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678A - 수용성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678A
KR20160029678A KR1020150123661A KR20150123661A KR20160029678A KR 20160029678 A KR20160029678 A KR 20160029678A KR 1020150123661 A KR1020150123661 A KR 1020150123661A KR 20150123661 A KR20150123661 A KR 20150123661A KR 20160029678 A KR20160029678 A KR 20160029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solution
tea extract
soluble
chlorophy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088B1 (ko
Inventor
임화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녹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녹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녹차테크
Publication of KR2016002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23L1/162
    • A23L1/212
    • A23L1/27
    • A23L1/3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8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다엽을 헥산으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추출물 획득 단계; 상기 지용성 성분 함유 녹차 추출물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는 고상물 획득 단계; 상기 고상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비누화 반응 단계; 얻어진 비누화액을 산성용액으로 pH 2 - 3으로 조정하고 주황색이 될 때까지 방치하는 산화반응 단계; 얻어진 산화된 비누화액을 5-15 w/v%의 황산아연 수용액과 반응시켜 엽록소의 마그네슘 이온을 아연이온으로 치환하는 치환반응 단계; 얻어진 반응액에 물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전물 수집한 다음, 수집된 침전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 후 pH를 11-12로 조정하여 맑고 투명한 용액을 획득하는 수용화 단계; 및 얻어진 맑고 투명한 용액을 건조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녹차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수용성의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용성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water-soluble green tea ex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엽으로부터 엽록소를 포함한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수용화된 수용성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다엽(tea leaves)은 차나무(Thea sinensis L.= Camellia sinensis) 또는 그 재배 변종의 잎이며, 중국, 일본, 스리랑카, 자바, 대만, 한국 등지에서 재배되는 차의 원료의 일종이다. 녹차는 다엽을 따서 발효시키지 않은 채 바로 가열처리하여 건조한 것으로서, 다엽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화열이나 증기로 실활시켜 제조한 것이다. 녹차와는 달리 홍차는 다엽을 따서 발효시킨 다음 가열처리하여 건조한 것이며, 우롱차는 반발효차로서 녹차와 홍차의 중간이다.
녹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식품인 차로서 음용되어져 왔다. 최근에는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효가 밝혀져 건강식품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중 녹차의 엽록소 성분이 건강기능성을 갖는 물질로 각광을 받으면서 섭취 및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엽록소가 갖는 대표적인 활성으로는 생리활성으로는 조혈작용, 효소활성 유지, 해독작용, 탈취작용, 섬유소제공, 소염작용, 신진대사 촉진 등이 있다. 이외에도 체질을 개선시키며, 노화,암, 유전자 돌연변이, 위장병, 여드름, 기미, 주근깨, 얼룩점, 빈혈, 만성 피로, 심장질환, 고혈압, 중풍, 간염, 및 간경화 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녹차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인 엽록소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일본 특허공개 일개소 59-33231호 및 일개평2-83329호에서는 알코올 용액 속에서 초음파에 의해 엽록소를 추출하는 엽록소 추출 장치와 엽록소 제재의 제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초음파에 의하여 추출액에 존재하는 엽록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추출된 엽록소의 추출용매가 빠르게 증발하여 추출액 내에 포함된 엽록소를 보호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엽록소가 파괴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국특허등록 1032459는 다엽으로부터 엽록소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다엽으로부터 추출된 엽록소 추출물은 엽록소를 다량으로 추출할 수 있고, 녹색색상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엽록소 추출물은 수용성이 아닌 지용성이므로, 음료 등의 식품을 제조 시 충분히 용해될 수 없어 엽록소를 함유한 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 제약이 있다.
