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599A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599A
KR20160033599A KR1020150124615A KR20150124615A KR20160033599A KR 20160033599 A KR20160033599 A KR 20160033599A KR 1020150124615 A KR1020150124615 A KR 1020150124615A KR 20150124615 A KR20150124615 A KR 20150124615A KR 20160033599 A KR20160033599 A KR 2016003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stitches
basic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421B1 (ko
Inventor
가즈야 다니구치
다케시 다니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3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성폭방향의 소정의 범위를 신장억제영역(100)으로 하였을 때에,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미스편성을 포함하는 기본편성(B1, B2, B3)을 n회(단 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되돌림에 의하여 n+1회 하여 신장억제영역(100)의 1스티치열을 편성하는 공정α와,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1∼6)와, 기점스티치(1∼6)로부터 인출된 신규스티치(11∼16)를 포개어 더블스티치(1;11∼6;16)를 형성하는 공정β와, 더블스티치(1;11∼6;16)를 포함하는 신장억제영역(100)의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스티치(21∼26)를 편성하는 공정γ를 구비한다. 공정α에서는, n+1회째의 기본편성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n회째 이전의 모든 기본편성에서 미스편성을 한 스티치의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실시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웨일방향(wale方向) 및 코스방향(course方向)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용의 인너웨어(inner wear)나 서포터(supporter), 의료용의 서포터 등 신축성(伸縮性)이 요구되는 편성포는, 탄성편사(彈性編絲)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서포터 등은, 팔이나 다리부 등의 관절부분의 가동영역(可動領域)은 착용한 부위의 압력을 낮게 함과 아울러, 그 이외의 근육부분이나 환부(患部) 등 원하는 장소는 고정할(신장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탄성사(彈性絲)를 함유하고, 편성포 중에 신장도(伸張度)가 서로 다른 저신장도부와 고신장도부를 구비하는 원형 편성포(circular knitted fabric)에 있어서, 저신장도부는 열융착사(熱融着絲)를 함유하는 것 또한 미스 루프(miss loop)를 구비하는 편성조직으로 함으로써 신장을 억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는, 복수의 크기의 스티치(stitch)가 형성된 원형 편성포에 있어서, 주변보다 결합력(tightening force)이 강한 결합부는, 스티치의 크기를 다른 스티치보다 작게 함으로써 신장을 억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012733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6703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 2의 기술에서는, 편성포의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의 신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하다. 특허문헌1은 미스 루프를 구비함으로써 니트 루프(knit loop)와 비교하여 코스방향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지만, 신장을 더 억제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특허문헌1은 열융착사를 사용함으로써 신장을 억제할 수 있지만, 탄성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미스 루프에 있어서도 신장되기 때문이다. 특허문헌2는 스티치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주변과 비교하여 신장을 억제시킬 수 있지만, 스티치 상호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의 스티치를 잡아당기면 신장되기 쉽게 되어 신장의 억제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편성폭방향의 소정의 범위를 신장억제영역으로 하였을 때에 이하의 공정α∼공정γ를 구비한다.
[공정α] …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미스편성을 포함하는 기본편성을 n회(단 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되돌림에 의하여 n+1회 하여 상기 신장억제영역의 1스티치열을 편성한다. 이 때에 n+1회째의 기본편성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n회째 이전의 모든 기본편성에서 미스편성을 한 스티치의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실시한다.
[공정β] … 상기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와 상기 기점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신규스티치를 포개어 더블스티치를 형성한다.
