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15A -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15A
KR20160040015A KR1020140133460A KR20140133460A KR20160040015A KR 20160040015 A KR20160040015 A KR 20160040015A KR 1020140133460 A KR1020140133460 A KR 1020140133460A KR 20140133460 A KR20140133460 A KR 20140133460A KR 20160040015 A KR20160040015 A KR 2016004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image content
information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혁
이재황
구푸른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015A/ko
Priority to CN201510639537.7A priority patent/CN105491432A/zh
Priority to US14/873,449 priority patent/US10203924B2/en
Publication of KR2016004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외부의 저장매체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SYSTEM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화면을 동기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 매장에서 판매를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진열하는 경우 또는 건물의 외벽이나 행사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심미성이나 광고 등을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시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동기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동기화 신호를 공유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딜레이(delay)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최근 사용되는 별도의 영상 구동 장비는 가격이 높으며, 사용 방법이 복잡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사용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자 제품 매장 또는 건물의 외벽이나 행사장 등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항상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편리하게 영상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시에 재생되는 영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의 저장매체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을 시작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상기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저장매체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의 저장매체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저장매체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명령을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을 시작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상기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저장매체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의 저장매체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설정 정보가 포함된 외부 저장매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저장 매체를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동기화되도록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외부 저장 매체로써 USB가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재생 영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화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2000, 3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5)가 디스플레이된 전자 제품 매장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를 판매하기 위한 전자 제품 매장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5)를 구비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5) 각각은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5) 각각은 동일한 모델 또는 동일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이한 기능을 가지는 TV일 수 있다. 또한, 도 1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5)가 모두 TV로 구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PDP, PDA, 태블릿 PC, 홈시어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냉장고, 세탁기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a는 다섯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5)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 전자 제품 매장은 수많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시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1b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각각 별도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5 내지 100-20)로 구현된 경우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100-5 내지 100-20)에서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100-21 내지 100-25)가 연관된 상이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300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의도대로 구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3000)의 분할된 화면인 복수의 디스플레이(100-21 내지 100-25) 각각은 영상의 재생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 컨텐츠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의 저장 매체와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의 저장매체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카드 또는 외장 하드와 같은 저장매체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10)는 USB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저장부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USB와 같은 외부의 저장매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컨텐츠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는 저장매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및 저장매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랜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명령을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인터넷 망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방송국이나 외부의 별도 서버 등으로부터 영상 컨텐츠 및 각종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별도의 인터넷 망에 접속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각종 방송 신호를 RF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각종 서버로부터 IP 망을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30)는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외부의 저장매체를 통해 입력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매체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각종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영상 컨텐츠 재생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40)는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명령을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을 시작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카운팅 한 시간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재생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외에도, 재생 중인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해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력부에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USB와 같은 외부의 저장 매체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되는 재생 시간 정보의 수신이 중단되면,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된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가 외부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가 아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재생 시간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므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계속될 수도 있다.
반면,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USB와 같은 외부의 저장 매체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계속할 수 있다. 즉, 저장 매체와 연결이 해제된 해당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만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될 수 있다.
