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804B1 -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804B1
KR102493804B1 KR1020220115590A KR20220115590A KR102493804B1 KR 102493804 B1 KR102493804 B1 KR 102493804B1 KR 1020220115590 A KR1020220115590 A KR 1020220115590A KR 20220115590 A KR20220115590 A KR 20220115590A KR 102493804 B1 KR102493804 B1 KR 10249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group
display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804B9 (ko
Inventor
박대준
정형석
장인규
Original Assignee
(주)플랫브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랫브레드 filed Critical (주)플랫브레드
Priority to KR102022011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804B1/ko
Priority to KR1020230009987A priority patent/KR2024003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04B1/ko
Publication of KR10249380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0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9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Abstract

본 개시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해당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METHOD AND SERVER FOR OUTPUTTING SYNCHRONIZED DIGITAL IMAGE CONTEN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본 개시는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보자들은 상품이나 자신의 이력 등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홍보하고 있다.
이러한, 홍보자들은 상품의 가치, 자신의 이력 등을 어필하기 위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다.
그런데,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영상 콘텐츠의 알림 방법은 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므로, 외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1228호(2022.01.27)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통신 장애 시에도 기 편성중인 영상 콘텐츠를 편성 순서에 맞춰 재생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영상 차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해당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며,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관심 영역에 진입되었으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할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상기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권을 더 양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관심 영역을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로 서로 근접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각각의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각각의 동일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며, 나머지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레이브들로 선정하고, 상기 마스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레이브들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 중 상기 마스터의 해당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상기 슬레이브들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서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해당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되,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관심 영역에 진입되었으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할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더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상기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권을 더 양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관심 영역을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로 서로 근접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각각의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각각의 동일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며, 나머지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레이브들로 선정하고, 상기 마스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레이브들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 중 상기 마스터의 해당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상기 슬레이브들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통신 장애 시에도 기 편성중인 영상 콘텐츠를 편성 순서에 맞춰 재생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영상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 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며,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기가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되면, 관심 영역에 진입되었으면,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통신 장애 시에도 기 편성중인 영상 콘텐츠를 편성 순서에 맞춰 재생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영상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서버를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부(110)와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사용자의 단말기(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31)를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코드 정보(31)는 QR 코드 형태, 바코드 형태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콘텐츠를 관람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고정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콘텐츠는 특정 상품의 광고 영상, 특정 정치인의 선거 유세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 또는 바코드는 상가와 같은 특정 건물의 벽, 전신주, 도로의 바닥면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30)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이 가능한 각각의 이동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는 각각의 차량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는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차량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40)로부터 사전에 영상 콘텐츠가 다운로드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1), 및 메모리(1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121)와 프로세서(122)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1)와 프로세서(122)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21)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2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21)를 수신받고,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코드 정보(21)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단말기(30)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고,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기(30)가 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관심 영역에 따라 기 설정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22)는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단말기(30)에게 더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단말기(30)를 통해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의 단말기(30)에게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권을 더 양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가 관심 영역을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관심 영역에 따라 기 설정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 해제하고, 사용자의 단말기(30)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로 서로 근접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각각의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각각의 동일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며, 나머지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레이브들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슬레이브들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40)로부터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 중 마스터의 해당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슬레이브들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신의 위치에 따른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슬레이브들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슬레이브들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마스터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마스터의 위치에 따른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 단계(S310), 제1 판단 단계(S320), 선택 단계(S330), 제어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31)를 수신받을 수 있다(S310).
제1 판단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코드 정보(31)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선택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230)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 중 위치 신호의 반경(R1)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선택할 수 있다(S330).
이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며(S331),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기(30)가 기 설정된 관심 영역(ROI)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되면(S332), 해당 관심 영역에 따라 기 설정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선택할 수도 있다(S333). 제어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제어할 수 있다(S34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요청 단계(S334)와 제2 판단 단계(S335) 및 제어 단계(S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단계는,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페어링할 것인지를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에게 요청할 수 있다(S334). 제2 판단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35).
제어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았으면(S335), 사용자의 단말기(30)를 통해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에게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의 제어권을 양도할 수 있다(S341).
