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6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62A
KR20160026662A KR1020150091090A KR20150091090A KR20160026662A KR 20160026662 A KR20160026662 A KR 20160026662A KR 1020150091090 A KR1020150091090 A KR 1020150091090A KR 20150091090 A KR20150091090 A KR 20150091090A KR 20160026662 A KR20160026662 A KR 2016002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ntact
side wall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273B1 (ko
Inventor
후미타케 타마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이 소형, 얇은 두께를 가진 것이어도, 당해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당해 부품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금속편과, 복수의 콘택트를 고정하는 보디를 포함하는 콘택트조립체와, 콘택트조립체를 커넥터 끼움방향으로 삽입하여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금속편은, 콘택트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암부와, 암부의 연신방향 및 커넥터의 커넥터 끼움방향의 양쪽에 수직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우징과 접속된 경우에 그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이 하우징의 오목부의 측벽에만 접촉하는 L자부과, L자부의 커넥터 끼움방향의 단부면으로부터 암부의 연신방향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연신되어 형성되며, 하우징 및 보디와 접속된 경우에, 구멍으로부터 돌출하여 보디의 파임부의 측벽에만 접촉하는 압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 그 콘택트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073549호 공보
소형의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끼리의 위치 결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끼리의 고정에 스프링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응력에 의해 작은 부품이나 부품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파손이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응력이 가해지는 부품을 어느 정도 크게 하면, 커넥터의 소형화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이 소형, 얇은 두께를 가진 것이어도, 당해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당해 부품의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금속편과, 복수의 콘택트를 고정하는 보디를 포함하는 콘택트조립체와, 콘택트조립체를 커넥터 끼움방향으로 삽입하여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은, 커넥터 분리방향과 대향하는 측벽을 가진 오목부와,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한다.
보디는, 커넥터 끼움방향과 대향하는 측벽을 가지는 파임부를 구비한다.
금속편은, 콘택트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암부(arm)와, 암부의 연신방향 및 커넥터 끼움방향의 양쪽에 수직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우징과 접속된 경우에, 당해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이 하우징의 오목부의 측벽에만 접촉하는 L자부와, L자부의 커넥터 끼움방향의 단부면으로부터 암부의 연신방향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연신되어 형성되며, 하우징 및 보디와 접속된 경우에 구멍으로부터 돌출하여 보디의 파임부의 측벽에만 접촉하는 압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이 소형, 얇은 두께를 가진 것이어도, 당해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당해 부품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상, 하 한쌍의 금속편의 사시도.
도 3은 실시예 1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의 콘택트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단면지시선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 기능을 가진 구성부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의 커넥터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상, 하 한쌍의 금속편(10)과, 하우징(20)과, 콘택트조립체(30)로 이루어진다. 콘택트조립체(30)는, 상, 하 한쌍의 배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콘택트(33)와, 상, 하 한쌍의 콘택트 배열의 각각을 고정하는 상, 하 한쌍의 보디(31)와, 상, 하 한쌍의 보디(31)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 좌, 우 한쌍의 스프링편(32)을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이다. 상, 하 한쌍의 보디(31)는, 그 바닥면끼리 마주보도록 접속되어 있다. 좌, 우 한쌍의 스프링편(32)은 상, 하의 보디(31)의 바닥면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편(32)은 끼워맞춤하는 상대커넥터를 유지하는 역할을 실행한다. 