저장 매체와 연결이 해제된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저장 매체와의 연결이 재개된 경우,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된 재생 시간 정보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1, 200-2)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한 공유기(10)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1, 200-2)는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1, 200-2)는 랜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로컬 네트워크 망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1, 200-2)에 저장 매체로써, USB(300, 310-1. 310-2)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1, 200-2) 각각은 영상 컨텐츠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USB(300, 310-1. 310-2)와 연결된다. 그러나 저장매체로 USB가 연결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메모리 카드 또는 외장 하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저장매체가 사용될 수 있고, 저장부를 포함하는 소형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각 USB(300, 310-1. 310-2)는 영상 컨텐츠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종류의 영상 컨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각 USB(300, 310-1. 310-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는 서로 상이한 영상 컨텐츠일 수 있으나, 재생 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설정 정보는 저장매체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및 저장 매체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USB(300, 310-1. 310-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설정 정보의 도 4a의 도면부호 400, 도 4b의 도면부호 410과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USB와 연결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400)가 포함된 USB(300)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스터 장치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 정보로부터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가 몇 대인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개수만큼의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410)가 포함된 USB(300-1, 300-2)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USB(300-1, 300-2)는 마스터 장치의 IP 주소를 포함하므로,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마스터 장치의 IP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200-1, 200-2)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다른 슬레이브 장치(200-1, 200-2)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USB(30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면서, 다른 슬레이브 장치(200-1, 200-2)로 USB(310-1, 310-2)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각 USB(300, 310-1, 310-2)는 복수의 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 USB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 USB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무작위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각 USB에 영상 컨텐츠의 재생 순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이거나 각 USB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컨텐츠가 모두 재생 시간이 동일한 경우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USB(300, 310-1, 310-2)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외에도, 별도의 통신망이 연결된 경우에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 로드된 영상 컨텐츠 또는 인터넷을 통해 무선으로 다운 로드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외부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을 연결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재생 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된 시점부터 지난 시간을 카운팅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운팅 한 재생 시간 정보를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되고 00:07:15의 시간의 경과를 카운팅 한 경우,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전술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망을 통해, 재생 시간 정보 "00:07:15"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1, 200-2)에서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가 00:07:15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는 정보를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한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재생 시간이 "00:07:15"이 아닌 경우, "00:07:15"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재생 영상을 동기화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시간 정보를 10ms와 같이 짧은 시간 간격으로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영상의 동기화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스터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력부를 통해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 또한 통신망을 통해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스터 장치에 대해서만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용이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USB와 같은 저장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화하여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컨텐츠 'A'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는 영상 컨텐츠 'A'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USB를 각각 연결하고, 영상 컨텐츠 'B' 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는 영상 컨텐츠 'B'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USB를 각각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A'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B'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자 제품 매장에서 1층 동쪽 벽면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 'A'를 디스플레이하고, 1층 서쪽 쪽 북쪽 벽면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 'B'를 디스플레이하며, 2층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 'C'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영상 컨텐츠 'A'가 저장된 저장매체를 1층 동쪽 벽면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고, 영상 컨텐츠 'B'가 저장된 저장매체를 1층 서쪽 쪽 북쪽 벽면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며, 영상 컨텐츠 'C'가 저장된 저장매체를 2층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그룹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재생 영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두 개의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재생 영상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개일 수 있으며, 세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스터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USB가 연결된다(S500). 또한,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USB가 연결된다(S510, S520).
USB와 같은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설정 정보는 USB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작동하게 되는지 또는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작동하게 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USB가 연결되면, USB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리딩하여, 자신이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USB가 연결된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IP를 리딩하여, 해당 IP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530, S540).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연결될 슬레이브 장치의 개수를 리딩할 수 있다. 즉,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가 두 대라는 정보를 설정 정보에서 리딩하고, 설정 정보에 포함된 슬레이브 장치 개수만큼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50).
설정 정보에 포함된 슬레이브 장치 개수만큼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슬레이브 장치로 영상 재생 명령을 전송한다(S560, S570).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USB의 설정 정보는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의 IP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IP를 이용하여,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영상 재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한다(S580). 또한, 영상 재생 명령을 수신한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도 USB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한다(S590, S600).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재생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 한다(S610).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경우,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 경과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로 전송한다(S620, S630). 특히,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시간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한 제1 및 제2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수신된 시간 정보에 따라 재생 영상을 동기화한다(S640, S650). 예를 들면,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50ms 간격으로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되고 "00:00:50"의 시간이 경과한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00:00:50"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되고 "00:01:00"의 시간이 경과한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00:01:00"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용이하게 재생 영상을 동기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동안,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는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스터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의 저장 매체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할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매체로부터 마스터 장치로서 정보를 리딩하여 자신이 마스터 장치임을 알리기 위한 UI(600)를 디스플레이하고, 리딩한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한 정보(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결 요청 수신이 완료되었거나 수신 중임을 알리기 위한 UI(620, 6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든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수신이 완료된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모든 Slave Device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6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목록 설정 UI'(650), '영상 바로 재생 UI'(660) 및 '영상 재생 대기 UI(670)'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해 영상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설정 정보로부터 리딩한 장치의 IP 정보(710), 마스터 디바이스의 IP 정보(7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 전송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마스터 장치로 연결 요청 전송 UI'(7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마스터 장치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각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마스터 장치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마스터 장치의 IP를 리딩한 즉시, 마스터 장치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저장 매체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810).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카드 또는 외장 하드와 같은 저장매체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저장매체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외부의 저장매체가 연결된 경우(S81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매체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820). 설정 정보는 저장매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및 저장매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S8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개수만큼의 슬레이브 장치의 연결 요청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설정 정보에 포함된 개수만큼의 슬레이브 장치의 연결 요청의 수신이 완료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카운팅 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S840). 전송된 재생 시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한다(S850).
