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329A -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329A
KR20160025329A KR1020140112450A KR20140112450A KR20160025329A KR 20160025329 A KR20160025329 A KR 20160025329A KR 1020140112450 A KR1020140112450 A KR 1020140112450A KR 20140112450 A KR20140112450 A KR 20140112450A KR 20160025329 A KR20160025329 A KR 2016002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processing
processing unit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527B1 (ko
Inventor
이현민
배근태
유진
이정민
장우영
한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527B1/ko
Priority to US14/807,027 priority patent/US10076300B2/en
Priority to PCT/KR2015/007793 priority patent/WO2016032133A1/en
Priority to EP15835486.0A priority patent/EP3186619A4/en
Publication of KR2016002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6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 A61B6/487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involving fluo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4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iagnosis of blood vessels, e.g. by ang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58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or no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06F11/2025Failover techniques using centralised failover control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3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with a single idle spare processing compon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4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where the redundant components share neither address space nor persistent stor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25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image inten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86Detection of faults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05Real-tim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인체나 수화물 등과 같은 피사체에 엑스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여 의사나 보안 관련자가 시각적으로 피사체 내부의 조직, 구조 또는 피사체 내부의 물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보건 산업, 보안 시스템 산업이나 건설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 등의 방사선이 피사체 내부의 물질의 특성, 예를 들어 밀도에 따라서 물질에 흡수되거나 또는 투과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여 피사체의 내부 조직, 구조 또는 대상체 내부의 물질이 표시되는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동작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상기 신호의 내용을 기초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장애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인 신호는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중앙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는 고리형 네트워크(ring network)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에 따라서 제어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를 경유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사실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 실시간 처리부 및 비실시간 처리부는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는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와 미리 정의된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는 피사체에 조사될 방사선을 생성하고 피사체 방향으로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부, 상기 방사선 발생부에서 발생된 방사선을 여과하는 콜리메이터,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여과하는 반 산란 그리드 및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적어도 두 개는 각각에 마련된 통신 포트를 통하여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실시간 영상 처리에 따라 획득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실시간 영상의 세부 정보 또는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와 관련된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한 경우,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실시간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실시간 영상 처리는 삼차원 방사선 영상의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는 실시간 방사선 영상의 생성 및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DSA,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 권한에 따라서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하는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영상촬영부의 비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어 권한에 따라서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촬영부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상기 신호의 내용을 기초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중앙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는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에 따라서 제어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여부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는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 및 상기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와 미리 정의된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에 문제가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방사선 촬영 장치가 정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에 문제가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방사선 촬영 장치를 실시간으로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여 시스템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정지에 따른 시스템을 재부팅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재부팅에 따라 피검자 등의 피사체가 장시간 대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재부팅 시간 동안 피사체에 발생한 다양한 현상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장애 발생에 따른 시스템의 정지로 인하여 진단, 시술 또는 수술이 중단되거나 또는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장애 발생에 따른 시스템의 정지로 인하여 피사체에 대한 의도되지 않은 방사선의 과조사나 오조사를 막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의도되지 않은 위치에 방사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방사선 피폭 사고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구현된 촬영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방사선 조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방사선 투시 장치(Fluoroscopy)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방사선 투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영상 증배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간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비실시간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중앙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확인 신호 및 응답 신호의 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중앙 제어부가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7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8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촬영부(1),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처리부(2) 및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비실시간 처리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는 가시 광선, 초음파 또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는 인가된 자기장에 따라 자기 공명 현상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는 가공 전 데이터(raw data)일 수 있다. 