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223A -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223A
KR20160026223A KR1020140114341A KR20140114341A KR20160026223A KR 20160026223 A KR20160026223 A KR 20160026223A KR 1020140114341 A KR1020140114341 A KR 1020140114341A KR 20140114341 A KR20140114341 A KR 20140114341A KR 20160026223 A KR20160026223 A KR 2016002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zen meat
balance
fork
chopper blade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175B1 (ko
Inventor
손진원
박미향
Original Assignee
손진원
박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원, 박미향 filed Critical 손진원
Priority to KR102014011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1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Abstract

본 발명은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퍼날의 밸런스를 위한 밸런스 웨이트의 무게 중심을 가변하여 초퍼날의 원심력을 상쇄하는 최적의 밸런스 웨이트를 부여함으로써 안정적인 절단이 가능하고 절단면이 고른 냉동육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냉동육을 절단하는 비원형의 초퍼날과; 상기 초퍼날의 반대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초퍼날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초퍼날의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밸런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수단은, 상기 초퍼날의 회전축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초퍼날과 함께 회전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밸런스 웨이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는, 냉동육의 거치와 절단 공간을 제공하는 절단기 본체와; 상기 절단기 본체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냉동육을 고정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냉동육 거치수단과;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을 냉동육의 절단 두께에 맞춰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는 포크 이송수단과; 상기 절단기 본체의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냉동육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동육을 일정 두께로 슬라이스 절단하되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MEAT CUTTING DEVICE FOR KEEPING BALANCE OF CHOPPER, AND APPARATUS FOR SLICE CUTTING MEA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퍼날의 회전에 의한 냉동육의 절단시 초퍼날의 원심력을 상쇄시켜 진동없이 안정적인 절단이 가능하고 냉동육의 절단면을 고르게 절단할 수 있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식문화의 발달과 함께 구이요리가 선호되면서 냉동육의 소비량이 커지고 있으며, 수요에 따른 대량 절단작업이 요구되고 있어 냉동육 절단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냉동육 절단기 중에서 초퍼날의 회전에 의해 냉동육을 절단하는 냉동육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초퍼형 냉동육 절단기는 초퍼의 구조(초퍼의 형태와 편심) 상 초퍼의 회전시 원심력이 발생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절단기의 심한 진동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또한 냉동육의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여 슬라이스 냉동육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1125693호)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적재함체의 공급통로를 통해 절단 두께 만큼씩 전진 이송되는 덩어리 상태의 냉동육을 소정 두께의 절편으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편심 회전되는 초퍼의 회전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초프커터의 초퍼 밸런스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초퍼 밸런스 조절장치는, 모터와, 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초퍼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초퍼 축과, 상기 초퍼 축과는 상이한 축 선상으로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초퍼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자재 되는 웨이트 축과, 상기 웨이트 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동축 상에 배치된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퍼 축과 웨이트 축에 각각 분리 장착되는 초퍼와 웨이트는 각각의 최대 직경부가 서로 반대쪽으로 배치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 편심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웨이트를 초퍼와 다른 위치에 편심 결합함으로써 초퍼커터의 밸런스를 맞출 수는 있지만 구조상 웨이트의 위치(초퍼와 웨이트는 각각의 최대 직경부가 서로 반대쪽으로 배치되게 조립)를 정확하게 하여야 하는데 웨이트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어려워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고 따라서 초퍼커터 등의 떨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2569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퍼날의 밸런스를 위한 밸런스 웨이트의 무게 중심을 가변하여 초퍼날의 원심력을 상쇄하는 최적의 밸런스 웨이트를 부여함으로써 안정적인 절단이 가능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냉동육을 절단하는 비원형의 초퍼날과; 상기 초퍼날의 반대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초퍼날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초퍼날의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밸런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수단은, 상기 초퍼날의 회전축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초퍼날과 함께 회전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밸런스 웨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는, 냉동육의 거치와 절단 공간을 제공하는 절단기 본체와; 상기 절단기 본체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냉동육을 고정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냉동육 거치수단과;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을 냉동육의 절단 두께에 맞춰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는 포크 이송수단과; 상기 절단기 본체의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냉동육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동육을 일정 두께로 슬라이스 절단하되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의하면, 초퍼날의 반대쪽에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하여 초퍼날의 원심력을 상쇄함으로써 초퍼날이 고속회전하면서 냉동육을 절단하여도 초퍼날과 기기의 진동 발생을 억제하므로 냉동육을 고른 절단면으로 절단하고, 특히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의 결합과 위치의 선택을 통해 웨이트를 원심력의 상쇄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않아도 초퍼날의 원심력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초퍼날이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냉동육을 절단하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성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적용된 냉동육 거치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적용된 냉동육 거치수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적용된 포크 이송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적용된 냉동육 슬라이스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에 적용된 밸런스 웨이트의 예시도.
