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810A -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810A
KR20160029810A KR1020167002354A KR20167002354A KR20160029810A KR 20160029810 A KR20160029810 A KR 20160029810A KR 1020167002354 A KR1020167002354 A KR 1020167002354A KR 20167002354 A KR20167002354 A KR 20167002354A KR 20160029810 A KR20160029810 A KR 20160029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erting direction
convex portion
hole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830B1 (ko
Inventor
마사토 와다
겐스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측에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이 형성되도록,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과반원통 모양, 또는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몸통부(110)와, 몸통부에서의 삽입 방향의 안측과 바로 전측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몸통부(110)로부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121, 131), 및 베이스편(121, 131)에 마련된 걸림편(122, 132)을 가지는 걸림부(120, 130)를 구비하며, 몸통부(110)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113, 114)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는 단자(100)이다. 접속 구조는, 단자(100)와 피접속물(200)과 실장처 부재(300)를 구비하고 있다. 피접속물(200)이 부착된 단자(100)를 실장처 부재(300)에 자립시키고,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관통공(310)과의 사이의 납땜층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TERMINAL AN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막대 모양의 도체를 가지는 피(被)접속물을 실장처 부재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와, 그러한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08-153137호 공보는,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프린트 기판을 위한 접속 단자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접속 단자의 공간에는 리드 단자가 받아 들여진다. 탄성 변위편의 선단은 원기둥 공간의 중심 축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탄성 변위편은 상기 리드 단자에 강하게 접촉한다. 상기 리드 단자 및 상기 탄성 변위편의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확립된다. 그 한편으로, 칼날부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스루 홀(through hole)의 내벽면에 파고든다. 상기 칼날부 및 상기 스루 홀의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확립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리드 단자 및 상기 스루 홀의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확립된다. 상기 접속 단자에 의하면, 상기 스루 홀에 상기 리드 단자가 끼워 넣어지는 것만으로 전자 부품은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에 실장된다. 한번의 밀어붙임력으로 모든 상기 리드 단자는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에 고정된다. 납땜은 생략된다.
일본특허공개 평5-343115호 공보는, 구조를 간략화한 기판 장착용 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이 기판 장착용 단자는, 전기 접촉부와 배선 기판에 대한 장착부로 이루어지며, 장착부에서 기판부에 서로 대향한 측벽을 기립함과 아울러 각 측벽에 기판부 밖으로 돌출하는 장착용 다리편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내지 장착용 다리편이 기판부에 대해서 탄성 변위한다.
일본실용신안공개 평4-121674호 공보는, 배선 기판에 납땜 접속되는 단자를 가지는 기판 직접 부착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열 변형 등의 영향에 의한 납땜부의 크랙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선 기판으로의 단자 핀부의 삽착(揷着)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을 병설(竝設)한 커넥터 하우징과, 일방에 상대측 단자에 대한 전기 접촉부, 타방에 가요부(可撓部)를 매개로 하여 배선 기판의 관통공에 대한 핀부를 연결한 단자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단자 수용실의 내벽에, 상기 단자의 가요부에 대한 위치 결정용 가요(可撓) 유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전선이 접속된 단자를 프린트 배선판에 마련한 관통공에 삽입하고, 상기 단자를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랜드(land)에 납땜하는 경우, 상기 전선을 상기 단자에 접속하는 접속 공정과, 상기 전선 부착 단자를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관통공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키는 감합 공정과, 상기 전선 부착 단자를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랜드에 납땜하는 납땜 공정을 행하게 된다.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전선 부착 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확실히 감합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전선 부착 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우가 있고, 그렇게 되면 상기 전선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벽과의 사이의 간극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상기 간극으로의 용해 납땜의 흡수, 즉, 이른바 납땜의 웨팅(wetting)이 불량이 되어, 상기 간극에 납땜층이 양호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선과 상기 프린트 배선판과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것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납땜 공정에서 상기 관통공에 감합한 상기 전선 부착 단자를 경사지지 않도록 유지해 두지 않으면 안되며, 그 때문에 여분의 공정수가 소요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자는,
내측에, 모선(母線)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이 180도를 넘고 있어 주방향(周方向)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과반원통(過半圓筒) 모양, 또는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안측과 바로 전측(前側)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base片), 및 상기 베이스편에 마련된 걸림편을 가지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는 단자이다.
