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94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940A
KR20200115940A KR1020190037270A KR20190037270A KR20200115940A KR 20200115940 A KR20200115940 A KR 20200115940A KR 1020190037270 A KR1020190037270 A KR 1020190037270A KR 20190037270 A KR20190037270 A KR 20190037270A KR 20200115940 A KR20200115940 A KR 20200115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osed
support
sidewal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5940A/ko
Priority to US16/738,670 priority patent/US11102339B2/en
Priority to CN202010217161.1A priority patent/CN111754863A/zh
Priority to EP20165438.1A priority patent/EP3716003B1/en
Publication of KR2020011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지지판 및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제2 케이스,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 중첩하도록 상기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의 양측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에 정의된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딩되거나 권취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은 케이스에 수용되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확장된다. 표시 모듈 아래에 지지부가 배치되고, 지지부는 표시 모듈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외력이 지지부에 인가될 경우, 지지부가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지지판 및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제2 케이스,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 중첩하도록 상기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의 양측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에 정의된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의 노출면이 확장되는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에서,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바들 아래에 서브 지지부가 배치되고, 서브 지지부가 지지바를 지지함으로써, 외력에 따른 지지바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느 한 화소의 등가 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케이스 내에 배치된 기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제1 케이스에 배치되기 위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지지부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1 영역(AA)의 확대도이다.
도 17, 도 18, 및 도 19는 제1 및 제2 케이스들에 배치된 지지부 및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곡선부에 배치된 지지바들 및 기어부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이 수용된 케이스(C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케이스(CS)의 상부에 정의된 개구부(OP)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서로 결합되어 표시 모듈(DM)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제1 케이스(CS1)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들(CS1,CS2)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은 이하 도 7에 도시된 케이스(CS)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CS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케이스(CS1)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의 면적은 제2 케이스(CS2)의 이동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의 이동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기본 모드 및 확장 모두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일 수 있으며,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이하 도 13에 도시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는 제2 케이스(CS2)에 연결되고, 제2 케이스(CS2)가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케이스(CS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부도 제1 방향(DR1)으로 제1 케이스(CS1)와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부분 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표시 모듈(DM)의 부분이 제1 케이스(CS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은 제2 케이스(CS2)의 이동에 따라 지지부와 함께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이 확장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이 확장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이 확장된 표시 장치(DD)의 상태는 확장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가 서로 인접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스(CS2)가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케이스(CS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DD)의 상태는 기본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TSP), 터치 감지부(TS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 및 터치 감지부(TSP)와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투명한 기판으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 등)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시,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패널(DP)과는 별도의 터치 패널로 제조되고,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터치 감지부(TSP)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터치 감지부(TS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 및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DP)의 평면 구성이 도시되었으며, 터치 감지부(TSP)의 평면 구성은 생략되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1~ELm)을 포함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표시 패널(DP)의 장변들 중 어느 한 장변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DP)의 일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표시 패널(DP)의 일측의 반대측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DP)의 타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표시 패널(DP)의 단변들 중 어느 한 단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복수 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고,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복수 개의 발광 신호들을 생성하고,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은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주사 제어 신호,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구동부(DDV)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들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발광 구동부(EDV)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영상 신호들을 제공받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느 한 화소의 등가 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화소 회로(C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CC)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T1~T7) 및 커패시터(CP)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CC)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회로(CC)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의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압(ELVDD)의 레벨은 제2 전압(ELVSS)의 레벨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T1~T7)은 각각 입력 전극(또는, 소스 전극), 출력 전극(또는, 드레인 전극) 및 제어 전극(또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편의상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제1 전극으로 지칭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전압(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본 명세서 내에서 구동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전극은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i번째 주사 라인(SLi)으로 i번째 주사 신호(Si)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어 전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어 전극은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i번째 주사 라인(SLi)으로 i번째 주사 신호(Si)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어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노드(ND)와 초기화 전원 생성부(미도시)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어 전극은 i-1번째 주사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i-1번째 주사 라인(SLi-1)으로 i-1번째 주사 신호(Si-1)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노드(ND)로 초기화 전압(Vint)을 제공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전원 라인(P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의 제어 전극은 i번째 발광 라인(E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어 전극은 i번째 발광 라인(E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전원생성부(미도시)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 전극은 i+1번째 주사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i+1번째 주사 라인(SLi+1)으로 i+1번째 주사 신호(Si+1)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화소(PX)의 블랙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유기 발광 소자(OLED)의 기생 커패시터(미도시)가 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랙 휘도 구현시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의 누설 전류에 의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발광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블랙 표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 전극이 i+1번째 주사 라인(SLi+1)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 전극은 i번째 주사 라인(SLi) 또는 i-1번째 주사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PMOS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NMOS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화소(PX)는 NMOS와 PMOS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CP)는 전원 라인(PL)과 노드(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CP)는 데이터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압에 따라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 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에 흐르는 전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소(PX)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및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OEL)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는 도 5에 도시된 제6 트랜지스터(T6)일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애노드일 수 있으며, 제2 전극(E2)은 캐소드일 수 있다.