이와 같이, 엽록소의 강력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그 지용성의 특성으로 인해 녹차로부터 수용성 추출물로서 획득하기 어려웠다. 수용성 추출물로서 획득 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다양하게 이용되기 편리한데, 녹차로부터 엽록소를 충분히 함유하면서 수용성인 추출물로서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충분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다엽로부터 클로로필을 비롯한 비타민 K, 비타민 E, 및 베타카로틴을 포함한 지용성 성분의 수용화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지용성 성분 함유 수용성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다엽을 헥산으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추출물 획득 단계;
상기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는 고상물 획득 단계;
상기 고상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비누화 반응 단계;
얻어진 비누화액을 산성용액으로 pH 2 - 3으로 조정하고 주황색이 될 때까지 방치하는 산화반응 단계;
얻어진 산화된 비누화액을 5-15 w/v%의 황산아연 수용액과 반응시켜 엽록소의 마그네슘 이온을 아연이온으로 치환하는 치환반응 단계;
얻어진 반응액에 물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전물 수집한 다음, 수집된 침전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 후 pH를 11-12로 조정하여 맑고 투명한 용액을 획득하는 수용화 단계; 및
얻어진 맑고 투명한 용액을 건조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녹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녹차로부터 엽록소를 비롯한 지용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녹차 추출물의 색상을 안정적으로 오랫동안 녹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녹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녹차 추출물은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수용성을 나타내어 각종 식품에 적용하기 용이하며, 녹차 추출물의 녹색이 장기간 유지되므로 상기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의 기호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는 녹차로부터 엽록소를 비롯한 다양한 지용성의 기능성 성분들, 예를 들어 비타민 E, 비타민 K, 베타카로틴과 같은 지용성 비타민을 고효율로 추출하면서, 수용화된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갈변하지 않고 녹차 추출물 고유의 색인 녹색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기호성이 향상된 녹차 추출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다엽을 헥산으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추출물 획득 단계;
상기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는 고상물 획득 단계;
상기 고상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비누화 반응 단계;
얻어진 비누화액을 산성용액으로 pH 2 - 3으로 조정하고 주황색이 될 때까지 방치하는 산화반응 단계;
얻어진 산화된 비누화액을 5-15 w/v%의 황산아연 수용액과 반응시켜 엽록소의 마그네슘 이온을 아연이온으로 치환하는 치환반응 단계;
얻어진 반응액에 물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전물 수집한 다음, 수집된 침전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 후 pH를 11-12로 조정하여 맑고 투명한 용액을 획득하는 수용화 단계; 및
얻어진 맑고 투명한 용액을 건조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녹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 획득 단계에서, 다엽은 임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쇄된 다엽을 사용한다. 상기 다엽 및 헥산은 약 1: 4-7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지용성 녹차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다엽 및 헥산을 약 1:6의 부피비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다엽 및 헥산을 혼합 후, 상온에서 교반 혹은 방치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 획득 단계는 최대직경 약 1 - 5 mm의 크기로 분쇄한 건조된 다엽 및 헥산을 1:6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빛이 들지 않은 상온에서 약 24 시간 동안 매시간 교반하면서 침출하여 녹차의 지용성 성분(엽록소, 비타민E, 비타민K, 베타카로틴 등)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고상물 획득단계에서는,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로부터 헥산을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할 수 있으며, 회전증발기의 온도는 약 60 ~ 65℃로 하고 7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높을 경우, 추출된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비누화 반응 단계에서는, 상기 고상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한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약 5-15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약 50-7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누화 반응 단계는 고상물을 적정량의 무수알코올로 용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약 10 % 용액으로 pH를 약 11-12로 조절한 다음 60℃의 항온수조에서 약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방치하여 충분한 비누화 반응을 수행한다.
상기 산화반응 단계에서 비누화액의 pH를 약 2-3으로 조정하기 위한 상기 산성용액은 진한 황산 또는 진한 염산일 수 있다. 이때 pH가 2 이하로 내려가지 않아야 하며 충분히 산화되면 색상이 주황색이 된다. pH가 2 이하로 내려갈 경우, 과도한 산성화로 인해 불필요한 산화반응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며, pH가 3을 넘길 경우 충분한 산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반응은 추후 수행하는 치환반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반응 단계는 상기 비누화액을 진한 염산용액으로 pH를 2 - 3 으로 조절하고 60℃ 항온 수조에서 교반하면서 약 30 분간 방치하여 충분한 산화반응을 수행한다.
상기 치환반응 단계에서는, 상기 산화한 비누화액에 약 5-15 w/v%의 황산아연 수용액을 넣고 약 50-70℃ 항온수조에서 약 1-3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치환반응에 의해, 엽록소의 마그네슘 이온이 아연이온으로 치환되는 반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치환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녹차 추출물은 오랜 시간동안 갈변되지 않고 녹색을 유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치환반응 단계는 상기 산화한 비누화액에 약 10 w/v%의 황산아연 수용액을 넣고 약 60℃ 항온수조에서 약 1.5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을 수행한다.
상기 수용화 단계에서는, 상기 치환반응 단계 후 얻어진 반응액에 약 1 내지 2 배 부피의 증류수를 가하여 희석시켜 침전물을 석출시킨 다음, 여과와 동시에 반복해서 세척하여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하여 얻어진 흑색의 침전물을 적정량의 무수 알코올로 용해한 다음, pH 약 11 - 12로 조정하면 맑고 투명한 용액이 얻어진다. 상기 pH의 조정을 위해, 임의의 허용 가능한 염기성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예를 들어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pH의 조정에 의해, 상기 수집된 흑색의 침전물이 수용화 될 수 있다.