상기 몸통부의 상기 원통 모양의 공간에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이 걸림으로써 상기 피접속물을 상기 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에 감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통부가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가 상기 볼록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의 치수 관리를 행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벽에 접하여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wetting)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에 납땜층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단자는,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를 마련했으므로, 상기 피접속물이 접속된 상기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시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시키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을 확보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을 촉진하여, 상기 간극에 상기 납땜층을 양호하게 형성하며,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막대 모양의 도체를 가지는 피접속물과,
관통공이 마련된 실장처 부재와,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가,
내측에, 모선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이 180도를 넘고 있어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과반원통 모양, 또는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안측과 바로 전측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 및 상기 베이스편에 마련된 걸림편을 가지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고,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가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려져 있고,
상기 몸통부가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감합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벽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에 납땜층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이다.
상기 몸통부의 상기 원통 모양의 공간에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피접속물을 상기 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에 감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통부가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가 상기 볼록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의 치수 관리를 행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에 접하여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에 납땜층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를 마련했으므로, 상기 피접속물이 접속된 상기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시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시키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을 확보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을 촉진하여, 상기 간극에 상기 납땜층을 양호하게 형성하며,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단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단자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단자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前側)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로부터 제1 걸림부의 단부를 없애고 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에 상기 도체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에 상기 도체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단자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caulking)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상기 피접속물 단자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밀어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의 X-X선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의 Y-Y선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1 변형예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상기 제1 변형예의 단자의 다른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상기 제1 변형예의 단자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2 변형예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걸림부에 관한 상기 제2 변형예의 단자의 다른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상기 제2 변형예의 단자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볼록부에 관한 제1 변형예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1 변형예의 단자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볼록부에 관한 제2 변형예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2 변형예의 단자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제3 변형예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3 변형예의 단자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몸통부를 가지는 변형예의 단자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3 변형예의 단자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4 변형예의 단자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단자를 이용하여 가능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도 13의 상당도이다.
도 31은, 상기 단자를 이용하여 가능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도 14의 상당도이다.
도 32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제4 변형예의 단자를 나타내는 도 14의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단자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단자(100)에 의해, 막대 모양의 도체(210)를 가지는 피(被)접속물(200)을, 관통공(310)이 마련된 실장처 부재(300)에 접속한다. 즉, 상기 단자(100)는, 몸통부(110)와,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를 상기 단자(100)에 접속하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며, 상기 몸통부(110), 및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도전부(320)를 납땜하고, 또는 상기 도체(210), 상기 몸통부(110), 및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도전부(320)를 납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200)을 상기 실장처 부재(300)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몸통부(110) 및 상기 걸림부는,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하나의 판 모양 소재로부터 일체로 성형되어 있지만,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걸림부의 소재는 예를 들면 괴(塊) 모양 등의 다른 형태의 소재로부터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와 상기 걸림부를 동일 또는 다른 소재에 의해 별도로 형성하고 나서 그들을 접속해도 괜찮다.