영상 촬영부(1)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부(1)로는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 초음파 프로브 장치,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DR, digital radi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T, computed tomography), 유방 촬영 장치(mammography), 방사선 투시 장치,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또는 단일 광자 단층 촬영(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영상 촬영부(1)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2)는 영상 촬영부(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2)는 영상 촬영부(1)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2)는 영상 촬영부(1)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2)는 실시간 영상 처리 및 영상 촬영부(1)의 실시간 동작 제어를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2)는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 권한은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와 관련된 처리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 권한은 영상 촬영부(1)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권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2)에는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2)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부(2)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한 경우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시스템 상에 로딩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집합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에 로딩되면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간 영상 처리는 실시간 영상(real time image)의 생성 및 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처리는 영상 처리에 많은 자원(resource)를 요구하지 않거나, 처리할 데이터가 소량이거나 또는 기타 여러 이유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영상 촬영부(1)가 방사선 투시 장치인 경우라면 실시간 영상 처리는 실시간 방사선 영상의 생성, 방사선 영상의 실시간 보정 또는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DSA,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는 조영제 주입 전 영상과 조영제 주입 후 영상을 획득한 후 두 영상을 감산 처리하여 조영된 혈관만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3)는 영상 촬영부(1)의 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처리부(3)는 방사선 조사나 방사선 조사부의 이동 등과 같은 영상 촬영부(1)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3)는 영상 촬영부(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영상 촬영부(1)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3)에는 비실시간 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3) 역시 비실시간 처리를 위한 비실시간 영상 처리 권한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비실시간 처리부(3)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위해 어떠한 권한도 요구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영상 처리는 비실시간 영상(non-real time image)의 생성 및 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비실시간 영상 처리는 영상 처리에 많은 자원을 요구하거나, 처리할 데이터가 대량이거나 또는 기타 여러 이유로 신속하게 처리하기 어려운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영상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영상 촬영부(1)가 방사선 투시 장치라면 비실시간 영상 처리는 비실시간 방사선 영상의 생성, 방사선 영상의 비실시간 보정, 입체 방사선 영상의 생성, 삼차원 입체 영상의 생성 또는 볼륨 데이터 등의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실시간 처리부(3)는 실시간 처리부(2)에 장애가 발생하여 실시간 처리부(2)가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획득한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례로 실시간 처리부(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3)는 미리 비실시간 처리부(3)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한 후 영상 촬영부(1)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시간 처리부(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3)는 실시간 처리부(2)로부터 실시간 처리 권한을 전달받은 후 전달받은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3)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간 처리부(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실시간 처리부(3)는 실시간 처리부(2)에서 전달되는 장애 발생 신호를 기초로 실시간 처리부(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실시간 처리부(2)로부터 비실시간 처리부(3)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응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실시간 처리부(3)는 영상 촬영부(1)의 비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비실시간 처리부(3)는 비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 이외에도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실시간 처리부(3)는 환자 관리 프로그램 등과 같은 임상용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환자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1), 실시간 처리부(2) 및 비실시간 처리부(3)는 고리형 네트워크(ring network)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부(1) 및 실시간 처리부(2)가 서로 연결되고, 실시간 처리부(2) 및 비실시간 처리부(3)가 서로 연결되며, 영상 촬영부(1) 및 비실시간 처리부(3)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가 고리처럼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는 양 방향(11, 12)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촬영부(4)는 실시간 처리부(2)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11)할 수도 있고, 비실시간 처리부(3)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12)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4)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실시간 처리부(2)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3)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촬영부(1)는 실시간 처리부(2)로 영상 데이터를 직접 전송(11)할 수도 있고 비실시간 처리부(3)를 통하여 실시간 처리부(2)로 간접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12)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의 전송 방향(11, 12)은 실시간 처리부(2)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3)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부(2)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영상 촬영부(1)의 영상 데이터는 비실시간 처리부(3)로 직접적으로(12) 또는 실시간 처리부(2)를 통하여 간접적으로(11) 전송될 수 있으나, 실시간 처리부(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영상 촬영부(1)의 영상 데이터는 비실시간 처리부(3)로 오직 직접적으로만(12)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촬영부(1), 실시간 처리부(2) 및 비실시간 처리부(3) 각각에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4 내지 9)이 마련될 수 있다. 통신 모듈(4 내지 9)은 유선 네트워크 방식 또는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4 내지 9)은 케이블이 결합되는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4 내지 9)은 일정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 및 신호를 복조 또는 변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4 내지 9)은 모두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통신 모듈(4 내지 9) 중 일부는 다른 일부와 상이한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25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구현된 촬영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10)는 피사체(99)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실(95)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각 부분들은 촬영실(95)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0)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스위처(switcher, 600) 및 표시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스위처(600) 및 표시부(610) 등은 모두 촬영실(95)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일부는 촬영실(95) 내부에 설치되고 다른 일부는 촬영실(95) 외부의 다른 공간(95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부(100)와, 비실시간 처리부(200)와, 스위처(600)와, 표시부(610) 중 어느 하나인 제2 표시부(612) 등은 촬영실 외부(95a)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방사선 촬영부(400)는 촬영실(95)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실(95) 내부에는 방사선 촬영부(400)에 의해 촬영될 피사체(99)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97)가 설치될 수 있다. 