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042A -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042A
KR20160026042A KR1020140113798A KR20140113798A KR20160026042A KR 20160026042 A KR20160026042 A KR 20160026042A KR 1020140113798 A KR1020140113798 A KR 1020140113798A KR 20140113798 A KR20140113798 A KR 20140113798A KR 20160026042 A KR20160026042 A KR 2016002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ress
lactobionic acid
cortiso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영
김현정
백병열
안순애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1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042A/ko
Priority to TW104126979A priority patent/TW201613608A/zh
Priority to JP2015163685A priority patent/JP2016050202A/ja
Priority to CN201510547228.7A priority patent/CN105412130A/zh
Publication of KR2016002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polyol, i.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free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including the hydroxy group involved in the glycosidic linkage, e.g. monoglucosyldiacylglycerides, lactobionic aci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불안 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STRESS OR HOMEOSTASIS CONTAINING LACTOBIONIC ACID}
본 명세서에는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신체에 가해진 어떠한 외부 자극에 대하여 신체가 수행하는 일반적이고 비특이적인 반응을 스트레스라고 일컫는다. 의학적인 개념으로는 인체의 항상성(homeostasis)과 연관하여 항상성을 파괴하는 상태를 스트레스 상태라고 정의한다.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 반응의 핵심은 스트레스가 각종 호르몬과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와 촉진을 변화시키고 이들 물질을 분비, 자극하는 대뇌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스트레스는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문제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스트레스에 계속 노출되면 범적응 증후군이라는 일정한 생체 반응이 생긴다. 이는 생체 저항력의 저하, 부신염질의 비대, 전신의 림프조직 위축 등으로 나타날 수 있고, 이 상태로 스트레스에 계속 노출되면 생체가 소모되어 재차 여러 증상이 나타나고 신체에 위해가 될 수 있다.
피부 조직에서도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 스트레스에 의해 체내 코르티솔 농도가 증가하게 될 경우 피부 각 조직에 다양한 영향을 주어 피부 컨디션을 저하시키며, 표피각질세포 등의 증식이 억제되거나 여러 가지 피부 조직의 질환 인자 등이 증가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332214호는 연꽃, 쌀 및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32214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신체의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주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체내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불안 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불안 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주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체내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불안 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락토비온산의 스트레스 저감에 의한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비온산의 스트레스 저감에 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호르몬 또는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체내 부정적인 변화를 완화시킴으로써 체내 항상성을 유지시켜 준다.
4-O-β-갈락토피라노실-D-글루콘산으로 표기되는 하기 화학식 1의 락토비온산(lactobionic acid)은 수용성 백색 결정질 화합물로서, 락토스 중의 유리 알데히드기의 산화를 촉매적으로, 화학적으로, 전기분해적으로, 또는 효소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락토스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염 형태의 락토비온산은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류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금속류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에 의한 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 또는 암모니아에 의한 염; 폴리쿼터늄-4, 6, 7, 10, 11, 16 등의 양이온성 폴리머에 의한 염; 및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니움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염의 형태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합성되고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중의 하나로서, 하이드로코티존(hydrocortisone)이라고도 불리우며 단백질로부터의 당의 생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지질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는 필수 호르몬이다. 즉, 부신피질로부터 분비된 코르티솔은 근육 단백질을 분해시켜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아미노산이 혈관을 통해 간으로 흡수되어 간에서 당이 생성되며 간에서 생성된 당은 신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코르티솔은 혈액 내 적당한 수치(6~23㎍/㎗)가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조절되지만,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부신피질에서 코르티솔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며, 코르티솔의 농도가 증가한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다양한 증상이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과다한 코르티솔의 분비는 임파구를 감소시켜 면역 기능이 약화되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세포 증식 억제, 염증 반응 증가, 피부 손상, 수면 장애, 불안 장애, 우울증, 기억력 감퇴, 학습 장애, 식은땀 등과 같은 폐경의 부작용 증가, 골밀도 감소, 쿠싱증후군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불안 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된 것일 수 있다.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함으로써, 항스트레스 또는 체내 항상성 유지 효과가 미미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과다 함량으로 인해 부정적인 자극이 가해져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로서, 염증, 수면 장애, 불안 장애, 우울증, 기억력 감퇴 또는 쿠싱증후군과 같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정제(錠劑), 환제(丸劑), 연질 및 경질 캅셀제, 과립제(顆粒劑), 산제, 세립제, 액제, 유탁제(乳濁濟) 또는 펠렛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결합제(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를 함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또는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점안제, 주사제, 점적제, 로션, 연고, 겔, 크림,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 mg/kg/일 내지 1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kg/일 내지 5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로서, 염증 등과 같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여 피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겔,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피부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로서, 염증, 수면 장애, 불안 장애, 우울증, 기억력 감퇴 또는 쿠싱증후군과 같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으며, 기호 식품 또는 건강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 mg/kg/일 내지 5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건강 식품
락토비온산...................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2] 건강 음료
락토비온산..........................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 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하였다.