상기 몸통부(110)는,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110)는, 내측에, 모선(母線)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과반원통(過半圓筒) 모양 또는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 방향은,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으로 삽입하는 방향이며, 도 1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원통 모양의 것을, 그 중심축(C)을 포함한 평면으로 정확히 절반으로 나눈 형상이 반원통 모양이지만, 원통 모양의 것을, 상기 중심축(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축을 포함한 평면으로 나누었을 때의 큰 쪽의 부분이 상기 과반원통 모양이며, 이 실시 형태의 상기 몸통부(110)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C)은, 상기 원통 모양의 것의 내측에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공간의 중심축이기도 하다. 즉, 상기 과반원통 모양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θi)이 180도를 넘고 있어 주방향(周方向)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형상이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반원통 모양의 경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θh)이 180도가 된다. 상기 간극은,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주방향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탄성 변형했을 때에 상기 주방향의 상기 양단 가장자리가 서로 찔러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은, 상기 주방향으로 연속한 원통 모양이 아니라, 상기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원통 모양이며, 일례로서, 상기 몸통부에 관한 변형예의 단자(100)를 도 27에 나타냈다. 상기 주방향의 상기 양단 가장자리를 겹치고 있는 것은,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주방향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탄성 변형했을 때에 상기 양단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상기 주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주방향으로 겹쳐지는 길이가 변화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통부의 상기 삽입 방향의 바로 전측에는 플레어부(flare部)(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레어부(112)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을 향하여 직경이 넓어져 가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레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몸통부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안측과 상기 바로 전측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과, 상기 베이스편에 마련된 걸림편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림부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양쪽 모두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 걸림부(120)가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 걸림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2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121)과, 상기 베이스편(121)에 마련된 걸림편(12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3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131)과, 상기 베이스편(131)에 마련된 걸림편(13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20)는 압착형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122)은, 상기 베이스편(121)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세워지는 배럴(barrel)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걸림편(122)은 상기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세워져 있지만, 상기 걸림편을 상기 폭방향의 편측만으로부터 세워도 괜찮다. 상기 폭방향은, 상기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두께 방향은,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2 걸림부(130)는 상기 압착형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132)은, 상기 베이스편(131)의 상기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세워지는 배럴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걸림편(132)은 상기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세워져 있지만, 상기 걸림편을 상기 폭방향의 편측만으로부터 세워도 괜찮다.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2개의 걸림편(132)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어긋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상기 제2 걸림부(130)를 일련의 판 모양의 소재로부터 구멍을 타발하여 제조할 때에, 상기 제2 걸림부(130)를 이웃 단자의 상기 제2 걸림부(130)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어긋나도록 블랭킹(blanking) 배치함으로써 소재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2 걸림부의 상기 2개의 걸림편을 상기 제1 걸림부(120)의 상기 2개의 걸림편(122)과 마찬가지로 상기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치도록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2개의 걸림편을,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2개의 걸림편(132)과 같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어긋나게 해도 괜찮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부(120)의 상기 걸림편(122) 및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걸림편(132)은,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피접속물(200)에 압압력(押壓力)을 가지고 감싸 붙여,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킹(caulking)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일례로서,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1 변형예의 단자(100)를 나타낸다. 이 제1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 걸림부(120)가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 걸림부(13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1 걸림부(120)의 상기 걸림편(122)은,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피접속물(200)에 압압력을 가지고 감싸 붙여,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2 변형예의 단자(100)를 나타낸다. 이 제2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 걸림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걸림편(132)은,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피접속물(200)에 압압력을 가지고 감싸 붙여,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8은,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3 변형예의 단자(100)를 나타낸다. 이 제3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상기 제1 걸림부(120)는 상기 압착형이지만, 상기 제2 걸림부(130)는 상기 압착형은 아니고 압접형이다. 따라서,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걸림편(132)은,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해 상기 베이스편(131)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세워지는 판편(板片)이며, 그 판편의 선단으로부터 근본(根本)으로 향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압접 칼날(1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32)에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서 상기 피접속물(200)을 밀어넣으면, 상기 압접 칼날(132a)이 상기 피접속물(200)의 외주부에 파고들어 상기 제2 걸림부(130)가 상기 피접속물(200)을 걸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를 압접형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걸림부를 압착형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를 모두 압접형으로 해도 괜찮다. 도 29는, 상기 걸림부에 관한 제4 변형예의 단자(100)를 나타낸다. 이 제4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상기 제1 걸림부(120)는 상기 압착형이지만, 상기 제2 걸림부(130)는 상기 압착형은 아니고 피어싱형이다. 따라서,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걸림편(132)은, 상기 폭방향을 향해 상기 베이스편(131)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세워지는 판편이며, 그 판편의 선단이 날카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32)에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서 상기 피접속물(200)을 밀어넣으면, 상기 걸림편(132)이 상기 피접속물(200)을 푹 찌름으로써 상기 제2 걸림부(130)가 상기 피접속물(200)을 걸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를 피어싱형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걸림부를 압착형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를 모두 피어싱형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제1 걸림부를 상기 압착형, 상기 압접형, 상기 피어싱형, 또는 그 외의 걸림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걸림부를 상기 압착형, 상기 압접형, 상기 피어싱형, 또는 그 외의 걸림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해도 좋고, 그 조합은 자유 자재이다.
