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544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544B1
KR102352544B1 KR1020150003967A KR20150003967A KR102352544B1 KR 102352544 B1 KR102352544 B1 KR 102352544B1 KR 1020150003967 A KR1020150003967 A KR 1020150003967A KR 20150003967 A KR20150003967 A KR 20150003967A KR 102352544 B1 KR102352544 B1 KR 10235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display panel
jig
hous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998A (ko
Inventor
이정헌
김연준
이상조
이주석
장미
최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544B1/ko
Priority to US14/991,743 priority patent/US10146260B2/en
Publication of KR2016008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일단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제 1 지그; 상기 보호 필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제 2 지그; 및 상기 제 1 지그,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제1 단부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제1 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는 제1 지그와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Flexible) 표시 패널을 하우징 내에 권취(rolling)하여 보관했다가 필요시 전개(unrolling)하여 사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크기에 비해 표시 장치의 부피를 작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다만,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일단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제 1 지그; 상기 보호 필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제 2 지그; 및 상기 제 1 지그,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제1 단부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제1 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는 제1 지그와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제 2 지그를 연결하는 제 2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제 2 와이어보다 큰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2 와이어는 판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2 지그,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지그,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출입되는 제 1 출입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보호 필름이 출입되는 제 2 출입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출입구는 상기 제 1 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출입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및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타단과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그의 단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그의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에 보호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에 보호 필름이 직접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중립면(Neutral Plane)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고, 보호 필름만 따로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될 때 보호 필름이 별도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납되기 때문에 보호 필름이 사용자로 하여금 시인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권취되어 수납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I-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권취되어 수납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40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일단 및 보호 필름(400)의 일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과 보호 필름(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타단과 연결된 손잡이(600), 보호 필름(400)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보호 필름(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 2 지그(520),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및 보호 필름(400)이 수납되는 제 1 하우징(710), 및 제 2 지그(520)와 보호 필름(400)이 수납되는 제 2 하우징(720)을 포함한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은 제 1 지그(510)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rolling)되거나 권출(unrolling)될 수 있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은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일단은 예를 들어, 제 1 와이어(515)을 통하여 제 1 지그(510)와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과 제 1 와이어(515)는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지그(51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제 1 와이어(515)는 권출된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다시 제 1 지그(510)에 권취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 1 지그(510)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권출된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권취될 수도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의 타단은 손잡이(600)에 연결된다. 손잡이(600)는 제 1 지그(510)에 권취된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가 권출될 수 있도록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600)는 사용자(user)가 직접 손으로 당기거나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당겨질 수 있다.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 상에 배치된다.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장치(400)의 적어도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가 제 1 지그(51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플렉시블 표시 장치(100)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지만,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에 직접 부착되지는 않기 때문에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중립면(Neutral Plane)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중립면(NP)은 어떠한 물질이 힘을 받아 휘어질 때,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고 본래의 길이를 유지하는 면을 말한다. 중립면(NP)의 위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의 두께와 탄성 계수 등에 따라 결정된다.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에 직접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 필름(400)만 별도로 교체가 가능하다.
보호 필름(400)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및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 필름 재료는 본 발명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400)의 일단은 예를 들어, 제 1 와이어(515)을 통하여 제 1 지그(510)와 연결될 수 있다. 보호 필름(400)과 제 1 와이어(515)는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지그(51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제 1 와이어(515)는 권출된 보호 필름(400)이 다시 제 1 지그(510)에 권취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 1 지그(510)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권출된 보호 필름(400)이 권취될 수도 있다.
보호 필름(400)의 타단은 예를 들어, 제 2 와이어(525)을 통하여 제 2 지그(520)와 연결될 수 있다. 보호 필름(400)과 제 2 와이어(515)는 동일한 방향으로 제 2 지그(51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제 2 와이어(525)는 권출된 보호 필름(400)이 다시 제 2 지그(510)에 권취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 2 지그(520)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권출된 보호 필름(400)이 권취될 수도 있다.
제 1 와이어(515)는 제 2 와이어(525) 보다 큰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제 1 와이어(515) 및 제 2 와이어(525)는 판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동작 메커니즘은 후술한다.
제 1 하우징(710)은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및 보호 필름(400)을 수납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지그(510)의 단부는 제 1 하우징(7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710)은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71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출입되는 제 1 출입구(715)를 갖는다. 손잡이(600)는 제 1 하우징(710)의 제 1 출입구(715)에 결합됨으로써,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제 1 하우징(710) 내부로 완전히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720)은 제 2 지그(520), 및 보호 필름(400)을 수납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지그(520)의 단부는 제 1 하우징(7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7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720)은 보호 필름(400)이 출입되는 제 2 출입구(725)를 가질 수 있다.