[공정γ] … 상기 더블스티치를 포함하는 상기 신장억제영역의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여기에서 1스티치열을 편성한다는 것은, 동일 코스에 있어서, n회의 되돌림 편성(단 n은 1 이상의 자연수)을 함으로써 1편성코스를 완료하는 것이다. 스플릿 스티치 편성이라는 것은,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로부터 선택된 기점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그 기점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신규스티치를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공지의 편성동작이다(일본국 특허 제2604653호 공보 등을 참조).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β는 상기 공정α의 뒤에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기본편성은, 1스티치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2스티치의 미스편성으로 구성되는 기본단위를 복수 회 반복하는 편성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공정α에서는, 상기 기본편성을 2회의 되돌림에 의하여 3회 하여 상기 신장억제영역의 1스티치열을 편성함에 있어서, n+1회째의 기본편성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n회째 이전의 모든 기본편성에서 미스편성을 한 기본단위에 있어서의 스티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미스편성을 포함하는 기본편성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우선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를 포갬으로써 기점스티치 및 신규스티치의 편사 상호간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에 의하여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를 포개므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의 각 싱커루프가 서로 얽히기 때문에, 이 얽힌 부분에 있어서의 마찰력에 의하여 신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더블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에 의하여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2스티치에 의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지지하기 때문에, 1스티치에 의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지지하는 것보다 웨일방향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미스편성을 함으로써 미스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차사가 기본편성의 반복에 의하여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다. 그 때문에 복수 개의 교차사 상호간이 스침으로써 교차사 상호간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에 의하여 코스방향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스편성에 의하여, 니트편성과 비교하여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단위길이당 실의 절대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서도 코스방향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 및 신규스티치의 편사 상호간의 마찰력, 교차사 상호간의 마찰력 및 스티치의 편사와 교차사와의 마찰력이라고 하는 편사 상호간의 마찰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마찰력에 의하여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공정α의 후에 공정β를 함으로써, 공정α에 있어서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에 의하여 미스편성에 의한 교차사를 삽입할 수 있다.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에 의하여 교차사를 삽입함으로써 교차사와 각 스티치와의 마찰력이 더 커지기 때문에, 신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교차사는 기본편성의 횟수에 의하여, 스플릿 스티치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 및 신규스티치에 삽입된 개수가 변하기 때문에, 이 교차사의 개수의 차이에 의하여 편성포에 요철(凹凸)을 형성할 수 있어 여러 가지 리브모양의 조직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리브모양의 조직 표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교차사는, 너무 길면 수축력이 작용하기 쉽게 되어 편성포에 잔주름 등을 발생시켜서 편성포의 미려함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기본편성을, 1스티치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2스티치의 미스편성으로 구성되는 기본단위를 복수 회 반복하는 편성으로 함으로써 교차사의 길이를 적절하게 할 수 있어, 편성포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고 테이핑 효과가 있는 서포트 팬츠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좌측의 도면은 그 전방, 우측의 도면은 그 후방의 도식도이다.
이하에서는, 탄성사(彈性絲)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성포의 신장(伸張)을 억제하고 싶은 영역에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실시형태1>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함과 아울러,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가 래킹(racking) 가능한 2베드 횡편기(two-bed 橫編機)를 사용한 편성예를 설명한다. 이 횡편기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은, 편침의 측면에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갖지 않고 훅(hook)을 갖는 바늘본체(needle本體)와, 훅을 개폐하는 2매의 블레이드(blade)를 갖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고, 2매의 블레이드의 사이에서 스티치를 반송할 수 있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이다. 또 사용하는 횡편기는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1에 있어서, 좌란(左欄)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우란(右欄)은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니들베드의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우란에 있어서, FB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를, BB는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를 나타내고, A∼J의 검은 점은 편침, 검은색 동그라미는 그 편성공정에서 편성된 스티치, 흰색 동그라미는 편침에 결합되는 구스티치(舊stitch), 2중 동그라미는 더블스티치(double stitch), 역삼각형은 급사구(給絲口)를 나타낸다. 또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바늘의 수는 실제의 편성보다 적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평면모양의 편성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1에는, FB의 편침(A∼J)을 사용하여 평면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를 편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S1은, 편성폭방향의 좌측방향(지면(紙面)의 좌측방향)으로 급사구(8)를 이동시킨 상태이다. 이 S1의 상태로부터 S2 이후의 편성을 함으로써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베이스 편성포부와 비교하여 신장이 억제된 신장억제영역(伸張抑制領域)(100)을 편성하여 간다. 여기에서는 FB의 편침(C∼H)에 결합된 스티치에 의한 영역을 신장억제영역(100)으로 하고, 이 신장억제영역(100)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편성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스티치(one stitch)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split stitch 編成)과 2스티치(two stitch)의 미스편성(miss編成)으로 구성되는 기본단위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2회 하는 편성을 기본편성으로 하고, 신장억제영역(100) 내에서 급사구를 2회 되돌리는 중에 기본편성을 3회 하여 신장억제영역(100)의 1스티치열(one stitch列)을 편성한다. 도1에서는, 편침(C, D, E)에 결합된 스티치에 대한 편성 및 편침(F, G, H)에 결합된 스티치에 대한 편성의 각각을 기본단위로 한다. 즉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의 편침(C∼H)에 결합된 스티치에 대한 급사구(8)의 1회의 우행(右行) 또는 좌행(左行)에 따르는 편성이 기본편성이다.