화소(PX)는 화소 영역(PA) 및 화소 영역(PA) 주변의 비화소 영역(N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배치되고, 트랜지스터(TR)는 비화소 영역(NPA)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SM)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또는 다결정질(Poly)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중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층(SM)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PX_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PX_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과 박막 봉지층(TFE) 사이의 층은 화소층(PXL)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압(ELVDD)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제2 전압(ELVSS)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케이스 내에 배치된 기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기어부(GA)를 설명하기 위해 제3 측벽부(SW3)는 생략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제2 케이스(CS2), 서브 지지부(SSP), 및 기어부(GA)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1 케이스(CS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케이스(CS1)는 제1 측벽부(SW1), 제2 측벽부(SW2), 제3 측벽부(SW3), 및 제1 바닥부(B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SW1)는 제1 및 제3 방향들(DR1,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방향(DR3)보다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제2 측벽부(SW2)는 제1 및 제3 방향들(DR1,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방향(DR3)보다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제2 측벽부(SW2)는 제2 방향(DR2)으로 제1 측벽부(SW1)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벽부(SW1)의 일측 및 제2 측벽부(SW2)의 일측은 외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부(SW1)의 내측면 및 제2 측벽부(SW2)의 내측면 각각에는 제1 가이드 홈(GG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내측면들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케이스(CS1)의 내측면들을 정의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제1 측벽부(SW1)의 내측면에 정의된 제1 가이드 홈(GG1)이 도 7에 도시되었으나, 제2 측벽부(SW2)의 내측면에도 제1 가이드 홈(GG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GG1)은 90도 회전된 "U"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GG1)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제1 측벽부(SW1)의 내측면에 반대하는 제1 측벽부(SW1)의 면은 제1 측벽부(SW1)의 외측면으로 정의된다. 제2 측벽부(SW2)의 내측면에 반대하는 제2 측벽부(SW2)의 면은 제2 측벽부(SW2)의 외측면으로 정의된다. 또한, 이하 설명될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하위 구성들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 각각의 외측면에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드 홈(GG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 각각의 상단에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 홈(GG3)이 정의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제2 측벽부(SW2)에 정의된 제2 가이드 홈(GG2) 및 제3 가이드 홈(GG3)이 도시되었으나, 제1 측벽부(SW1)에도 제2 가이드 홈(GG2) 및 제3 가이드 홈(GG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 각각은 제1 부분(PT1) 및 제1 부분(PT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부분(PT1)의 소정의 부분 상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P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T1)의 일측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 각각의 일측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GG1)의 일부는 제1 부분(PT1)과 제2 부분(P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PT1)은 제2 부분(PT2)에 중첩하지 않는 제1 서브 부분(SPT1) 및 제2 부분(PT2)에 중첩하는 제2 서브 부분(SP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부분(SPT2)은 제2 부분(PT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부분(SPT1)의 내측면 및 제2 서브 부분(SPT2)의 내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부분(SPT2)의 외측면은 제1 서브 부분(SPT1)의 외측면보다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2 서브 부분(SPT2)의 두께는 제1 서브 부분(SPT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GG2)은 제2 서브 부분(SPT2)의 외측면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GG2)은 제2 서브 부분(SPT2)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GG3)은 제2 부분(PT2)의 상단에 정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GG3)은 제2 부분(PT2)의 외측면에 인접한 제2 부분(PT2)의 상단에 정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SW3)는 제1 측벽부(SW1)의 일측 및 제2 측벽부(SW2)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SW3)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케이스(CS1)의 양측 중 제1 케이스(CS1)의 일측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부분(PT2) 및 제2 서브 부분(SPT2)은 제3 측벽부(SW3)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1, 제2, 및 제3 측벽부들(SW1,SW2,SW3)의 하단들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방향(DR1)보다 제2 방향(DR2)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3 측벽부(SW3)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는 제1 외측벽부(OSW1), 제2 외측벽부(OSW2), 