[제형예 3] 정제
락토비온산 100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100 mg, 홍삼 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형예 4] 과립제
락토비온산 100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10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5] 연고
하기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중량%).
락토비온산............................. 3.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스트레스 저감에 의한 세포 증식 효과
스트레스 저감 효과는 신체가 스트레스 상황일 때 분비되고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코르티솔(cortisol, hydrocortisone)을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영향을 락토비온산의 유무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불멸화된 인간 각질형성세포인 HaCaT(ATCC)를 10% FBS(Fetal Bovine Serum), 50 U/ml 페니실린, 50 ㎍/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HaCaT 세포를 1.0 × 104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배양 배지를 FBS를 제거한 세럼 스타베이션(serum starvation) 배지로 교환하고 코르티솔 100 μM과 함께 락토비온산을 농도별(0.25, 0.5, 1.0 ppm)로 처리하였다. 물질 처리 24시간 후에 MTT 에세이를 수행하여 물질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TT 에세이의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파우더를 배양배지에 0.5 mg/ml 농도로 녹여 MTT 용액을 만들고 세포에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웰 당 100 μl의 DMSO를 처리하여 포르마잔을 녹인 다음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세포 증식율이 감소하고 락토비온산이 처리된 경우 스트레스 영향이라고 볼 수 있는 코르티솔 영향을 감소시켜 세포 컨디션을 정상으로 돌려주고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스트레스 저감에 의한 염증 억제 효과
상기 시험예 1과 같이 코르티솔(cortisol, hydrocortisone)을 이용한 세포에 대한 락토비온산의 영향을 염증 억제 측면에서 락토비온산의 유무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락토비온산을 처리한 후, 배양이 끝난 시험군들의 배양 배지를 수거하여 세포에서 배지로 배출된 염증 인자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부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수거한 배지들을 12,0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만 수거하여 배지 내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정제된 배지들은 MosaicTM ELISA (R&D Systems, USA) 시약과 LAS3000 (FujiFilm, Japan) 기기를 이용하여 배지 내 염증인자들의 변화를 이미지화하였고, Multi Gauge 3.0 (FujiFilm, Japan)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량화하였다. MosaicTM ELISA의 세부 방법은 제조사가 제공한 프로토콜에 따랐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염증 유발인자가 증가하였고 여기에 락토비온산이 처리된 경우 스트레스 영향이라고 볼 수 있는 코르티솔 영향을 감소시켜 세포 컨디션을 정상으로 돌려주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전신적 스트레스 저감 효과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에멀젼 제형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수상에 글리세린(용매)과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을 첨가한 후 70 ℃로 가온하며 용해시켰다. 별도의 유상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세틸옥타노에이트의 오일에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과 유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향료를 첨가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유상도 70 ℃로 가온하며 천천히 용해시켰다. 수상 파트와 유상 파트가 준비되면 70 ℃에서 매우 빠른 믹서(Homogenizer)를 이용하여 5분간 7000 rpm으로 혼합한 후, 카보머를 첨가하여 점증 및 안정화하고 락토비온산을 투입하여 잘 섞어주고 완전히 혼합되면 냉각하면서 천천히 저어주었다. 비교예 1은 락토비온산 대신에 물을 동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로 실시한 안전성 평가에서 상기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피부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0대 여성 20명(실시예 1: 10명, 비교예 1: 1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또한, 전신의 스트레스 저감 효과를 피험자에 대한 설문평가로 확인하였다.