S2에서는, 편성폭방향의 우측방향으로 급사구(8)를 이동시켜서 FB의 편침(A, B)에 니트편성(knit編成)을 하여,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 1회째의 기본편성(B1)을 한다. 1회째의 기본편성(B1)은, FB의 편침(C, D, F, G)에 결합된 스티치(1, 2, 4, 5)에 대하여 미스편성을 하고, FB의 편침(E, H)에 결합된 스티치(3, 6)에 대하여 스플릿 스티치 편성을 한다.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 의하여, FB의 편침(E)에 결합된 스티치(3) 및 편침(H)에 결합된 스티치(6)는 기점스티치(起點stitch)로서 각각 BB의 편침(E, H)으로 트랜스퍼 됨과 아울러 FB의 편침(E, H)에 스티치(신규스티치(新規stitch))(13, 16)가 형성된다. 신규스티치(13, 16)는 각각 기점스티치(3, 6)로부터 BB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곧바로 인출된다. 그것은,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갖지 않는 복합바늘은 전후의 니들베드에서 훅 상호간이 정면으로 마주 보기 때문이다.
S3에서는, 편성폭방향의 좌측방향으로 급사구(8)를 되돌려 이동시켜서(1회째의 되돌림),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 2회째의 기본편성(B2)을 한다. 2회째의 기본편성(B2)은, FB의 편침(H, F, E, C)에 결합된 스티치(16, 4, 13, 1)에 대하여 미스편성을 하고, FB의 편침(G, D)에 결합된 스티치(5, 2)에 대하여 스플릿 스티치 편성을 한다.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1회째의 기본편성(B1)에서 미스편성을 한 스티치에 대하여 각 기본단위로부터 각각 1스티치 선택하여 실시한다.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 의하여, FB의 편침(G)에 결합된 스티치(5) 및 편침(D)에 결합된 스티치(2)는 기점스티치로서 각각 BB의 편침(G, D)으로 트랜스퍼 됨과 아울러 FB의 편침(G, D)에 스티치(신규스티치)(15, 12)가 형성된다.
S4에서는, 편성폭방향의 우측방향으로 급사구(8)를 되돌려 이동시켜서(2회째의 되돌림),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 3회째의 기본편성(B3)을 하고 FB의 편침(I, J)에 니트편성을 더 한다. 3회째의 기본편성(B3)은, FB의 편침(D, E, G, H)에 결합된 스티치(12, 13, 15, 16)에 대하여 미스편성을 하고, FB의 편침(C, F)에 결합된 스티치(1, 4)에 대하여 스플릿 스티치 편성을 한다.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1회째의 기본편성(B1) 및 2회째의 기본편성(B2)의 쌍방에서 미스편성을 한 스티치에 대하여 각 기본단위로부터 각각 1스티치 선택하여 실시한다.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 의하여, FB의 편침(C)에 결합된 스티치(1) 및 편침(F)에 결합된 스티치(4)는 기점스티치로서 각각 BB의 편침(C, F)으로 트랜스퍼 됨과 아울러 FB의 편침(C, F)에 스티치(신규스티치)(11, 14)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S2∼S4에 의하여, S1에 있어서 FB의 편침(C∼H)에 결합된 스티치(1∼6)의 모두에 대하여 스플릿 스티치 편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S2∼S4가 공정α에 상당한다.
