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151B1 -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151B1
KR102204151B1 KR1020190118328A KR20190118328A KR102204151B1 KR 102204151 B1 KR102204151 B1 KR 102204151B1 KR 1020190118328 A KR1020190118328 A KR 1020190118328A KR 20190118328 A KR20190118328 A KR 20190118328A KR 102204151 B1 KR102204151 B1 KR 10220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oldable phone
display unit
displa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아이피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피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151B1/ko
Priority to KR1020210003828A priority patent/KR102514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Abstract

폴더블폰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은 폴더블폰 사용시, 폴더블폰의 접힘 각도, 방향, 사용자의 그립 위치 등 다양한 입력 조건에 따라 키패드가 최적위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폴더블폰 이용 편의를 향상시키고, 폰더블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의 랩탑모드를 감지할 경우,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키보드를 출력하여 폴더블폰으로 문서, 엑셀 등 업무 관련 작업을 수행할 경우, 랩탑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게 컴퓨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게임 등 입력 콘솔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입력 콘솔 UI(User Interface)를 출력함으로써, 폴더블폰으로 조이스틱 등의 게임콘솔을 통해 게임을 하는 효과를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LDABLE PHONE KEYBOARD DISPLAY}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과 방법에 관한 기술로 구체적으로, 폴더블폰을 구성하는 상단 및 하단 기기의 접힘 각도,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폴더블폰의 방향과 그립위치 등, 폴더블폰 사용제어 조건에 따라 폴더블폰에서 키패드가 출력되는 위치, 크기, 구성 등을 제어하는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더블폰(Foldable Phone)은 접히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평소에는 접어서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다가 펼치면 태블릿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최신 스마트 기기이다. 폴더블폰은 액정을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에 충격을 가하거나 떨어뜨려도 파손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폴더블폰 생산을 위해서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강화 유리를 대신할 투명 PI 필름, PI 필름의 경도를 높일 수 있는 하드코팅 소재, 폴더블폰에 특화된 터치 집적회로(IC)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폴더블폰은 접합된 단말을 펼쳐 화면을 두 배로 활용할 수 있고, 접었을 때는 상단 기기의 커버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펼칠 경우 메인디스플레이를 이용하게 되어, 스마트 폰 보다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폴더블폰 이용 시,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 나 랩탑으로 수행하던 작업을 폴더블폰을 통해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폴더블폰은 종래 커버디스플레이 영역만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과는 달리, 완전히 접었을 경우, 컨텐츠를 출력하는 커버디스플레이와 커버 디스플레이 뒷면의 제1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디스플레이 유닛이 합해진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대된 만큼, 두 디스플레이 영역의 세부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폴더블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위치와 영역 또한 다양해 진다. 예컨대, 폴더블폰이 완전히 접혔을 경우에는 커버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폴더블폰이 일정 각도 이상 펴졌을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폴더블폰의 상단기기와 하단기기 방향과 수평상태 및 사용자가 폴더블폰을 그립(grip)한 손의 위치에 따라, 키패드 UI(User Interface)가 적재적소에 출력되고, 사용자의 조건에 맞게 입력 키패드가 지원되어야만 사용자가 폴더블폰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폴더블폰은 가장 최근 출시되었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입력 키패드 출력 제어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은 전무한 상태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456490호(2014.10.24) 2. 한국 특허공개 제10-2015-0040553호(2015.04.15)
실시예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 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에서 폴더블폰이 접힌(folded) 상태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하여, 폴더블폰의 접힘 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손의 위치와 그립(grip)영역을 포함하는 키패드 출력 조건에 따라 키패드 출력 크기와 위치를 자동 제어하는 폴더블폰 키패드 출력 제어 모듈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에서 상단기기와 하단기기가 서로 접힌(folded) 상태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하는 폴딩센서부; 파악된 접힘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그립(grip)위치 및 폴더블폰의 방향을 포함하는 키패드출력조건에 따라 키패드의 출력크기와 위치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방법에 있어서, (A) 폴딩센서부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에서 상단기기와 하단기기가 서로 접힌(folded) 상태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하는 단계; (B) 출력제어부는 파악된 접힘 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손의 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 출력 조건에 따라 키패드 출력 크기와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폴더블폰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은 폴더블폰 사용시, 폴더블폰의 접힘 각도, 방향, 사용자의 그립 위치 등 다양한 입력 조건에 따라 키패드가 최적위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폴더블폰 이용 편의를 향상시키고, 폰더블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의 랩탑모드를 감지할 경우,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키보드를 출력하여 폴더블폰으로 문서, 엑셀 등 업무 관련 작업을 수행할 경우, 랩탑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게 컴퓨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게임 등 입력 콘솔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입력 콘솔 UI(User Interface)를 출력함으로써, 폴더블폰으로 조이스틱 등의 게임콘솔을 통해 게임을 하는 효과를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의 (a) 내지 (c)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랩탑 모드에서 수평상태인 상단 또는 하단 기기에 키패드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폴더블폰의 메인디스플레이에 키패드가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 흐름도
