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909A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909A
KR20160040909A KR1020140134428A KR20140134428A KR20160040909A KR 20160040909 A KR20160040909 A KR 20160040909A KR 1020140134428 A KR1020140134428 A KR 1020140134428A KR 20140134428 A KR20140134428 A KR 20140134428A KR 20160040909 A KR20160040909 A KR 2016004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de
area
portable devic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657B1 (ko
Inventor
이도영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57B1/ko
Priority to PCT/KR2014/011675 priority patent/WO2016056703A1/en
Priority to US14/562,160 priority patent/US9746883B2/en
Publication of KR2016004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넓은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폴더블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의 휴대성이 높아질 수 있다. 최근에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세 개의 바디가 폴딩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제안되고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모든 바디가 폴딩된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모든 바디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바디의 폴딩 상태에 따라 동작 방법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앙의 제 1 바디, 제 1 바디의 옆에 위치한 제 2 바디 및 제 1 바디의 다른 옆에 위치한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서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고, 변경된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중앙의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옆에 위치한 제 2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다른 옆에 위치한 제 3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바디 전면의 제 1 영역, 상기 제 2 바디 전면의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바디 전면의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디텍트하는 제 1 센서 유닛, 상기 제 2 바디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는 제 2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2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고,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중앙의 제 1 바디, 제 1 바디의 옆에 위치한 제 2 바디 및 제 1 바디의 다른 옆에 위치한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서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고, 변경된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 여부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공통으로 제어되는 오브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중앙의 제 1 바디, 제 1 바디의 옆에 제 2 바디 및 제 1 바디의 다른 옆에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중앙의 제 1 바디의 좌측에 제 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의 우측에 제 3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바디의 좌측에 위치한 제 2 바디는 제 1 바디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의 우측에 위치한 제 3 바디는 제 1 바디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가 제 1 바디의 우측에 위치하고, 제 3 바디가 제 1 바디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폴딩될 수 있는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는 하나의 통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구조로서 폴딩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를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로서,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두 개의 폴딩 라인에 기초하여 두 번 폴딩된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세 개의 영역은 상술한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두 개의 폴딩 라인에 기초하여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제 1 센서 유닛(120), 제 2 센서 유닛(13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유닛들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이루는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들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우징된 하나의 독립한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 1 바디의 제 1 영역, 제 2 바디의 제 2 영역 및 제 3 바디의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바디는 제 1 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제 1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제 2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바디는 제 3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제 3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의 바디에 별도로 포함되어 각각의 바디에 포함된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하나의 통합된 유닛으로서, 상술한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하나의 통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폴딩에 기초하여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각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상술한 제 1 바디의 제 1 영역, 제 2 바디의 제 2 영역 및 제 3 바디의 제 3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 1 바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의 전면 영역 및 후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 1 영역은 제 1 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은 제 1 바디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설정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센서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센서 유닛(120)은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의 폴딩 상태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센서 유닛(120)은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제 1 바디로 폴딩되는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일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 유닛(120)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 유닛(120)은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센서 유닛(120)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또는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내각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언폴디드 상태인지 또는 폴디드 상태인지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 1 센서 유닛(120)은 각각의 바디의 거리를 이용하거나 힌지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각각의 바디의 폴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 유닛(120)은 디텍트된 폴딩 정보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 1 센서 유닛(120)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폴딩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는 센서 유닛일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센서 유닛(130)은 각각의 바디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때, 리얼 오브젝트는 유저의 손 또는 책상 등일 수 있다. 즉, 제 2 센서 유닛(130)은 각각의 바디 중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센서 유닛(130)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2 센서 유닛(130)은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센서 유닛(130)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각각의 바디의 후면과 다른 리얼 오브젝트의 거리에 기초하여 맞닿은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제 2 센서 유닛(130)은 각각의 바디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은 제스처 인풋으로서,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풋은 인풋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인풋 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통해 입력되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통합된 엘레멘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제 1 센서 유닛(120), 제 2 센서 유닛(130) 및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50)는 제 1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폴딩 상태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폴딩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제 1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내각인 제 1 폴딩 각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내각인 제 2 폴딩 각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폴딩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매우 작은 각도로서 폴딩 상태를 디텍트하는 각도일 수 있다. 즉, 제 1 모드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제 1 바디로 모두 폴딩된 상태일 때 설정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모드는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언폴딩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180도 근방의 매우 큰 각도로서 언폴딩 상태를 디텍트하는 각도일 수 있다. 