이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와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간의 페어링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주변에 제어 가능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사용자의 단말기(3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30)에 표시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확인하여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온 동작시키거나 오프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온 동작시켜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고,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오프 동작시켜 영상 콘텐츠를 관람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페어링된 사용자의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30)에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40)로부터 수신된 해당 영상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단말기(30)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event 영상을 재생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하나의 그룹으로 운영되는 동기화된 영상 서비스에 다른 단말기를 별도로 추가하여 재생되는 영상을 다른 단말기에 동기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30)가 관심 영역(ROI)을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면(S336), 해당 관심 영역에 따라 기 설정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3)를 선택 해제하고(S337), 사용자의 단말기(30)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신호의 반경(R2)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1, 17)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단말기(30)에게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11, 17)의 제어권을 양도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 내지 16)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R3) 이내로 서로 근접된 디스플레이 장치들(11, 12, 14, 15)을 각각의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하고(S339a), 각각의 동일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를 마스터(M)로 선정하며, 나머지들의 디스플레이 장치(12, 14, 15)를 슬레이브들(S1, S2, S3)로 선정할 수 있다(S339b). 여기에서, 프로세서(122)는 마스터(M)의 제어에 의해 슬레이브들(S1, S2, S3)이 동작하도록, 마스터(M)의 디스플레이 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서비스에 가입된 디스플레이 장치들(11 내지 16)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일정 주기동안 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들(11 내지 16) 중 서버(100)와 가장 통신 신호 품질이 좋은 것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들(11 내지 16) 중 서버(110)와 가장 많이 통신을 수행한 것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들(11 내지 16) 중 영상 콘텐츠를 가장 많이 재생한 것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들(11 내지 16) 중 현재 위치에서 출력된 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40)로부터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S342a). 또한, 제어 단계는 프로세서(122)를 통해, 획득된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 중 마스터(M)의 해당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슬레이브들(S1, S2, S3)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42b). 이때, 슬레이브들(S1, S2, S3)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12, 14, 15)은 마스터(M)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로부터 마스터(M)의 위치에 따른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M)의 위치에 따른 맞춤형 영상 콘텐츠는 주변 위치에 있는 특정 상품의 광고 영상일 수 있고, 특정 정치인의 선거 유세 영상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22)는 특정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12, 14, 15)에게 현재 위치와 관련된 영상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40)로부터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제1 과정). 프로세서(122)는 특정 그룹 내의 마스터(M)에게 현재 위치와 관련된 영상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40)로부터 획득하여 나머지 슬레이브들(S1, S2, S3)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제2 과정). 프로세서(122)는 마스터(M)에 구비된 영상 콘텐츠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리스트 내에서 마스터(M)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영상 콘텐츠를 선정하며, 선정된 영상 콘텐츠를 마스터(M)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마스터(M)는 선정된 영상 콘텐츠를 나머지 슬레이브들(S1, S2, S3)에게 공유할 수 있다(제3 과정). 프로세서(122)는 콘텐츠 제공 서버(40)에게 현재 위치와 관련된 영상 콘텐츠를 특정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12, 14, 15)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제4 과정). 프로세서(122)는 특정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12, 14, 15)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취합한 후, 취합된 위치의 평균 또는 중간 위치와 관련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제1 과정 내지 상기 제4 과정을 통해 획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2)는 특정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12, 14, 15)의 위치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밖으로 이탈되면,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출력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 중인 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시 제1 거리 내로 들어올 때까지 멈출 수 있다(제5 과정). 프로세서(122)는 영상 콘텐츠의 재생 장면을 제1 거리 내에서 그룹 내의 특정 장치(일 예로, 마스터)와 멀어진만큼 확대할 수 있다(제6 과정). 이때, 프로세서(122)는 영상 내에 기 설정된 객체(영상 대상물)가 식별될 정도까지만 확대하여,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덜 느끼도록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오프시키고, 그룹 내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영상 내의 객체(영상 대상물)가 식별될 정도까지 확대할 수 있다(제7 과정). 프로세서(122)는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그룹 내의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개수만큼의 영역들로 분할하도록 제어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에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제8 과정). 