도 6은 폴더블폰의 사용 방향과 접힘 각도에 따라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양한 위치에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2디스플레이 유닛에 게임 콘솔이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의 (a) 내지 (c)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접힌(folded) 상태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30)을 포함하는 상단 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120)에서 상단 기기와 하단 기기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 하여, 접힘 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제1 디스플레이 유닛(13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4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손의 위치 및 사용자가 폴더블폰을 지지하는 그립(grip)위치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 출력 조건에 따라 폴더블폰에서 키패드가 출력되는 크기와 위치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폰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한번 접히는 형태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폴더블폰은 플렉서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은 커버디스플레이(110)와 제 1디스플레이 유닛(130)을 포함하는 상단기기와 제2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포함하는 하단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상단기기의 커버디스플레이(110)는 폴더블폰이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화 등의 알람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터치 정보를 입력 받아 폴더블폰을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커버 디스플레이(110)는 상단기기와 하단기기의 접힘 각도가 일정 수치(예컨대, 10도)미만이거나, 상단기기와 하단기기가 완전히 접혀 자석으로 상단기기와 하단기기의 가장자리(edge)가 부착된 경우 활성화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폰을 펼쳤을 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상단기기의 제 1디스플레이 유닛(130)과 하단기기의 제2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연결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실시예에서 메인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3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0)은 힌지(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접힘 각도(folding angle)는 힌지(120)와 수직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되는 라인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되는 라인 사이의 각도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3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0)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일 실시 예로 보이고 있으나, 폴딩위치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3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40)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1은 폴더블폰이 내측으로 접힌 인 폴딩(in-folding)의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은 외측으로 접히는 아웃 폴딩(out-folding)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 키보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은 폴딩센서부(310) 및 출력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폴딩센서부(310)은 폴더블폰의 힌지 또는 폴딩축에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접힘 각도를 파악한다. 실시예에서 폴딩센서부(310)는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두 디스플레이 영역간 거리를 감지해 접힘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제어부(330)는 키패드 출력조건에 따라 키패드의 출력 크기와 위치, 구성, 디자인 등의 키패드 출력 세부정보를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키패드 출력 조건에는 산출된 접힘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종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손의 그립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출력제어부(330)는 센싱된 접힘 각도가 일정범위에 포함되고, 키보드 입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단 또는 하단 기기의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폴더블폰을 랩탑 모드(laptop mode)로 전환하여 수평상태인 상단 또는 하단 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보드 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랩탑 모드에서 수평상태인 상단 또는 하단 기기에 키패드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폴더블폰으로 문서작업, 그래픽입력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랩탑과 같은 형태로 접힘 각도를 조정하여 무릎, 바닥, 책상 등에 폴더블폰을 놓는 경우,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을 자동으로 랩탑모드로 전환하여 수평상태인 단말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패드나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의 커버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랩탑모드 아이콘 터치 신호를 인식하면, 수평상태인 상단 또는 하단 기기를 파악하여, 상단 또는 하단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보드 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랩탑모드는 폴더블폰으로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을 입력하는 문서, 파워포인트, 엑셀 등의 업무관련파일을 생성하는 상태와 게임을 포함하는 입력 콘솔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랩탑모드는 사용자가 폴더블폰을 랩탑, 데스크톱 및 게임기기로 이용하기 위한 상태로서, 폴더블폰을 개인용 PC와 같이 사용하여 사무, 회계 등 각종 업무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실시예에서 랩탑모드의 자동실행 조건은 접힘 각도가 80도 초과 130도 미만의 제 1범위에 포함되고, 상단 또는 하단 기기의 수평 스케일 오차범위가 일정수준 미만이고, 폴더블폰에서 오피스, 포토샵, 엑셀, 파워포인트를 포함하는 업무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랩탑모드의 자동실행 조건을 만족하면, 수평상태인 단말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패드가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이 랩탑모드를 만족하지 않더라도, 커버디스플레이 또는 메인디스플레이의 랩탑모드 아이콘 터치신호에 의해 랩탑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폴더블폰의 메인디스플레이에 키패드가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의 접힘각도, 폴더블폰의 방향, 사용자의 그립위치, 수평상태인 