시험 대상자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일반적인 평가, 효능성 평가 등과 더불어 스트레스 정도에 대한 설문 평가를 진행한 결과, 피부가 개선되었고 피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스트레스가 저감되었다는 의견이 실시예 1을 사용한 그룹이 비교예 1을 사용한 그룹에 비해 약 35% 정도 높게 조사되었다. 즉, 락토비온산은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체내 항상성을 유지시켜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의 과다분비로 나타나는 증상인 세포 손상, 염증, 우울증, 불안장애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2.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르티솔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안 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온산의 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113798A 2014-08-29 2014-08-29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KR20160026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798A KR20160026042A (ko) 2014-08-29 2014-08-29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TW104126979A TW201613608A (en) 2014-08-29 2015-08-19 A composition for anti-stress or homeostasis containing lactobionic acid
JP2015163685A JP2016050202A (ja) 2014-08-29 2015-08-21 ラクトビオン酸を含有する抗ストレス用または恒常性維持用組成物
CN201510547228.7A CN105412130A (zh) 2014-08-29 2015-08-31 含有乳糖酸的缓解紧张用或自平衡维持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798A KR20160026042A (ko) 2014-08-29 2014-08-29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42A true KR20160026042A (ko) 2016-03-09

Family

ID=5549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798A KR20160026042A (ko) 2014-08-29 2014-08-29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050202A (ko)
KR (1) KR20160026042A (ko)
CN (1) CN105412130A (ko)
TW (1) TW2016136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2270B (en) 2017-05-10 2020-07-01 Hyphens Pharma Pte Ltd Skin barrier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334A (ja) * 1997-02-24 1998-09-08 Nonogawa Shoji Kk 抗ストレス及び紫外線障害防御食品
JP2001181189A (ja) * 1999-12-28 2001-07-03 Kyoto Dobutsu Kensa Center:Kk 癒傷促進性基剤
JP2002047182A (ja) * 2000-08-02 2002-02-12 Ito Keiko ペット用体毛品質改善外用組成物
WO2004039327A2 (en) * 2002-10-29 2004-05-13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Use of equol for treating androgen mediated diseases
US20070190115A1 (en) * 2004-02-06 2007-08-16 Takashi Kimura Feed additive for laying hen and feed containing the same
JP5122766B2 (ja) * 2006-06-20 2013-01-16 ユニチカ株式会社 エコール産生促進組成物
CA2660056A1 (en) * 2006-08-18 2008-02-21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Use of equol for ameliorating or preventing neuropsychiatric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or disorders
JP5578869B2 (ja) * 2010-01-27 2014-08-27 ユニチカ株式会社 角質層ターンオーバー促進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3608A (en) 2016-04-16
JP2016050202A (ja) 2016-04-11
CN105412130A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4471A1 (en) Compositions and regime/regimen for treating the adverse signs of cutaneous skin aging
EP366289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KR101510595B1 (ko)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8503B1 (ko) 녹차 잎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 잎의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6902329B2 (ja) 皮脂腺細胞の活性化の抑制剤
JP5819209B2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KR101935492B1 (ko) 야라야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5124188A (ja) 皮脂合成抑制剤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30088665A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200048141A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60026042A (ko)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KR20190018108A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06896B1 (ko)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421847B2 (ja) 脂肪分解促進剤
JP6249598B2 (ja) 皮膚外用剤
JP7361448B2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発現促進剤
JP5438239B1 (ja) シコニン誘導体を有するペリオスチンの発現抑制剤
JP2015124186A (ja) 皮脂合成促進剤
UA122755C2 (uk) Композиції для місцевого догляду за шкірою
KR102247453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75766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67752B1 (ko) 다이플렉트리아 바르바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002651A (ja) 慢性角化型湿疹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