즉, 제 1 모드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모두 언폴딩된 상태일 때 설정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제 1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 2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각각의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인지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4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고,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제 1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드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엘레먼트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바디(220)는 제 1 바디(210)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바디(230)는 제 1 바디(21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전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면 방향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후면 방향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방향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유저가 잡고 있는 경우, 전면 방향은 유저를 향하는 방향이고, 후면 방향은 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바디(220)는 제 2 바디(220)의 전면과 제 1 바디(210)의 전면이 오버랩되도록 제 1 바디(210)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 3 바디(230)는 제 3 바디(230)의 후면과 제 1 바디(210)의 후면이 오버랩되도록 제 1 바디(210)로 폴딩될 수 있다. 즉,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는 각각 제 1 바디(210)의 다른 면과 접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제 2 바디(220)는 제 2 바디(220)의 후면과 제 1 바디(210)의 후면이 오버랩되도록 제 1 바디(210)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 3 바디(230)는 제 3 바디(230)의 전면과 제 1 바디(210)의 전면이 오버랩되도록 제 1 바디(210)로 폴딩될 수 있다. 즉,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는 각각 제 1 바디(210)의 다른 면과 접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즉,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모두 언폴딩된 상태이면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모두 폴딩된 상태이면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폴딩 각도(310) 및 제 2 폴딩 각도(320)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310)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이고,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320)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인 상태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90도부터 180도 중 어느 한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0도부터 90도 중 어느 한 각도일 수 있다. 즉,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및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제 1 바디(210),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의 폴딩 상태를 결정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리얼 오브젝트는 유저 또는 책상 등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폴딩 각도(310)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이고, 제 2 폴딩 각도(320)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이고, 제 2 바디(220)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이면 제 1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책상 등에 거치되어 일정한 형태로 사용되는 폴딩 상태를 디텍트하고, 제 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모드는 크래들 모드로서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일정한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세 개의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노트북 및 기타 거치된 형태의 디바이스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가 설정됨을 더 디텍트할때만 제 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 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포트레이트 모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세로로 사용될 때의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랜드 스케이프 모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가로로 사용될 때의 모드일 수 있다.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미도시)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방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방향에 기초하여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 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 상태에서만 제 2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2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모두 언폴딩되어 제 1 모드가 설정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 제 2 바디의 제 2 영역(220) 및 제 3 바디(230)의 제 3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전체 바디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기설정된 비율로 축소하여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영역의 크기에 맞게 축소하여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모두 폴딩되어 제 1 모드가 설정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의 제 2 영역 또는 제 3 바디(230)의 제 3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동일한 크기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410)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어플리케이션(410)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 1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실행된 제 1 어플리케이션(410)을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의 제 2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410)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어플리케이션(4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410)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43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430)는 제 1 어플리케이션(410)에 포함된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등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오브젝트(430)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410)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오브젝트(430)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중 검색창(430)일 수 있다. 이때, 제 2 어플리케이션(420)은 검색창(430)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가상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유저가 제 1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410)의 검색창(430)와 관련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42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410)은 제 2 오브젝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오브젝트(450)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450)와 관련된 제 3 어플리케이션(44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어플리케이션(440)은 이미지 저장 여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410)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4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410)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430)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제 1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430)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42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2 오브젝트(450)를 선택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제 1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450)와 관련된 제 3 어플리케이션(44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2 모드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42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450)를 선택하는 제 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3 어플리케이션(44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520)을 이용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510)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53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어플리케이션(520)에 대한 컨트롤 인풋일 이용하여 제 1 오브젝트(5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510)으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53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510)에 포함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 2 어플리케이션(520)은 제 1 오브젝트(530)에 대한 편집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어플리케이션(520)에서 디텍트되는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제 1 오브젝트(5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어플리케이션(520)을 