즉, 보호 필름(40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제 1 하우징(710) 내에 권취되어 수납됨에 따라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제 1 하우징(710) 외부로 전개됨에 따라 제 2 하우징(720)으로 수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2 하우징(720)이 제 1 하우징(71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하우징(720)은 제 1 하우징(71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제 1 지그(510)에 완전히 권취된 경우이고, 도 4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전개되는 과정이고, 도 5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완전히 전개된 경우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600)를 당기면,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은 제 1 지그(510)로부터 권출되면서, 제 1 출입구(715)를 통하여 제 1 하우징(710) 외부로 전개된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완전히 전개되면, 제 1 와이어(515)는 최대한 늘어나 탄성 복원력을 저장한다.
이 때,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400)은 제 2 와이어(5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2 지그(520)에 권취된다. 이때, 보호 필름(400)은 제 2 출입구(725)를 통하여 제 2 하우징(720) 내에 수납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600)를 밀거나 더 이상 당기지 않는 경우,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은 제 1 와이어(51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1 지그(510)에 권취된다.
제 1 와이어(515)는 제 2 와이어(525)보다 큰 탄성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보호 필름(400)은 제 2 지그(520)로부터 권출되면서, 다시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과 함께 제 1 지그에 권취된다. 보호 필름(400)이 제 1 지그(510)에 완전히 권취되면, 제 2 와이어(525)는 최대한 늘어나 탄성 복원력을 저장한다.
보호 필름(400)은 제 1 하우징(710) 내에서만 권취되거나 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보호 필름(400)이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관한 설명 가운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40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일단 및 보호 필름(400)의 일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과 보호 필름(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타단과 연결된 손잡이(600), 보호 필름(400)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보호 필름(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 2 지그(520),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및 보호 필름(400)이 수납되는 제 1 하우징(710)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71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출입되는 제 1 출입구(715)를 갖는다. 또한, 제 1 하우징(710)은 제 2 지그(520)와 제 2 지그(520)에 권취된 보호 필름(400)이 수납되는 수납홈(717)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40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일단 및 보호 필름(400)의 일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과 보호 필름(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의 타단과 연결된 손잡이(600), 보호 필름(400)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보호 필름(400)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제 2 지그(520), 제 1 지그(510),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 및 보호 필름(400)이 수납되는 제 1 하우징(710), 및 제 2 지그(520)와 보호 필름(400)이 수납되는 제 2 하우징(720)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71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이 출입되는 제 1 출입구(715)를 갖고, 제 2 하우징(720)은 보호 필름(400)이 출입되는 제 2 출입구(725)를 갖는다.
제 2 하우징(720)은 제 1 하우징(7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하우징(720)의 제 2 출입구(725)와 제 1 하우징(710)의 제 1 출입구(715)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도 7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출입구(725)는 제 1 하우징(710) 내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도 8 참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I-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은 플렉시블 기판(110) 상에 배치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소자(30),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40)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기판(110)은 캡톤(kapto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폴리이미드(PI)는 내열성이 뛰어나 고온 공정을 거쳐야 하는 플렉시블 기판(110)의 소재로 적합하다.
플렉시블 기판(110)은 5㎛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110)이 5㎛ 미만의 두께를 가지면, 플렉시블 기판(110)이 구동 회로부(120) 및 표시 소자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반면, 플렉시블 기판(110)이 200㎛이상의 두께를 가지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10)은 3ppm/℃ ~ 10ppm/℃ 의 열팽창계수(CTE)를 가질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110) 상에 버퍼층(120)이 배치된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버퍼층(120)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옥사이드(SiO2),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SiOxNy)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기판(110)의 종류 및 공정 조건 등을 고려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20) 상에 스위칭 반도체층(131) 및 구동 반도체층(132)이 배치된다. 스위칭 반도체층(131) 및 구동 반도체층(132)은 다결정 규소막, 비정질 규소막, 및 IGZO(Indium-Galuim-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구동 반도체층(132)이 다결정 규소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 반도체층(132)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35)과, 채널 영역(135)의 양 옆으로 p+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포함한다. 이 때, 도핑되는 이온 물질은 붕소(B)와 같은 P형 불순물이며, 주로 B2H6이 사용된다. 이러한 불순물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로 P형 불순물을 사용한 PMOS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으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로 NMOS 구조 또는 CMOS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31) 및 구동 반도체층(132) 상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ylOrthoSilicate, TEOS), 질화 규소(SiNx) 및 산화 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게이트 절연막(140)은 40nm의 두께를 갖는 질화규소막과 80nm의 두께를 갖는 테트라에톡시실란막이 차례로 적층된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 게이트 전극(152, 155)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이 배치된다.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라인(151), 제 1 축전판(158) 및 그 밖의 배선을 더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152, 155)은 반도체층(131, 132)의 적어도 일부, 특히 채널 영역(135)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152, 155)은 반도체층(131, 132) 형성과정에서 반도체층(131, 132)의 소스 영역(136)과 드레인 영역(137)에 불순물이 도핑될 때 채널 영역(135)에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 전극(152, 155)과 제 1 축전판(158)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게이트 전극(152, 155)과 제 1 축전판(158)은 몰리브덴(Mo), 크롬(Cr),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 게이트 전극(152, 155)을 덮는 층간 절연막(160)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또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층간 절연막(160)상에 소스 전극(173, 176) 및 드레인 전극(174, 177)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이 배치된다.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 제 2 축전판(178) 및 그 밖에 배선을 더 포함한다. 소스 전극(173, 176) 및 드레인 전극(174, 177)은 게이트 절연막(140)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하여 반도체층(131, 132)의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과 각각 연결된다.
