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76A -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76A
KR20160026676A KR1020150105992A KR20150105992A KR20160026676A KR 20160026676 A KR20160026676 A KR 20160026676A KR 1020150105992 A KR1020150105992 A KR 1020150105992A KR 20150105992 A KR20150105992 A KR 20150105992A KR 20160026676 A KR20160026676 A KR 2016002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gar
sugar solution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수
윤석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크라운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크라운제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크라운제과
Priority to KR102015012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888B1/ko
Priority to PCT/KR2015/009066 priority patent/WO2016032282A1/ko
Publication of KR2016002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8Sucrose-fre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무설탕 캔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 이소말트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부로 혼합 균질화 된 당액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당액조성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설탕 폰단트 11~14중량부와 과일농축액 또는 향료 농축액 1∼5중량부로 조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캔디의 보형성 유지와 더불어 끈적임 방지 및 치아의 부착성 방지와 츄잉성을 증가시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ft Candy Sugar Free}
본 발명은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설탕 캔디 조성물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유지, 환원 물엿, 이소말트, 타피오카변성전분, 젤라틴 및 무설탕 폰단트, 기타 과즙 및 향료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여 소프트 캔디(상품명:마이쮸)를 제조함으로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캔디의 보형성 유지와 더불어 끈적임을 방지하고 치아의 부착성 방지 및 츄잉성을 증가시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소프트 캔디는 본 출원인이 제조하고 있는 마이쮸 캔디(주식회사 크라운제과 상품명)를 하드에서 소프트로 개선하고 일반적인 캔디에 있어 제조시 함유되는 설탕을 첨가하지 않고 무설탕 캔디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존의 캔디에는 물엿, 백설탕, 자일리톨, 폰단트(백설탕, 물엿), 식물성유지(팜핵경화유, 레시틴(대두)), 아라비아껌, 젤라틴(돼지고기), 말티톨시럽, 구연산, 딸기농축과즙(고형분함량65%), 밀크칼슘(우유), 유화제, 혼합요구르트베이스, 비타민C, 합성착향료(딸기향), 비트레드색소, 블랙커런트색소, 정제소금, 피막제, 비타민 E로 이루어지는 하드 캔디의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드 캔디의 조성물 중 물엿과 백설탕, 설탕 폰단트가 혼합됨으로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설탕이 함유된 캔디를 자주 먹을 경우 충치를 유발하는매개체가 되며, 더불어 성장기의 아이들에게는 과도한 당류를 섭취할 경우 비만의 원인과 어린 나이에도 성인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0384394호(2003년05월06일)(이하"선행기술"이라한다)의 "무설탕 소프트 츄잉 캔디 및 그 제조방법"은 자일리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이소말트, 솔비톨, 만니톨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당알코올을 환원전분 당화물과 혼합한 후 용해, 교반, 농축하여 냉각한 후, 여기에 겔화제인 젤라틴과 아라비아껌의 혼합물 0.3∼2.2 중량%를 혼합하여 물에 용해, 투입하고 각종 유지와 유화제 등을 넣고, 종자로서 자일리톨 및 만니톨 분말을 8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넣어 50∼90℃로 유지시키면서 10∼30분간 반죽 혼합한 후, 30∼70℃, 상대습도 50∼70% 조건에서 3∼24시간 결정화를 진행시켜 무설탕 츄잉 소프트 캔디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무설탕 소프트 캔디 내에 결정화(Crystallization) 기술을 응용하여 외관 및 조직감(texture) 측면의 목표품질 달성방안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통상 소프트 캔디의 경우는 내부의 결정화에 필요한 종자(Seed)가 존재하고 적절한 결정화 조건만 갖추어지면 언제든지 결정화가 진행된다. 이는 내부의 종자 및 결정화 저해제 간의 균형과 온도, 수분 등의 조건에 따라 빨리 진행될 수도 있고 서서히 진행될 수도 있으며, 많이 진행될 수도 있고 적게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화 양상은 종자(Seed)의 종류 및 입도와 같이 혼합되어 있는 결정방지제의 종류 및 성상 그리고 결정화 시간 등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는 곧 제품성과 곧바로 연결되며 씹는 식감의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미세한 종자(Seed)를 사용하는 쪽이 매끈매끈한 텍스츄어를 주며 종자(Seed)량이 많을수록 결정화 시간이 단축되고 더 많이 진행된다.
