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530B1 -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530B1
KR101803530B1 KR1020160119233A KR20160119233A KR101803530B1 KR 101803530 B1 KR101803530 B1 KR 101803530B1 KR 1020160119233 A KR1020160119233 A KR 1020160119233A KR 20160119233 A KR20160119233 A KR 20160119233A KR 101803530 B1 KR101803530 B1 KR 10180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fitting hole
connector
pin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102016011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연결 등을 위한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일체형 핀 연결 구조를 갖는 커넥터와 다르게, 접속부재와 분리형 접속핀을 이용한 2피스(pieces) 결합 구조를 차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생산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속핀의 구부려짐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오디오 연결 등을 위한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일체형 핀 연결 구조를 갖는 커넥터와 다르게, 접속부재와 분리형 접속핀을 이용한 2피스(pieces) 결합 구조를 차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생산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속핀의 구부려짐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등의 전자 장치 부품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를 이용한 단자 연결이란, 구멍 형태의 단자홀을 구비한 암형 커넥터에, 접속핀이 연결된 수형 커넥터를 결합하여, 접속핀이 단자홀에 끼워지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등록실용 제20-0416102호, 등록실용 제20-0382228호, 공개특허 제10-2007-0067035호, 등록실용 제20-03416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특히 수형 커넥터는 단자홀에 끼워지는 접속핀이 커넥터 몸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얇은 두께의 단자용 플레이트를 단자 연결 구조에 맞게 절곡 가공하여 생산된다.
도 2의 좌측 C1로 표시된 도면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커넥터(C1)는, 얇은 두께로 특정 모양으로 절단 가공된 몸체(1)를 커넥터 구조에 맞게 절곡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의 전단부에 단자홀에 끼워지는 핀(2)이 절곡하여 연결되고, 몸체(1)의 중단부 양측에 단자홀 또는 커넥터가 장착되는 하우징(10)에 걸림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3)가 절곡하여 연결되고, 몸체(1)의 후단부 양측에 날개부가 절곡하여 연결되어 이 사이에 전선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수용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몸체(1)는 접지 연결부(5)에 다수개 구비되어 하우징에 장착된 수형 커넥터(C1)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플레이트판 몸체(1)를 절곡하여 형성된 핀 일체형 커넥터(C1) 구조는, 커넥터 몸체(1)에 핀(2)을 비롯한 다른 구성들을 동시에 절곡 가공하여 생산한 후에, 전선 등을 연결한 상태에서 커넥터 핀(2)을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서 조립하여 완성된다.
종래의 일체형 커넥터 구조를 차용하게 되면, 커넥터 몸체(1)의 개수, 즉 핀(2)의 개수가 소량인 경우에는 커넥터 핀(2)과 하우징(10)의 끼움 조립에 큰 문제점이 없으나,
오디오와 같은, 커넥터가 사용되는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출력(또는 입출력)되는 신호의 종류가 많아, 하나의 하우징(10)에 다수개의 핀(2)이 구비된 형태의 경우에는, 얇은 두께의 핀 연결 구조로 인해 커넥터 핀(2)과 하우징의 조립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커넥터의 소형화 및 다수개의 핀 밀집 구조를 위해선, 몸체(1)에 연결된 핀(2)이 매우 얇은 두께로 가공되어지는바,
이렇게 얇은 두께의 핀(2) 다수개가 하나의 하우징에 밀집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가공 중 인접한 다른 핀들 간의 간섭 등으로 인해 절곡 가공 시 불량품이 발생할 확률이 크며, 가공된 커넥터를 하우징에 조립할 때 핀들의 일부 또는 모두가 쉽게 구부려질 수 있어, 다수개의 핀을 하우징의 끼움공에 모두 정확하게 삽입하여 조립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그 만큼 생산성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일체형 핀 연결 구조를 갖는 커넥터와 다르게, 하우징 장착을 위한 접속부재와 분리형 접속핀을 이용한 2피스(pieces) 결합 구조를 차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생산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속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접속핀이 끼워지는 끼움홀과, 접속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접속부재; 및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리형 접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접속핀이 접속부재에 조립될 때 전기적 접속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끼움홀의 상측벽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제1, 제2 절곡부로 연결되어 탄성 지지되는 절곡편과, 끼움홀의 하측벽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연결된 지지부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와 하우징의 조립이 쉽고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우징의 장착부에 마련된 단턱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편이 접속부재에 구비되어 있으며, 접속부재의 소형화 및 접속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 절곡편이 자연적으로 가압되어 절곡편과 지지부 사이의 유격이 좁아져 접속핀의 조립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걸림편이 끼움홀의 상측벽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후방 상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절곡편이 상기 끼움홀의 개구부로 내삽되어 걸림편의 하측에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단자 연결을 위한 소켓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핀이 끼워지는 끼움홀과, 접속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접속부재; 및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리형 접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끼움홀의 상측벽에서 전방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의 전단부에서 전방 상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절곡부로 이루어져, 끼움홀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연결된 절곡편과,