촬영실(95) 내부에는 사용자, 일례로 시술자(611)에게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표시부(611)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촬영실(95) 내부 또는 외부(95a)에는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콘솔 장치(60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98)는 콘솔 장치(603)를 조작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는 네트워크 망에 의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사선 촬영부(40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각종 신호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다른 장치(100 내지 400, 6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은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각각의 장치는 실시간 처리부(1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스위처(6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순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와 직렬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순서는 시스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각각의 장치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의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고리형 네트워크로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각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제어 신호나 데이터는 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나 데이터는 양 방향(full-deplex) 모두로 동시에 또는 이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신호나 데이터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모두로 동시에 또는 이시에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30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는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실시간 처리부(1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모두로 동시에 또는 이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된 신호는 비실시간 처리부(200), 스위처(600) 및 방사선 촬영부(400)의 순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송된 신호는 스위처(6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및 실시간 처리부(100)의 순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과 고리형 네트워크는 양 방향 직렬 필드 버스(field bus)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은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포트(101, 201, 301, 601) 또는 어댑터(412, 432, 434, 491, 49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포트(101, 201, 301, 601)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과 장치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포트(101, 201, 301, 601)는 직렬 포트 또는 병렬 포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포트(101, 201, 301, 601)는 유티피 케이블(UTP cable)의 단자가 삽입되는 통신 포트일 수도 있고,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가 삽입되는 범용 직렬 버스 포트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통신 포트(101, 201, 301, 601)의 일례가 될 수 있다.
통신 포트(101, 201, 301, 601)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의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 및 스위처(6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포트(101, 201, 301, 601)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의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 및 스위처(600) 중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에는 통신 포트(101, 201, 301, 601) 대신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이 마련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칩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홈알에프(Home RF) 및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UBW)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부(400)의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에는 통신 포트(101, 201, 301,601) 대신에 어댑터(412, 432, 434, 491, 493)이 마련될 수도 있다. 어댑터(412, 432, 434, 491, 493)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과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미리 정의된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되, 방사선 촬영부(400)의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이 저속도 및 저대역의 직렬 통신과 같이 비표준 방식을 통해 외부와 인터페이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댑터(412, 432, 434, 491, 493)는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와 미리 정의된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412, 432, 434, 491, 493)에 의하면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의 한계에 의해 실시간 동작의 성능이 저해되고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어댑터(412, 432, 434, 491, 493)는 실시간 필드 버스 슬레이브 스택(Real-time fieldbus slave stack)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의 프로필(profile)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관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99)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촬영부(400)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피사체(99)에 대한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400)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 방사선 투시 장치 또는 단일 광자 단층 촬영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부(400)의 일례로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DR)는 피사체(99)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부(410) 및 피사체(99)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410)는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방사선 검출부(430)는 피사체(99)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피사체(99)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97)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DR)는 방사선 조사부(410), 방사선 검출부(430), 입력부(479), 제어부(480), 저장부(481), 영상 처리부(482), 표시부(48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410)는 관전압 및 관전류에 따라 방사선을 생성하여 피사체(99)로 조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조사부(410)는 방사선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방사선 튜브(420)와 방사선 튜브(420)에서 생성된 방사선을 필터링하는 콜리메이터(4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 조사부(410)는 복수의 방사선 튜브(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방사선 튜브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튜브(420)는 전원(4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492)은 제어부(480)에 제어에 따라 방사선 튜브(120)에 소정의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492)는 상용 전원일 수도 있고, 별도의 발전기일 수도 있다. 또한 전원(492)는 방사선 촬영부(400) 내부 장치에 마련된 축전지일 수도 있다.