보디(31)의 윗면(마주보도록 된 바닥면과 반대의 면)에는 파임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커넥터 분리방향에 개구부를 가지며, 당해 개구부로부터 콘택트조립체(30)를 커넥터 끼움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하우징 보디이다. 하우징(20)의 윗면 및 아랫면에는 좌우 한쌍의 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파임부(311)의 일부의 형상과 구멍(21d)의 형상은, 콘택트조립체(30)를 하우징(20)에 수용하였을 때에, 끼워맞춤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금속편(10)은, 콘택트(33)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암부(11)를 구비하고, 암부(11)는, 하우징(20)의 윗면 쪽(및 아랫면 쪽)으로부터 구멍(21d)에 삽입되어서 구멍(21d)으로 끼워져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암부(11)는, 구멍(21d)으로부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 쪽으로 돌출하여, 파임부(311)의 일부의 형상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암부(11)가 구멍(21d)과 파임부(311)의 일부의 형상의 양쪽으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한쌍의 금속편(10)과, 하우징(20)과, 콘택트조립체(30)의 상호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들 부품을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금속편(10)은, 도시하지 않은 실드 커버와 접촉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금속편(1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상, 하 한쌍의 금속편(10)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 하 한쌍의 금속편(10) 중, 위에 위치하는 금속편(10)에만 주목하여 설명한다.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편(10)은, 위에 위치하는 금속편(10)의 앞뒤를 반전시켜서 배치하고 있을 뿐이며, 위에 위치하는 금속편(10)과 형상은 동일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편(10)은, 상대커넥터와의 결합 시에 상대커넥터의 금속편과 접촉하는 접촉부(14)를 구비한다. 접촉부(14)는, 대략 네모진 틀(프레임) 형상으로서, 커넥터 끼움방향의 선단부에는 3개의 접촉편(14a)이 배열된다. 또한, 실시예의 커넥터(1)는 USB-Type C의 규격에 준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상, 하 합하여서 6개인 접촉편(14a)의 형상은, USB-Type C에 필수적인 형상이다. 접촉부(14)의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는, 커넥터 분리방향으로 연신되어, 연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3)의 커넥터 분리방향에는 단면이 대략 L자형상인 지지부(12)가 접속된다. 지지부(12)는, 연결부(13)로부터 수직 윗방향으로 높게 뻗은 측면과, 당해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윗면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2)의 윗면은 암부(11)와 접속된다. 암부(11)라고 할 때는, L자부(11a), 압압부(11b), 다월(dowel)(11b-1), 볼록부(11c), 절결부(11d), 돌출부(11e)를 포함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지지부(12)의 윗면은, 금속편(10)의 좌우방향(콘택트(33)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되어 돌출부(11e)를 형성한다. 돌출부(11e)의 선단부는, 아랫방향으로 절곡되어 L자부(11a)가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L자부(11a)는, 돌출부(11e)의 선단부를 윗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따라서, L자부(11a)는, 돌출부(11e)의 선단부를 아랫방향 또는 윗방향(돌출부(11e)의 연신방향 및 커넥터 끼움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두 방향 중의 어느 하나)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L자부(11a)의 윗면 및 측면에는 1개의, 단면이 대략 반원인 볼록부(11c)가 형성된다. L자부(11a)의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의 아래쪽의 일부에 절결부(11d)가 형성된다. L자부(11a)의 커넥터 끼움방향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부(11e)의 연신방향과 역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신되어 압압부(11b)가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압부(11b)는, 돌출부(11e)의 연신방향과 순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신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압압부(11b)는, L자부(11a)와 절곡된 개소만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움방향/분리방향에는 약간의 휨을 허용한다. 즉, 압압부(11b)는, 커넥터 끼움방향/분리방향으로 미소하게 탄성 변형하는 스프링편으로서 기능한다. 압압부(11b)의, 커넥터 분리방향과 대향하는 면의 중앙 부근에는 다월(11b-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2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하우징(2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콘택트(33) 선단부분을 수용하는 돌출부(22)와, 보디(31)를 수용하는 기초부(23)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20)의 돌출부(22), 기초부(23)의 윗면과 아랫면은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기초부(23)의 윗면 및 아랫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된다. 