상기 몸통부(110)는,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다. 외측은, 상기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며, 그 반대측이 내측이다. 상기 볼록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반구 모양 등을 포함하는 구(球) 모양, 직방체 모양, 원추(圓錐) 모양, 원추대(圓錐台) 모양, 각추(角錐) 모양, 각추대(角錐台)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볼록부는,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의 일부를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외측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 상기 몸통부와는 별도로 형성한 상기 볼록부를 예를 들면 납땜,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장착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볼록부는 탄성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볼록부가 탄성을 가지지 않아도 좋다. 또,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벽(311)은 탄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 벽이 탄성을 가지지 않아도 좋다.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하면,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 변형하고, 그것에 따라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 상기 볼록부가 탄성 변형하기도 하고,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이 탄성 변형하기도 한다. 그 경우, 상기 볼록부의 일 형태로서,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그 일부가 나오고,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개구의 가장자리, 즉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단부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의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여 고정되는 후술의 제1 볼록부(113)와 같은 상기 볼록부가 있다. 또, 상기 볼록부의 일 형태로서,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그 일부가 남고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개구의 가장자리, 즉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단부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의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여 고정되는 후술의 제2 볼록부(114)와 같은 상기 볼록부가 있다. 게다가, 상기 볼록부의 일 형태로서,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관통공(310)으로 들어가, 상기 벽(311)의 상기 삽입 방향 중도부(中途部)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의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여 고정되는 상기 볼록부도 있다(예를 들면 도 32를 참조). 여기에서는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상기 볼록부가 탄성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상기 볼록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도 상기 볼록부가 상기 벽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단부,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바로 전측의 단부, 또는 상기 삽입 방향 중도부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며, 상기 벽이 탄성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상기 벽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도 상기 볼록부가 상기 벽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단부,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바로 전측의 단부, 또는 상기 삽입 방향 중도부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한다.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볼록부의 상기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포락선(包絡線), 또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외측의 단부와 상기 몸통부(11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포락선이,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상기 제1 볼록부(113)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상기 제2 볼록부(11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볼록부(113)가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주방향으로 떨어져 3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볼록부(114)가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주방향으로 떨어져 3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볼록부의 수 및 배열이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상기 볼록부는,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 볼록부를 2개 이상 마련한 경우,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주방향에서의 상대 위치를 각각 임의로 설정해도 괜찮다.
상기 볼록부는 3개 이상 마련되어 있고, 그 중의 3개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들을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면 상기 삼각형 안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중심축이 포함되는 3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3개소 이외에 상기 볼록부를 마련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상기 제1 볼록부(113)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상기 제2 볼록부(114)가 마련되어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볼록부(113)는,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들을 연결하여 삼각형(R)을 만들면 상기 삼각형(R) 안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상기 중심축(C)이 포함되는 3개소에 마련되어 있으며, 또 상기 제2 볼록부(114)는,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들을 연결하여 삼각형(R)을 만들면 상기 삼각형(R) 안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상기 중심축(C)이 포함되는 3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볼록부(113) 또는 상기 제2 볼록부(114) 중 어느 하나를, 이러한 3개소에 마련해도 좋고, 상기 제1 볼록부(113)와 상기 제2 볼록부(114)를 합쳤을 때에, 이러한 3개소에 위치하도록 마련해도 좋다.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은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은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113)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114)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두께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1 볼록부(113)는, 상기 몸통부(110)의 표면에 중심을 둔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볼록부(114)는, 상기 몸통부(110)의 표면에 저면을 둔 사각추대(四角錐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113)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114)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 D(도 3을 참조)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두께 T(도 14를 참조)와 동일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볼록부가 반구 모양이 아니라 다른 형상이라도 좋고,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 제2 볼록부가 사각추대 모양이 아니라 다른 형상이라도 좋고,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볼록부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볼록부(113) 또는 상기 제2 볼록부(114)등과 같이 상기 몸통부(110)에 점(点) 모양으로 마련해도 좋다. 그러나, 도 21에 나타내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1 변형예의 단자(100)와 같이, 상기 볼록부(113)를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상기 외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선 모양으로 연장하여 마련해도 괜찮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2 변형예의 단자(100)와 같이, 상기 볼록부(113, 114)를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상기 외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주방향(周方向)을 따라서 선 모양으로 연장하여 마련해도 좋다. 여기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상기 제1 볼록부(113)를 마련하고,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상기 제2 볼록부(114)를 마련했다. 그 때문에,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을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을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하고,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113)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114)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해도 괜찮다. 