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112A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112A
KR20160037112A KR1020150136733A KR20150136733A KR20160037112A KR 20160037112 A KR20160037112 A KR 20160037112A KR 1020150136733 A KR1020150136733 A KR 1020150136733A KR 20150136733 A KR20150136733 A KR 20150136733A KR 20160037112 A KR20160037112 A KR 20160037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heet member
movable contact
adhesive layer
pus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776B1 (ko
Inventor
아키라 가네코
히데타카 사토
겐지 마에미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Abstract

시트 부재가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케이스에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푸시 스위치(101)는,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1)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3)와, 가동 접점 부재(1)를 수용하며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S2)를 가지는 케이스(2)와, 수용부(S2)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5)를 구비하고, 케이스(2)가 일방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외형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와 시트 부재(5)가 개구를 따르도록 용착된 피용착부를 가지고, 케이스(2)의 상면의 네 귀퉁이부에 있어서,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점착제에 의한 점착층(AD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부재로 케이스의 개구를 덮은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스마트 폰이나 휴대 단말 등의 휴대 기기에 배치되는 조작 스위치로서, 작동력이나 클릭감 등의 조작 필링이 얻어지는 푸시 스위치가 사용되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그 고기능화에 따라, 한정된 스페이스 안에 보다 많은 부품을 배치할 필요가 있어, 보다 소형의 푸시 스위치가 요구되어 왔다. 게다가,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방진이나 방수 등의 환경 내성(耐性)이 요구되어, 푸시 스위치의 접점 부분의 공간을 밀폐하는 타입이 요구되어 왔다.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케이스(911)에 설치된 접점 부분의 공간을 보호 시트(915)로 밀폐한 푸시 스위치(900)가 제안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예(특허문헌 1)의 푸시 스위치(9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a)에 나타낸 푸시 스위치(900)는, 상방이 개구한 오목부를 가지는 케이스(911)와, 오목부의 내측 바닥면에 인서트 성형되어 고정된 중앙 접점(902) 및 외측 접점(903)과,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탄성 금속 박판제의 돔 형상의 가동 접점(904)과, 가동 접점(904)을 케이스(911) 내에 유지하여 보호하는 보호 시트(915)와, 보호 시트(915)와 가동 접점(904)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체(9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시트(915)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연부(周緣部)의 용착 고정 개소(921)(도 9(b)에 나타낸 사선부)로의 레이저 조사에 의해, 케이스(911)의 상면에 용착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915)는, 접점 부분(오목부)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케이스(911)에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58380호 공보
종래예와 같은 구성에서는, 케이스(911)의 상면에 보호 시트(915)(시트 부재)를 재치(載置)하여, 케이스(911)의 상면의 주연부에 레이저 조사할 때에, 보호 시트(915)가 어긋나 용착을 확실하게 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이 우려에 대하여, 보호 시트(915)와 케이스(911)의 용착 고정 개소(921)를 맞닿게 해 두는 전용의 지그를 이용하고, 이 지그로 용착 고정 개소(921)를 제외한 부분의 보호 시트(915)를 케이스(911)에 눌러 두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균일하게 누르기 위한 지그가 필요해지는데다가, 누르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어, 최대한 소형화하고 싶은 요망에 응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시트 부재가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케이스에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와, 당해 가동 접점 부재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며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일방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외형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개구를 따르도록 용착된 피용착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의 네 귀퉁이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시트 부재의 사이에 점착제에 의한 점착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시트 부재를 케이스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의 개구를 따른 시트 부재와 케이스의 용착을,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점착층이 상기 시트 부재를 점착 유지하는 개소마다 분할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가령 점착제를 설치하는 개소의 배치 설치 위치가 어긋나, 배치 위치가 어긋난 점착제가 시트 부재를 점착 유지할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개소의 점착제로 시트 부재를 점착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용착 전에, 시트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탈락하는 것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고정 접점 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바닥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리 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와, 상기 내부 바닥면의 외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상시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가, 상기 내부 바닥면의 길이가 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兩端)측이면서 길이가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의 상기 길이가 짧은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케이스의 길이가 긴 방향의 상면에는 피용착부만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수용부의 