상기 끼움홀의 하측벽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절곡편과 상기 지지부 사이로 상기 접속핀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접속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단턱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끼움홀의 상측벽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끼움홀의 상측벽 전단부에서 후방 상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며,
상기 절곡편은, 상기 끼움홀의 개구부로 내삽되어 상기 걸림편의 하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는, 종래의 핀 일체형 커넥터 구조와 다르게, 접속부재와 분리형 접속핀으로 이루어진 2 피스(pieces) 결합 구조를 차용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속핀의 손상을 방지하며, 특히 가공 중 접속핀의 구부려짐이 발생하지 않아 접속핀을 하우징에 보다 쉽게 조립하여 제작 가능하고, 소형화된 접속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속핀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접속부재에 의한 전기적 연결과 고정이 이루어져, 커넥터의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종래의 커넥터를 비교하기 위해 하나의 하우징에 각 커넥터가 동시 장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핀 일체형 연결 구조의 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접속핀(30)이 끼워지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C)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로 이루어진 도 1, 본 발명의 커넥터(C)와 종래의 커넥터(C1)를 하나의 하우징(10)에 함께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로 이루어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 연결을 위한 소켓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크게 하우징(10), 접속부재(20), 분리형 접속핀(3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 부호 C로 묶여진 평면도의 우측과, 우측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전자 장치의 단자 연결을 위해 본체의 단자 소켓부(미도시)에 결합되어 매립된 접속핀(30)이 소켓부의 단자홀(미도시)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된 접속핀 노출부(11)와, 노출부(11)와 격벽으로 구획화되며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된 접속부재 장착부(12)로 구성되며, 격벽에는 접속핀(30)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서, 장착부(12)와 끼움공(13)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전자 장치의 단자 연결에 필요한 핀의 개수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대략 10~30개 이상의 다수개의 핀 접속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사용될 때 생산성 및 효용성이 극대화 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된 끼움공(13)은, 전단부에서 후단 소정 위치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감되도록 전광후협(前廣後狹)의 구조로 테이퍼진 테이퍼부(13a)가 마련되어 접속핀(30)의 납땜 고정에 사용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장착부(12)를 통해 전선이 삽입되어 접속부재(2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장착부(12)의 개구부를 통해 접속부재(20)의 접지 연결부(24)가 노출되어 기판 등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장착부(12)에는 일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부(14)가 형성되어 접속부재(20)의 걸림편(23)이 단턱부(14)에 걸림 결합되면서 접속부재(20)가 고정되며,
이러한 단턱부(14)는 접속부재(20)가 장착부(12)에 끼워질 때 걸림편(23)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후단부가 접속부재(20)의 삽입 방향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단턱부(14)는 장착부(12)에 끼워지는 접속부재(20)의 걸림편(23)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접속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부(1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접속핀(30)이 끼워지는 끼움홀(21)과, 접속핀(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속부재(20)는, 종래의 커넥터와(C1) 유사하게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된 얇은 두께의 금속 플레이트판을 절곡하여 상기 끼움홀(21)과, 고정수단(22) 및 전선 결합을 위한 끼움부(25)가 형성된 일체형 부재로써,
상기 끼움홀(21)은 금속 플레이트판의 날개부를 직육면체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이렇게 절곡하여 형성된 끼움홀(21)의 상측벽에 절곡편(22A)과 걸림편(23)이 구비되고 끼움홀(21)의 하측벽에 지지부(2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홀(21)의 후방에는 전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배치된 양측 한 쌍의 날개부(25A)(25B)를 'V'자형으로 절곡하여 끼움부(25)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접속부재(20)는,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접속부재(20)가 각각 단독으로 제작되어 하우징(10)의 장착부(12)에 개별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하나의 접지 연결부(24)에서 복수개의 접속부재(20)가 분기되어 연결된 형태로 제작되어 하우징(10)의 장착부(12)에 함께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접속부재(20)가 하나의 접지 연결부(24)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24a는 접지 연결부(24)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다.