도 9는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에 적용된 포크 이송수단의 요동방지수단을 보인 도면.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40)은, 냉동육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냉동육을 일정 두께로 슬라이스 절단하는 초퍼날(41)을 포함한다.
초퍼날(41)은 구동수단[예컨대, 모터(42)와 동력전달수단인 회전축이나 벨트(43) 등]을 통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 회전하면서 냉동육을 절단한다.
초퍼날(4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예컨대 비원형(반원형, 부채꼴형 등)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부 중 일측에 회전축(44)이 편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초퍼날(41)은 반원형이고 회전축(44)의 편심 설치되는 것이므로 밸런스가 맞지 않아 회전에 의한 절단시 흔들림이 일어나게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과 함께 내구성이 떨어지고 냉동육의 절단면을 깨끗하게 절단하지 못하고 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밸런스수단(50)이 적용된다.
밸런스수단(50)은 회전축(44)에 커플러(45)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축(51), 연결축(5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초퍼날(41)과 함께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로 구성된다.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는 비원형으로서 예컨대 초퍼날(41)과 유사한 부채꼴 형상[부채꼴 형상은 원형의 일부분인 모든 것을 의미하며 초퍼날(41)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말한다]으로 이루어져 초퍼날(41)의 위치에 맞춰 1개 또는 2개 이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처럼 웨이트 벨트(53)를 통해 연결축(5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웨이트 축(54)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초퍼날(41)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물론, 밸런스 웨이트(52)는 연결축(51)에 직접 편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를 통해 무게 중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52)를 초퍼날(41)과 정반대의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않아도 초퍼날(41)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에는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의 일부분에 웨이트를 부가하는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가 적용된다.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에는 곡선형의 가이드장공(52a)이 형성되고,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는 가이드장공(52a)에 결합되는데, 초퍼날(41)의 밸런스를 위한 가이드장공(52a)의 최적 위치에 결합(볼트와 너트 등)된다.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의 위치를 조절하는 목적에 따라 가이드장공(52a)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곡선형으로 배열되는 다단의 위치조정공도 포함되는 것이다. 즉 가이드장공(52a)과 위치조정공은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의 예인 것이다.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는 원통형, 정육면체 등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보다 작은 크기이면서 판형 이외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즉,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는 밸런스 웨이트(52)에 분리 가능하여 정확한 밸런스의 유지를 위한 중량의 것이 선택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장공(52a)을 통해 정확한 밸런스의 유지를 위한 위치에 선택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초퍼날(41)의 밸런스를 정확하게 한다.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는 하나 이상이 적용 가능하다.
가이드장공(52a)을 서로 다른 궤적의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처럼, 밸런스수단(50)은 가이드장공(52a)을 갖는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 판형의 밸런스 웨이트(52)에 적층되며 가이드장공이 없는 판형이며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를 고정하는 다단의 고정공이 구비된 밸런스 웨이트(56)가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밸런스수단(50)에 의하면 초퍼날(41)의 회전시 초퍼날(41)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초퍼날(41)의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따라서 단위 시간 당 냉동육 절단기의 생산량을 극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42)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초퍼날(41)에 전달되어 초퍼날(41)이 회전하며, 초퍼날(41)의 회전에 의해 냉동육이 절단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밸런스 웨이트(52)와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55)가 함께 회전하며,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52,55)는 초퍼날(41)의 원심력을 상쇄하여 초퍼날(41)이 요동치지 않고 정상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진동과 소음 없이 냉동육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절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40)이 적용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는, 절단기 본체(10), 피절단물인 냉동육을 거치하는 냉동육 거치수단(20), 냉동육 거치수단(20)을 통해 냉동육을 절단 위치로 이송하는 포크 이송수단(30), 포크 이송수단(30)에 의해 이송되는 냉동육을 절단하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40)(이하 "냉동육 절단기"라 약칭함)으로 구성된다.