길이가 긴 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길이가 긴 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한 가동 접점 부재로 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大), 스트로크 대(大))이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피용착부가, 적어도 상기 네 귀퉁이부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수용부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의 크기를 그대로 둔 채 케이스의 외형을 작게 하거나, 또는 수용부를 크게 하여 가동 접점 부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동작 수명을 확보한 채로 외형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거나, 또는 외형 사이즈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점착층이 평면에서 봤을 때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帶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점착층이 평면에서 봤을 때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층이 네 귀퉁이부에 점 형상(괴상;塊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부재의 면보다 넓게 점착하게 되어, 케이스에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어긋남 없이 시트 부재와 케이스의 용착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시트 부재를 케이스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의 개구를 따른 시트 부재와 케이스의 용착을,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X2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Y2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나타낸 Z1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와 플런저(plunger) 부재를 생략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를 생략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시트 부재를 설명하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도 3(a)에 나타낸 P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b)는, 도 3(b)에 나타낸 Q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종래예의 푸시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그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X2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Y2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나타낸 Z1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또한, 도 4에는, 네 귀퉁이부에 설치된 점착층(AD7)과 링 형상의 피용착부(WD9)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방체 형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1)와,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S2)를 가지는 케이스(2)와, 가동 접점 부재(1)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3)와, 수용부(S2)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5)와,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배치된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AD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에는, 가동 접점 부재(1)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배치 설치된 플런저 부재(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푸시 스위치(101)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가동 접점 부재(1)가 케이스(2)의 수용부(S2)에 수용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와 시트 부재(5)가 용착되어 피용착부(WD9)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5)와 플런저 부재(8)를 생략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를 생략한 상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는, 피용착부(WD9)가 형성되는 영역을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시트 부재(5)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나타낸 Z2측으로부터 본 하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도 3(a)에 나타낸 P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b)는, 도 3(b)에 나타낸 Q부분의 확대도이다.
먼저, 푸시 스위치(101)의 가동 접점 부재(1)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기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방(도 1에 나타낸 Z1 방향)으로 돌출한 돔 형상의 돔부(1d)와, 길이가 긴 방향(LD)(도 5에 나타낸 Y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돔부(1d)에 연속한 다리부(1f)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1)는,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을 돔부(1d)에 받으면, 돔부(1d)가 반전 동작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1)의 내측면(오목면)에는, 고정 접점 부재(3)와의 전기적인 접촉 안정성을 얻기 위해, 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부재 등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1)의 케이스(2)는, 절연 재료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상방)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외형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S2)를 가지는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1)를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수용부(S2)는, 케이스(2)의 내부 바닥면(2b)과, 케이스(2)의 외주에 세워 설치한 측벽(2w)에 의해 수용부(S2)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S2)의 개구측에서 케이스(2)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측벽(2w)의 천장면(2u)은, 단차(段差)없이 평평한 형상을 하고 있고, 시트 부재(5)가 재치되면, 케이스(2)의 상면(구체적으로는 천장면(2u))과 시트 부재(5)의 플랜지부(5v)(후술한다)의 하면이, 밀착하게 된다. 또, 케이스(2)의 네 귀퉁이에는,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단차부(2r)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2r)이고 일단(一段) 상방으로 설치된 상단부(上段部)에, 점착제에 의한 점착층(AD7)이 배치된다. 또, 단차부(2r)이고 상단부보다 일단 하방으로 설치된 하단부(下段部)는, 사출 성형시의 핀이 부딪히는 개소로 되어 있다.