상기 고정수단(22)은,
상기 끼움홀(21)의 상측벽에서 전방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절곡부(22a)와, 상기 제1 절곡부(22a)의 전단부에서 전방 상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절곡부(22b)로 이루어진 절곡편(22A)과,
상기 끼움홀(21)의 하측벽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연결된 지지부(22B)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편(22A)은 측면의 중앙 형상이, 전체적으로 하향 돌출된 'V'자 형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절곡편(22A)은 절곡부(22A)(22B)들이 연결된 'V'자 형 접지부가 끼움홀(21)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2B)는 끼움홀(21)의 하측벽에서 상측으로 압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부(22B)는 양측이 개구된 브릿지(bridge)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끼움홀(21)의 노출부(11)를 통해 접속부재(20)의 끼움홀(21)에 끼워지는 분리형 접속핀(30)은, 후단부가 상기 절곡편(22A)의 V'자 형 접지부와 지지부(22B) 사이로 끼워지면서 절곡편(22A)에 형성된 V'자 형 접지부의 가압에 의해, 접속핀(30)과 접속부재(20)의 접지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접속부재(20)는, 상기 장착부(12)의 단턱부(14)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편(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편(23)은, 상기 하우징(10)의 단턱부(14)에 걸림 결합되어 접속부재(20)가 장착부(12)에서 분리, 이탈하는 방지하는 것으로,
걸림편(23)의 형성 위치나 개수에 제한이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홀(21)의 상측벽에 개구부(21a)가 형성되도록, 끼움홀(21)의 상측벽 전단부에서 후방 상측으로 절곡 하여 연결되며,
상기 절곡편(22A)이, 상기 끼움홀(21)의 개구부(21a)로 내삽되어 상기 걸림편(23)의 하측에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재(20)가 장착부(12)에 끼워질 때 절곡편(22A)이 장착부(12)의 단턱부(14)에 접촉한 후에, 걸림편(23)이 단턱부(14)를 통과하면 걸림편(23)이 다시 탄성 복귀되면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하측으로 구부려지는 걸림편(23)이, 하측 끼움홀(21) 내측에 배열된 절곡편(22A)을 가압하여, 절곡편(22A)의 V'자 형 접지부와 지지부(22B) 사이의 유격을 1차적으로 좁혀, 결국 끼움홀(21)에 끼워지는 접속핀(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특히, 제2 절곡부(22b)의 전단 끝단부를 걸림편(23)이 연결된 끼움홀(21)의 상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면, 절곡편(22A)이 구부려지면서 상측벽 전체의 형상이 변위되면서 절곡편(22A)을 하측으로 눌러주게 되어, 절곡편(22A)의 V'자 형 접지부와 지지부(22B) 사이가 더욱 협소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절곡편(22A)과 걸림편(23)은 접속부재(20)의 소형화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절곡 가공 시 끼움홀(21) 내부에 배열된 절곡편(22A)의 탄성 지지력을 보다 쉽게 확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25)는, 접속부재(20)들이 연결된 접지 연결부(24)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접속부재(20)에 전선 등을 개별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이격하여 연결된 한 쌍의 제1 날개부(25A)와, 한 쌍의 제2 날개부(25B)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날개부(25A)들은 전선의 끝단부를 끼움홀(21)로 안내하여 전선이, 접속핀(30) 및/또는 접속부재(20)의 끼움홀(21)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날개부(25B)들은 끝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된 꺽임부(25a)를 구비하여, 전선이 끼움부(25)에 삽입된 상태에서 꺽임부(25a)를 절곡시켜 전선이 고정된다.
이 경우 꺽임부(25a)로 좁혀지는 끼움부(25)의 공간을 협소하게 하여 전선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날개부(25B)들은 각각, 접속부재(20)의 몸체부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연결된다.
즉, 접속부재(20)의 몸체부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날개부(25B)들이, 좌우 수평방향으로 서로 동일선 상에 배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측 꺽임부(25a)들이 접힐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는 제2 날개부(25B)들이 좌우측 동일선 상에 배열될 경우, 꺽임부(25a)들이 접힐 때 서로 간섭하여, 끼움부(25)의 공간 축소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끼움부(25)의 전선을 강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분리형 접속핀(30)은, 접속부재(20)와 분리된 봉 형상의 금속 부재로써, 상기 끼움홀(21)에 끼워져 상기 접속부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핀(30)은, 하우징(10)의 장착부(12)에 접속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노출부(11)를 통해 끼움공(13)으로 삽입되어 접속부재(20)의 끼움홀(21)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속핀(30)은 중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31)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부(31)는 접속핀(30)이 끼움공(13)에 끼워질 때, 끼움공(13)의 테이퍼부(13a)에 걸리면서 안치되어, 접속핀(30)의 과삽입을 방지하며,
이렇게 돌기부(31)가 안치된 테이퍼부(13a)를 납땜하면, 돌기부(31)가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어, 접속핀(3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부재(20)와 접속핀(30)을 2 피스(pieces)로 개별 제작한 후 하우징(10)에 조립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면, 하우징(10)에 접속부재(20)를 먼저 장착 완료한 상태에서 끼움공(13)으로 접속핀(30)을 끼워서 조립하는 것만으로 커넥터가 완성되므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종래의 핀 일체형 커넥터와 다르게, 분리된 접속부재(20)와 접속핀(30)을 이용해, 접속핀(30)들을 하우징에 개별적으로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접속핀(30)의 구부려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접속핀(30)을 끼움공(13)들에 동시에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노출부
12 : 장착부 13 : 끼움공
13a : 테이퍼부 14 : 단턱부
20 : 접속부재 21 : 끼움홀
21a : 개구부 22 : 고정수단
22A : 절곡편 22B : 지지부
22a, 22b : 절곡부 23 ; 걸림편
24 : 접지 연결부 24a : 결합공
25 : 끼움부 25A, 25B : 날개부
25a : 꺽임부 30 : 접속핀
31 : 돌기부

Claims (4)

  1. 단자 연결을 위한 소켓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된 접속핀 노출부(11)와, 상기 노출부(11)와 격벽으로 구획화되며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된 접속부재 장착부(12)로 구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접속핀(30)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공(13)이 형성된 하우징(10);