전원(492)에서 소정의 전압 및 전류가 방사선 튜브(420)에 인가되면 방사선 튜브(420)는 인가된 소정의 전압 및 전류에 따라서 일정한 크기의 방사선을 생성할 수 있다. 방사선 튜브(420)는 관체(420a), 음극(422) 및 양극(423)을 포함할 수 있다. 관체(420a)는 음극(422) 및 양극(423)과 같은 방사선 생성에 필요한 각종 부품을 내장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전자(e)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관체(420a)는 소정의 규산 경질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관일 수 있다. 관체(420a) 내부의 진공도는 10^-7mmHg 정도로 높게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음극(422)에선 전자빔(e)이 양극(423)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음극(422)의 말단에는 전자가 밀집되는 필라멘트(422a)가 마련될 수 있다. 필라멘트(422a)는 인가된 관전압에 따라 가열되어 밀집된 전자를 관체(420a) 내부로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e)는 관체(420a) 내에서 가속되면서 양극(42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음극(422)의 필라멘트(422a)는 텅스텐(W) 등의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음극(422)에는 필라멘트(422a) 대신에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가 마련될 수도 있다. 양극(423)에서는 방사선이 생성될 수 있다. 양극(426)의 타겟면(424)에 이동하던 전자(e)가 충돌하면 전자(e)의 급격한 감속에 따라 관전압에 상응하는 에너지의 방사선(x)이 타겟면(424)에서 발생한다. 타켓면(424)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방향으로 절삭되어 있어 방사선(x)은 소정의 방향으로 주로 방사될 수 있다. 양극(423)은 구리(Cu)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타겟면(424)은 텅스턴(W), 크롬(Cr), 철(Fe), 니켈(Ni)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423)은 원판의 형상을 구비한 회전 양극일 수도 있다. 회전 양극(423)의 말단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절삭되고 절삭면에는 타겟면(424)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양극(423)은 소정의 축(R)을 중심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양극(423)의 회전을 위해서 방사선 튜브(420)에는 회전 자계를 생성하는 고정자(428), 고정자(428)에서 생성된 회전 자계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 양극(423)을 회전시키는 회전자(427),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베어링(426) 및 회전 양극(423)의 회전축(R)이 되는 축부재(425)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자(427)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양극(423)은 소정의 절삭각으로 절삭된 절삭면을 갖는 원통 형상의 고정 양극일 수도 있으며, 타겟면(124)은 절삭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반도체 칩이 설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DR) 내부에 마련된 프로세서 등의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중앙 제어부(3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실시간 처리부(100)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콜리메이터(411)는 방사선 튜브(420)에서 조사되는 복수의 방사선을 필터링하여 방사선이 특정 방향에서 일정한 영역 내로 조사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콜리메이터(411)는 특정 방향으로 조사되는 방사선이 통과하는 개구 및 다른 방향으로 조사되는 방사선을 흡수하는 콜리메이터 블레이드(collimator blad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콜리메이터(411)의 개구의 위치나 크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조사 방향 및 방사선의 조사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411)의 콜리메이터 블레이드는 납(Pb) 등과 같이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부(110)에서 조사된 방사선(x)은 거치대(97)에 거치된 피사체(99)에 조사되고, 피사체(99)를 투과한 방사선은 반 산란 그리드(anti-scatter grid, 431)를 통과한 후 방사선 검출 패널(440)에 도달할 수 있다.
도 7은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검출부(430)는 반 산란 그리드(431), 방사선 검출 패널(440) 및 기판(446)을 포함할 수 있다.
