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434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434A
KR20160022434A KR1020140107713A KR20140107713A KR20160022434A KR 20160022434 A KR20160022434 A KR 20160022434A KR 1020140107713 A KR1020140107713 A KR 1020140107713A KR 20140107713 A KR20140107713 A KR 20140107713A KR 20160022434 A KR20160022434 A KR 20160022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curvature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434A/ko
Priority to US14/629,430 priority patent/US20160054758A1/en
Publication of KR2016002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Abstract

플렉서블(Flexible)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곡률을 조절하는 벤딩 조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률 조절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가 주목 받고 있다.
기존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접거나 롤(roll)에 말아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최근 표시장치는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시청자가 화면의 중앙부를 보는 경우와 화면의 좌우 양단을 보는 경우에 있어서 시각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시청자가 대형 TV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때, 화면 중앙 부분의 영상은 선명하게 인지할 수 있으나 화면의 중앙으로부터 점차 시선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옮겨 갈수록 흐릿하거나 주변의 조명으로 인해 화면에 빛이 반사됨에 따라 화면이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시각차는 화면을 오목하게 굴곡시킴에 따라 개선된다.
따라서, 대형화되는 표시장치의 수납 공간을 줄이면서도 시각차를 개선하는 표시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개된 경우 곡률 조절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곡률을 조절하는 벤딩 조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 조절부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 조절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 변경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변경부에서 곡률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 조절부는 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롤러블(rollable) 표시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내부에 상기 구동부를 장착하며, 외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원통형 제 1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하우징은 제 1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을 장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외면상에 권취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2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슬롯을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수납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상기 수납부가 배치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일방향으로 출입시키는 출입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 일단에 배치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출입구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표시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곡률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시각차가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권취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1단으로 곡률이 가변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d는 3단으로 곡률이 가변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A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권취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하기에서 롤(roll)에 감긴 두루마리형상을 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접히거나 권취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수납되어 권취된 경우를 수납모드라고 정의한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전개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전개모드라고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 수납부(200), 케이스(300), 벤딩 조절부(400) 및 스토퍼(50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표시장치에서 처리되는 이미지(image)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가 휴대폰 등의 이동 단말기일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액정(liquid crystal) 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플렉서블한 기판 또는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면에 터치(touch)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및 터치 패드중 어느 하나가 위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플렉서블(Flexibel)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300)의 내부로 출입(出入)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권취되어 수납부(200)에 수납되거나(도2 참조), 수납부(200)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도1 참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수납부(200)에 의하여 케이스(300) 내부로 출입되면서 표시 면적이 가변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수납부(200)는 케이스(300)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일단을 지지하고 있다. 수납부(200)는 구동부(210), 제 1 하우징(220) 및 제 2 하우징(230)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200)은 내부에 장착된 구동부(210)와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삽입하기 위한 제 1 슬롯(220a)를 구비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제 1 하우징(200) 내부에서 인출되고 제 1 하우징(220) 외면에 권취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20)은 회전 가능한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하우징(22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권취하거나 전개하기 위하여 모터 전력 또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초기 응력(prestress)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권취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에 외력이 인가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전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권취된 상태로 복귀한다.
제 2 하우징(230)은 제 1 하우징(220) 및 제 1 하우징(220) 외면에 권취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제 2 하우징(230)은 내부에 수납된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제 2 슬롯(220a)을 구비한다.
즉,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일단은 구동부(210)에 연결된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제 1 하우징(220)의 제 1 슬롯(220a)을 관통하고, 제 1 하우징(220) 외면에 권취되거나 제 2 하우징(230)의 제 2 슬롯(230a)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타단은 제 2 슬롯(230a)의 폭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타단은 권취시 제 2 하우징(230)의 외면에 걸리게 된다.
케이스(3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일단을 지지하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표시 면적이 가변적으로 노출되도록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내부로 출입시킨다. 케이스(3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감기는 수납부(200)를 내부에 포함한다. 케이스(3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이동하는 출입구(310)를 구비한다.