상기 분말화 단계에서는, 상기 얻어진 맑고 투명한 용액을 건조할 수 있으면서, 획득된 기능성 성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의 분말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건조 온도는 70℃가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녹차 추출물은 헥산으로 추출하여 녹차의 유익한 지용성 성분, 대표적으로 엽록소, 지용성 비타민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오랜 기간 갈변되지 않고 녹색이 유지될 수 있어 기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수용성을 나타내므로 음료를 비롯한 각종 식품에 적용하여 녹차의 지용성 성분이 부가된 식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수용성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녹차의 지용성 성분을 부가하고자 임의의 식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술, 음료, 빵, 과자, 라면, 국수, 냉면, 또는 샐러드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술은 소주, 막걸리, 또는 약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녹차 추출물은 녹차의 지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므로, 상기 식품을 보다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갈변하지 않고 오랫동안 녹색이 유지될 수 있어, 상기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의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음료의 경우 이러한 기호성 증진 효과가 탁월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녹차 추출물은 수용화되어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수용성을 가지므로, 특히 녹차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지용성 성분 함유 수용성 녹차 추출물의 제조
10 g의 증제식 공정으로 가공된 건조 차엽을 채취하여 잘게 최대 직경 약 5 mm로 부수어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50 mL의 헥산을 넣고 빛이 들지 않은 암소에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침출 후 여과하여 차엽을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회전증발기로 농축하여 헥산을 제거하여 고상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회전증발기의 온도는 60~65℃로하고 70℃를 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얻어진 고상물을 적당량의 무수 알코올로 용해한 다음 10%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으로 pH를 11 내지 12로 조정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방치하여 비누화 반응시켰다. 비누화 반응 후 진한 염산용액으로 pH를 2 내지 3으로 조절하고 60℃ 항온수조에서 교반하면서 30 분간 방치하여 충분한 산화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때 pH가 2 이하로 내려가지 않아야 하며 충분히 산화되면 색상이 주황색이 되었다.
얻어진 산화된 비누화액에 10 중량%의 황산아연을 넣고 60℃ 항온수조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치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치환 완료 후 1배 체적의 증류수를 넣어 희석하여 침전을 석출시키고 여과함과 동시에 반복 세척하여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얻어진 흑색 침전물을 적당량의 무수알코올로 용해한 다음 10% 수산화 나트륨 용액으로 pH를 11~12로 조절하여 맑고 투명한 용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1: 차엽으로부터 엽록소 추출물의 제조
10g의 증제식 공정으로 가공된 건조 차엽을 채취하여 잘게 부수어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100 ㎖의 98% 에탄올 수용액에 넣어 12 시간 동안 암소에서 침출 후 여과하여 차엽을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액 중 45 ㎖을 취하여 15%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으로 pH를 11.0으로 조정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시켰다. 비누화 반응 후 상층의 에탄올 용액에 동량의 석유에테르를 넣어, 엽록소가 아닌 다른 색소(엽황소, 카로틴 등)를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석유 에테르를 이용하여 엽록소 이외의 색소들을 분리하는 방법을 3회 반복한 후, 진한 염산(HCl)을 이용하여 pH를 4.0로 조절하고, 5% 황산구리 용액 2㎖을 넣어 60℃에서 30분 동안 치환 반응시켰다.
상기 치환 반응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감압건조 후 98% 에탄올 10㎖에 다시 용해 후 침전되는 무기염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으며, 여과된 에탄올 용액은 감압건조하여 엽록소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추출물의 수용성 및 성상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획득된 녹차 추출물에 대해 수용해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삼각 플라스크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넣고 물 500 mL 에 가한 다음 20 분간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성상을 관찰하였다.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엽록소 추출물에 대해 동일하게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은 10 분 뒤에 모두 물에 대해 균일한 성상을 나타내어 물에 용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비교예 1의 엽록소 추출물은 분말의 상당 부분이 물에 용해되지 못하고 물위에 둥둥 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용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엽록소 추출물의 추출 효율 및 순도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엽록소 추출물을 HPLC(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로 엽록소가 얼마나 함유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HPLC는 agiline 1200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샘플 주입 부피는 10㎕, 용매 유속은 1㎖/min으로 하였다. 전개액으로는 메탄올과 아세토나이트릴이 1:1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엽록소 추출물에 대해 동일하게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HPLC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정제도(엽록소의 순도) 및 엽록소 회수율을 수치상으로 나타내었다.