제3 외측벽부(OSW3), 및 제2 바닥부(B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벽부(OSW1)는 제1 및 제3 방향들(DR1,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방향(DR3)보다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제2 외측벽부(OSW2)는 제1 및 제3 방향들(DR1,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방향(DR3)보다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제2 외측벽부(OSW2)는 제2 방향(DR2)으로 제1 외측벽부(OSW1)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외측벽부(OSW1) 및 제2 외측벽부(OSW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CS2)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 각각에서 돌출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P1)는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일측들 각각에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돌출부(P1)가 도 7에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에도 제1 돌출부(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P1)는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 각각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돌출부(P1)는 제2 가이드홈(GG2)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일측들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케이스들(CS1,CS2)이 서로 결합됐을 때,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일측들에 인접한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끝단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일측들의 반대측들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타측들로 정의된다.
제2 케이스(CS2)는 제1 외측벽부(OSW1)의 상단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상단 각각에서 돌출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P2)는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일측들 각각에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제1 외측벽부(OSW1)에서 돌출된 제2 돌출부(P2)가 도 7에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제2 외측벽부(OSW2)에서도 제2 돌출부(P2)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P2)는 제3 가이드홈(GG3)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 각각에는 연결홈(CG)이 정의될 수 있다. 연결홈(CG)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 각각의 타측에 인접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에 정의된 연결홈(CG)이 도 7에 도시되었으나,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에도 연결홈(CG)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내측면들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 케이스(CS2)의 내측면들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외측벽부(OSW3)는 제3 측벽부(SW3)와 마주보고, 제1 외측벽부(OSW1) 및 제2 외측벽부(OS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외측벽부(OSW3)는 제1 외측벽부(OSW1)의 타측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닥부(BP2)는 제1, 제2, 및 제3 외측벽부들(OSW1,OSW2,OSW3)의 하단들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부(GA)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기어부(G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어부(GA)는 제1 케이스(CS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일측들(또는 제3 측벽부(SW3))에 인접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1 케이스(CS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기어부(GA)의 양단들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일측들에 인접한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부분들에 정의된 홀들(H)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CS2)는 제2 및 제3 가이드 홈들(GG2,GG3)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CS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P1)가 제2 가이드 홈(GG2)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P2)가 제3 가이드 홈(GG3)에 삽입되어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외측벽부(OSW1)는 제1 측벽부(SW1)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2 외측벽부(OSW2)는 제2 측벽부(SW2)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2 바닥부(BP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에 결합될 때,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일측들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일측들에 인접하고,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타측들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타측들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외측벽부(OSW3)는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타측들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의 일측은 제1 케이스(CS1)의 일측에 인접하고, 제2 케이스(CS2)의 일측의 반대측인 제2 케이스(CS2)의 타측은 제1 케이스(CS1)의 타측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의 타측은 제3 외측벽부(OSW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은 제1 측벽부(SW1)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제1 외측벽부(OSW1)의 일면일 수 있다.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은 제2 측벽부(SW2)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제2 외측벽부(OSW2)의 일면일 수 있다.