층간 절연막(160)상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 소스 전극(173, 176), 드레인 전극(174, 177), 및 제 2 축전판(178)을 덮는 평탄화막(180)이 배치된다. 평탄화막(180)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40)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탄화막(18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10, 20)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축전 소자(30)는 층간 절연막(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축전판(158)과 제 2 축전판(178)을 포함한다.
이 때, 절연층(160)은 유전체가 될 수 있으며, 축전 소자(30)에 축적된 전하와 제 1 축전판(158)과 제 2 축전판(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 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 1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40)를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화소 전극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제 1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제 2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컨택홀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210)의 화소 전극(211)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3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3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4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40)가 발광하게 된다.
유기 발광 소자(40)는 화소 전극(210)과, 화소 전극(210) 상에 배치된 발광층(230), 및 유기 발광층(230) 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240)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210)은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막(180)상에 유기 발광 소자(40)의 화소 전극(210)이 배치된다. 화소 전극(210)은 평탄화막(180)에 형성된 컨택홀(181)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77)과 연결된다.
평탄화막(180)상에 화소 전극(210)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220)이 배치된다. 화소정의막(220)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소 영역 내의 화소 전극(210)상에 발광층(230)이 배치되고, 화소정의막(220) 및 발광층(230) 상에 공통 전극(240)이 배치된다. 발광층(23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화소전극(210)과 발광층(230)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고, 발광층(230)과 공통 전극(240) 사이에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210) 및 공통 전극(240)은 투과형 전극, 반투과형 전극 및 반사형 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형 전극 형성을 위하여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CO)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산화 아연(ZnO),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투과형 전극 및 반사형 전극 형성을 위하여 마그네슘(Mg), 은(Ag), 금(Au), 칼슘(Ca), 리튬(Li), 크롬(Cr), 알루미늄(Al), 구리(Cu)와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반투과형 전극과 반사형 전극은 두께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반투과형 전극은 약 200n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반사형 전극은 3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진다. 반투과형 전극은 두께가 얇아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지만 저항이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낮아진다.
또한, 반투과형 및 반사형 전극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으로 된 금속층과 금속층상에 적층된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300) 형성 전 유기 발광 소자(40)를 보호하고, 아울러 박막 봉지층(300) 형성 과정에서 유기 발광 소자(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통 전극(240) 상에 캐핑층(capping layer; 250)을 배치 한다. 캐핑층(250)은 단일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분 또는 산소 차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캐핑층(250)은 생략 가능하고, 캐핑층(250) 대신 박막 봉지층(300)의 유기막(3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캐핑층(250) 상에 박막 봉지층(300)이 형성된다. 박막 봉지층(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막(3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막(320)을 포함한다. 또한, 박막 봉지층(300)은 무기막(310)과 유기막(320)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무기막(310)이 최하부에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300)은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막(310)과 유기막(320)의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막(310)은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320)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31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100)을 향한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고, 유기막(320)은 무기막(310)의 내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거나 무기막(310)의 미세 크랙 및 핀홀 등을 채우는 기능을 한다.
박막 봉지층(300) 상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터치 입력의 존재 및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한 성질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플렉시블 표시 패널 400: 보호 필름
510: 제 1 지그 515: 제 1 와이어
520: 제 2 지그 525: 제 2 와이어
600: 손잡이 710: 제 1 하우징
720: 제 2 하우징

Claims (17)

  1.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일단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제 1 지그;
    상기 보호 필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제 2 지그; 및
    상기 제 1 지그,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제1 단부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제1 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는 제1 지그와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제 2 지그를 연결하는 제 2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제 2 와이어보다 큰 탄성 복원력을 갖는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2 와이어는 판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2 지그,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홈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그, 및 상기 보호 필름이 수납되는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이 출입되는 제 1 출입구를 갖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보호 필름이 출입되는 제 2 출입구를 갖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입구는 상기 제 1 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입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된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및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타단과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그의 단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표시 장치.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그의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표시 장치.