단말종류 등 키패드 출력조건에 따라 키패드가 다양한 크기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메인디스플레이를 이용하기 위해, 폴더블폰을 펼쳐 사용하는 경우, 키패드가 메인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에서 키패드 제어부(330)는 접힘 각도가 160도 이상 180도 이하인 제 2범위에 포함되고, 상단 기기와 하단기기에서 사용자 핸드(hand)가 동시에 거울상으로 인식되고, 사용자 손의 그립위치(p1, p2)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연결된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키패드 및 터치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입력 키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와 입력보드는 사용자 터치 조작에 따라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될 수 있고, 입력 아이콘의 크기와 종류, 구성, 디자인, 회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방법의 작용(기능)은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모듈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 흐름도이다.
S100 단계에서 폴딩센서부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 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hinge)에서 폴더블폰이 접힌(folded) 상태의 상단 기기와 하단 기기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한다.
S200 단계에서 출력제어부는 파악된 접힘 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손의 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 출력 조건에 따라 키패드 출력 크기와 위치를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S200 단계에서는 파악된 접힘 각도가 일정범위에 포함되고, 키보드 입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단 또는 하단 기기의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폴더블폰을 랩탑 모드(laptop mode)로 전환하고, 수평상태인 상단 또는 하단 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보드 스크린을 출력한다.
또한, S200 단계에서는 폴더블폰의 커버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랩탑모드 아이콘 터치 신호를 인식하면, 수평상태인 상단 또는 하단 기기를 파악하여, 상단 또는 하단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보드 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0 단계에서는 접힘 각도가 160도 이상 180도 이하인 제 2범위에 포함되고, 상단 기기와 하단기기에서 사용자 핸드(hand)가 동시에 거울상으로 인식되고, 사용자 손의 그립위치를 파악하면,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연결된 메인 디스플레이의 그립 위치에 키패드 및 터치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입력 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폴더블폰의 사용 방향과 접힘 각도에 따라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양한 위치에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단에 위치하도록 가로방향으로 폴더블폰의 방향을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그립(grip) 하는 경우, 출력제어부(33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단에 키패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를 세로방향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만 키패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른손 조작이 편리한 사용자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키패드가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왼손 조작이 편리한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키패드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제 2디스플레이 유닛에 게임 콘솔이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전용입력콘솔이 필요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키는 경우, 출력제어부(330)는 사용자가 폴더블폰을 이용하는 방향 또는 사용자의 핸드 그립 위치를 감지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 전용 콘솔이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출력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폴더블폰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를 게임 전용 입력콘솔로 이용하며 모바일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폴더블폰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은 폴더블폰 사용시, 폴더블폰의 접힘 각도, 방향, 사용자의 핸드 그립위치 등 다양한 입력 조건에 따라 입력 키패드를 최적 위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폴더블폰 이용 편의를 향상시키고, 폰더블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폴더블폰의 랩탑모드를 감지할 경우,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키보드를 출력하여 폴더블폰으로 문서, 엑셀 등 업무 관련 작업을 수행할 경우, 랩탑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게 컴퓨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게임 등 입력 콘솔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입력 콘솔 UI(User Interface)를 출력함으로써, 폴더블폰으로 조이스틱 등의 게임콘솔을 통해 게임을 하는 효과를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에서 접힌(folded) 상태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하는 폴딩센서부;
    상기 파악된 접힘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핸드 그립(grip)위치 및 폴더블폰의 방향을 포함하는 키패드출력조건에 따라 키패드의 출력크기와 위치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제어부; 는
    상기 접힘 각도가 80도 초과 130도 미만의 제 1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상단 또는 하단 기기의 수평 스케일 오차범위가 일정수준 미만이고, 상기 폴더블폰에서 오피스, 포토샵을 포함하는 업무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랩탑모드 자동실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수평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키패드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에서 접힌(folded) 상태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하는 폴딩센서부;
    상기 파악된 접힘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핸드 그립(grip)위치 및 폴더블폰의 방향을 포함하는 키패드출력조건에 따라 키패드의 출력크기와 위치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제어부; 는
    상기 접힘 각도가 140도 이상 180도 이하인 제 2범위에 포함되고, 상단 기기와 하단기기에서 사용자 핸드(hand)가 동시에 거울상으로 인식되고, 사용자의 그립(grip)이 감지되면,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연결된 메인 디스플레이의 그립위치에 키패드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위치에 출력되는 키패드는
    사용자 터치 조작에 따라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되고, 입력 아이콘의 크기와 종류, 구성, 디자인을 포함하는 설정정보가 변경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듈.