제1 돌출부들(P1)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내측면들에서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을 향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들(P1)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하단들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제1 돌출부들(P1)은 제2 가이드 홈들(GG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출부들(P2)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상단들에서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을 향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들(P2)은 제3 가이드 홈들(GG3)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측벽부(SW3)는 외곽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외측벽부(OSW3)와 마주보는 제3 측벽부(SW3)의 내측면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측벽부(SW3)의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3 측벽부(SW3)의 외측면은 외곽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GG1)은 제1 측벽부(SW1)(또는 제2 측벽부(SW2))의 타측보다 제1 측벽부(SW1)(또는 제2 측벽부(SW2))의 일측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GG1)은,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및 곡선부(CV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연장부(EX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연장부(EX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방향(DR1)으로, 제2 연장부(EX2)의 길이가 제1 연장부(EX1)의 길이보다 길게 도시되었으나, 제2 연장부(EX2)의 길이와 제1 연장부(EX1)의 길이의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곡선부(CVP)는 제1 연장부(EX1)의 일측으로부터 제2 연장부(EX2)의 일측까지 곡선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의 일측 및 제2 연장부(EX2)의 일측은 제1 케이스(CS1)의 일측(또는 제3 측벽부(SW3))에 인접할 수 있다. 곡선부(CVP)는 제1 케이스(CS1)의 일측(또는 제3 측벽부(SW3))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연장부(EX1) 및 제2 연장부(EX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연장부(EX1)에 인접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곡선부(CVP)에 인접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제1 연장부(EX1) 및 제2 연장부(EX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기어부(GA)는 곡선부(CVP)에 인접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서브 지지부(SSP) 및 곡선부(CV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상단들의 높이들은 제1 서브 부분들(SPT1)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에는 연결홈들(CG)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연결홈들(CG) 각각은 제1 연장부(EX1)와 중첩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제1 연장부(EX1)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홈들(CG)은 제1 연장부(EX1)에 중첩하지 않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에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홈들(CG)은 제1 서브 부분들(SPT1)보다 위에 배치된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부분들에 정의될 수 있다. 연결홈들(CG)은 제2 케이스(CS2)의 타측(또는 제3 외측벽부(OSW3))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제1 케이스에 배치되기 위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지지부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1 영역(AA)의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5에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지지부(SP) 및 표시 모듈(DM)의 측면이 도시되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지지부(SP)를 포함하고, 지지부(SP)는 지지판(SPP) 및 지지판(SPP)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SPP)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판(SPP) 및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바들(SB)이 도시되었으나, 지지바들(SB)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바들(SB)은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관절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지판(SPP)는 제1 지지판(SPP1) 및 제2 지지판(SP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판(SPP2)은 제1 지지판(SPP1) 및 지지바들(S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지지판(SPP1)의 길이는 제2 지지판(SPP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부(SP)는 표시 모듈(DM)의 전면의 반대면인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AD)가 표시 모듈(DM)과 지지부(SP) 사이에 배치되고, 접착제(AD)에 의해 지지부(SP)는 표시 모듈(DM)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AD)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접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도 18, 및 도 19는 제1 및 제2 케이스들에 배치된 지지부 및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곡선부에 배치된 지지바들 및 기어부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실질적으로, 도 1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실질적으로,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실질적으로, 도 1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판(SPP) 및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케이스(CS1)의 테두리에 인접한 표시 모듈(EM)의 전면의 반대면인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2 케이스(CS2)에 연결되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지지부(SP)의 양측들은 제1 가이드 홈들(GG1)에 각각 삽입되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SPP)은 제2 케이스(CS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지지판(SPP1)의 양측들은 연결홈들(CG)에 각각 삽입되어 제2 케이스(CS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판(SPP1)의 양측들에 인접한 제1 지지판(SPP1)의 소정의 부분들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제1 서브 부분들(SPT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상태는, 제2 케이스(CS2)가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케이스(CS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현된, 표시 장치(DD)의 기본 모드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기본 모드에서, 지지판(SPP)의 양측들은 제1 연장부들(EX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지지판(SPP2)의 양측들은 제1 연장부들(EX1)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기본 모드에서,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지지바들(SB)의 양측들은 제2 연장부(EX2) 및 곡선부(CVP)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부(SP)의 배치에 따라 표시 모듈(DM)은 곡선부(CVP)를 따라 접혀진 상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들(CS1,CS2)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부(CVP)에 배치된 지지바들(SB) 상의 표시 모듈(DM)의 부분이 접혀질 수 있다. 지지판(SPP)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의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개구부(OP)에 의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지지바들(SB)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의 부분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지지부(SP)의 일부에 중첩하여 지지부(S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지지부(SSP)는 지지판(SPP)의 일부분인 제2 지지판(SPP2)에 중첩하여 제2 지지판(SPP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하면, 기어부(GA)는 회전하여 곡선부(CVP)에 배치된 지지바들(SB)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부(GA)의 돌기들은 곡선부(CVP)에 배치된 지지바들(S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GA)의 회전에 따라, 돌기들이 지지바들(SB)을 밀어내면서, 지지바들(SB)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의 확장 모드를 위해,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와 멀어지도록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지부(SP)는 제1 가이드 홈(GG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판(SPP1)은 제2 케이스(CS2)에 연결되어 제2 케이스(CS2)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제2 지지판(SPP2) 및 지지바들(SB)은 제1 가이드 홈(GG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기어부(GA)는 회전하면서 지지바들(SB)을 제1 가이드 홈(GG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케이스(CS2)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부(GA)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 도시됨)에 의해 제2 케이스(CS2)가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에 의해 기어부(GA)가 반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부(GA)에 의해 지지바들(SB)이 이동할 수 있다.