이용하여 이미지인 제 1 오브젝트(530)를 편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510)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550)에 대한 제 3 어플리케이션(54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브젝트(55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510)에 포함된 이미지이고, 제 3 어플리케이션(540)은 편집 어플리케이션(540)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540)을 이용하여 제 2 오브젝트(5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510)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2 모드로 설정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230)의 제 3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제 2 모드로 설정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의 제 2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230)의 제 3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별도로 제 3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610, 6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저(610)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저(620)는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610) 및 제 2 유저(620)의 컨트롤 인풋을 각각 디텍트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 및 제 3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별도로 디텍트하고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들(610, 62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610, 620)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7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어플리케이션(710)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710)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7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어플리케이션(720)은 가상 키보드 어플리케이션(720)일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어플리케이션(720)으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3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7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어플리케이션(730)은 제 1 어플리케이션(710)과 다른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730)은 제 2 어플리케이션(720)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730)에 대한 별도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제 3 어플리케이션(7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730)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별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들(610, 62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을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810)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820)을 제 2 바디(220)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의 폴딩 상태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와 제 2 바디(220)의 제 1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210)와 제 3 바디(230)의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이고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인 상태를 유지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폴딩 각도가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폴딩 각도는 제 1 바디(210)와 제 2 바디(220)가 완전하게 폴딩되거나 완전하게 언폴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도일 수 있다. 이때, 제 2 폴딩 각도는 제 1 바디(210)와 제 3 바디(230)가 언폴딩 상태로 변경되는 각도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와 제 2 바디(220)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제 3 바디(230)가 완전하게 언폴딩된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을 제 1 영역에서 제 3 영역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을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3 바디(230)를 언폴딩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의 제 2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810)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230)의 제 3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은 제 1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은 제 1 어플리케이션(810)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의 폴딩 상태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바디(210)와 제 2 바디(220)의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와 제 3 바디(230)의 제 2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제 2 바디(220) 또는 제 3바디(230)가 완전하게 언폴딩됨을 디텍트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완전하게 언폴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제 3 영역에서 제 1 영역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세 개의 바디가 모두 언폴딩되면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언폴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어플리케이션(820)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어플리케이션(820)은 제 3 어플리케이션(830)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 2 어플리케이션(8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810)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언폴딩되기 전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모두 언폴딩되는 경우,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이용하는 유저가 확장된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언폴딩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830)과 관련된 제 4 어플리케이션(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4 어플리케이션은 제 3 어플리케이션(830)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4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2 모드에서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가 모두 언폴딩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 3 어플리케이션(830)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4 어플리케이션을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가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 여부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미도시)를 통해서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회전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0a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220)의 제 2 영역에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1010)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의 어드밴스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은 제 2 어플리케이션(1020)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저(6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을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바디(230)의 제 3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은 제 2 어플리케이션(1020)과 연결되지 않은 심플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은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으로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유저(620)는 별도의 컨트롤 인풋으로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10b를 참조하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미도시)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각도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여부를 디텍트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을 제 3바디(230)의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을 제 1 바디(210)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을 제 2바디(220)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은 제 3 어플리케이션(1030)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은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심플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은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 1 유저(6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회전하면 기존에 시청하던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을 제 3 영역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 1 유저(610)는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을 이용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1010)을 제어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은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은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의 어드밴스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때,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은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 2 