또,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양단측에는, 외부 기기 등으로의 접속용의 접속 단자(T3)가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고,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케이스(2) 내에서 고정 접점 부재(3)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1)의 고정 접점 부재(3)는,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S2)의 내부 바닥면(2b)의 중앙부에 설치된 1개의 제 1 고정 접점부(13)와, 내부 바닥면(2b)의 외연부에 설치된 2개의 제 2 고정 접점부(23)(23A, 23B)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 접점부(13) 및 제 2 고정 접점부(23)는, 케이스(2)에 배치 설치되었을 때에, 수용부(S2)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1)가 케이스(2)의 수용부(S2)에 배치되면, 제 1 고정 접점부(13)는, 가동 접점 부재(1)의 정상부의 내측면(오목면)과 대향하게 되고, 제 2 고정 접점부(23)(23A, 23B)는, 가동 접점 부재(1)의 다리부(1f)와 접촉하게 된다. 또, 가동 접점 부재(1)의 돔부(1d)가 반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부(13)는, 가동 접점 부재(1)의 돔부(1d)의 정상부와 접리를 반복함과 함께, 제 2 고정 접점부(23)(23A, 23B)는, 가동 접점 부재(1)의 다리부(1f)와 접촉 상태가 상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부(13)는, 제 2 고정 접점부(23)가 설치된 내부 바닥면(2b)보다 1단 낮은 내부 바닥면(2b)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1)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부(13)의 접촉면은, 가동 접점 부재(1)와 상시 접촉하고 있는 제 2 고정 접점부(23)의 접촉면보다, 낮은 위치, 즉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2개의 제 2 고정 접점부(23)(23A, 23B)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바닥면(2b)의 길이가 긴 방향(LD)에 있어서의 양단측이면서 길이가 짧은 방향(SD)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고정 접점부(23)의 길이가 짧은 방향(SD)의 양측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AD7)이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길이가 긴 방향(LD)의 양단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점착층(AD7)의 사이에, 제 2 고정 접점부(23A) 및 제 2 고정 접점부(2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2)의 네 귀퉁이부에 점착층(AD7)의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케이스(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상면(천장면(2u))에는 피용착부(WD9)만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때문에, 수용부(S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가동 접점 부재(1)의 사이즈에 맞춘 채로 케이스(2)의 외형을 작게 하거나, 또는 수용부(S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크게 한 가동 접점 부재(1)를 수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케이스(2) 내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점부(13)는, 접속 단자(T3a)에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고정 접점부(23)는, 접속 단자(T3b)에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단자(T3)를 포함하는 제 1 고정 접점부(13) 및 제 2 고정 접점부(23)는, 케이스(2)의 사출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되어, 케이스(2)의 수용부(S2)에 면하여 배치 설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1)의 시트 부재(5)는, 투광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도 1에 나타낸 Z1 방향)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외형이 세로가 긴 8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5)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한 돔 형상의 팽창 돌출부(5b)와, 팽창 돌출부(5b)의 주위에 형성되어 팽창 돌출부(5b)에 연속한 플랜지부(5v)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 스위치(101)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시트 부재(5)는, 수용부(S2)를 덮도록 케이스(2)의 상면측에 배치(재치)되어, 플랜지부(5v)와 천장면(2u)이 밀착하고, 케이스(2)와 시트 부재(5)가 도 4에 나타낸 피용착부(WD9)의 형상으로 용착된다. 이 피용착부(WD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 귀퉁이부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수용부(S2)의 개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케이스(2)의 상면측인 천장면(2u)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수용부(S2)의 개구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임과 함께, 케이스(2)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케이스(2)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때에는, 시트 부재(5)의 이면측(도 4에 나타낸 투시면측)에는, 네 귀퉁이의 위치에 점착층(AD7)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의 용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시트 부재(5)를 케이스(2)의 원하는 위치에 재치하고, 점착제(마지막에는 점착층(AD7)이 된다)에 의해, 케이스(2)에 시트 부재(5)를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설치된 점착제의 부분 이외의 부분에, 시트 부재(5)의 상방측으로부터, 피용착부(WD9)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2)의 천장면(2u)과 시트 부재(5)의 플랜지부(5v)의 사이에 열에너지가 공급되게 되고, 피용착부(WD9)가 형성되어, 케이스(2)와 시트 부재(5)가 용착된다. 