스토퍼(5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케이스(300) 내부로 완전히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플렉서블 표시패널(100) 일단에 배치된다. 스토퍼(500)는 케이스(300)의 출입구(3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장치를 구성할 경우, 표시장치는 수납모드와 전개모드로 변형이 가능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전개된 경우, 도 1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평면 형상을 갖는다. 평면 형상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대형화될수록 시각차가 발생한다. 시각차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특정 곡률로 변형시킬 경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특정 곡률을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곡률을 가변 시키기 위해 힌지 등의 추가적인 기구 구성을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에 배치할 경우, 제조 비용이 올라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벤딩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벤딩 조절부(4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곡률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벤딩 조절부(400)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다. 벤딩 조절부(4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다. 벤딩 조절부(400)는 수동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벤딩 조절부(400)는 제1 벤딩 조절바(410) 및 제2 벤딩 조절바(420)를 포함한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전개되어 평면 형상을 갖는 경우를 평면모드라고 명명한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전개되어 곡면 형상을 갖는 경우를 곡면모드라고 명명한다. 곡면 형상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휘어진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평면모드일 경우, 벤딩 조절부(4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고, 오목한 부분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위를 향한다(도 5 참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곡면모드일 경우, 벤딩 조절부(4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고, 오목한 부분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아래를 향한다(도 8 참조).
구체적으로, 벤딩 조절부(400)는 평면모드일 경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평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도1 참조). 벤딩 조절부(400)는 곡면모드일 경우, 사용자의 압력에 의하여 소정의 곡률로 휘어질 수 있고,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벤딩 조절부(400)가 휘어짐에 따라 벤딩 조절부(400)와 동일한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다(도 6 참조).
벤딩 조절부(400)는 U자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 펼쳐진 상태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즉, 벤딩 조절부(400)의 U자형 단면은 벤딩 조절부(400)를 소정 곡률로 접을 경우, 벤딩 조절부(400)의 소정 곡률을 유지시킨다.
벤딩 조절부(400)는 폴리머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조절부(400)는 캡톤(kapto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벤딩 조절부(400)를 이용하여 원하는 곡률로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표시장치의 시각차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수이고 사용자의 시야각이 좁게 형성되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곡률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이고 사용자의 시야각이 넓게 형성되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곡률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조절부(400)는 힌지 등의 추가적인 기구 구성 없이도 간단하게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고, 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9a 내지 10d를 참조하여 다단 조절이 가능한 벤딩 조절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및 도 9b는 1단으로 곡률이 가변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d는 3단으로 곡률이 가변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벤딩 조절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 변경부(E1, E2, E3)를 갖는다. 벤딩 조절부(400)는 곡률 변경부(E1, E2, E3)에서 곡률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곡률 변경부(E1, E2, E3)에 사용자가 압력을 가할 경우, 곡률 변경부(E1, E2, E3)를 중심으로 벤딩 조절부(400)의 곡률이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곡률 변경부(E1)는 벤딩 조절부(4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조절부(400)는 곡률 변경부(E1)를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벤딩 조절부(400)는 곡률 변경부(E1)를 기준으로 1단 조절되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곡률을 조절한다. 1단 조절될 경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갖는 곡률은 하나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d를 참조하면, 벤딩 조절부(400)는 3 개의 곡률 변경부(E1, E2, E3)를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조절부(400)는 곡률 변경부(E1, E2, E3)를 기준으로 3단 조절되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곡률을 조절한다. 3단 조절될 경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갖는 곡률은 3개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중심에 배치된 곡률 변경부(E1)에서만 곡률이 변경된 경우, 좌측 및 우측 에 배치된 곡률 변경부(E2, E3)에서 곡률이 변경된 경우, 모든 곡률 변경부(E1, E2, E3)에서 곡률이 변경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4단 이상으로 다단 조절될 수 있고, 가변되는 곡률 변경부(E1, E2, E3)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벤딩 조절부(400)의 곡률 변경부(E1, E2, E3)는 손쉽게 가변되도록 절개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한 화소에 대해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A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의 각 화소에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0, 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80)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및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영역은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제1 기판(111), 제1 기판(111)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 각각에 형성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소자(80),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기판(111)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이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제1 전극(710)과, 이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이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710)은 각 화소마다 하나 이상씩 형성되므로 제1 기판(111)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전극들(710)을 가진다.