    접속핀(30)이 끼워지는 끼움홀(21)과, 접속핀(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2)을 구비한 접속부재(20); 및
    상기 끼움홀(21)에 끼워져 상기 접속부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리형 접속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공(13)은, 전단부에서 후단 소정 위치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감되도록 전광후협(前廣後狹)의 구조로 테이퍼진 테이퍼부(13a)를 갖고,
    상기 접속핀(30)은 중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31)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부(12)에 상기 접속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핀(30)이 상기 노출부(11)를 통해 끼움공(13)으로 삽입되어 접속부재(20)의 끼움홀(21)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접속핀(30)이 상기 끼움공(13)으로 끼워질 때 상기 돌기부(31)가 상기 테이퍼부(13a)에 걸리면서 안치되어, 돌기부(31)가 안치된 테이퍼부(13a)에 납땜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2)은,
    상기 끼움홀(21)의 상측벽에서 전방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절곡부(22a)와, 상기 제1 절곡부(22a)의 전단부에서 전방 상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절곡부(22b)로 이루어져, 끼움홀(21)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연결된 절곡편(22A)과,
    상기 끼움홀(21)의 하측벽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연결된 지지부(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절곡편(22A)과 상기 지지부(22B) 사이로 상기 접속핀(30)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20)는, 상기 장착부(12)의 단턱부(24)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편(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23)은, 상기 끼움홀(21)의 상측벽에 개구부(21a)가 형성되도록, 끼움홀(21)의 상측벽 전단부에서 후방 상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며,
    상기 절곡편(22A)은, 상기 끼움홀(21)의 개구부(21a)로 내삽되어 상기 걸림편(23)의 하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20)는 상기 끼움홀(21)의 후방에,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배치된 양측 한 쌍의 날개부(25A)(25B)를 'V'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끼움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끼움부(25)에 전선이 결합되고,
    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날개부(25B)는, 끝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된 꺽임부(25a)를 구비하여, 상기 꺽임부(25a)를 절곡시켜 끼움부(25)에 삽입된 전선을 고정하되,
    상기 한 쌍의 제2 날개부(25B)는 각각 접속부재(20)의 몸체부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119233A 2016-09-19 2016-09-19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KR101803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233A KR101803530B1 (ko) 2016-09-19 2016-09-19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233A KR101803530B1 (ko) 2016-09-19 2016-09-19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530B1 true KR101803530B1 (ko) 2017-12-01

Family

ID=6092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33A KR101803530B1 (ko) 2016-09-19 2016-09-19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5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599A (en) 1994-03-17 1998-05-2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US6004172A (en) 1998-04-01 1999-12-21 Tri-Star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Two piece pin/socket contact
JP2000315561A (ja) * 1998-12-01 2000-11-14 Thomas & Betts Corp <T&B> 改良型2部品オスピ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599A (en) 1994-03-17 1998-05-2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US6004172A (en) 1998-04-01 1999-12-21 Tri-Star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Two piece pin/socket contact
JP2000315561A (ja) * 1998-12-01 2000-11-14 Thomas & Betts Corp <T&B> 改良型2部品オスピン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109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9190752B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US99543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7015524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irm frame for mating with corresponding connector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US2016004975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20184144A1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US20180294602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100610466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9312643B2 (en) Mezzanine connector assembly
US9666962B1 (en) Power terminal with compliant pin for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20130323955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including this connector terminal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US20170179626A1 (en) Connector
US9124014B2 (en) Audio jack connector with small size for space saving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20220344846A1 (en) Board mounted connector
US7938677B1 (en)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US8790134B2 (en) 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US9437937B2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9225135B2 (en) Contact impedance adjusting method, contact,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10756478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 wire to terminal
KR101803530B1 (ko) 분리형 접속핀을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