마지막으로, 남겨진 점착제를 그대로 점착층(AD7)으로 하거나, 상온 건조 또는 열 등을 가함으로써 점착제를 경화시켜 점착층(AD7)을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케이스(2)와 시트 부재(5)를 용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2)에 이용하는 합성 수지는, 광이 투과하기 어려운 흑색 등의 암색계의 재료를 이용하고, 시트 부재(5)는, 레이저광을 투과하는 투광성의 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또, 레이저광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레이저광에 의해 공급하는 열 에너지를 바꿔, 피용착부(WD9)의 두께를 바꿀 수 있다. 즉, 레이저광의 출력을 크게 하면 열 에너지가 커지며, 피용착부(WD9)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레이저광의 출력을 작게 하면 열 에너지가 작아지며, 피용착부(WD9)의 두께는 얇아진다. 이와 같이 레이저광의 출력에 의해 공급하는 열 에너지를 조정함으로써, 피용착부(WD9)의 두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에 의한 용착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하였으나, 초음파 용착 등, 별도의 방법으로 용착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층(AD7)이 배치되어 있는 네 귀퉁이부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피용착부(WD9)만의 영역을 케이스(2)의 상면(천장면(2u))의 외주연부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부(S2)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S2)를 그대로 둔 채 케이스(2)의 외형을 작게 하거나, 또는 수용부(S2)를 크게 하여 가동 접점 부재(1)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동작 수명을 확보한 채로 외형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거나, 또는 외형 사이즈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1)의 점착층(AD7)은,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상면측의 네 귀퉁이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부재(5)가 케이스(2)의 수용부(S2)를 덮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시트 부재(5)를 케이스(2)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S2)의 개구를 따르도록 시트 부재(5)와 케이스(2)의 용착을,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점착층(AD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상면측에 설치된 단차부(2r)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5)가 케이스(2)에 재치되었을 때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상면(단차부(2r))과 시트 부재(5)의 플랜지부(5v)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점착층(AD7)이 시트 부재(5)의 플랜지부(5v)를 상방측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시트 부재(5)에 점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부재(5)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용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AD7)을 시트 부재(5)의 이면측에 배치하고, 시트 부재(5)가 케이스(2)의 수용부(S2)를 덮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단차부(2r)의 상단부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 점착층(AD7)은, 시트 부재(5)를 점착 유지하는 개소마다 분할하여 4개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령 점착제를 설치하는 개소의 배치 설치 위치가 어긋나, 배치 위치가 어긋난 점착제가 시트 부재(5)를 점착 유지할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개소의 점착제로 시트 부재(5)를 점착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조사에 따른 용착 전에, 시트 부재(5)가 케이스(2)로부터 탈락하는 것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네 귀퉁이 이외에 점착층(AD7)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피용착부(WD9)의 영역을 남겨, 4변의 부분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S2)를 될 수 있는 한 크게 할 수 있으며, 보다 큰 가동 접점 부재(1)를 수용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수용부(S2)의 크기를 유지한 채로 케이스(2)의 외형을 작게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외형 사이즈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거나, 또는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동작 수명을 확보한 채로 외형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점착층(AD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점착층(AD7)이 네 귀퉁이부에 점 형상(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부재(5)(플랜지부(5v))의 면보다 넓게 점착하게 되어, 케이스(2)에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어긋남 없이 시트 부재(5)와 케이스(2)의 용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층(AD7)의 전체의 형상을 띠 형상의 형상으로 하였으나,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일부 가지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으나, 직사각형의 베이스부로부터 아암 형상으로 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케이스(2)의 천장면(2u)에 있어서의 외주를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의 띠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어느 것의 형상도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가지고 있으면, 상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푸시 스위치(101)의 플런저 부재(8)는, 광이 투과하기 어려운 흑색 등의 암색계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 부재(8)는, 도 7에 나타낸 시트 부재(5)의 팽창 돌출부(5b)의 수납부(S5)에 배치 설치되며, 시트 부재(5)와 플런저 부재(8)의 반구면의 일부가 용착되어, 플런저 부재(8)가 시트 부재(5)에 고정된다. 또한, 이 용착은,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와 용착과 동일하게, 시트 부재(5)측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레이저광에 의한 용착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초음파 용착의 방법으로 용착해도 된다.