여기서 제1 전극(710)이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애노드)이며, 제2 전극(730)이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캐소드)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710)이 음극이 되고, 제2 전극(730)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극(710)은 화소 전극이고, 제2 전극(730)은 공통 전극이다.
유기 발광층(720)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절연층(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유지전극(158,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절연층(1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 축적된 전하와 한 쌍의 유지전극(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 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되고,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는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유지전극(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7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1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과 연결된 제1유지전극(158)에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제2유지전극(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에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이 드레인 접촉구멍(contact hole)(181)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의 제1 전극(7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윙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발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각 구성 별로 더욱 설명한다.
도 12에 유기 발광 소자(7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의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3, 174)은 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6, 177)과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기판(111)은 유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재료로 플라스틱 물질이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기판(310)은 캡톤(kapto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중, 폴리이미드(PI)는 내열성이 뛰어나 고온 공정을 거쳐야 하는 플렉시블 기판(310)의 소재로 적합하다.
또한, 제1 기판(111)은 5㎛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다. 제1 기판(111)이 5㎛ 미만의 두께를 가지면, 제1 기판(111)이 유기 발광 소자(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반면, 제1 기판(111)이 200㎛이상의 두께를 가지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은 3ppm/℃ ~ 10ppm/℃ 의 열팽창계수(CTE)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판(111) 위에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버퍼층(120)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옥사이드(SiO2),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SiOxNy)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퍼층(120)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제1 기판(111)의 종류 및 공정 조건 등을 고려하여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버퍼층(120) 위에 구동 반도체층(132)이 형성된다. 구동 반도체층(132)은 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및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 반도체층(132)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35)과, 채널 영역(135)의 양 옆으로 p+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포함한다. 이 때, 도핑되는 이온 물질은 붕소(B)와 같은 P형 불순물이며, 주로 B2H6이 사용된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구동 반도체층(132) 위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 ethyl ortho silicate, TEOS), 질화 규소(SiNx), 및 산화 규소(SiO2)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일례로, 게이트 절연막(140)은 40nm의 두께를 갖는 질화 규소막과 80nm의 두께를 갖는 테트라에톡시실란막이 차례로 적층된 이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게이트 절연막(140)이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구동 게이트 전극(155), 게이트 라인(도 9의 참조부호 151), 제1 유지전극(158)이 형성된다. 이때,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채널 영역(135)과 중첩 형성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구동 반도체층(13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과 드레인 영역(137)에 불순물을 도핑할 때 채널 영역(135)에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 전극(155)과 제1유지 전극(158)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이때, 금속 물질은 몰리브덴(Mo), 크롬(Cr), 및 텅스텐(W)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례로, 게이트 전극(155) 및 제1유지전극(158)은 몰리브덴(Mo) 또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 구동 게이트 전극(155)을 덮는 절연층(160)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160)은 층간 절연층일 수 있다. 절연층(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사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절연층(160)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을 구비한다.
표시 영역(DA)에 절연층(160) 위에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 제2 유지전극(178)이 형성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접촉구멍을 통해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소스 전극(176), 구동 드레인 전극(177) 및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과 제2 유지전극(178)은 몰리브덴, 크롬, 탄탈륨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내화성 금속(refractory metal) 또는 이들의 합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화성 금속막과 저저항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다중막 구조의 예로, 크롬 또는 몰리브덴(합금) 하부막과 알루미늄(합금) 상부막으로 된 이중막, 몰리브덴(합금) 하부막과 알루미늄(합금) 중간막과 몰리브덴(합금) 상부막으로 된 삼중막을 들 수 있다.
구동 소스 전극(176), 구동 드레인 전극(177) 및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 제2 유지전극(178)은 상기 설명한 재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도전재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가 형성된다. 그러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절연층(160) 상에 구동 소스 전극(176), 구동 드레인 전극(177) 등을 덮는 보호막(180)이 형성된다. 보호막(180)은 폴리아크릴계, 폴리이미드계 등과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80)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보호막(18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막(180)은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드러내는 드레인 접촉구멍(181)을 구비한다.