반 산란 그리드(431)는 피사체(99) 내부를 통과하면서 산란된 방사선을 흡수하여 적절한 방향의 방사선만이 방사선 검출 패널(440)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반 산란 그리드(431)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복수의 격벽(431a) 및 방사선이 통과하는 투과공(431b)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431a)은 납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피사체(99) 내부에서 산란되거나 굴절된 방사선을 흡수하고, 투과공(431b)은 산란되지도 굴절되지도 않은 방사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방사선 검출 패널(440)은 방사선을 수광하고 수광한 방사선을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 검출 패널(440)은 방사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직접 방식)할 수도 있고, 방사선에 따른 가시광선을 생성한 후 가시 광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간접 방식)할 수도 있다. 직접 방식에 따르는 경우, 방사선 검출 패널(440)은 일면에 방사선이 입사되는 제1 전극(441)과, 제1 전극(441)의 방사선이 입사되지 않는 타면에 설치되는 반도체 물질층(442)과, 제1 전극(441)의 반대편에서 반도체 물질층(442)에 접하여 설치되는 평면판(443)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판(443)에는 하나 이상의 열로 배열되는 제2 전극(pixel electrode, 443a) 및 박막 트랜지스터(443b)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전극(157)은 극성이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고, 제2 전극(443a)의 극성은 제1 전극(157)과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157)과 제2 전극(443a) 사이에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방사선의 입사 및 흡수에 따라서 반도체 물질층(442)에 생성된 전하 정공 쌍은 제1 전극(441) 및 제2 전극(443a)의 극성에 따라 제1 전극(441) 또는 제2 전극(443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전극(443a)은 반도체 물질층(442)에서 전달된 정공 또는 음전하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음전하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443b)는 대응하는 제2 전극(443a)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독출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로 대응하는 제2 전극(443a) 및 박막 트랜지스터(443b)는 하나의 씨모스칩(CMOS chip)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방사선 검출부(430)가 간접 방식에 따라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반 산란 그리드(431)와 방사선 검출 패널 사이에는 수광한 방사선에 상응하는 가시 광선을 출력하는 형광 스크린(phosphor screen)이 배치되고, 가시 광선의 전기적 신호 변환을 위해 평면판(443)에는 제2 전극(443a) 대신에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가 설치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패널은 방사선에 따라서 소정의 가시 포톤을 출력하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가시 광선 포톤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검출부(43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톤 카운팅 디텍터(PCD, photon counting detector)일 수도 있다.
검출 패널(440)의 이면에는 기판(446)이 설치될 수 있다. 기판(446)은 방사선 검출 패널(440)의 이면에 부착되어 방사선 검출 패널(44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방사선 검출 패널(44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검출부(4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481)에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482)로 전달될 수 있다. 방사선 검출부(4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482)로 바로 전달될 수도 있다. 저장부(481)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반도체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82)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콘트라스트나 명암을 조절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실시간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등과 같은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삼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482)는 반도체 칩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82)는 실시간 처리부(100)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90)는 방사선 조사부(410) 또는 방사선 검출부(430)를 이동시켜 방사선 조사부(410)가 피사체(99)의 여러 위치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방사선 검출부(430)가 피사체(99)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490)는 암(ar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암(arm)은 장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490)는 레일, 바퀴 및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레일을 따라 바퀴를 이동시킴으로써 바퀴가 결합된 방사선 조사부(410) 또는 방사선 검출부(4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490)는 액츄에이터의 작용에 의해 방사선 조사부(410) 또는 방사선 검출부(430)를 이용시킬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방사선 조사부(410) 또는 방사선 검출부(430)의 이동을 위해 구동부(490)는 유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부(400)의 일례로 방사선 투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방사선 투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방사선 투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투시 장치(FS)는 방사선을 피사체로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 모듈(510),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한 후 수광한 방사선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사선 검출 모듈(530), 방사선 조사 모듈(510) 및 방사선 검출 모듈(530)이 설치되는 프레임(594), 방사선의 조사 방향이나 조사 위치에 따라서 프레임(594)을 동작시키는 구동부(592, 593), 각 장치의의 동작 등과 관련된 각종 부품이 내장된 본체(595),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내장되는 워크 스테이션 본체(614),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613), 사용자에게 방사선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부(610, 611, 61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투시 장치(FS)는 영상 증배관(531)에서 출력되는 광자를 촬영하는 촬영부(532), 촬영부(532)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590), 영상 처리된 영상을 각각의 표시부(611, 612)에 분배하는 스위처(600), 방사선 투시 장치(FS)의 각 부품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9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모듈(510)은 거치대(97)에 거치된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5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선 튜브와 방사선 튜브에서 조사된 방사선을 필터링하기 위한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모듈(510)의 방사선 튜브와 콜리메이터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의 변형을 거쳐 적용된 것일 수도 있다.