게다가, 도 25에 나타내는,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3 변형예의 단자(100)와 같이, 상기 볼록부(113)를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상기 외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진행하면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주방향으로 기울도록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주방향에 대해서 경사 방향을 따라서 선 모양으로 연장하여 마련해도 괜찮다. 또, 상기 몸통부에,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한 모양의 스토퍼를 마련하며, 상기 몸통부가 상기 관통공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상기 스토퍼 전체가 남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 즉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단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압압력을 가지고 맞닿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상기 피접속물(200)은, 상기 도체(210)로서의 심선(芯線)과, 상기 도체(210)의 주위를 덮는 절연 피복(220)을 구비한 전선이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부(120)의 상기 걸림편(122)은,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도체(210)에 압압력을 가지고 감싸 붙여, 상기 도체(210)에 코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걸림부(130)의 상기 걸림편(132)은,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절연 피복(220)에 압압력을 가지고 감싸 붙여,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에 관한 상기 제1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부(120)를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에 코킹한다. 상기 걸림부에 관한 상기 제2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걸림부(130)를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킹한다. 또, 상기 볼록부에 관한 상기 제1 내지 제3 변형예의 단자(100)의 경우, 각각 도 22, 도 24,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부(120)를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에 코킹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걸림부(130)를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킹한다.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를 압접형으로 했을 때에는, 상기 압접 칼날(132a)이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절연 피복(220)에 파고들어 상기 제2 걸림부(130)가 상기 피접속물(200)을 걸리게 한다.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를 피어싱형으로 했을 때에는, 상기 걸림편(132)이 상기 절연 피복(220)을, 경우에 따라서는 또 상기 도체(210)를 푹 찌름으로써 상기 제2 걸림부(130)가 상기 피접속물(200)을 걸리게 한다. 상기 피접속물(200)은, 막대 모양의 도체를 가지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상기 전선 외에도 예를 들면 실드(shield)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고, 또 예를 들면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고, 또, 그 외의 막대 모양 도체를 구비한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피접속물은 상기 도체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11 내지 도 1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실장처 부재(300)는, 프린트 배선판이다. 이 실장처 부재(300)에는, 상기 관통공(310)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10)으로부터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표면 및 이면으로 걸쳐 도전성 부재가 마련되며, 이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랜드라고 칭해지는 것이 있는 상기 도전부(320)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310)의 표면은 상기 도전부(32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부는, 상기 관통공에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가 감합했을 때에, 상기 몸통부와의 사이에 납땜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상기 도전부(320)는 동(銅)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도전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실장처 부재는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장처 부재에는, 예를 들면 전기제품의 케이스, 또는 그 외의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를 상기 단자(100)에 접속하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하면,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에 간극(330)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피접속물(200)과의 사이, 상세하게는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도체(210)와의 사이에 간극(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10), 및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도전부(320)를 납땜하면,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공급된 용해 납땜이 상기 간극(330)에 흡수되어 굳고, 그것에 따라 납땜층(S1)이 형성된다. 혹은, 상기 도체(210), 상기 몸통부(110), 및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도전부(320)를 납땜하면,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공급된 용해 납땜이 상기 간극(330)에 흡수되어 굳고, 그것에 따라 납땜층(S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용해 납땜이 상기 간극(115)에 흡수되어 굳으며, 그것에 따라 납땜층(S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납땜이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상기 간극(330, 115)으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흡수되어 가는 것을 납땜이 웨팅한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납땜층(S1, S2) 등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200)이 상기 실장처 부재(300)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피접속물(200)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115)에 상기 납땜층을 형성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에 의한 상기 피접속물의 걸림 힘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을 때에는, 그것으로도 충분히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확보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에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부(120, 130)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200)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피접속물(200)을 상기 단자(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볼록부(113, 114)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볼록부(113, 114)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110)의 치수 관리를 행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볼록부(113, 114)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110)에서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에 접하여 상기 관통공(310)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113, 114)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330)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330)으로의 상기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에 상기 납땜층(S1)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피접속물(200)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115)에 상기 납땜층(S2)을 형성했을 때에는, 상기 납땜층(S2)에 의해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피접속물(200)과의 접속력을 늘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의 단자(100)는, 상기 몸통부(110)를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10)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113, 114)를 마련했으므로, 상기 피접속물(200)이 접속된 상기 단자(10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310)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시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대해서 자립시키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330)을 확보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330)으로의 상기 납땜의 웨팅을 촉진하여, 상기 간극(330)에 상기 납땜층(S1)을 양호하게 형성하며,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단자는, 상기 몸통부가,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으면 좋고,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볼록부의 수도 배치도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단자(100)는, 상기 볼록부(113, 114)가 3개 이상 마련되어 있고, 그 중의 3개의 상기 볼록부(113, 114)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들을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면 