보호막(180) 위에 제1 전극(710)이 형성되고, 이 제1 전극(710)은 보호막(180)의 드레인 접촉구멍(181)을 통해 구동 드레인 전극(177)에 연결된다.
보호막(180)에 제1 전극(710)을 덮는 화소 정의막(190)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정의막(190)은 제1 전극(710)을 드러내는 개구부(199)를 구비한다.
즉, 제1 전극(710)은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9)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190)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화소정의막(190)은 감광성 유기재료 또는 감광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정의막(190)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SPI(Photo sensitive polymide), PA(Photo sensitive acryl), 감광 노볼락 레진(Photo sensitive Novolak res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9) 내에서 제1 전극(710) 위에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고, 화소 정의막(190) 및 유기 발광층(720) 상에 제2 전극(7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형성된다.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중 어느 하나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반투과형 또는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을 형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전면 발광형, 배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전면 발광형인 경우, 제1 전극(710)은 반투과형 또는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제2 전극(73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형 물질로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뮴(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정공 주입층이 양극인 제1 전극(710)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720)이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9) 내에만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72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이,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9) 내에서 제1 전극(710) 위 뿐만 아니라 화소 정의막(190)과 제2 전극(730)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유기 발광층(720)의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이 오픈 마스크(open)에 의해 개구부(199) 이외의 부분에도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720)의 발광층이 미세 금속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통해 각각의 개구부(199)마다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제1 전극(710)은 드레인 접촉구멍(181)을 통하여 구동 드레인 전극(177)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드레인 전극(177)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전극(710)은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인가 받는 제2 전극(common electrode)(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 사이의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결정한다.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은 축전기[이하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라 함]를 이루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turn-off)된 후에도 인가된 전압을 유지한다.
박막 봉지층(40) 형성 전 유기발광소자(70)를 보호하고, 아울러 박막 봉지층(40) 형성과정에서 유기발광소자(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전극(730) 상에 캐핑층(capping layer; 30)을 배치 한다. 물론, 캐핑층(30)은 생략 가능하고, 캐핑층(30) 대신 박막 봉지층(40)의 유기막(42)이 배치될 수 있다.
캐핑층(30)은 유기발광소자(70)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자외선 차단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박막 봉지층(40) 형성과정에서 유기막(42)을 형성하기 위해 자외선 조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특성을 갖는 캐핑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캐핑층(30)은 단일층으로 구성되나 2개 이상의 복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캐핑층(30)은 수분 또는 산소 차단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캐핑층(30) 상에 박막 봉지층(40)이 형성된다. 박막 봉지층(40)은 유기발광소자(70) 위에 직접 형성되어 구동 회로부와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시킨다.
박막 봉지층(40)은 서로 하나씩 교대로 적층되는 2개 이상의 무기막들(41)과 2개 이상의 유기막들(42)로 이루어진다. 도10 에서 3개의 무기막(41)과 2개의 유기막(42)이 하나씩 교대로 적층되어 박막 봉지층(40)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무기막(41)과 유기막(42)의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막(41)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42)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41)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한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고, 유기막(42)은 무기막(41)의 내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거나 무기막(41)의 미세 크랙 및 핀홀 등을 채우는 기능을 한다.
