko) * 2013-02-05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40268532A1 (en) * 2013-03-15 2014-09-18 Bfam Corp. Flexible electronic display and stand
KR20150004547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648A (ja) * 2004-02-02 2005-08-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80144265A1 (en) * 2006-12-13 2008-06-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36A (ko) * 2016-06-24 2018-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6533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511A (ko) * 2016-07-07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909A1 (ko) * 2017-11-29 2019-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90062855A (ko) * 2017-11-29 2019-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194363B2 (en) 2017-11-29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having expandable display area
US11630490B2 (en) 2017-11-29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having expandable display area
US11977418B2 (en) 2017-11-29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having expandable display area
WO2019146865A1 (ko) * 2018-01-29 2019-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29247B2 (en) 2018-01-29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KR20190129297A (ko) * 2018-05-10 2019-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1580A (ko) * 2018-08-20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0750B2 (en) 2017-01-31
CN105489628B (zh) 2020-12-29
TWI668679B (zh) 2019-08-11
TW201614619A (en) 2016-04-16
KR102269135B1 (ko) 2021-06-25
CN112531004A (zh) 2021-03-19
CN105489628A (zh) 2016-04-13
US20160100478A1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135B1 (ko) 표시 장치
CN105609523B (zh) 具有可卷曲的显示面板的柔性显示装置
US10315400B2 (en) Laminating device and lamin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137672B2 (en) Lamination device and method
US10104788B2 (en) Display device
KR102379745B1 (ko) 표시 장치
US10575414B2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30988B2 (en) Electrostatic chuck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electrostatic chuck system
KR20160086998A (ko) 표시 장치
KR2015014050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2728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60022434A (ko) 표시장치
US20150279871A1 (en)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7006987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102117613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US2016000902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10225519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449122B (zh) 用于制造显示设备的装置和使用其制造显示设备的方法
US202100058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160046151A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50180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44725A (ko) 패널부재 고정장치
KR20210025763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19146A (ko) 커버 윈도우 홀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