S5에서는, S2∼S4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 의하여 BB로 트랜스퍼 된 기점스티치(1∼6)를, 각 기점스티치(1∼6)에 서로 마주 보는 신규스티치(11∼16)에 포개어 더블스티치(1;11∼6;16)를 형성한다(공정β에 상당). 각 더블스티치(1;11∼6;16)는 FB의 편침(C∼H)에 결합된다. 더블스티치의 형성은 FB에 형성된 신규스티치(11∼16)를, 각 신규스티치(11∼16)와 서로 마주 보는 기점스티치(1∼6)에 포개어도 좋다. 이 경우에 각 더블스티치(1;11∼6;16)는 BB의 편침(C∼H)에 결합된다.
S6에서는, 편성폭방향의 좌측방향으로 급사구(8)를 이동시켜서 FB의 편침(J∼A)에 니트편성을 한다. 즉 더블스티치(1;11∼6;16)에 대하여 새로운 스티치(고정 스티치(retaining stitch))(21∼26)를 편성한다(공정γ에 상당). 그렇게 함으로써 기점스티치(1∼6)와 신규스티치(11∼16)가 각각 합쳐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에는, 편성포의 신장을 억제하고 싶은 영역이 원하는 크기로 될 때까지 S2∼S6을 반복하여 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포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 기점스티치(1∼6)와 신규스티치(11∼16)가 포개어지고, 각 더블스티치(1;11∼6;16)는 그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편성된 고정 스티치(21∼2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성포는, 신장억제영역(100) 내에서 급사구를 2회 되돌림으로써 기본편성을 3회 하여 편성되어 있지만, 각 기본편성은 웨일방향으로는 스티치가 신장되지 않고 동일한 코스를 편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3회의 기본편성에 의하여 신장억제영역(100)의 1스티치열이 편성되어 있다. 도2에서는,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의 기본편성에 대하여, 1회째의 기본편성(B1)에 의한 편사를 굵은 선(도1의 S2에 상당), 2회째의 기본편성(B2)에 의한 편사를 이점쇄선(도1의 S3에 상당), 3회째의 기본편성(B3)에 의한 편사를 중간 굵기의 선(도1의 S4에 상당)으로 나타낸다. 또 도2의 하측의 C∼H는 도1에 나타내는 편침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정α의 후에 공정β를 하기 때문에 n+1회째의 기본편성(B(n+1))에 있어서의 미스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교차사(cross-over yarn)(M(n+1))는, n회째 이전의 기본편성(Bn)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의 사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2회째의 기본편성(B2)에 있어서의 미스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교차사(M2)는, 1회째의 기본편성(B1)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3)와 신규스티치(13)의 사이 및 기점스티치(6)와 신규스티치(16)의 사이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3회째의 기본편성(B3)에 있어서의 미스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교차사(M3)는, 1회째의 기본편성(B1)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3)와 신규스티치(13)의 사이 및 기점스티치(6)와 신규스티치(16)의 사이, 2회째의 기본편성(B2)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2)와 신규스티치(12)의 사이 및 기점스티치(5)와 신규스티치(15)의 사이에 삽입된다. 1회째의 기본편성(B1)에 있어서의 미스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교차사(M1)는, 어느 스티치에도 삽입되지 않는다.