박막 봉지층(40) 상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터치 입력의 존재 및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한 성질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벤딩 조절부(400)는 제1 벤딩 조절바(410, 도1 참조)가 제거된 채, 제2 벤딩 조절바(420)만 배치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플렉시블 특성 및 복원력을 고려하여, 벤딩 조절부(400)는 제2 벤딩 조절바(420)만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전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곡률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벤딩 조절부(400)는 제2 벤딩 조절바(420, 도1 참조)가 제거된 채, 제1 벤딩 조절바(410)만 배치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플렉시블 특성 및 복원력을 고려하여, 벤딩 조절부(400)는 제1 벤딩 조절바(410)만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표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20: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30:캐핑층
40:박막 봉지층 41:무기막
42:유기막 70: 유기발광소자
80:축전소자 100:플렉서블 표시패널
111:제1 기판 120:버퍼층
131:스위칭 반도체층 132:구동반도체층
135:채널영역 136:소스영역
137:드레인영역 140:게이트절연막
151:게이트 라인 152: 스위칭 게이트전극
155:구동 게이트전극 158:제1유지전극
160:절연층 171:데이터 라인
172:공통 전원 라인 173:스위칭 소스전극
174:스위칭 드레인전극 176:구동 소스전극
177:구동 드레인전극 178:제2유지전극
180:평탄화막 181:드레인 접촉구멍
190:화소정의막 199:개구부
200:수납부 300:케이스
310:출입구 400:벤딩 조절부
410:제1 벤딩 조절부 420:제2 벤딩 조절부
500:스토퍼 710:제1 전극
720:유기발광층 730:제2 전극

Claims (16)

  1. 플렉서블(Flexible)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곡률을 조절하는 벤딩 조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휘어지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절부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절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 변경부를 갖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절부는 상기 곡률 변경부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절부는 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롤러블(rollable) 표시 기판인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내부에 상기 구동부를 장착하며, 외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원통형 제 1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제 1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연결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을 장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외면상에 권취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2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슬롯을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수납부 외부로 인출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수납부가 배치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일방향으로 출입시키는 출입구를 갖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 일단에 배치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출입구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표시장치.
KR1020140107713A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KR20160022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13A KR20160022434A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US14/629,430 US20160054758A1 (en) 2014-08-19 2015-02-2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13A KR20160022434A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34A true KR20160022434A (ko) 2016-03-02

Family

ID=553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13A KR20160022434A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54758A1 (ko)
KR (1) KR2016002243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3445A (zh) * 2016-09-27 2017-01-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屏的收纳装置
WO2019098776A1 (ko) * 2017-11-16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모듈 및 이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190086604A (ko) * 2018-01-12 2019-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410549B1 (en) * 2018-06-0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455710B2 (en) 2016-07-05 2019-10-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winder
CN110738932A (zh) * 2019-10-10 2020-01-3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卷曲装置和显示装置
WO2021020605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553614B2 (en) 2020-05-07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666849B2 (en) 2017-11-16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module and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2544B1 (ko) * 2015-01-12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4310B1 (ko) * 2015-02-13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54386B1 (ko) 2016-04-29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20190043390A1 (en) * 2016-06-28 2019-02-07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evice
KR102528529B1 (ko) * 2016-10-06 2023-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89222B1 (ko) * 2018-09-28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4050589A4 (en) * 2019-10-25 2023-11-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12272A1 (ko) * 2019-12-03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322136A1 (en) 2021-05-06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2929B2 (en) * 2002-09-12 2004-07-13 Gateway, Inc. Display support apparatus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TWI371008B (en) * 2007-02-16 2012-08-2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US8654519B2 (en) * 2007-11-21 2014-02-18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TW201227639A (en) * 2010-12-29 2012-07-0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of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320385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244494B2 (en) * 2013-06-06 2016-01-26 Matthew C. Hinson Electronic retractable blueprint display device for viewing and manipulating full-size and half-size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plan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5710B2 (en) 2016-07-05 2019-10-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winder
US10932375B2 (en) 2016-07-05 2021-02-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29920B2 (en) 2016-07-05 2023-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winder
CN106333445A (zh) * 2016-09-27 2017-01-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屏的收纳装置
WO2019098776A1 (ko) * 2017-11-16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모듈 및 이를 갖춘 공기청정기
US11666849B2 (en) 2017-11-16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module and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90086604A (ko) * 2018-01-12 2019-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410549B1 (en) * 2018-06-0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769971B2 (en) 2018-06-01 2020-09-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020605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738932A (zh) * 2019-10-10 2020-01-3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卷曲装置和显示装置
US11553614B2 (en) 2020-05-07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4758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2434A (ko) 표시장치
US11289679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54740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EP2963687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10255863B2 (en)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including a drive portion on the third region
KR102375085B1 (ko) 표시 장치
US950265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35738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6910839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1007329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86998A (ko) 표시 장치
KR2014014098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6026092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ng the same
US1166595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273443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US1154552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32567B1 (ko) 표시장치
US92574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portable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205859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018837B2 (en) Display device
KR201900421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28580A1 (en) Display device
US202202312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090260A1 (en) Display apparatus
KR2021012620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