방사선 검출 모듈(530)은 영상 증배관(image intensifier, 531) 및 촬영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증배관(531)은 입사된 방사선에 대응하는 광자를 방출하고, 촬영부(532)는 광자를 수광하여 촬상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영상 증배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영상 증배관(531)은 반 산란 그리드(533), 관체(534), 방사선-전자 변환부(535), 양극(536), 전자-광 변환부(537), 광 통로(538), 렌즈(539a 내지 539c) 및 하우징(549)을 포함할 수 있다.
반 산란 그리드(533)는 피사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산란된 방사선을 흡수하여 적절한 방향의 방사선만이 관체(534)의 방사선-전자 변환부(535)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반 산란 그리드(533)는 납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방사선을 차단하는 복수의 격벽과, 산란되지 않은 방사선이 통과하는 투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공을 통과한 방사선은 방사선-전자 변환부(535)에 도달할 수 있다. 반 산란 그리드(333)는 관체(534)의 방사선-전자 변환부(535)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관체(534)는 방사선-전자 변환부(535), 양극(536) 및 전자-광 변환부(537) 등의 각종 부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관체(534) 내부를 이동하는 전자(e)가 양극(536) 방향으로 집속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아울러 전자(e)의 외부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관체(534)는 대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체(5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전자 변환부(535)과 배치된 음극(-) 방향의 직경이 전자-광 변환부(537)가 마련된 양극(+) 방향의 직경보다 더 큰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체(534)의 사선-전자 변환부(535)과 배치된 음극(-) 부분은 방사선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체(534) 내부에서 전자는 양극(536)으로 이동하면서 양극(536) 근처에 마련된 일 지점인 집속점(f)에서 집속될 수 있다. 관체(534) 내부에는 집속 전극(focusing electrode, 534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집속 전극(534a)는 양극(536)으로 이동하는 전자(e)가 집속점(f)에서 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방사선-전자 변환부(535)는 관체(534)의 음극(-)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방사선-전자 변환부(535)는 방사선이 입사된 후 입사된 방사선에 대응하는 광자를 방출하는 형광판(535a)과 형광판(535a)에서 방출된 광자에 대응하는 전자(e)를 방출하는 광음극판(535b)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판(535a)과 광음극판(535b)는 관체(534)의 음극(-) 부분의 렌즈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음극판(535b)에서 방출된 전자(e)는 관체(534) 내부의 집속점(f)에 집속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양극(536)은 전자(e)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전자(e)의 극성에 따라 전자(e)는 양극(536)으로 이동하면서 양극(536) 주변에서 집속될 수 있다. 양극(536)은 이동하는 전자(e)를 더욱 빠르게 가속시킬 수 있다. 양극(536) 주변에는 전자-광 변환부(537)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광 변환부(537)는 입사된 전자(e)에 따라 상응하는 가시 광자(visible photon)를 광 통로(538) 내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전자-광 변환부(537)는 출력 형광면(output phosphor)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통로(538) 내부로 방사된 빛은 제1 렌즈(539a)에 의해 굴절되어 평행하게 진행할 수 있다. 출력된 광자는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출력된 광자는 촬영부(532)에 의해 수광되고, 촬영부(532)는 수광된 광자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 및 저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광 통로(538) 내부에는 방사된 광자를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542)이 마련될 수 있다. 반사경(542)은 출력된 광자 중 일부는 제1 촬영부(532a)가 설치된 제1 광 통로(538a)로 전달하고, 다른 일부는 제2 촬영부(532b)가 설치된 제2 광 통로(538b)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상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광 통로(538a) 및 제2 광 통로(538b)에는 각각 전달된 빛을 집속하는 제2 렌즈(539b) 및 제3 렌즈(539c)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렌즈(539b) 및 제3 렌즈(539c)에서 집속된 빛은 제1 촬영부(532a) 및 제2 촬영부(532b)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광 통로(538a) 및 제2 광 통로(538b) 각각에는 제1 촬영부(532a) 및 제2 촬영부(532b)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조리개(539d) 및 제2 조리개(539e)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549)은 반 산란 그리드(533), 관체(534), 방사선-전자 변환부(535), 양극(536), 전자-광 변환부(537), 광 통로(538) 및 렌즈(539a 내지 539c) 등을 내장하며,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외부의 자극에 따른 훼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549)은 관체(534) 또는 광 통로(538)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촬영부(532)는 광자를 수광한 후 수광한 광자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532)는 복수의 촬상 소자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촬상 소자로는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상보성 