즉 기점스티치(1)와 신규스티치(11)의 사이 및 기점스티치(4)와 신규스티치(14)의 사이에 삽입된 교차사는 0개이고, 기점스티치(2)와 신규스티치(12)의 사이 및 기점스티치(5)와 신규스티치(15)의 사이에 삽입된 교차사는 1개이며, 기점스티치(3)와 신규스티치(13)의 사이 및 기점스티치(6)와 신규스티치(16)의 사이에 삽입된 교차사는 2개이다. 이와 같이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의 사이에 삽입된 교차사의 개수의 차이에 의하여 편성포에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리브(rib) 모양의 조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편성포는, 신장을 억제하고 싶은 원하는 영역(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신장억제영역(100))에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기점스티치(1∼6) 및 신규스티치(11∼16)의 편사 상호간의 마찰력, 교차사(M1∼M3) 상호간의 마찰력 및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의 사이에 교차사가 삽입된 것에 의한 각 스티치의 편사와 그 교차사의 마찰력이라는 편사 상호간의 여러 가지의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억제영역(100)에 있어서의 스티치열의 단수(段數)는, 그 이외의 편성포영역의 스티치열의 단수보다 적다. 이 스티치열의 단수의 차이에 의해서도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탄성사가 아닌 편사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였을 경우에도 니트의 특성상 편성포에 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탄성사가 아닌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상기한 편성방법에서는, 1스티치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2스티치의 미스편성으로 구성되는 기본단위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2회 하는 편성을 기본편성으로 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기본편성의 구성은 불문한다. 기본단위로서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미스편성을 각각 적어도 1스티치씩 구비하고 있으면, 스플릿 스티치 편성의 스티치 수나 미스편성의 스티치 수는 불문한다. 또한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미스편성은, 공정α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좋아, 각 편성의 배열순서나 편성순서 등도 불문한다. 다만 미스편성이 연속되는 경우(특히 탄성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미스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차사가 지나치게 길어지게 됨으로써 교차사에 수축력이 작용하기 쉬워져서, 편성포의 미려함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연속하는 미스편성은 8스티치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연속하여 할 수도 있다(하기 패턴1, 2). 또한 신장억제영역의 모든 스티치에 대하여 스플릿 스티치 편성을 하는 것은 아니라, 스플릿 스티치 편성의 일부를 미스편성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하기 패턴3), 스플릿 스티치 편성의 일부를 니트편성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하기 패턴4). 그러나 니트편성을 하면, 미스편성과 비교하여 편사의 절대량이 증가하고 또한 더블스티치에 의한 신장억제도 할 수 없기 때문에, 기본단위로 1스티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플릿 스티치 편성을 하는 스티치를 『□』, 미스편성을 하는 스티치를 『―』, 니트편성을 하는 스티치를 『●』라고 하면, 이하에 예시하는 패턴을 들 수 있다.
[패턴1]
1회째의 기본편성 : ――――□□――――□□――――□□
2회째의 기본편성 : ――□□――――□□――――□□――
3회째의 기본편성 : □□――――□□――――□□――――
[패턴2]
1회째의 기본편성 : ――――――□□□――――――□□□
2회째의 기본편성 : ―――□□□――――――□□□―――
3회째의 기본편성 : □□□――――――□□□――――――
[패턴3]
1회째의 기본편성 : ――――――□―□――――――□―□
2회째의 기본편성 : ―――□―□――――――□―□―――
3회째의 기본편성 : □―□――――――□―□――――――
[패턴4]
1회째의 기본편성 : ――――――□●□――――――□●□
2회째의 기본편성 : ―――□●□――――――□●□―――
3회째의 기본편성 : □●□――――――□●□――――――
상기한 편성방법에서는, 평면모양의 편성포에 있어서 편성폭방향의 소정의 범위로서 일부영역을 신장억제영역으로 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편성폭방향의 전체영역을 신장억제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신장을 억제하고 싶은 장소에 상기한 편성방법을 실시하면 된다. 또한 평면모양의 편성포 이외에도 통(筒) 모양의 편성포에서도 편성할 수 있다. 통모양 편성포를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후 니들베드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서 본 실시형태의 편성방법을 적용한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의 1코스분을 편성하고, 그 후에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서 본 실시형태의 편성방법을 적용한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의 1코스분을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전후 니들베드에서 순차적으로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함으로써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는 양단부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통모양 편성포가 된다. 이 때에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본 실시형태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도3은, 상기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고 테이핑 효과(taping 效果)가 있는 서포트 팬츠(support pants)를 나타낸다. 좌측의 도면은 그 서포트 팬츠의 전방, 우측의 도면은 그 후방의 도식도이다.