유저(62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회전하면 기존에 시청하던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을 제 1 영역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제 2 유저(620)는 제 2 유저(620)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1020)을 이용하여 제 3 어플리케이션(10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저들(610, 62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방향에 기초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공통으로 제어되는 오브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1110)을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3 어플리케이션(1130)을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어플리케이션(1110)은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 2 어플리케이션(1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3 어플리케이션(1130)은 제 2 어플리케이션(1120)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유저(6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1110)을 제 2 어플리케이션(1120)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저(620)는 제 3 어플리케이션(1130)을 별도의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제 1 오브젝트(1140)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1140)는 아이콘,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1140)는 제 2 어플리케이션(1120)에 의해 공통으로 제어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즉, 제 1 오브젝트(1140)는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에 모두 디스플레이되고, 제 2 어플리케이션(1120)을 통해 공통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에 공통으로 제어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1210) 이때,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이면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언폴딩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모두 언폴딩되면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이면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폴딩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가 모두 폴딩되면 제 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2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 유닛(120)은 각각의 바디 간의 내각 또는 각각의 바디 간의 거리 및 힌지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 1 폴딩 각도 및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30) 이때,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레스홀드 각도는 90도부터 180도 중 어느 한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0도부터 90도 중 어느 한 각도일 수 있다. 즉,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및 제 2 스레스홀드 각도는 제 1 바디(210), 제 2 바디(220) 및 제 3 바디(230)의 폴딩 상태를 결정하는 임계 각도일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바디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4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제 2 바디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센서 유닛(130)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2 센서 유닛(130)은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센서 유닛(130)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각각의 바디의 후면과 다른 리얼오브젝트의 거리에 기초하여 맞닿은 상태인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1250) 이때,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등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오브젝트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포터블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제 1 센서 유닛
130 : 제 2 센서 유닛
140 :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150 : 프로세서

Claims (20)

  1. 중앙의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옆에 위치한 제 2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다른 옆에 위치한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전면의 제 1 영역, 상기 제 2 바디 전면의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바디 전면의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디텍트하는 제 1 센서 유닛;
    상기 제 2 바디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는 제 2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2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고,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가 설정됨을 더 디텍트할 때, 상기 제 2 모드를 설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3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 3 영역에 제 3 어플리케이션을 더 디스플레이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가 상기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이고,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인 상태를 유지함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제 4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3 영역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가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과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제 4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가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과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제 4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으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3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4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4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 여부를 디텍트하는 회전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3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영역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3 영역 각각에 제 2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브젝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공통으로 제어되는 오브젝트인,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이면 상기 제 1 모드를 설정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로 전환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기설정된 비율로 축소하여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제 3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이면 상기 제 1 모드를 설정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3 영역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로 전환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3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0. 중앙의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옆에 위치한 제 2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다른 옆에 위치한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134428A 2014-10-06 2014-10-0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28A KR102243657B1 (ko) 2014-10-06 2014-10-0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4/011675 WO2016056703A1 (en) 2014-10-06 2014-12-02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4/562,160 US9746883B2 (en) 2014-10-06 2014-12-05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28A KR102243657B1 (ko) 2014-10-06 2014-10-0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09A true KR20160040909A (ko) 2016-04-15
KR102243657B1 KR102243657B1 (ko) 2021-04-23

Family

ID=5563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428A KR102243657B1 (ko) 2014-10-06 2014-10-0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46883B2 (ko)
KR (1) KR102243657B1 (ko)
WO (1) WO2016056703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555A1 (ko) * 2016-08-19 2018-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04151B1 (ko) * 2019-09-25 2021-01-18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WO2021060819A1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각도 변화에 기반하여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36313A (ko) * 2019-09-25 2021-04-02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WO2022030990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98195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220401A1 (ko) * 2021-04-16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08703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패널을 제공하는 방법