이러한 종자(Seed)의 종류는 주원료에 사용한 동일한 원료이어야 종자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되며 주원료에 사용한 원료가 아니거나 주원료라 하더라도 성상의 변화가 발생되면 결정화가 지연되거나 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가 높은 경우와 수분이 어느 한도까지는 많을수록 결정화를 촉진하며 결정화 방치 시간을 짧게 하면 결정화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결정화 저해 인자의 하나인 겔화제는 보통 중 Bloom의 젤라틴과 아라비아껌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쓰는데 일반적으로 균등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씹힘성(Chewiness)을 보인다.
소프트 캔디에서 결정의 중요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코올류와 환원전분당화물을 주원료로 하고 젤라틴 등의 겔화제(Gelling agent)를 사용하여 츄잉 캔디를 만드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당알코올류에 유지 및 유화제를 활용한 츄잉캔디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기존에 개시된 방법은 겔화제 및 유지 등으로 결정화 관리를 하는 방식으로 제조공정에서 아무리 결정화를 유발시킨다 해도 결정화 조건 설정에 한계가 있으며, 츄잉 캔디의 경우 보통 결정화가 많이 이루어질수록 제품의 조직감이 푸석푸석하고 연한 반면 결정화가 적게 이루어질수록 질기며 단단(Hard)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관상의 보형성은 결정화가 많이 진행된 쪽이 좋은 경향을 보인다.
기존의 무설탕 소프트 츄잉 캔디는 제조 직후는 대체로 단단하며 질긴 상태이나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부드럽고 연해지면서 씹힘성이 변해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외관상으로는 모양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품질관리 측면에서 커다란 약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무설탕 제품의 경우 강력한 결정방지제(anti-crystallizing agent)인 물엿도 전혀 사용치 않으므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84394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설탕 캔디조성물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유지, 환원 물엿, 이소말트, 타피오카변성전분, 젤라틴 및 무설탕 폰단트, 플루란, 기타 과즙 및 향 시럽으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여 소프트 캔디(상품명:마이쮸)를 제조함으로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캔디의 보형성 유지와 더불어 끈적임 방지 및 치아의 부착성 방지와 츄잉성을 증가시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설탕 캔디조성물은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 이소말트 결정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부로 혼합 균질화 된 당액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 균질화된 당액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설탕 폰단트 11~14중량부와 과일농축액 또는 향 농축액 1∼5중량부로 혼합되어 무설탕 소프트 캔디 조성물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조성물을 이용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원 물엿 100중량 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부로 유지첨가물을 계량하는 단계;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트 결정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로 당원료를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준비된 유지첨가물과 당원료를 혼합하여 용해 후 균질화시켜 고형분 함량이 65∼70%가 되도록 당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당액을 균질화 시킨 후 수분함량이 14%가 되도록 당액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당액에 젤라틴 및 무설탕 폰단트, 과즙 또는 향료를 넣고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당액을 익스트루더로 길게 뽑은 후 컷팅하는 단계 및 냉각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설탕 캔디조성물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유지, 환원 물엿, 이소말트, 타피오카변성전분, 젤라틴 및 무설탕 폰단트, 기타 과즙 및 향 시럽으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여 소프트 캔디(상품명:마이쮸)를 제조함으로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캔디의 보형성 유지와 더불어 끈적임 방지 및 치아의 부착성 방지와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소프트 캔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소프트 캔디 제조시 무설탕으로 제조함으로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 공정 블록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소프트 캔디는 제품명으로 널리 알려진 마이쮸를 말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의 마이쮸를 소프트 캔디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이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무설탕 캔디조성물은 환원 물엿,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유지, 이소말트, 타피오카변성전분, 무설탕 폰단트 와 과일시럽 및 향 시럽이 무설탕 소프트 캔디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조성물을 이용한 무설탕 소프트 캔디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유지 배합 및 당액제조 단계
환원 물엿 100중량 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로 유지첨가물을 계량하여 각각 준비한다.