또, 푸시 스위치(101)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플런저 부재(8)는, 가동 접점 부재(1)의 돔부(1d)의 정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 설치되고,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을 받아, 가동 접점 부재(1)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런저 부재(8)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1)의 반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푸시 스위치(101)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작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푸시 스위치(101)는, 가동 접점 부재(1)의 정상부와 제 1 고정 접점부(13)는 이간되어 있음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1)의 다리부(1f)와 제 2 고정 접점부(23)(23A, 23B)는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부(13)와 제 2 고정 접점부(2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이 행해지면, 시트 부재(5) 및 플런저 부재(8)를 통하여, 가동 접점 부재(1)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정상부의 근방이 가압된 가동 접점 부재(1)는, 하방으로 휜 후에 반전 동작한다. 그리고, 정상부의 이면측이 제 1 고정 접점부(13)에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1)와 제 1 고정 접점부(13)가 접촉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1)를 통하여, 제 1 고정 접점부(13)와 제 2 고정 접점부(2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 부재(1)로의 가압이 해제되고, 가동 접점 부재(1)의 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1)는 원래의 돔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푸시 스위치(101)는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제 1 고정 접점부(13)와 제 2 고정 접점부(2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가동 접점 부재(1)를 가압 조작하고, 제 1 고정 접점부(13)와 제 2 고정 접점부(23)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전환함(ON/OFF)으로써, 푸시 스위치(101)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1)는, 케이스(2)의 천장면(2u)의 네 귀퉁이부에 있어서, 케이스(2)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점착제에 의한 점착층(AD7)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5)가 케이스(2)의 수용부(S2)를 덮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시트 부재(5)를 케이스(2)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S2)의 개구를 따르도록 시트 부재(5)와 케이스(2)의 용착을,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점착층(AD7)이 시트 부재(5)를 점착 유지하는 개소마다 분할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점착제를 설치하는 개소의 배치 설치 위치가 어긋나, 배치 위치가 어긋난 점착제가 시트 부재(5)를 점착 유지할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개소의 점착제로 시트 부재(5)를 점착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용착 전에, 시트 부재(5)가 케이스(2)로부터 탈락하는 것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수용부(S2)의 내부 바닥면(2b)의 외연부에 설치된 제 2 고정 접점부(23)가 길이가 짧은 방향(SD)의 양측에 설치된 점착층(AD7)에 끼워지는 상태로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천장면(2u)에는 피용착부(WD9)만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수용부(S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크게 한 가동 접점 부재(1)로 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수용부(S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유지한 채로 케이스(2)의 길이가 긴 방향(LD)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동작 수명을 확보한 채로 외형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점착층(AD7)이 배치되어 있는 네 귀퉁이부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피용착부(WP9)만의 영역을 케이스(2)의 천장면(2u)의 외주연부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부(S2)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S2)의 크기를 그대로 둔 채 케이스(2)의 외형을 작게 하거나, 또는 수용부(S2)를 크게 하여 가동 접점 부재(1)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동작 수명을 확보한 채로 외형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거나, 또는 외형 사이즈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호한 조작 감촉(조작 하중 대, 스트로크 대)이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점착층(AD7)이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층(AD7)이 네 귀퉁이부에 점 형상(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부재(5)의 면보다 넓게 점착하게 되어, 케이스(2)에 보다 확실하게 시트 부재(5)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어긋남 없이 시트 부재(5)와 케이스(2)의 용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변형예 1>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층(AD7)을 단차부(2r)의 하단부를 피해 상단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단부가 사출 성형시의 핀이 부딪히는 개소가 아니면, 케이스(2)의 네 귀퉁이부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2>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층(AD7)을 케이스(2)의 상면측의 네 귀퉁이부에 각각 독립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가 연결된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3>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고정 접점부(23)를 2개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4개와 같이, 2개 이상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4>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피용착부(WD9)는 케이스(2)의 상면인 천장면(2u)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수용부(S2)의 내부에 있어서 공기가 빠져나갈 곳이 없기 때문에, 푸시 스위치(101)를 조작했을 때에, 조작 감촉이 나빠지게 되거나, 최악으로, 스위치로서 기능하지 않게 될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실질적으로 밀폐 상태(공기의 출입은 할 수 있으나 수분의 유입은 막을 수 있는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피용착부(WD9)의 일부를 도중에 끊어지게 하여, 공기 빠짐을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5>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1)를 1매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 겹쳐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6>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1)와 시트 부재(5)의 사이에 플런저 부재(8)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플런저 부재(8)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시트 부재를 케이스에 대하여 확실하게 용착 유지할 수 있다.