이때, 각각의 화면 내에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한 방향 및 거리 정보(예를 들어, 네비게이션의 방향 안내처럼, "→ 50m" )가 함께 표시되어, 외부 관람자들이 현재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본래의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22)는 제1 거리 밖으로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이면, 상기 제5 과정 내지 상기 제8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이탈된 마스터를 기준으로 근접되어 있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다시 새로운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제1 거리 밖으로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슬레이브이면, 상기 제5 과정 내지 상기 제8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 밖으로 이탈되면, 현재 이탈된 위치에 근접된 다른 그룹으로 편입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슬레이브이면, 현재 위치의 그룹 내의 슬레이브로 편입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이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스터이면, 현재 위치의 그룹 내의 기존 마스터와 상기 마스터의 선정 조건을 비교하여 마스터의 선정 후에, 현재 위치의 그룹 내의 새로운 마스터로 등극시키거나, 슬레이브로 강등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 밖으로 이탈되면, 이탈되기 전의 그룹까지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네비게이션 정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11, 1112)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차이의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상 중 기 설정된 일부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는 A 영상에서 B 영상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는 위치 신호의 반경(R1, R2, R3)과 인접하게 위치한 경계 영역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콘텐츠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영상 콘텐츠 재생 싱크를 맞출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일한 시간에 동시에 재생을 시작하더라도, 하드웨어의 기본 스펙과 순간 퍼포먼스 및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싱크가 어긋나게 되어 있으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선행자(FrontMan)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적으로 자동 선정하고, 선행자(FrontMan)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순간 재생 진행시간을 획득하여 추종자(Follower)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타임라인을 자동으로 변경 재생함으로써, 모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콘텐츠 재생 싱크를 맞출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때에, 영상 콘텐츠 재생 싱크를 맞추기 위한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선행자(FrontMan)에 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11)를 동적으로 자동 선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11)에 대한 순간 재생 진행시간을 획득하여 추종자(Follower)에 해당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2)의 재생 타임라인을 자동으로 변경 재생함으로써, 모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콘텐츠 재생 싱크를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A 영역의 'DP'의 현재 시간 획득 시점은,
Figure 112022096265499-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고, 싱크 타임은
Figure 112022096265499-pat00002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Figure 112022096265499-pat00003
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싱크 교체 및 이벤트 선언 초기화값일 수 있고, 영상 콘텐츠 재생 요청시 버퍼를 채우는 시간일 수 있으며, 영상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지연 시간일 수 있고, 탐색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시까지의 지연 시간일 수 있으며, 탐색된 영상 콘텐츠의 지연 시간 보정으로 재탐색하기 위한 지연 시간일 수 있다.
서버(100)는 스케쥴 영상 콘텐츠 중 하나가 종료되고 다음 영상 콘텐츠가 재생될때 마다 선행자(FrontMan)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재선정하면서 영상 콘텐츠 재생 싱크를 맞출 수 있다. 서버(100)는 선행자(FrontMan)에 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11)의 네트웍이 끊어졌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11)의 다음 순서로 재생이 시작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2)를 선행자(FrontMan)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는 영상 콘텐츠가 재생중이더라도 자체적으로 버퍼링과 같은 딜레이 현상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감지하여 후순위의 추종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선행자를 실시간으로 넘겨주는 동시에, 새로운 선행자의 재생 시간에 실시간 동기화시킴으로써, 좀 더 세밀한 그룹 싱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6, 도 8, 도 10,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7, 도 9는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21: 메모리
122: 프로세서

Claims (12)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해당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며,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관심 영역에 진입되었으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할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상기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권을 양도하고,
    상기 요청된 영상 콘텐츠는, 같은 영상이 출력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차이의 영상이 출력되거나, 전체 영상 중 기 설정된 일부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페어링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어 가능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동작시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 동작시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의 그룹으로 운영되는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의 서비스를 다른 단말기에 동기화하여 보여주도록, 상기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관심 영역을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로 서로 근접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각각의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각각의 동일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며, 나머지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레이브들로 선정하고,
    상기 마스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레이브들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 중 상기 마스터의 해당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상기 슬레이브들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영상 콘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해당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되,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콘텐츠의 관람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관심 영역에 진입되었으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할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페어링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콘텐츠 중 상기 요청된 영상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권을 양도하고,