또한 당액을 제조하기 위해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트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로 당원료를 계량하여 준비한다.
상기 계량하여 준비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당액을 제조시 유지배합단계와 당액제조방법을 각각 실시한 후 이를 유지배합 15중량% 당액 85중량% 비율로 합쳐 균질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당액 제조시 당액 계량한 주지 첨가물 조성물과 유지배합시 계량된 첨가물을 혼합한 후 이를 용해시켜 균질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액제조시 사용되는 풀루란은 흑색효모의 일종인 Pullularia pullulans가 여러 가지 당으로부터 세포외에 분비하는 α-1,4결합 2개와 α-1,6 결합 1개를 단위구조로 하는 직쇄상의 α-글루칸(-glucan)이다.
풀루란은 식품공업에서 젤리 등의 물성의 부여에 쓰이고 있으며, 또한 액상식품을 pullulan의 필름 속에 넣는 새로운 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풀루란의 α-1,4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 풀룰라나아제(pullulanase)가 알려져 전분을 비롯하여 α-글루칸의 가지 구조의 연구에 쓰이고 있다.
따라서 계량하여 준비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당액을 제조시 유지배합단계와 당액제조방법을 각각 실시한 후 이를 합쳐 균질화 시킬 수 있으며 이를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유지첨가물 조성물과 당액 조성물을 각각 제조 혼합하여 당액을 제조하는 경우>
⒜ 유지배합 과정
환원 물엿 100중량 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와 수분 2∼3중량부를 1차 혼합하여 용해 및 균질화를 실시한다. 이때 환원 물엿은 혼합 비율의 기준치만 되고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유지와 수분만을 혼합하여 용해한 후 균질화 한다.
⒝ 당액 제조 과정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트 결정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부를 환원 물엿과 혼합하여 용해한 후 균질화 시킨다.
⒞ 혼합공정
상기 ⒜ 유지배합 과정에서 준비된 유지 15중량%와 ⒝ 당액 제조 과정에서 준비된 당액 85중량%을 혼합하여 균질화하되 이때 고형분 함량이 65∼70%가 되도록 조절하여 당액을 제조하게 된다.
<유지첨가물 조성물과 당액 조성물을 동시에 혼합하여 당액을 제조하는 경우>
당액 제조 과정에서 환원 물엿 100중량 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와 수분 2∼3중량부, 이소말트 결정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부로 각각 계량하여 혼합한 다음 이를 용해한 후 균질화 시켜 당액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당액을 제조하기 위한 2가지 경우 모두 당액의 고형분 함량이 65∼70%가 되도록 당액을 제조한다.
제2공정: 당액 농축 냉각 단계
상기 제조된 당액을 용해 및 균질화 시킨 후 수분함량이 2∼3%가 되도록 당액을 농축한다.
당액을 농축시 수분함량이 2∼3%보다 많을 경우에는 최종제품의 식감이 끈적하고 보형성 유지가 되지 않으므로 수분함량은 2∼3%에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당을 농축시킨 후에는 냉각을 실시한다.
제3공정: 젤라틴 및 첨가 원료 혼합공정
본 공정에서는 젤라틴과 무설탕 폰단트, 기타 과즙 및 향료를 넣어 믹싱한다.
상기 젤라틴은 240∼300블룸(Bloom)을 사용하며, 무설탕 폰단트는 농축당액 중량부 대비 11∼14중량부를 혼합한다.
이때 무설탕 폰단트 함량이 11∼14중량부 보다 많으면 제품이 쇼트한 식감을 갖게 되고, 적게 첨가되면 츄잉성은 증가하게되고 치아 부착성은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설탕 폰단트는 이소말트 결정 70중량%, 이소말트 분말 1중량%, 말티톨시럽 20중량%, 글리세린 2중량%, 유지 2중량%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키다.
또한, 상기 농축된 당액 100중량부에 젤라틴 4중량부 및 무설탕 폰단트 13중량부을 혼합한 후 원하는 과일 농축액 2중량부 또는 기타 향료 농축액 2중량부를 넣고 믹싱하여 향이 발생되도록 하고 과일 맛이 나도록 한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과일은 딸기, 사과, 봉숭아 등의 과즙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과일농축액과 별도의 향 농축액을 동시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딸기 과일 농축액만으로는 딸기향을 진하게 낼 수 없으므로 딸기 향료 농축액을 더 첨가하면 딸기향을 진하게 발생시 킬 수 있다.