상기 삼각형 안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중심축(C)이 포함되는 3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3개소의 볼록부(113, 114)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에 접함으로써,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벽(311)에 대한 위치가 확정되므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113, 114)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330)이 확보되어,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330)으로의 상기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330)에 상기 납땜층(S1)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3개소의 볼록부(113, 114)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에 접함으로써,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벽(311)에 대한 위치가 확정되므로, 상기 단자(10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한층 확실히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단자는, 상기 몸통부가,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으면 좋고,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볼록부의 수도 배치도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 등의 측면의 방향은 자유 자재로 설정하면 되며, 예를 들면 상기 측면의 방향이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고, 경사져 있지 않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3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벽(311)의 상기 삽입 방향 중도부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의 압압력을 가지고 접하여 고정되는 상기 볼록부(113)의 경우 등은, 상기 측면의 방향은 자유 자재로 설정하면 되며, 예를 들면 상기 측면의 방향이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고, 경사져 있지 않아도 괜찮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단자(100)는,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의 상기 볼록부(113)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의 상기 볼록부(114)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113)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114)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 D가, 실장처 부재(300)의 두께 T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하면, 상기 제1 볼록부(113)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113a)이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리므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아 내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또, 상기 제2 볼록부(114)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114a)이 상기 관통공(310)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맞닿으므로, 그 손 느낌 등에 의해 감합 작업의 완료가 검지된다. 게다가, 예를 들면 상기 제1 볼록부(113)가 상기 관통공(310)을 빠져 나온 순간에 탄성 복원할 때에 클릭감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걸림부는, 예를 들면 상기 압접형, 상기 피어싱형, 또는 그 외의 걸림 구조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단자(100)는, 상기 걸림편(122, 132)이, 상기 베이스편(121, 131)의 상기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배럴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에 상기 도체(210)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편(122, 132)을 상기 피접속물(200)에 코팅함으로써 상기 단자(100)가 상기 도체(210)에 접속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도 충분히 개시되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막대 모양의 상기 도체(210)를 가지는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관통공(310)이 마련된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 상기 단자(100)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100)가, 상기 내측에, 상기 모선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중심각(θi)이 180도를 넘고 있어 상기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상기 간극이 형성된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주방향의 상기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몸통부(110)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상기 안측과 상기 바로 전측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베이스편(121, 131), 및 상기 베이스편(121, 131)에 마련된 상기 걸림편(122, 132)을 가지는 상기 걸림부(120, 130)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113, 114)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고,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가 상기 단자(100)의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20, 130)에 걸려져 있으며,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되어 상기 볼록부(113, 114)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에 상기 납땜층(S1)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이다.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원기둥 모양의 공간(111)에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부(120, 130)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200)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피접속물(200)을 상기 단자(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의 상기 관통공(310)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310)에 감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통부(110)가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볼록부(113, 114)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볼록부(113, 114)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110)의 치수 관리를 행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볼록부(113, 114)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110)에서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에 접하여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관통공(310)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113, 114)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단자의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330)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330)으로의 상기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330)에 상기 납땜층(S1)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상기 실시 형태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상기 단자(100)의 상기 몸통부(110)를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10)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113, 114)를 마련했으므로, 상기 피접속물(200)이 접속된 상기 단자(100)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310)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시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300)에 대해서 자립시키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115)을 확보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115)으로의 상기 납땜의 웨팅을 촉진하여, 상기 간극(115)에 상기 납땜층(S1)을 양호하게 형성시키며,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상기 본 발명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와의 사이에 납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관통공(310)을 구성하는 상기 벽(311)과의 사이에 상기 납땜층(S1)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피접속물(200)의 상기 도체(210)와의 사이에도 상기 납땜층(S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납땜층(S2)에 의해 상기 단자(100)와 상기 피접속물(200)과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피접속물(200)과 상기 실장처 부재(300)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단자 중 제1 형태에 관한 것은,
내측에, 모선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이 180도를 넘고 있어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과반원통 모양, 또는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안측과 바로 전측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 및 상기 베이스편에 마련된 걸림편을 가지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는 단자이다.