상, 하 한쌍의 오목부(21)의 좌, 우 양단부에는, 커넥터 분리방향에 대향하는 제1측벽(21a)과, 앞에서 설명한 암부(11)의 연신방향에 대향하는 제3측벽(21c)이 형성된다. 상, 하 한쌍의 오목부(21)의 바닥면에는 좌, 우 한쌍의 구멍(21d)이 형성된다. 구멍(21d)은, 제1측벽(21a)과 제3측벽(21c)에 끼워진(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21d)은, 앞에서 설명한 L자부(11a)의 하단부, 압압부(11b)를 삽입 가능한 형상, 치수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보디(31)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콘택트조립체(30)의 사시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택트조립체(30)는, 상, 하 한쌍의 배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콘택트(33)와, 상, 하 한쌍의 보디(31)와, 좌, 우 한쌍의 스프링편(32)을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이다. 이하, 상, 하 한쌍의 보디(31) 중, 위에 위치하는 보디(31)에만 주목하여 설명한다. 아래에 위치하는 보디(31)는, 위에 위치하는 보디(31)를 앞뒤 반전시켜서 배치하고 있을 뿐이며, 위에 위치하는 보디(31)와 형상은 동일하다. 보디(31)의 윗면에는 파임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파임부(311)의 좌, 우 양단부에는, 커넥터 분리방향에 대향하는 제1측벽(311a)과, 커넥터 끼움방향에 대향하는 제2측벽(311b)과, 앞에서 설명한 암부(11)의 연신방향에 대향하는 제3측벽(3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콘택트조립체(30)를 하우징(20) 내부로 수용하고, 상, 하 한쌍의 금속편(10)을 하우징(20)의 윗방향 및 아랫방향으로부터 결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커넥터(1)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6~도 10을 참조하여, 암부(11)와, 구멍(21d)과, 파임부(311)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1)의 단면지시선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1)의 평면도이다. 도 8~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부호 (8), (9), (10)을 부여한 각 단면지시선에 대응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편(10)의 압압부(11b)는, 하우징(20) 및 보디(31)와 접속된 경우에, 하우징(20)의 구멍(21d)으로부터 하우징 내부 공간 쪽으로 돌출한다. 이때, 압압부(11b)의 다월(11b-1)의 돌출 단부는, 보디(31)의 파임부(311)의, 제2측벽(311b)에만 접촉한다. 또한, 다월(11b-1)은 미소한 부분이기 때문에, 도 7~도 10에서는 표시를 생략하였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측벽(311c)과, 볼록부(11c)가 접촉한다. 또, L자부(11a)의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뒤쪽 단부면)은, 제1측벽(311a)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빈틈(5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편(10)의 L자부(11a)는, 하우징(20)과 접속된 경우에, 당해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뒤쪽 단부면)이 하우징(20)의 오목부(21)의, 제1측벽(21a)에만 접촉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11)의 압압부(11b)는, 구멍(21b)의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뒤쪽 단부면)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빈틈(5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L자부(11a)의 뒤쪽 단부면은, 이 면을 누르는 방향의 힘에 대해서 강성(剛性)이 높고,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L자부(11a)의 뒤쪽 단부면은, 절곡된 금속판의 절곡 개소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두께)에 상당하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제1측벽(21a)은 상기 강성이 높은 L자부(11a)의 뒤쪽 단부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금속편(10)과 하우징(20)과는 올바르게 위치 결정된다. 한편, L자부(11a)의 뒤쪽 단부면은, 보디(31)의 제1측벽(311a)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L자부(11a)의 뒤쪽 단부면이 보디(31)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절결부(11d)는, L자부(11a)의 뒤쪽 단부면과 보디(31)의 제1측벽(311a)과의 접촉을 피하면서 암부(11)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금속편(10)의 압압부(11b)는, 커넥터 끼움방향/분리방향으로 미소하게 탄성 변형이 가능함으로써, 금속편(10)을 하우징(20) 및 보디(31)에 끼워 넣었을 때, 보디(31)를 그 탄성력에 의해서 미소하게 앞쪽(커넥터 끼움방향)으로 밀어낸다. 금속편(10)의 압압부(11b)가 약간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보디(31)를 손상시키지 않고 콘택트조립체(30) 전체를 완만하게 앞쪽으로 밀어내어, 콘택트조립체(30)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파임부(311)의 측벽 등이 얇은 두께를 가진 구조였다고 하여도, 이들을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디(31)를 소형화ㆍ경량화할 수 있으며, 커넥터(1) 전체를 소형화ㆍ경량화할 수 있다.