제4공정: 니딩 및 성형단계
상기 농축된 당액 100중량부에 젤라틴 4중량부 및 무설탕 폰단트 13중량부와 기타 과즙 2중량부 및 향료 2중량부를 넣고 믹싱한다.
상기 농축된 당액에 첨가물을 넣고 믹싱기에서 믹싱하여 반죽하는 니딩 과정을 거친다.
상기와 같이 니딩한 후에는 냉각시켜 성형틀 용기에 넣고 매스를 성형한다.
제5공정: 소프트 캔디에 자일리톨 코팅단계
소프트 캔디의 매스를 익스트루더에 넣어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된 매스를 냉각하여 자일리톨로 1차 분말코팅한다.
상기 1차 분말코팅한 후 자일리톨을 녹인 당액 100중량부에 향 2중량부, 색소 2중량부. 물 20중량부를 첨가한 자일리톨 당액으로 1차 분말코팅 표면에 2차 당액을 코팅. 건조한 후 카나우바왁스 분말을 도포하여 광택을 낸다.
상기와 같이 광택이 이루어진 소프트 캔디는 통상의 포장방법으로 포장한다.
이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본 발명의 소프트 캔디 제조시 같은 배합비에서 당 조성 표가 DP1~3이 70% 이상이고 DP10이 10%이상인 환원물엿을 사용하였을 때 최종 제품의 물성의 끈적임이 심하고 재결정이 일어나 쇼트한 식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말티톨 시럽의 함량이 40~50%이하이고, DP10이 10%이하인 환원물엿을 사용하였을 때 최종 제품의 끈적임과 쇼트한 식감이 최소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또한 젤라틴만 사용했을 시에 제품에 츄잉성은 있으나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치아부착성이 좋지 않은 점을 타피오카 변성전분을 사용하여 치아에 붙는 것을 줄여주고 소프트한 식감 및 보형성을 부여해 준다.
<실시예 3>
또한 환원물엿 60중량%이하 중량, 이소말트 결정 30중량% 이상 중량이었을 때 시간이 지날수록 재결정화가 일어나 식감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무설탕 폰단트 제조시에 이소말트 결정을 첨가하지 않은 무설탕 폰단트를 사용 했을 때에는 치아 부착성이 분말을 첨가한 것보다 끈적임 및 치아 부착성이 있어 식감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무설탕 폰단트 함량이 11~14% 보다 많으면 제품이 쇼트한 식감을 갖게 되고, 적게 되면 츄잉성은 저하되고 치아 부착성은 증가된다.
이소말트 결정을 첨가할 시 무설탕 폰단트 내의 결정을 보다 고르고 균일하게 잡아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240∼300블룸고(Bloom)의 젤라틴을 사용하였을 때 제품에 더 강한 츄잉성을 줄 수 있으며 보형성 유지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탄났다.