상기 몸통부의 상기 원통 모양의 공간에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피접속물을 상기 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에 감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통부가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가 상기 볼록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의 치수 관리를 행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벽에 접하여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하며,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에 납땜층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상기 제1 형태의 단자는,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를 마련했으므로, 상기 피접속물이 접속된 상기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시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시키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을 확보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을 촉진하여, 상기 간극에 상기 납땜층을 양호하게 형성하며,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할 수 있었다.
2) 본 발명의 단자 중 제2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형태의 단자에서, 또,
상기 볼록부가 3개 이상 마련되어 있고, 그 중의 3개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들을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면 상기 삼각형 안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중심축이 포함되는 3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단자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3개소의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에 접함으로써, 상기 몸통부의 상기 벽에 대한 위치가 확정되므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확보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에 납땜층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상기 제2 형태의 단자는, 상기 3개소의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에 접함으로써, 상기 몸통부의 상기 벽에 대한 위치가 확정되므로, 상기 제1 단자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한층 확실히 얻을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단자 중 제3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형태의 단자에서, 또,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가, 실장처 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단자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감합하면,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면이 상기 관통공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리므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아 내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또,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면이 상기 관통공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맞닿으므로, 그 손 느낌 등에 의해 감합 작업의 완료가 검지된다.
상기 제3 형태의 단자는, 상기 제 1또는 상기 제2 형태의 단자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아 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감합 작업의 완료를 검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단자 중 제4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단자에서, 또,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편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배럴인 단자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몸통부의 상기 원통 모양의 공간에 상기 도체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편을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함으로써 상기 단자가 상기 도체에 접속된다.
상기 제4 단자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걸림편을 상기 피접속물에 코킹함으로써 상기 단자를 상기 도체에 접속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중 제1 형태에 관한 것은,
막대 모양의 도체를 가지는 피접속물과,
관통공이 마련된 실장처 부재와,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가,
내측에, 모선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이 180도를 넘고 있어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과반원통 모양, 또는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안측과 바로 전측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 및 상기 베이스편에 마련된 걸림편을 가지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고,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가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려져 있고,,
상기 몸통부가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감합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벽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에 납땜층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이다.
상기 몸통부의 상기 원통 모양의 공간에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피접속물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피접속물을 상기 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에 감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통부가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가 상기 볼록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의 치수 관리를 행하면,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에 접하여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가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이 촉진되어, 상기 간극에 납땜층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상기 제1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를 탄성을 가지는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볼록부를 마련했으므로, 상기 피접속물이 접속된 상기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마련된 상기 관통공에 소정의 감합력으로 감합시켜 상기 감합 공정에서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를 상기 실장처 부재에 대해서 자립시키고, 상기 피접속물 부착 단자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을 확보하며, 상기 납땜 공정에서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의 납땜의 웨팅을 촉진하여, 상기 간극에 상기 납땜층을 양호하게 형성하며,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었다.
6) 본 발명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중, 제2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형태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에서, 또,
상기 몸통부와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와의 사이에 납땜층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납땜층에 의해 상기 단자와 상기 피접속물과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2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상기 제1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피접속물과 상기 실장처 부재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는,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는 상기 본 발명의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기재에 의해서 상기 본 발명의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가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Claims (10)

  1. 내측에, 모선(母線)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각이 180도를 넘고 있어 주방향(周方向)의 양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과반원통(過半圓筒) 모양, 또는 주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겹쳐진 겹침 원통 모양으로 마련된, 도전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의 안측과 바로 전측(前側) 중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 안측 또는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편(base片), 및 상기 베이스편에 마련된 걸림편을 가지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는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3개 이상 마련되어 있고, 그 중의 3개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보아, 이들을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면 상기 삼각형 안에 상기 과반원통 모양 또는 상기 겹침 원통 모양의 중심축이 포함되는 3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단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의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의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中途部)와,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가, 실장처 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단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서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에 제1의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에 제2의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안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이 상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바로 전측의 면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삽입 방향 안측의 면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의 돌출 방향의 중도부와의 사이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른 거리가, 실장처 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편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배럴(barrel)인 단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편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배럴인 단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편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배럴인 단자.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편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배럴인 단자.