또, 압압부(11b)의 중앙 부근에 다월(11b-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월(11b-1)의 돌출 단부(뾰족한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콘택트조립체(30)가 올바르게 위치 결정되도록 해둠으로써, 콘택트조립체(30)가 커넥터 분리방향으로 약간 어긋나게 수용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압압부(11b)의 하단부의 삽입을 방해할 수 없다. 다월(11b-1)을 반구체형상, 또는,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으로 해둠으로써, 암부(11)의 삽입에 수반하여, 다월(11b-1)이 제2측벽(311b)을 느슨하게 압압하기 때문에, 보디(31)의 박육부인 제2측벽(311b)에 가해지는 부하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또, 금속편(10)의 접촉부(14)의 상, 하 합하여 6개인 접촉편(14a)은, USB-Type C 규격에 있어서 상대방커넥터의 금속판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인 형상이므로, 금속편(10)은 필수적인 구성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수적인 부품인 금속편(10)에 대해서, 부품끼리의 위치 결정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커넥터의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소형화, 커넥터 제조 공수의 삭감에 이바지한다.
1: 커넥터
10: 금속편
11: 암부
11a: L자부
11b: 압압부
11b-1: 다월
11c: 볼록부
11d: 절결부
11e: 돌출부
12: 지지부
13: 연결부
14: 접촉부
14a: 접촉편
20: 하우징
21: 오목부
21a: 제1측벽
21c: 제3측벽
21d: 구멍
22: 돌출부
23: 기초부
30: 콘택트조립체
31: 보디
311: 파임부
311a: 제1측벽
311b: 제2측벽
311c: 제3측벽
32: 스프링편
33: 콘택트
51: 빈틈
52: 빈틈

Claims (5)

  1. 금속편과, 복수의 콘택트를 고정하는 보디를 포함하는 콘택트조립체와, 상기 콘택트조립체를 커넥터 끼움방향으로 삽입하여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분리방향과 대향하는 측벽을 가진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는,
    상기 커넥터 끼움방향과 대향하는 측벽을 가진 파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편은,
    상기 콘택트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연신방향 및 상기 커넥터 끼움방향의 양쪽에 수직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접속된 경우에, 당해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측벽에만 접촉하는 L자부와,
    상기 L자부의 상기 커넥터 끼움방향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암부의 연신방향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연신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및 보디와 접속된 경우에, 상기 구멍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보디의 상기 파임부의 상기 측벽에만 접촉하는 압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상기 커넥터 분리방향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보디의 상기 파임부의 상기 측벽에만 접촉하는 다월을 형성한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자부의 상기 커넥터 분리방향 단부면의 하부에 절결부를 형성한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편이
    상대커넥터와의 결합 시에 상기 상대커넥터의 금속판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편이
    상대커넥터와의 결합 시에 상기 상대커넥터의 금속판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커넥터.
KR1020150091090A 2014-08-28 2015-06-26 커넥터 KR102285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4304A JP6259735B2 (ja) 2014-08-28 2014-08-28 コネクタ
JPJP-P-2014-174304 2014-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62A true KR20160026662A (ko) 2016-03-09
KR102285273B1 KR102285273B1 (ko) 2021-08-02

Family

ID=5387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090A KR102285273B1 (ko) 2014-08-28 2015-06-26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1425B2 (ko)
EP (1) EP2991174B1 (ko)
JP (1) JP6259735B2 (ko)
KR (1) KR102285273B1 (ko)
CN (1) CN105390847B (ko)
TW (1) TWI6411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620B2 (en) * 2013-07-29 2017-11-28 FCI Asia Pte. Ltd. Modular jack connector and terminal module
USD786798S1 (en) * 2014-05-26 2017-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6293580B2 (ja) * 2014-06-03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4538364U (zh) * 2014-06-13 2015-08-0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703137B (zh) * 2014-11-25 2018-10-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JP6292201B2 (ja) * 2015-09-18 2018-03-14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513542B2 (ja) * 2015-09-29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058771B1 (ja) * 2015-10-13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9425560B1 (en) * 2015-10-15 2016-08-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107210561B (zh) * 2015-11-06 2019-07-26 莫列斯有限公司 紧凑型高速连接器
CN205790589U (zh) * 2016-06-02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usb type-c接口
JP1577462S (ko) * 2016-11-14 2017-05-29
CN108092031B (zh) * 2016-11-23 202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组件
TWI651904B (zh) * 2017-08-17 2019-0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7128960B2 (ja) * 2018-10-11 2022-08-31 マシモ・コーポレイション 鉛直方向戻り止めを備えた患者コネクタ組立体