기어부(GA)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지지바들(SB)의 이동에 따라 지지판(SPP)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서, 제2 케이스(CS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확장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기어부(GA)가 구동부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기본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기어부(GA)의 회전량에 따라 제2 케이스(CS2)의 이동량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의 확장 면적은 기어부(GA)의 회전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어부(GA)의 회전량은 사용자가 구동부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2 케이스(CS2)가 이동할 수도 있다.
확장 모드시, 지지바들(SB) 중 일부 지지바들(SB)은 곡선부(CVP)을 따라 이동하여 곡선부(CVP)에 인접한 제1 연장부(EX1)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은 제1 연장부(EX1)의 일부분에 배치된 지지바들(SB)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모드시, 제1 연장부(EX1)로 이동한 지지바들(SB)이 서브 지지부(S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가 제1 케이스(CS1)에 배치되지 않을 경우, 제1 연장부(EX1)로 이동한 지지바들(SB)은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하부로 쳐져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 장치(DD)의 확장 모드시, 제1 연장부(EX1)로 이동한 지지바들(SB)이 서브 지지부(SSP) 상에 배치되므로, 서브 지지부(SSP)가 제1 연장부(EX1)로 이동한 지지바들(SB)을 지지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가 제1 연장부(EX1)로 이동한 지지바들(SB)을 지지하므로, 외력에 따른 지지바들(SB)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지지바들(SB)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CS: 케이스 CS1,CS2: 제1 및 제2 케이스
SW1,SW2,SW3: 제1, 제2, 및 제3 측벽부
OSW1,OSW2,OSW3: 제1, 제2, 및 제3 외측벽부
BP1,BP2: 제1 및 제2 바닥부 PT1:PT2: 제1 및 제2 부분
SPT1,SPT2: 제1 및 제2 서브 부분 P1,P2: 제1 및 제2 돌출부
GG1,GG2,GG3: 제1, 제2, 및 제3 가이드 홈
CG: 연결홈 SSP: 서브 지지부
SP: 지지부 SPP: 지지판
SPP1,SPP2: 제1 및 제2 지지판 SB: 지지바

Claims (20)

  1.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지지판 및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제2 케이스; 및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 중첩하도록 상기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의 양측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에 정의된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양측 중 일측에 인접한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는 이동하여 상기 서브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 아래에 배치된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까지 연장하는 곡선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일측에 인접하고,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일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곡선부에 인접한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2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판의 양측은 상기 제1 연장부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의 양측은 상기 곡선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 중 일부 지지바는 상기 곡선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곡선부에 인접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곡선부에 인접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부분에 배치된 상기 지지바 아래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곡선부에 인접한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의 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 중 상기 곡선부에 배치된 지지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회전하여 상기 곡선부에 배치된 상기 지지바들을 이동시키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서브 지지부 및 상기 곡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2 케이스에 연결된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제1 연장부에 삽입된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판의 길이는 상기 제2 지지판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의 양측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내측면에 정의된 연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제1 연장부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벽부와 마주보는 제2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의 일측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일측을 정의하는 제3 측벽부;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벽부들의 하단들에 연결된 제1 바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측벽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측면에 각각 정의되고,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측벽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측벽부에 인접한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외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 배치된 제2 외측벽부;
    상기 제3 측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외측벽부 및 상기 제2 외측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외측벽부; 및
    상기 제1 바닥부 아래에 배치된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외측벽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벽부의 내측면 각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각각의 상기 외측면에 정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외측벽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외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를 향해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각각의 상단에 정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KR1020190037270A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KR20200115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270A KR20200115940A (ko)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US16/738,670 US11102339B2 (en) 2019-03-29 2020-01-09 Display device