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기본단위의 증감에 의하여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모양의 신장억제영역(100)(해칭 부분)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신장억제영역을 따라 기본단위의 도중에서 되돌리는 기본편성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릎 관절이나 장딴지 등 서포트 하고 싶은 영역(해칭 부분)에 본 실시형태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통모양 편성포에 신장억제영역을 배치함에 있어서, 주회편성(周回編成, circling knitting)을 할 때에는 서포트 팬츠의 전방의 영역을 편성한 후에 서포트 팬츠의 후방의 영역을 편성하면 된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공정α에 있어서 기본편성을 할 때마다 공정β를 하는 예를 설명한다. 실시형태2에 있어서도 도1의 편성공정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1회째의 기본편성(B1)을 한다(도1의 S2). 이 1회째의 기본편성(B1)에 있어서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3)와 신규스티치(13) 및 기점스티치(6)와 신규스티치(16)의 각각을 포갠다(공정β). 다음에 2회째의 기본편성(B2)을 한다(도1의 S3). 이 2회째의 기본편성(B2)에 있어서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2)와 신규스티치(12) 및 기점스티치(5)와 신규스티치(15)의 각각을 포갠다(공정β). 그리고 3회째의 기본편성(B3)을 한다(도1의 S4). 이 3회째의 기본편성(B3)에 있어서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1)와 신규스티치(11) 및 기점스티치(4)와 신규스티치(14)의 각각을 포갠다(공정β). 최후에 더블스티치(1;11∼6;16)에 대하여 새로운 스티치(고정 스티치)(21∼26)를 편성한다(도1의 S6).
실시형태2에서는, 기본편성을 할 때마다 각 기본편성에 있어서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를 포개기 때문에,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의 사이에 교차사는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시형태2의 편성방법에 의해서도 기점스티치(1∼6) 및 신규스티치(11∼16)의 편사 상호간의 마찰력 및 교차사(M1∼M3) 상호간의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의 쌍방으로 신장되기 어려운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편성포 내에 실시형태1의 편성과 실시형태2의 편성을 혼재시켜도 좋고, 신장억제영역(100)의 동일 스티치열 내에 혼재시켜도 좋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1, 2에서는,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갖지 않는 복합바늘(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946323호보 등을 참조)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편성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갖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실시형태1, 2에서 설명한 편성을 할 수 있다.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은, 그 일방의 측면에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구비한 래치바늘(latch needle)(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5032822호 공보 등을 참조)이나 복합바늘(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78962호 공보 등을 참조)이며, 그 날개를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를 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의 훅 상호간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다. 이 어긋남에 의하여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갖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스플릿 스티치 편성을 한 경우에, 기점스티치의 일방의 밑부분에 신규스티치의 양쪽 싱커루프(sinker loop)가 감긴다. 따라서 기점스티치와 신규스티치가 얽힌 상태로 되기 때문에, 기점스티치 및 신규스티치의 편사 상호간의 마찰을 더 높일 수 있어 신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신장억제영역
1∼6 : 스티치(기점스티치)
11∼16 : 스티치(신규스티치)
1;11∼6;16 : 더블스티치
21∼26 : 스티치(고정 스티치)
B1, B2, B3 : 기본편성
M1, M2, M3 : 교차사
8 : 급사구

Claims (3)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편성폭방향의 소정의 범위를 신장억제영역(伸張抑制領域)으로 하였을 때에,
    스플릿 스티치 편성(split stitch 編成)과 미스편성(miss編成)을 포함하는 기본편성을 n회(단 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되돌림에 의하여 n+1회 하여, 상기 신장억제영역의 1스티치열(1stitch列)을 편성하는 공정α와,
    상기 스플릿 스티치 편성에서 선택된 기점스티치(起點stitch)와 상기 기점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신규스티치(新規stitch)를 포개어 더블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하는 공정β와,
    상기 더블스티치를 포함하는 상기 신장억제영역의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γ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α에서는, n+1회째의 기본편성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n회째 이전의 모든 기본편성에서 미스편성을 한 스티치의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실시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β는 상기 공정α의 뒤에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편성은, 1스티치(one stitch)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과 2스티치(two stitch)의 미스편성으로 구성되는 기본단위를 복수 회 반복하는 편성이며,