절단기 본체(10)는 냉동육 거치수단(20)과 포크 이송수단(30) 및 냉동육 절단기(40)이 장착되는 기본 골격인 본체 캐비넷(11), 냉동육의 절단 공간을 제공하는 절단부 박스(12), 냉동육 절단기(40)에 의해 절단된 슬라이스 냉동육을 담는 수납 박스(13)로 구성된다.
본체 캐비넷(11)은 내부에 전술한 구성 및 이 구성을 지원하는 부속 구성 등이 장착되도록 입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과 판재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저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와 고정을 위한 풋마스터 등이 갖추어진다.
절단부 박스(12)는 바닥판, 전후좌우 측판에 의한 상부 개방형의 박스 구조이고, 강도 보강과 마찰력 저감을 통한 냉동육와 냉동육 거치수단(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요철형의 바닥판(12a)이 구성 가능하다. 바닥판(12a)의 요철은 냉동육 거치수단(20)에 요철과 대응하는 구성을 갖춘 경우 냉동육 거치수단(20)의 이송을 위한 가이드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절단부 박스(12)는 냉동육의 절단시 이물질에 의한 냉동육의 오염을 방지하고 냉동육의 날림을 막을 수 있도록 상부가 커버(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커버(14)는 냉동육의 절단 과정을 외부에서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투시 구멍이 구비된 판재이며, 개폐 방식은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에 의한 회동식, 슬라이드식, 체결구에 의한 분해 조립식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수납 박스(13)는 바닥판, 전후좌우 측판에 의한 상부 개방형의 박스 구조이고, 강도 보강과 마찰력 저감을 통한 냉동육와 냉동육 거치수단(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요철형의 바닥판(13a)이 구성 가능하다.
수납 박스(13)는 슬라이스 냉동육의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상부가 커버(1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커버(15)는 슬라이스 냉동육을 외부에서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투시 구멍이 구비된 판재이며, 개폐 방식은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에 의한 회동식, 슬라이드식, 체결구에 의한 분해 조립식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즉 절단기 본체(10)는 절단부와 수납부로 구분되며, 절단부 박스(12)와 수납 박스(13)가 서로 고정된 것도 가능하지만, 절단부와 수납부의 독립적인 청소 등을 위하여 절단부 박스(12)와 수납 박스(13)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절단부 박스(12)는 본체 캐비넷(11)에 고정되고 수납 박스(13)는 본체 캐비넷(11)과 단품으로 제작된 후 일측이 힌지(1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절단부 박스(12)와 일렬로 배열되거나 절단부 박스(12)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냉동육의 절단시 등 수납 박스(13)를 절단부 박스(12)와 일렬로 결합하여야 하는 경우 힌지(16) 반대쪽에서는 본체 캐비넷(11)과 수납 박스(13)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17)가 적용된다.
본체 캐비넷(11)과 수납 박스(13)의 대향면에는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와 구조의 측판(18,19)이 형성되어 이질감을 없애며, 물론, 절단부 박스(12)와 수납 박스(13) 및 측판(18,19)에는 서로 연통하는 개방부가 갖추어진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측판(18,19)의 사이에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40)의 초퍼날(41)이 개재되어 절단 작동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냉동육 거치수단(20)은 절단부 박스(12)의 내부에 장착되며 냉동육을 고정 및 포크 이송수단(30)을 통해 전진[전진은 냉동육 절단기(40)의 초퍼날을 향하는 방향]하면서 냉동육을 절단 위치로 이송하는 것이며, 거치대 본체(21), 거치대 본체(21)의 전면에 결합되며 냉동육을 고정하는 포크 브래킷(22), 거치대 본체(21)에 냉동육을 기준으로 하여 승강(회전에 의한 승강 등)하도록 장착되며 포크 브래킷(22)과 함께 냉동육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포크(23), 포크(23)를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거치대 본체(21)는 바닥판과 좌우 측판 및 천정판의 조합에 의한 수직 틀의 구조이며 물론 이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포크 브래킷(22)과 포크(23) 및 포크 승강수단을 장착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거치대 본체(21)는 냉동육을 이송하도록 포크 이송수단(30)과 연결된다.