  7.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방법에 있어서,
    (A) 폴딩센서부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상단기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하단 기기가 연결된 힌지에서 상단기기와 하단기기가 서로 접힌(folded) 상태의 접힘 각도(folding angle)를 파악하는 단계;
    (B) 출력제어부는 상기 파악된 접힘 각도, 폴더블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손의 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 출력 조건에 따라 키패드 출력 크기와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B)의 단계;는
    상기 접힘 각도가 150도 이상 180도 이하인 제 2범위에 포함되고, 상단 기기와 하단기기에서 사용자의 그립이 동시에 인식되면,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연결된 메인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그립(grip) 위치에 키패드 또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입력 보드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폰의 키패드 출력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18328A 2019-09-25 2019-09-25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KR10220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28A KR102204151B1 (ko) 2019-09-25 2019-09-25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KR1020210003828A KR102514073B1 (ko) 2019-09-25 2021-01-12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28A KR102204151B1 (ko) 2019-09-25 2019-09-25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828A Division KR102514073B1 (ko) 2019-09-25 2021-01-12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151B1 true KR102204151B1 (ko) 2021-01-18

Family

ID=7423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328A KR102204151B1 (ko) 2019-09-25 2019-09-25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1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313A (ko) * 2019-09-25 2021-04-02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WO2023075329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외부 액세서리의 부착을 검출하는 방법
WO2023085753A1 (ko) * 2021-11-10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63364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937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456490B1 (ko) 2008-03-24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키보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와 같은 기능을갖는 장치
KR20150010516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9352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그립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40553A (ko) 2013-10-07 201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0909A (ko) * 2014-10-06 2016-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490B1 (ko) 2008-03-24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키보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와 같은 기능을갖는 장치
KR20130080937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50010516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9352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그립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40553A (ko) 2013-10-07 201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0909A (ko) * 2014-10-06 2016-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313A (ko) * 2019-09-25 2021-04-02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KR102514073B1 (ko) * 2019-09-25 2023-03-27 아이피랩 주식회사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WO2023075329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외부 액세서리의 부착을 검출하는 방법
WO2023085753A1 (ko) * 2021-11-10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63364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151B1 (ko)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JP5894499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入力方法
US201102856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US99527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ata structure of content file, GUI placement simulator, and GUI placement setting assisting method
JP5772289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66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dapted to receiving an input for user control using a touch pad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07026826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ata entry and/or navigation controls on the reverse side of the display
JP4956644B2 (ja) 電子機器、及び入力制御方法
US2012010533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2050153A1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06806A1 (ja) 情報処理装置
US117550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514073B1 (ko) 폴더블폰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방법
US20070057917A1 (en) Portable digital apparatus for conveniently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US20150123916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ethod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50016148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80211698A1 (en) Keyboard with Variable Markings and Layouts
US924455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584353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080049696A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JP2012212194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US202201379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669698B2 (ja) Gui配置シミュレータ、およびgui配置設定支援方法
JP20211489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50693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