JP7476705B2 (ja) * 2020-07-27 2024-05-01 I-Pex株式会社 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3549A (ja) 2008-09-19 2010-04-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80527A (ko) * 2011-01-07 2012-07-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US20140073190A1 (en) * 2012-09-11 2014-03-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ocket connector with a sub-shell flexibly connect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WM480792U (zh) * 2014-01-23 2014-06-21 Advanced Connectek Inc 插座電連接器之補強結構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821B2 (ja) * 1988-05-20 1995-06-14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097825B2 (ja) * 1995-10-20 2000-10-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2000138079A (ja) * 1998-10-30 2000-05-16 Molex Inc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0223218A (ja) * 1999-01-27 2000-08-11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US6231355B1 (en) * 1999-12-17 2001-05-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atched impedance connector having retention device on a grounding plane
US6402554B1 (en) * 2001-02-16 2002-06-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Vertical SMT-type electrical connector
CN2850025Y (zh) * 2005-11-14 2006-12-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语音插座连接器
CN201029145Y (zh) * 2007-03-02 2008-0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230066Y (zh) * 2008-07-02 2009-04-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50153U (ko) * 2008-08-22 2009-02-01 Taiwin Electronics Co Ltd
CN201374433Y (zh) * 2009-01-22 2009-12-3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5339971B2 (ja) 2009-03-10 2013-11-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部品結合構造、icカード及びコネクタ
CN201440537U (zh) * 2009-06-30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584612U (zh) * 2009-12-18 2010-09-15 莫列斯公司 插座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201797116U (zh) * 2010-07-02 2011-04-13 诠欣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5822328B2 (ja) * 2010-08-31 201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搭載型コネクタ
CN102916286B (zh) * 2011-08-02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201318280A (zh) * 2011-10-27 2013-05-01 Santa Electronics Inc 電連接器
US8684769B2 (en) * 2012-05-24 2014-04-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rtions in specific arrangement and a grounding plate for excellent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US8961235B2 (en) * 2012-10-19 2015-02-2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ating member having anti-mismating portion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US8851927B2 (en) * 2013-02-02 2014-10-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s thereof
US9022800B2 (en) * 2013-05-23 2015-05-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heat-dissipation feauter thereof
CN203800267U (zh) * 2014-02-11 2014-08-27 深圳市万顺通科技有限公司 Usb接口及包含该usb接口的移动电源
TWM484832U (zh) 2014-04-28 2014-08-21 Speedtech Corp 通用序列匯流排連接器
CN105470690A (zh) * 2014-09-05 2016-04-0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3549A (ja) 2008-09-19 2010-04-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80527A (ko) * 2011-01-07 2012-07-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US20140073190A1 (en) * 2012-09-11 2014-03-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ocket connector with a sub-shell flexibly connect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WM480792U (zh) * 2014-01-23 2014-06-21 Advanced Connectek Inc 插座電連接器之補強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1174B1 (en) 2017-05-17
TW201626651A (zh) 2016-07-16
KR102285273B1 (ko) 2021-08-02
JP2016051514A (ja) 2016-04-11
JP6259735B2 (ja) 2018-01-10
EP2991174A1 (en) 2016-03-02
CN105390847A (zh) 2016-03-09
US20160064877A1 (en) 2016-03-03
US9461425B2 (en) 2016-10-04
TWI641188B (zh) 2018-11-11
CN105390847B (zh)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662A (ko) 커넥터
TW202044682A (zh) 連接器
US20120094544A1 (en) Connector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9033722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KR2016000949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71215B1 (ko) 커넥터
JP2007165194A (ja) コネクタ
KR20190118953A (ko) 커넥터
JP2017147070A (ja) コネクタ
US20150017823A1 (en) Connector
JP2021190258A5 (ko)
JP2017010611A (ja) コネクタ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JP2017147171A (ja) コネクタ
US98997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US8033740B2 (en) Optical connector having an internal clearance at a part to be connected to an optical fiber
TWI697158B (zh) 托盤
EP2750253A1 (en) Connector
WO2018221094A1 (ja) コネクタ
JP5626106B2 (ja) 電子装置の筐体構造
EP2664033A1 (en) Connector
KR101803530B1 (ko)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JP202202365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