한편,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S830-N),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어,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S860). 수신된 재생 시간 정보에 따라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변경하여,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스터 장치와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한다(S870).
상술한 영상 컨텐츠 동기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재생 영상을 동기화하고자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USB와 같은 저장매체를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인터페이스부
120: 통신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200-1: 제1 슬레이브 장치
200-2: 제2 슬레이브 장치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저장매체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을 시작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상기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저장매체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저장매체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저장매체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생 명령을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재생을 시작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상기 영상 컨텐츠의 개수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저장매체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저장매체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설정 정보가 포함된 외부 저장매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33460A 2014-10-02 2014-10-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60040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60A KR20160040015A (ko) 2014-10-02 2014-10-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201510639537.7A CN105491432A (zh) 2014-10-02 2015-09-30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显示系统的控制方法
US14/873,449 US10203924B2 (en) 2014-10-02 2015-10-02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60A KR20160040015A (ko) 2014-10-02 2014-10-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15A true KR20160040015A (ko) 2016-04-12

Family

ID=5563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460A KR20160040015A (ko) 2014-10-02 2014-10-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3924B2 (ko)
KR (1) KR20160040015A (ko)
CN (1) CN1054914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541B1 (ko) * 2018-11-16 2019-03-21 주식회사 이노벡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O2019093818A1 (ko) * 2017-11-13 2019-05-16 주식회사 카이 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93804B1 (ko) * 2022-09-14 2023-01-31 (주)플랫브레드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6480B2 (ja) * 2015-01-19 2019-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6640468B2 (ja) * 2015-04-22 2020-02-0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調整方法
US11075454B2 (en) * 2018-03-15 2021-07-27 Dimitrios Lalos Multi-purpose smart tower
JP2020106580A (ja) * 2018-12-26 2020-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20200275149A1 (en) * 2019-02-27 2020-08-2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ulti-screen synchronized playback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0248047B (zh) * 2019-06-27 2021-06-15 深圳市拔超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矩阵的同步切换方法及系统
CN110446084B (zh) * 2019-07-09 2021-10-12 新华三技术有限公司合肥分公司 延时确定方法、显示设备、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1066293A1 (en) * 2019-10-04 2021-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ynchronizing modification among scree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620960B2 (en) * 2020-10-20 2023-04-04 Intermec Ip Corporation Synchronous display blinking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81781C (en) 1995-07-26 2000-02-29 Seiji Iwafune Televisio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s and server system for constructing the television system
US6483986B1 (en) 2000-05-26 2002-11-19 Keen Personal 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treaming video data upon selection of alternative subject matter
KR20000063984A (ko) 2000-08-14 2000-11-06 임동철 네트워크 기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JP2003067325A (ja) 2001-08-27 2003-03-07 Five Joho System:Kk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40025357A (ko) 2002-09-19 2004-03-24 (주)오픈이앤씨 매장의 광고물을 통합한 광고 관리 제공 방법
US7627808B2 (en) 2003-06-13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media synchronization player
JP4304032B2 (ja) 2003-09-19 2009-07-29 株式会社リコー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小箱および該小箱を内蔵したテーブル
US7030883B2 (en) 2004-03-10 2006-04-18 Evans & Sutherland Comput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a remote computer
US8190680B2 (en) 2004-07-01 2012-05-29 Netg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digital media playback
JP2007004488A (ja) 2005-06-23 2007-01-11 Sony Corp 電子広告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7174611A (ja) 2005-12-20 2007-07-05 Channel N:Kk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番組の配信と宣伝広告システム
US20070277413A1 (en) 2006-06-05 2007-12-06 Derek Wayne Bailey Billboard apparatus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a billboard apparatus
JP4591465B2 (ja) 2007-03-27 2010-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内通信システム