포크 브래킷(22)은 냉동육의 저부가 안착되는 안착판(22a), 안착판(22a)의 바닥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냉동육의 저부에 꽂히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22b), 안착판(22a)의 후방쪽 단부에 세워지며 냉동육(1)의 배면이 지지되는 지지판(22c), 지지판(22c)에 양측이 통하도록 형성되며 포크(23)가 수용되는 포크 수용부(22d)로 구성되며, 안착판(22a)과 스파이크(22b) 및 포크(23)에 의해 냉동육(1)를 저부와 상부 2 곳에서 지지함으로써 냉동육(1)를 흔들림없이 지지한다.
안착판(22a)과 지지판(22c) 중 일측 이상은 거치대 본체(21)에 고정되며, 이 고정 방식은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유지 보수를 위하여 체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크 수용부(22d)는 지지판(22c) 뒤쪽의 포크(23)가 지지판(22c) 앞쪽의 냉동육을 포킹할 수 있도록 포크(23)가 관통되는 공간이며, 지지판(22c)에 형성되는 모든 구조의 홀이 가능하고, 단 포크(23)가 회동식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포크(23)의 크기와 포크(23)의 회동 궤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포크(23)는 선단부가 냉동육(1)에 꽂힐 수 있도록 뾰족한 구조이며 회동식에 맞춰 도 4에서처럼 곡선형(갈고리 형태 등)으로 디자인된다. 즉 포크(23)의 디자인은 상기 포크 승강수단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포크(23)는 냉동육(1)을 안정적으로 포킹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일렬 또는 복수열로 구성되며 다수의 포크(23)는 단일 동작을 위하여 연결수단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예를 들어 포크(23)들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봉, 포크(23)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크(23)는 상기 포크 승강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축(24)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크 승강수단은 거치대 본체(21)에 장착되며 전후진의 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예컨대 실린더(유압, 공압)(25), 실린더(25)에 의해 전후진하는 래크(26), 래크(26)의 전후진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며 회전축(24)을 통해 포크(23)와 연결되어 포크(23)를 양방향 회전시키는 피니언(27)으로 구성되며, 포크(23)가 도 4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포크 브래킷(22)에 안착된 냉동육의 상부를 찔러 포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크(23)가 회동하기 때문에 포크(23)의 선단부의 높이가 달라지며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냉동육을 지지한다.
냉동육 거치수단(20)은 거치대 본체(21)의 저부에 장착되며 절단부 박스(12)의 바닥면을 따라 구르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28)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냉동육 거치수단(20)은 포크(23)가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거치대 본체(21)의 크기를 무리하게 크게 하지 않는 효과가 있고 포크 브래킷(22)과 함께 냉동육을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크 이송수단(30)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봉으로서 냉동육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열되며 액추에이터로서 예컨대 서보모터에 의해 제자리에서 양방향 회전하는 이송안내봉(31), 이송안내봉(31)에 나사 체결되면서 냉동육 거치수단(20)의 거치대 본체(21)에 고정되어 이송안내봉(31)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냉동육 거치수단(20)을 냉동육 절단기(40)의 초퍼날(41)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더(32)로 구성된다.
포크 이송수단(30)은 이송안내봉(31) 및 슬라이더(3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냉동육 거치수단(2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하여 이송안내봉(31)과 다른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33)이 적용된다.
가이드봉(33)은 이송안내봉(31)과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슬라이더(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내지 지지되고, 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크 이송수단(30)은 냉동육 거치수단(20)의 안정적인 이동 즉 냉동육 거치수단(20)이 상하 좌우로 요동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요동방지수단으로서 가이드레일(35), 가이드레일(35)을 따라 구르면서 냉동육 거치수단(20)이 요동치지 않도록 안내하는 상하 가이드롤러(36)와 전후 가이드롤러(37)가 포함된다.
가이드레일(35)는 예를 들어 각형이며 이송안내봉(31)과 동방향으로 배열된다.
상하 가이드롤러(36)는 슬라이더(32)에 고정되며 가이드레일(36)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 이상 바람직하게 상하 양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슬라이더(32)의 상하 요동을 방지한다.