샘플 정제도 (%, 엽록소 순도) 엽록소 회수율 (%)
실시예 1 89.8. 10.52
비교예 1 90.10 9.02
상기 시험 결과,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은 엽록소 정제도는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수율을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정제도가 더 낮은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법이 엽록소 뿐만 아니라 비타민 K, 비타민 E, 및 베타카로틴 등의 성분도 모두 포함시키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엽록소의 회수율을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엽록소의 회수율은 오히려 증가하여,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엽록소 추출물의 갈변여부 비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액 10 mL를 물 100 mL에 용해한 다음 실온에서 30일간 저장 후 색차계를 사용하여 녹색도를 나타내는 음의 a값을 측정하여 갈변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엽록소 추출물에 대해 동일하게 비교시험을 수행하되, 비교예 1 엽록소 분말 0.1g을 사용하고 물 대신 대두유 100 mL를 사용하였다. 낮은 수치일수록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샘플 저장 0일에서의 색도 a 값 30일 저장 후의 색도 a 값
실시예 1 -15.12 -15.02
비교예 1 -15.32 -15.0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라 획득된 녹차 추출물은 그 녹색도가 비교예 1과 거의 동등할 정도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변효과도 비교예 1과 거의 동등할 정도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물은 종래 방법과 유사한 정도로 엽록소를 추출할 수 있고, 갈변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녹차의 지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수용해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녹차 추출물을 5 중량%로 하여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밀가루 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녹차 추출물을 각각 1 중량%로 하여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녹차 추출물을 5 중량%로 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녹차 추출물을 각각 3 중량%로 하여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다엽을 헥산으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추출물 획득 단계;
    상기 지용성 성분 함유-녹차 추출물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는 고상물 획득 단계;
    상기 고상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비누화 반응 단계;
    얻어진 비누화액을 산성용액으로 pH 2 - 3으로 조정하고 주황색이 될 때까지 방치하는 산화반응 단계;
    얻어진 산화된 비누화액을 5-15 w/v%의 황산아연 수용액과 반응시켜 엽록소의 마그네슘 이온을 아연이온으로 치환하는 치환반응 단계;
    얻어진 반응액에 물을 가하여 생성되는 침전물 수집한 다음, 수집된 침전물을 무수 알코올에 용해 후 pH를 11-12로 조정하여 맑고 투명한 용액을 획득하는 수용화 단계; 및
    얻어진 맑고 투명한 용액을 건조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녹차 추출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획득 단계에서 분쇄된 다엽 및 헥산을 1:4-7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지용성 녹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것인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획득 단계에서 얻어지는 지용성 녹차 추출물은 엽록소, 비타민 E, 비타민 K, 및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것인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반응 단계에서 산성용액은 진한 황산 또는 진한 염산인 것인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화 단계에서 pH를 11-12로 조정하기 위해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는 것인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 단계에서 건조 온도는 70℃가 넘지 않는 것인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수용성의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술, 음료, 빵, 과자, 라면, 국수, 냉면, 또는 샐러드인 것인 식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술은 소주, 막걸리, 또는 약주인 것인 식품.
KR1020150123661A 2014-09-05 2015-09-01 수용화된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8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356 2014-09-05
KR1020140119356 2014-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678A true KR20160029678A (ko) 2016-03-15
KR101781088B1 KR101781088B1 (ko) 2017-09-25

Family

ID=5554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661A KR101781088B1 (ko) 2014-09-05 2015-09-01 수용화된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849A (zh) * 2017-11-30 2019-06-07 浙江顶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色泽稳定的绿茶饮料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849A (zh) * 2017-11-30 2019-06-07 浙江顶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色泽稳定的绿茶饮料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088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42B1 (ko) 돼지고기 발효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S6013780A (ja) 茶カテキン類の製造方法
KR101781088B1 (ko) 수용화된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91024B1 (ko)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KR20220046188A (ko) 갈치조림 양념 및 갈치조림의 제조방법
KR101571963B1 (ko) 개척1호콩을 포함하는 검은콩 전두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18361A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418058B1 (ko) 생체적합성 용매의 용해도가 향상된 녹인 강황 추출물 및 커큐민
CN103952231A (zh) 一种调料花生油及其制备方法
CN103937597A (zh) 一种具有清热解毒效果的花生油及其制备方法
EP3213639B1 (en) Extract emulsified oil comprising antioxidant, edible oil contain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4430872A (zh) 紫苏酸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922900A (zh) 一种无花果茶饮料
KR101541107B1 (ko) 참외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 참외조청
KR20180037437A (ko) 녹차 두부 제조방법
JP2011168649A (ja) 13−シス−クロセチン高含有色素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2459B1 (ko) 고품질 엽록소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60126713A (ko)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장
KR20210103758A (ko) 토마토 간장의 제조방법
KR102552207B1 (ko) 지용성 성분이 증가된 양파 껍질 추출물 제조방법
KR20150118509A (ko) 모시 냉(冷) 육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0111A (ko) 강황이 함유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JP2007051103A (ja) 抗酸化組成物
KR20140123836A (ko) 알콜성 간 독성 억제 효과가 있는 오미자농축액 제조방법
JP2007099671A (ja) 抗酸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