KR1020150003967A 2015-01-12 2015-01-12 표시 장치 KR10235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967A KR102352544B1 (ko) 2015-01-12 2015-01-12 표시 장치
US14/991,743 US10146260B2 (en) 2015-01-12 2016-01-08 Rolla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967A KR102352544B1 (ko) 2015-01-12 2015-01-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998A KR20160086998A (ko) 2016-07-21
KR102352544B1 true KR102352544B1 (ko) 2022-01-19

Family

ID=5636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967A KR102352544B1 (ko) 2015-01-12 2015-01-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46260B2 (ko)
KR (1) KR102352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7222B (zh) * 2013-07-01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D821347S1 (en) * 2016-02-19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28317S1 (en) * 2016-02-19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630108B1 (ko) 2016-10-04 2024-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8222B1 (ko) * 2016-10-17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332711B1 (ko) *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274397B1 (ko) * 2017-08-30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545849B (zh) * 2017-09-01 2021-03-02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469194B1 (ko) * 2017-12-27 2022-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TWM574253U (zh) * 2018-03-09 2019-02-1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可捲收型顯示器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48456B2 (en) * 2018-07-30 2020-08-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D900761S1 (en) * 2018-08-2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monitor
TWD200861S (zh) * 2018-10-16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電視機
KR20200046336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9817B1 (ko) * 2018-11-08 2023-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80665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196941A1 (ko) * 2019-03-26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CN109979331A (zh) * 2019-04-29 2019-07-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D956710S1 (en) * 2019-06-04 2022-07-0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with rollable display
EP4050589A4 (en) * 2019-10-25 2023-11-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32997A1 (en) *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1141159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724686B (zh) * 2020-06-29 2022-04-22 深圳市昂岱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led显示屏
CN112002226B (zh) * 2020-08-17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2233558A (zh) * 2020-10-29 2021-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562506B (zh) * 2020-11-30 2022-08-0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屏幕保护装置
WO2023089797A1 (ja) * 2021-11-22 2023-05-25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巻取り式表示装置、及び、巻取り式表示装置の発光情報検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1002A1 (en) * 2006-04-18 2007-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display
US20120050075A1 (en) * 2010-08-24 2012-03-01 Salmon Peter C Retract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8114C1 (ko) * 1988-11-10 1989-12-21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De
JP2000132122A (ja) 1998-10-28 2000-05-12 Fuji Photo Film Co Ltd 継続表示可能な巻物型ディスプレー
US6038800A (en) * 1999-07-23 2000-03-21 Seidel; Gregg A. Advertising display device
US6644606B1 (en) * 2000-06-29 2003-11-11 Gregg A. Seidel Mounting support bracket for an advertising windup reel
JP2006507543A (ja) * 2002-11-21 2006-03-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WO2004084171A1 (ja) * 2003-03-19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表示装置
CA2427885C (en) * 2003-05-01 2006-04-11 William Kochan Display device
EP2204971B1 (en) 2004-05-21 2014-10-15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with strain reduction
KR100818170B1 (ko) 2007-03-13 2008-04-02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US8531758B2 (en) * 2007-04-16 2013-09-10 Creator Technology B.V.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rollers
CN102598863B (zh) * 2009-11-19 2015-07-29 株式会社尼康 引导部件、基板、基板筒、基板处理装置、引导部件连接方法、显示元件的制造方法及显示元件的制造装置
KR101780419B1 (ko) * 2011-02-15 2017-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4-03-10 최성림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US20150029229A1 (en) *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KR20150110848A (ko) * 2014-03-20 2015-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940892B2 (en) * 2014-05-20 2018-04-1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022434A (ko) * 2014-08-19 2016-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00024B1 (ko) * 2014-10-23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6034B1 (ko) * 2014-11-17 2021-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0437B1 (ko) *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55328B1 (ko) * 2015-01-15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04310B1 (ko) * 2015-02-13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305923B1 (ko) * 2015-02-1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375085B1 (ko) * 2015-04-30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1002A1 (en) * 2006-04-18 2007-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display
US20120050075A1 (en) * 2010-08-24 2012-03-01 Salmon Peter C Retrac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46260B2 (en) 2018-12-04
US20160202729A1 (en) 2016-07-14
KR20160086998A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544B1 (ko) 표시 장치
KR102375085B1 (ko) 표시 장치
KR102339290B1 (ko) 표시 장치
KR10254740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54065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066582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45631B1 (ko) 벤디드 표시 장치
CN105870149B (zh) 柔性显示装置
US1144220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283584B1 (ko) 표시장치
KR20230113701A (ko) 플렉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014881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98905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77500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1003877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89608A (ko) 표시 장치
KR2022009916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2574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469393B2 (en) Display device
KR102664582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3053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