전후 가이드롤러(37)는 슬라이더(32)에 고정되며 가이드레일(35)의 전후 양측 중 일측 이상에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슬라이더(32)의 전후 요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동육 절단기(40)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냉동육 절단기(40)는 냉동육 거치수단(20)과 포크 이송수단(30)에 의해 이송되는 냉동육을 절단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냉동육 절단기(40)의 구동수단은 본체 캐비넷(11)의 내부에 조성되는 기계실에 배치되고, 초퍼날(41)은 절단부 박스(12)의 외부이면서 수납부 박스(13)의 사이에 개재되어 절단부 박스(12)에서 돌출된 두께만큼의 냉동육을 절단한다.
즉 초퍼날(41)은 측판(18,19)들 사이에 배치되어 측판(18,19)들 사이를 절단 공간으로 사용하여 냉동육을 절단하는 것이고, 따라서, 수납 박스(13)를 분리하면 초퍼날(41)이 노출되고 절단부 박스(12)의 개방부가 노출되므로 초퍼날(41) 등의 청소와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포크 이송수단(30)과 냉동육 절단기(40)는 각각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포크 이송수단(30)과 냉동육 절단기(40)는 각각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모터를 공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조작반과 컨트롤러를 통해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이 제어되며, 예를 들어 온/오프 스위치, 각종 작동과 고장을 알려주는 알람 램프, 포크 이송수단(30)의 속도, 냉동육 절단기(40)의 속도 등을 조절하는 스위치 등이 갖추어지고 공지의 냉동육 절단기에 적용되는 모든 것들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냉동육 거치수단(20)과 포크 이송수단(30) 및 냉동육 절단기(40)로 이루어진 냉동육 슬라이스부는 하나로 어셈블리되어 단일 작업을 통해 설치와 분리되는 이점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고정방법에 의해 가능하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40)는 전술한 절단기 본체(10), 냉동육 거치수단(20), 포크 이송수단(30)과 함께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성의 절단기 본체, 냉동육 거치수단, 포크 이송수단과 함께 적용되는 것이다.
1 : 냉동육,
10 : 절단기 본체, 20 : 냉동육 거치수단
21 : 거치대 본체, 22 : 포크 브래킷
23 : 포크, 24 : 회전축
25 : 실린더, 26 : 래크
27 : 피니언, 28 : 가이드 롤러
30 : 포크 이송수단,
40 :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41 : 초퍼날, 42 : 모터,
43 : 벨트, 44 : 회전축
45 : 커플러, 50 : 밸런스수단
51 : 연결축, 52 : 밸런스 웨이트
53 : 벨트, 54 : 웨이트 축
55 :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

Claims (11)

  1.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냉동육을 절단하는 비원형의 초퍼날과;
    상기 초퍼날의 반대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초퍼날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초퍼날의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밸런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수단은, 상기 초퍼날의 회전축에 직접 또는 연결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초퍼날과 함께 회전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밸런스 웨이트,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밸런스를 조절하는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형성되는 위치조정부를 통해 설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장공 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곡선형으로 배열되는 다단의 위치조정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연결수단은, 상기 초퍼날의 회전축에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회전시키는 웨이트 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5. 냉동육의 거치와 절단 공간을 제공하는 절단기 본체와;
    상기 절단기 본체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냉동육을 고정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냉동육 거치수단과;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을 냉동육의 절단 두께에 맞춰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는 포크 이송수단과;
    상기 절단기 본체의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냉동육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동육을 일정 두께로 슬라이스 절단하는 것으로 청구항 1에 의한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은 상기 절단기 본체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냉동육을 고정하는 포크 브래킷, 상기 거치대 본체에 냉동육을 기준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포크 브래킷과 함께 냉동육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포크, 상기 포크를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포크 승강수단은, 상기 거치대 본체에 장착되며 전후진의 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는 래크, 상기 래크의 전후진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며 상기 포크와 연결되어 상기 포크를 양방향 회전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포크가 회전에 의해 상기 포크 브래킷에 안착된 냉동육의 상부를 눌러 포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크 브래킷은 냉동육의 저부가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며 냉동육에 꽂히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 상기 안착판의 단부에 세워지며 냉동육의 배면이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양측이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크가 수용되는 포크 수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은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절단기 본체의 면을 따라 구르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크 이송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봉으로서 상기 냉동육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열되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는 이송안내봉, 상기 이송안내봉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의 거치대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안내봉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거치대 본체를 상기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의 초퍼날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전후 요동을 막는 상하 가이드롤러 및 전후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냉동육 거치수단과 포크 이송수단 및 냉동육 절단기로 이루어진 냉동육 슬라이스부는 하나로 어셈블리되어 단일 작업을 통해 설치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기.