US11880549B2 (en) 2021-07-30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anel for control of applica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24080648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406917U (zh) 2015-01-16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用途会议终端
CN104915057A (zh) * 2015-05-25 2015-09-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325374B (zh) * 2015-06-30 2024-06-1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显示处理方法
US20170131803A1 (en) * 2015-11-06 2017-05-11 Intel Corporation Accepting plural user input
KR102501528B1 (ko) * 2015-11-06 202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107204A1 (zh) * 2015-12-25 2017-06-2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系统
KR20170077670A (ko) * 2015-12-28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89768B2 (en) * 2015-12-30 2019-11-2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Keyboard application with third party engagement selectable items
US10248224B2 (en) * 2016-10-25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based on interactions with a physical hinge
CN106774671B (zh) * 2016-12-22 2023-07-14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屏幕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6947843B2 (ja) * 2017-04-20 2021-10-13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US10788934B2 (en) * 2017-05-14 2020-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adjustment
TWI707253B (zh) * 2018-05-24 2020-10-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第二螢幕之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CN108958580B (zh) * 2018-06-28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102638783B1 (ko) 2018-10-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650857B1 (ko) * 2018-12-17 2024-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US11347367B2 (en) 2019-01-18 2022-05-3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ee do user interface management
US11009907B2 (en) 2019-01-18 2021-05-18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er interface selection based on keyboard configuration
CN110308885B (zh) * 2019-06-25 2022-04-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及移动终端
CN117632067A (zh) * 2019-08-01 2024-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806829B (zh) * 2019-09-05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设备的显示方法及折叠屏设备
US11138912B2 (en) * 2019-10-01 2021-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screen modes on a bendable computing device
KR20210044975A (ko) 2019-10-16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101684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079854B (zh) * 2021-09-08 2023-05-02 荣耀终端有限公司 状态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656832B1 (en) * 2022-01-06 2023-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directions for configuring mechanically adjustable display scre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4244A1 (en) * 2008-09-08 2010-03-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20100182265A1 (en) * 2009-01-09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folda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625A1 (en) * 1999-10-18 2008-03-13 Jeffrey Batio Portable computer for dual, rotatable screens
US20120084693A1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Modals in du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US7443179B2 (en) 2006-11-30 2008-10-28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Zero motion contact actuation
US8928551B2 (en) * 2009-07-07 2015-01-06 Village Green Technologies, LLC Multiple display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use
US9046992B2 (en) * 2010-10-01 2015-06-02 Z124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user interface
US8606340B2 (en) *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EP3734404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349342B2 (en) * 2012-03-05 2016-05-24 Beijing Lenovo Software Ltd.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8971029B2 (en) * 2012-03-26 2015-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display hinge assembly
KR20130006041U (ko) * 2012-04-09 2013-10-17 이용노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
US20130271355A1 (en) *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KR102080896B1 (ko) * 2013-01-29 2020-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27134B2 (en) * 2013-10-29 2017-08-0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power management for dual screen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4244A1 (en) * 2008-09-08 2010-03-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20100182265A1 (en) * 2009-01-09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folda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555A1 (ko) * 2016-08-19 2018-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483715A4 (en) * 2016-08-19 2019-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1036257B2 (en) 2016-08-19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WO2021060819A1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각도 변화에 기반하여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4151B1 (ko) * 2019-09-25 2021-01-18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KR20210036313A (ko) * 2019-09-25 2021-04-02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WO2022030990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98195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220401A1 (ko) * 2021-04-16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08703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패널을 제공하는 방법
US11880549B2 (en) 2021-07-30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anel for control of applica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24080648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46883B2 (en) 2017-08-29
KR102243657B1 (ko) 2021-04-23
US20160098063A1 (en) 2016-04-07
WO2016056703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57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1086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271289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24365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289258B2 (en) Foldable portable device including different folded states
KR102262721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789634B2 (ja) 表示装置
US20170229100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3127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377892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94264A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3452B1 (ko) 디바이스 패널들의 상대적 이동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들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5267B1 (ko) 변환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가속도계 입력의 사용
US2017007547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378557A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201102856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KR20160080841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1373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329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9235238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dual touch displays and multitasking fun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2015505100A (ja) ユーザジェスチャー認識
US20120249445A1 (en) Electronic device
US202201290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8072986A (ja)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4013487A (ja)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