<변형예 7>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에 비투광성의 재료, 시트 부재(5)에 투광성의 재료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케이스(2)에 투광성의 재료, 시트 부재(5)를 비투광성의 재료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레이저광의 조사는, 케이스(2)측으로부터 시트 부재(5)를 향하여 행하게 된다. 또, 레이저 용착만 할 수 있으면, 케이스(2) 및 시트 부재(5)의 피용착부 근방만, 부분적으로 투광성 또는 비투광성이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가동 접점 부재
2: 케이스
2b: 내부 바닥면
S2: 수용부
3: 고정 접점 부재
13: 제 1 고정 접점부
23, 23A, 23B: 제 2 고정 접점부
5: 시트 부재
AD7: 점착층
WD9: 피용착부
LD: 길이가 긴 방향
SD: 길이가 짧은 방향
101: 푸시 스위치

Claims (8)

  1.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와,
    당해 가동 접점 부재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며 일방이 개구한 수용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일방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외형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개구를 따르도록 용착된 피용착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의 네 귀퉁이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시트 부재의 사이에 점착제에 의한 점착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시트 부재를 점착 유지하는 개소마다 분할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리 가능한 제 1 고정 접점부와, 상기 내부 바닥면의 외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상시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는, 상기 내부 바닥면의 길이가 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이면서 길이가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의 상기 길이가 짧은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착부는, 적어도 상기 네 귀퉁이부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착부는, 적어도 상기 네 귀퉁이부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평면에서 봤을 때,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평면에서 봤을 때,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평면에서 봤을 때, 띠 형상으로 형성된 띠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150136733A 2014-09-26 2015-09-25 푸시 스위치 KR101816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6439 2014-09-26
JP2014196439A JP6341509B2 (ja) 2014-09-26 2014-09-26 プッシュ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112A true KR20160037112A (ko) 2016-04-05
KR101816776B1 KR101816776B1 (ko) 2018-01-09

Family

ID=5560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33A KR101816776B1 (ko) 2014-09-26 2015-09-25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41509B2 (ko)
KR (1) KR101816776B1 (ko)
CN (1) CN105470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938B2 (ja) * 2016-06-28 2020-01-2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778282B2 (ja) * 2017-01-24 2020-10-2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38U (ko) * 1986-07-03 1988-01-20
JP2000011808A (ja) 1998-06-22 2000-01-14 Alps Electric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キーボード装置
JP3772175B2 (ja) * 2004-03-24 2006-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超音波溶着装置
JP2006344511A (ja) * 2005-06-09 2006-12-21 Alps Electric Co Ltd クリックばね付き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JP5906377B2 (ja) * 2011-09-08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3149351A (ja) * 2012-01-17 2013-08-01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JP5846642B2 (ja) * 2012-07-04 2016-0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JP3178598U (ja) * 2012-07-11 2012-09-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776B1 (ko) 2018-01-09
JP2016071929A (ja) 2016-05-09
CN105470022A (zh) 2016-04-06
CN105470022B (zh) 2018-02-27
JP6341509B2 (ja)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37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8729413B2 (en) Push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069557A1 (en) Explosion-protected arrangement of electrical and/or electronic components
JP201421619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10354815B2 (en) Push switch
JP2014532973A (ja) 防水及び防塵形のイルミネーションスイッチ要素
KR101816776B1 (ko) 푸시 스위치
US10515769B2 (en) Push switch
KR101688497B1 (ko) 푸시 스위치
JP200616471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604507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7299588A (ja)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この押釦スイッチの作製に用いられる接点ばね付きシート
KR101789925B1 (ko)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0464730Y1 (ko)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EP3208821B1 (e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085965B2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スイッチ装置
WO2019093078A1 (ja) スイッチ装置
JP5569405B2 (ja) 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操作パネル
US20190326078A1 (en) Push switch
JP669837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9091579A (ja) スイッチ装置
JP202114492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プッシュスイッチの製造方法
TWI469170B (zh) 按鍵結構及具有該按鍵結構之電子裝置
TWM577180U (zh) 人眼防護光學模組
JP2006164805A (ja) 多方向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