이때 젤라틴의 BLOOM은 강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커질수록 젤라틴의 강도는 세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설탕 캔디 조성물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유지, 환원 물엿, 이소말트, 타피오카변성전분, 젤라틴 및 무설탕 폰단트, 기타 과즙 및 향 시럽으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여 소프트 캔디(마이쮸)를 제조함으로 설탕 및 당류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캔디의 보형성 유지와 더불어 끈적임 방지 및 치아의 부착성 방지와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설탕 마이쮸 소프트 캔디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7)

  1. 환원 물엿 100중량 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로 유지첨가물을 계량하는 단계;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트 결정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부, 풀루란 0.33중량부로 당 원료를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준비된 유지첨가물 15중량%와 당액 원료 85중량%를 혼합하여 용해 후 균질화시켜 당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당액을 균질화 시킨 후 당액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당액 100중량부에 젤라틴 4중량부 및 무설탕 폰단트 13중량부, 과즙 2중량부 및 향료 2중량부를 넣고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당액을 익스트루더에 넣고 길게 뽑아 매스를 성형하여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매스를 자일리톨로 1차 분말코팅 하는 단계;
    상기 1차 분말코팅한 후 자일리톨을 녹인 당액 100중량부에 향 2중량부, 색소 2중량부. 물 20중량부를 첨가한 자일리톨 당액으로 1차 분말코팅 표면에 2차 당액을 코팅. 건조한 후 카나우바왁스 분말을 도포하여 광택을 낸 다음 커팅,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준비된 유지 첨가물과 당원료를 혼합하여 용해 후 균질화시 고형분 함량이 65∼70%가 되도록 당액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당액을 균질화 시킨 후 당액을 농축시 수분함량이 2∼3%가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된 당액에 무설탕 폰단트 혼합시 무설탕 폰단트 함량이 농축된 당액 중량대비 11∼14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설탕 폰단트는 이소말트 결정 75중량%, 이소말트 분말 1중량%, 말티톨시럽 20중량%, 글리세린 2중량%, 유지 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6. 무설탕 캔디조성물은 환원 물엿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0.1~1중량부, 유지 5~10중량부, 이소말트 결정 20~30중량부, 타피오카변성전분 1~3중량, 풀루란 0.33중량부로 혼합 균질화 된 당액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당액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설탕 폰단트 11~14중량부와 과일농축액 또는 향료 농축액 1∼5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포함하는 무설탕 소프트 캔디 조성물,
  7.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설탕 소프트 캔디.
KR1020150105992A 2014-08-29 2015-07-27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160026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300A KR101776888B1 (ko) 2014-08-29 2015-08-27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PCT/KR2015/009066 WO2016032282A1 (ko) 2014-08-29 2015-08-28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176 2014-08-29
KR20140114176 2014-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76A true KR20160026676A (ko) 2016-03-09

Family

ID=555369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992A KR20160026676A (ko) 2014-08-29 2015-07-27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20150121300A KR101776888B1 (ko) 2014-08-29 2015-08-27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300A KR101776888B1 (ko) 2014-08-29 2015-08-27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266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37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소프트 젤리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5874A (ja) * 2018-07-27 2020-01-30 物産フード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ゼラチンゲルの融解抑制用組成物および融解促進用組成物、ゼラチンゲル、ゲル状食品ならびにゼラチンゲル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394B1 (ko) 2000-07-18 2003-05-22 주식회사 보락 무설탕 소프트 츄잉 캔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394B1 (ko) 2000-07-18 2003-05-22 주식회사 보락 무설탕 소프트 츄잉 캔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37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소프트 젤리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767A (ko) 2016-03-09
KR101776888B1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9185B (zh) 新型无脂糖果产品
JP6442469B2 (ja) メレンゲ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メレンゲ菓子の製造方法
JP2011172524A (ja) グミ入り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6888B1 (ko)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CN105188393B (zh) 耐咀嚼糖食产品
JP5363036B2 (ja) 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EP2486802B1 (en) Chocolate jelly candy
JP2010227042A (ja) 餅様の食感と風味を有する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08052A1 (en) Aerated and grained sugar-free boiled sweet
JP2013226093A (ja) 練り菓子およびその製法
KR100384394B1 (ko) 무설탕 소프트 츄잉 캔디 및 그 제조방법
JP2011030460A (ja) ソフトキャンディの製造方法
WO2016032282A1 (ko) 무설탕 소프트 캔디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120009707A (ko) 카라멜이 들어있는 츄잉껌
JP2021528058A (ja) ゼラチン非含有ゲル化菓子及びこのような菓子を調製する方法
JP2002315510A (ja) 砂糖菓子の製造方法
KR101294829B1 (ko) 떡을 충진한 초콜릿바 및 그 제조방법
EP4075999B1 (en) Confectionery produc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2010075102A (ja) 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507628A (ja) 糖の量を低減した菓子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4661B2 (ja) 野菜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0255A (ko) 소프트 츄잉 캔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츄잉 캔디
JP2012050365A (ja) ソフトキャンディの製造方法
JP2010193818A (ja) 野菜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9777B2 (ja) ソフトチユ−インガムおよ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