JP5151211B2 (ja) 2007-03-30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多画面同期再生システム、表示制御端末、多画面同期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02013B1 (ko) 2007-06-14 2009-06-1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방법
US8245262B2 (en) 2008-04-07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elevision signals associated with multiple broadcast networks
US20100146078A1 (en) 2008-06-02 2010-06-10 Wolff Mark 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multimedia content
KR101520065B1 (ko) * 2008-07-23 2015-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재생 방법
US20100118200A1 (en) 2008-11-10 2010-05-13 Geoffrey Michael Gelman Signage
US20100169458A1 (en) 2008-12-31 2010-07-01 David Biderman Real-Time or Near Real-Time Streaming
US9245583B2 (en) 2009-02-06 2016-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oup control and messaging for digital video playback sessions
KR101045321B1 (ko) 2009-09-17 2011-06-29 주식회사 디지털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209987B2 (en) 2010-03-02 2015-1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ocial media playback
US8836713B2 (en) 2010-03-0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Driving and synchronizing multiple display panels
US9633656B2 (en) 2010-07-27 2017-04-25 Sony Corporation Device registration process from second display
US8704732B2 (en) 2010-09-29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Image synchronization for multiple displays
US8669970B2 (en) 2011-01-27 2014-03-11 Apple Inc. Master synchronization for multiple displays
US8390743B2 (en) 2011-03-31 2013-03-05 Intersil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 synchronization and display of video input signals
KR20120129038A (ko) 2011-05-18 2012-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서버 및 장치 인증 방법
KR101781868B1 (ko) 2011-06-03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장 관리/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9609370B2 (en) 2011-05-31 2017-03-28 Alcatel Lucent Video delivery modification based on network availability
CN102929568A (zh) * 2011-08-09 2013-02-13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整合多台平板计算机以播放影音文件的方法及播放系统
US9785972B2 (en) 2011-11-09 2017-10-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ntent delivery using social affine targeting
KR20130125047A (ko) 2012-05-08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컨텐츠 영상 제공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US9235373B2 (en) * 2012-06-30 2016-01-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management of content depicted on a plurality of displays
KR101920264B1 (ko) 2012-08-02 2019-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40149606A1 (en) 2012-11-23 2014-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multimedia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synchronously playing multimedia contents through a plurality of multimedia devices
CN103839558B (zh) * 2012-11-23 2016-08-3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同步播放方法及服务器、播放器
KR20150027891A (ko) * 2013-08-30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트 표현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818A1 (ko) * 2017-11-13 2019-05-16 주식회사 카이 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60541B1 (ko) * 2018-11-16 2019-03-21 주식회사 이노벡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493804B1 (ko) * 2022-09-14 2023-01-31 (주)플랫브레드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03924B2 (en) 2019-02-12
US20160098240A1 (en) 2016-04-07
CN105491432A (zh)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00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4052562B (zh) 允许回放装置对流传输内容执行同步回放的方法和设备
EP259929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signals
US20180109826A1 (en)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synchronized streaming of content
CN106454010A (zh) 多屏拼接显示系统同步显示校准方法、显示器及系统
US1160659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content on multiple media devices
US20150296247A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video devices
CN105983233B (zh) 游戏历程记录装置、游戏历程记录方法及游戏历程互动方法
KR102229927B1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JP6690645B2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WO2016199346A6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411276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999644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10555031B1 (en) Media content controller
JP5060649B1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KR101960541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JP70102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17781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2017005376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15019196A (ja)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機器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2019036787A (ja) 情報処理装置、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US20240015351A1 (en) A computer software module arrangement, a circuitry arrangement, a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ed control of media casting
US20120065751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5100908B1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KR20150091662A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