  9. 막대 모양의 도체를 가지는 피(被)접속물과,
    관통공이 마련된 실장처 부재와,
    청구항 1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가 상기 단자의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려져 있고,,
    상기 몸통부가 상기 실장처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감합(嵌合)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벽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상기 벽과의 사이에 납땜층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10. 청구항 9의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로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피접속물의 상기 도체와의 사이에 납땜층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KR1020167002354A 2013-07-11 2014-05-14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KR102089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5928 2013-07-11
JPJP-P-2013-145928 2013-07-11
PCT/JP2014/062898 WO2015004986A1 (ja) 2013-07-11 2014-05-14 端子、および端子を用いた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810A true KR20160029810A (ko) 2016-03-15
KR102089830B1 KR102089830B1 (ko) 2020-03-16

Family

ID=5227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354A KR102089830B1 (ko) 2013-07-11 2014-05-14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31092B2 (ko)
JP (1) JP6306005B2 (ko)
KR (1) KR102089830B1 (ko)
CN (1) CN105379022B (ko)
WO (1) WO2015004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1524B2 (ja) * 2016-11-11 2020-05-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取付部材、電線付き電線取付部材、及び、コネクタ
US20220272839A1 (en) * 2019-07-10 2022-08-25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s, Inc.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battery wir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0991A (en) * 1993-08-10 1995-02-15 Huang Mu Shui Terminal for attaching a wire to a pcb
JPH09134749A (ja) * 1995-11-03 1997-05-20 Whitaker Corp:The 電気端子
JPH09147929A (ja) * 1995-11-20 1997-06-06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圧着工具
JP2008153137A (ja) * 2006-12-19 2008-07-03 Fujitsu Ltd プリント基板向け接続端子および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並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665U (ko) * 1978-02-10 1979-08-22
JPS57203474U (ko) * 1981-06-19 1982-12-24
JPH0323663Y2 (ko) * 1985-04-25 1991-05-23
JPS6387781U (ko) * 1986-11-28 1988-06-08
JPH04121674U (ja) * 1991-04-16 1992-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直付コネクタ
JP2772317B2 (ja) * 1992-06-05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取付用端子と配線基板との結合構造
JP4080400B2 (ja) * 2003-09-02 2008-04-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端子金具の連鎖体及びその巻き付け体
DE102006022542A1 (de) * 2006-05-15 2007-11-22 Robert Bosch Gmbh Kontaktgehäu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KR101719822B1 (ko) 2010-11-24 2017-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솔더링 연결핀, 상기 솔더링 연결핀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반도체칩의 실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0991A (en) * 1993-08-10 1995-02-15 Huang Mu Shui Terminal for attaching a wire to a pcb
JPH09134749A (ja) * 1995-11-03 1997-05-20 Whitaker Corp:The 電気端子
JPH09147929A (ja) * 1995-11-20 1997-06-06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圧着工具
JP2008153137A (ja) * 2006-12-19 2008-07-03 Fujitsu Ltd プリント基板向け接続端子および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並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9022A (zh) 2016-03-02
US20160190714A1 (en) 2016-06-30
CN105379022B (zh) 2017-09-12
JP6306005B2 (ja) 2018-04-04
JPWO2015004986A1 (ja) 2017-03-02
US9531092B2 (en) 2016-12-27
WO2015004986A1 (ja) 2015-01-15
KR102089830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56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JP5285533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818016B2 (ja) コネクタ装置
TWI758340B (zh) 插座連接器
JP5533838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KR101809824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TW202226679A (zh) 整體屏蔽式電纜連接器
JP2020524876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9502828B2 (en) Insulation body of a plug-in connector
US817261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084292B2 (ja)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TWM318210U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20164880A1 (en) Terminal for coaxial connector
KR20160029810A (ko) 단자, 및 단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
TWI547044B (zh) 纜線連接方法
JP5787081B2 (ja) コネクタ装置
JP5473758B2 (ja) コネクタ
JP2011049118A (ja) 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
KR20200019771A (ko) 차폐 요소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JP631965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857627B2 (en) Base board with golden fingers at one end and a plurality of wires attached at the other end
TWI472101B (zh) 連接器裝置
EP2947719A1 (en) Wire lug connector
TWM525572U (zh) 確保同軸纜線編織層結構完整性之套筒及其連接器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