KR1020140114341A 2014-08-29 2014-08-29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KR10169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41A KR101691175B1 (ko) 2014-08-29 2014-08-29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41A KR101691175B1 (ko) 2014-08-29 2014-08-29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23A true KR20160026223A (ko) 2016-03-09
KR101691175B1 KR101691175B1 (ko) 2016-12-30

Family

ID=5553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341A KR101691175B1 (ko) 2014-08-29 2014-08-29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298A (zh) * 2018-06-21 2018-09-21 尚军 一种还原手工操作保证肉类质量的快速切片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279B1 (ko) * 2017-06-13 2018-11-01 손진원 초퍼날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심플형 냉동육 커팅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 장치
KR102410434B1 (ko) * 2020-06-05 2022-06-16 (주)그랜드벨 냉동육 절단기
KR102390933B1 (ko) 2022-01-07 2022-04-26 (주)투에스푸드 냉동육 슬라이서
KR20230111432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원재엔지니어링 자동배출장치, 이를 포함하는 갈비 절단기 및 자동배출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961Y1 (ko) * 1994-05-02 1996-07-19 한국후지공업 주식회사 고기절단기의 촙프커터날 회전유도 지지장치
KR0134936Y1 (ko) * 1996-03-20 1998-12-15 김총원 초프커터의 초퍼바란스 조절장치
JP2000253809A (ja) * 1999-03-05 2000-09-19 Nihon Career Ind Co Ltd ミンチ分割装置におけるミンチ供給量の調節装置
KR20110118979A (ko) * 2010-04-26 2011-11-02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초프커터의 초퍼 밸런스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961Y1 (ko) * 1994-05-02 1996-07-19 한국후지공업 주식회사 고기절단기의 촙프커터날 회전유도 지지장치
KR0134936Y1 (ko) * 1996-03-20 1998-12-15 김총원 초프커터의 초퍼바란스 조절장치
JP2000253809A (ja) * 1999-03-05 2000-09-19 Nihon Career Ind Co Ltd ミンチ分割装置におけるミンチ供給量の調節装置
KR20110118979A (ko) * 2010-04-26 2011-11-02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초프커터의 초퍼 밸런스 조절장치
KR101125693B1 (ko) 2010-04-26 2012-03-27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초프커터의 초퍼 밸런스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298A (zh) * 2018-06-21 2018-09-21 尚军 一种还原手工操作保证肉类质量的快速切片装置
CN108552298B (zh) * 2018-06-21 2023-01-31 新乡市雨轩清真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还原手工操作保证肉类质量的快速切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175B1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175B1 (ko)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KR101808767B1 (ko) 냉동육 고속 절단기
KR101713376B1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CN209224176U (zh) 一种吐司切片机
KR101245882B1 (ko) 육류 수평 절단장치
EP3282855B1 (en) Machine for slicing fish fillets, in particular salmon fillets
KR101025501B1 (ko) 수직형 식품 슬라이서
KR101164977B1 (ko) 냉장육 고속 슬라이서의 송출 컨베이어 장치
KR102107467B1 (ko)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커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슬라이스 절단기
KR100984543B1 (ko) 식육 슬라이서
KR101914279B1 (ko) 초퍼날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심플형 냉동육 커팅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 장치
KR20160052062A (ko) 파우치 필름원단 슬리팅 커팅장치
US9987762B2 (en) Slicing machine
JP6041398B2 (ja) ミンチのトレー盛付装置
KR100819889B1 (ko) 냉장육 고속 슬라이서에 있어서 송출 컨베이어 받침각도조절장치
CN215123788U (zh) 一种蒲公英绿豆面生产的切割装置
CN203110016U (zh) 一种截断料长度均匀的食品切割机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KR101759986B1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CN212184916U (zh) 一种牛角面包整形机的面皮裁切装置
CN105397176B (zh) 一种硅钢片横剪线的角度可调的剪切机构
KR20120088076A (ko) 식품 슬라이서의 자동 고기 스태킹 장치
KR101861224B1 (ko) 육류 세절기
JP5020266B2 (ja) フードスライサー
CN112224975A (zh) 一种便于定位的包装袋加工用裁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