CN202010217161.1A CN111754863A (zh) 2019-03-29 2020-03-25 显示设备
EP20165438.1A EP3716003B1 (en) 2019-03-29 2020-03-2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270A KR20200115940A (ko)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40A true KR20200115940A (ko) 2020-10-08

Family

ID=6996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270A KR20200115940A (ko)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2339B2 (ko)
EP (1) EP3716003B1 (ko)
KR (1) KR20200115940A (ko)
CN (1) CN1117548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423B2 (en) * 2019-04-11 2024-02-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0262713A1 (ko) * 2019-06-24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1663659S (ja) * 2019-10-24 2020-07-13 携帯電話機
KR20210083442A (ko) * 2019-12-26 2021-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지지부의 제조 방법
CN112767840B (zh) * 2021-01-29 2023-01-2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WO2021172632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778762B2 (en) * 2020-03-26 2023-10-0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assembly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11508355B (zh) * 2020-04-16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210143419A (ko) * 2020-05-20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63875A1 (ko) * 2021-01-26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85935A (zh) * 2021-02-05 2021-05-11 深圳市东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专用防护箱体
CN113050757A (zh) * 2021-03-12 2021-06-2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143348A (zh) * 2021-03-31 2022-10-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支撑装置、显示模组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6457B2 (ja) * 2003-03-18 2006-08-30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TW200627124A (en) * 2005-01-25 2006-08-0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ly Adjustable Size of Display Area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1059301A2 (ko) * 2009-11-16 2011-05-19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KR20120038265A (ko) 2010-10-13 2012-04-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용 합착 장치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2123187B (zh) 2011-03-15 2014-08-27 叶尔肯·拜山 伸缩式手机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10691172B2 (en) * 2014-07-30 2020-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shape changing support panel
KR20160031363A (ko)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69135B1 (ko) 2014-10-0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5469B1 (ko) 2015-01-13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6982B1 (ko) 2015-05-29 2021-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KR20170116551A (ko) 2016-04-11 2017-10-19 박현민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
KR102470945B1 (ko) * 2016-06-15 2022-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547146B1 (ko) 2016-07-07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1886A (ko) * 2016-09-20 2018-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631840B1 (ko) * 2016-10-06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106713554A (zh) * 2017-02-23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组件和移动终端
KR102471920B1 (ko) * 2017-05-26 2022-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8259649B (zh) * 2018-02-09 2021-07-3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20180039027A (ko) 2018-02-15 2018-04-17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N108230937A (zh) 2018-03-26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6003B1 (en) 2023-05-10
EP3716003A1 (en) 2020-09-30
US20200314225A1 (en) 2020-10-01
US11102339B2 (en) 2021-08-24
CN111754863A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6003A1 (en) Display device
KR20200115941A (ko) 표시 장치
KR102639547B1 (ko) 표시 장치
KR102545020B1 (ko) 표시 장치
US11513645B2 (en) Display device
US11690281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124794A (ko) 표시 장치
US11106239B2 (en) Display device
KR20200115773A (ko) 표시 장치
CN111554182B (zh) 显示装置
KR20210069182A (ko) 표시 장치
KR20200133871A (ko) 표시 장치
KR20200126449A (ko) 표시 장치
CN112542490A (zh) 显示装置
KR20210083442A (ko) 표시 장치 및 지지부의 제조 방법
KR102488120B1 (ko) 표시 장치
EP3770725B1 (en) Display device
JP7300519B2 (ja) 表示装置
CN111754864B (zh) 显示设备
KR102660537B1 (ko) 표시 장치
KR2024004861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