    상기 공정α에서는, 상기 기본편성을 2회의 되돌림에 의하여 3회 하여 상기 신장억제영역의 1스티치열을 편성함에 있어서, n+1회째의 기본편성에 있어서의 스플릿 스티치 편성은, n회째 이전의 모든 기본편성에서 미스편성을 한 기본단위에 있어서의 스티치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실시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50124615A 2014-09-18 2015-09-03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725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0392A JP6223308B2 (ja) 2014-09-18 2014-09-18 編地の編成方法
JPJP-P-2014-190392 2014-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99A true KR20160033599A (ko) 2016-03-28
KR101725421B1 KR101725421B1 (ko) 2017-04-10

Family

ID=5544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15A KR101725421B1 (ko) 2014-09-18 2015-09-03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23308B2 (ko)
KR (1) KR101725421B1 (ko)
CN (1) CN105442162B (ko)
DE (1) DE102015012153A1 (ko)
IT (1) ITUB20153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1621B2 (ja) * 2016-06-06 2019-07-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2733A (ja) 2010-07-01 2012-01-19 Asahi Kasei Fibers Corp 小寸丸編地
KR20130002259A (ko) * 2011-06-28 2013-01-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2013167038A (ja) 2012-02-15 2013-08-29 Okamoto Kk 度目調整した編み製品
WO2014174990A1 (ja) * 2013-04-23 2014-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258B2 (ja) 1991-07-25 2000-02-14 株式会社クラレ 易崩壊性樹脂組成物
JPH0578962A (ja) 1991-09-17 1993-03-30 Shima Seiki Mfg Ltd 編機用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
JP5695862B2 (ja) * 2010-08-25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JP2012082564A (ja) * 2010-09-15 2012-04-26 Shima Seiki Mfg Ltd 伏目処理方法
JP2012251262A (ja) *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3007133A (ja) * 2011-06-23 2013-01-10 Shima Seiki Mfg Ltd 立体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3019062A (ja) * 2011-07-07 2013-01-31 Shima Seiki Mfg Ltd 編目抑止杆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875284B2 (ja) * 2011-08-16 2016-03-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ウエアのvネック分岐部の編成方法
JP2014148764A (ja) * 2013-01-31 2014-08-21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988895B2 (ja) * 2013-02-27 2016-09-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2733A (ja) 2010-07-01 2012-01-19 Asahi Kasei Fibers Corp 小寸丸編地
KR20130002259A (ko) * 2011-06-28 2013-01-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2013167038A (ja) 2012-02-15 2013-08-29 Okamoto Kk 度目調整した編み製品
WO2014174990A1 (ja) * 2013-04-23 2014-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012153A1 (de) 2016-03-24
JP2016060990A (ja) 2016-04-25
CN105442162B (zh) 2017-08-25
KR101725421B1 (ko) 2017-04-10
JP6223308B2 (ja) 2017-11-01
CN105442162A (zh) 2016-03-30
ITUB20153442A1 (it)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770B2 (en)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product
US9441315B2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2501846B1 (ko) 얀 선택이 구비된 더블 저지 니트 직물
JP5414538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49844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EP1842948A4 (en)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 TUBE ON THE FLAT KNITTING MACHINE
KR20150106364A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140135640A (ko) 리브풍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리브풍 편성포
KR20130130603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160018372A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KR101725421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10409043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6518608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US10184196B2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10013748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1735362B1 (ko) 서포터 및 서포터의 편성방법
JP5988895B2 (ja) 編地の編成方法
JP7233205B2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JP2017214671A (ja) 編み製品および編み製品の製造方法
JP3195907U (ja) 二方向伸縮横編地、およびそれを用いた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