    상기 요청된 영상 콘텐츠는, 같은 영상이 출력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차이의 영상이 출력되거나, 전체 영상 중 기 설정된 일부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페어링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어 가능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동작시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 동작시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의 그룹으로 운영되는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의 서비스를 다른 단말기에 동기화하여 보여주도록, 상기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관심 영역을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신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해당 그룹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로 서로 근접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각각의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각각의 동일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며, 나머지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레이브들로 선정하고,
    상기 마스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레이브들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 중 상기 마스터의 해당 위치 별 맞춤형 영상 콘텐츠를 상기 슬레이브들에게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220115590A 2022-09-14 2022-09-14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49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90A KR102493804B1 (ko) 2022-09-14 2022-09-14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30009987A KR20240037135A (ko) 2022-09-14 2023-01-26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조절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90A KR102493804B1 (ko) 2022-09-14 2022-09-14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87A Division KR20240037135A (ko) 2022-09-14 2023-01-26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조절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804B1 true KR102493804B1 (ko) 2023-01-31
KR102493804B9 KR102493804B9 (ko) 2024-03-13

Family

ID=851090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590A KR102493804B1 (ko) 2022-09-14 2022-09-14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30009987A KR20240037135A (ko) 2022-09-14 2023-01-26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조절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87A KR20240037135A (ko) 2022-09-14 2023-01-26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조절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380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149A (ko) * 2014-06-23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40015A (ko) * 2014-10-0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12704B1 (ko) * 2016-12-15 2017-12-27 주식회사 큐버 Ppl-db 기반의 키오스크 사이니지용 인터렉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8000056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컨텐츠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80062621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노크 복수의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
KR20180096418A (ko) * 2017-02-21 201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71351A (ko) * 2019-12-06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1228A (ko) 2019-06-17 2022-01-27 구글 엘엘씨 동적 미디어 세션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149A (ko) * 2014-06-23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40015A (ko) * 2014-10-0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8000056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컨텐츠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80062621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노크 복수의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
KR101812704B1 (ko) * 2016-12-15 2017-12-27 주식회사 큐버 Ppl-db 기반의 키오스크 사이니지용 인터렉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80096418A (ko) * 2017-02-21 201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1228A (ko) 2019-06-17 2022-01-27 구글 엘엘씨 동적 미디어 세션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KR20210071351A (ko) * 2019-12-06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135A (ko) 2024-03-21
KR102493804B9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7021B1 (en) Hands-free augmented real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6996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tory icons in a mobile terminal
KR20220130197A (ko) 촬영 방법, 장치, 전자설비 및 저장매체
US20090181649A1 (en) Dynamic Delivery and Presentation of Electronic Data to Mobile Electronic Devices
US9797738B2 (en) Navigating with a camera device
KR20180038256A (ko) Vr 스트림의 지연을 보상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5306859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8984561B2 (en) Moving-image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138328A (zh) 图像处理器、图像生成器和计算机程序
US11330330B2 (en) Preparing mobile media content
US20130031589A1 (en) Multiple resolution scannable video
CN103137156A (zh) 信息处理装置和显示方法
KR20130111072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장치
CN105975100B (zh) 输入法中表情包的拓展方法和装置
KR102493804B1 (ko) 위치 정보 기반의 동기화된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14168250A (zh) 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00119950A (ko) 여행 상품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N109922230A (zh) 动态内容的同步播放方法、播放控制方法及装置
CN108600509B (zh) 三维场景模型中信息的分享方法及装置
CN106021635B (zh) 用于显示漫画内容的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
CN112698778A (zh) 设备间目标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Cunningham et al. Second screen comes to the silver screen: A technology feasibility study regarding mobile technologies in the cinema
KR101408282B1 (ko) 전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
KR102580283B1 (ko) 인식 코드 기반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13676751B (zh) 视频缩略图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