금속산화막 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프레임(594)에는 방사선 조사 모듈(510) 및 방사선 검출 모듈(520)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594)는 씨(C)자의 형상을 가진 씨자 형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씨자 형상 프레임의 양 말단에는 방사선 조사 모듈(510) 및 방사선 검출 모듈(520)이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592, 593)는 프레임(594)의 회전 또는 프레임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592, 593)는 지지대나, 모터나, 레일이나, 바퀴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594)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체(595) 내부에는 반도체칩이나 인쇄회로기판 등의 각종 부품이 내장될 수 있으며, 본체(595) 내부에 내장된 반도체칩은 제어부(591)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591)는 구동부(592, 593)의 동작만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본체(595) 내부에는 구동부(592, 593)의 일부가 내장될 수도 있다.
워크 스테이션 본체(614)에는 반도체칩이나 인쇄회로기판 등의 각종 부품이 내장될 수 있으며, 본체(614) 내부에 내장된 반도체칩은 제어부(591)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59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시를 해석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영상 처리 및 처리된 영상이 표시부(6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 본체(614)에는 표시부(610) 또는 입력부(613)가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590)는 촬영부(532)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며, 상술한 실시간 처리부(100)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91)는 구동부(592, 593), 방사선 조사부(511) 또는 영상 처리부(5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방사선 촬영부(400)의 구체적인 일례로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와 방사선 투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촬영부(400)로 이용될 수 있는 장치는 상술한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또는 방사선 투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유방 촬영 장치 또는 단일 광자 단층 촬영 장치도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의 변형을 거쳐 방사선 촬영부(400)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실시간 처리부, 비실시간 처리부 및 중앙 제어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실시간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방사선 촬영부(400)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영상 처리,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확인 신호 처리, 데이터 동기화, 패킷 처리 및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프로세서(110), 저장부(120) 및 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거나 또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각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을 로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집합을 의미한다.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은 여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프로그램(112 내지 11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등의 장치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의 집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프로그램(112),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115), 패킷 처리 프로그램(116) 및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117)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프로그램(112),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115), 패킷 처리 프로그램(116) 및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117)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중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에서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117)은 생략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각각의 프로그램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실행될 수도 있고, 다른 프로그램과 별도로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은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의 실행과 연계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과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117)은 서로 별도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의 실행에 따라서 방사선 촬영부(400)에서 전달되는 가공 전 데이터인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한 실시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실시간 영상은 표시부(610)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실시간 영상은 제1 표시부(611)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의 실행에 따라서 생성된 실시간 영상의 보정과 같은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간 영상의 보정은 실시간 영상의 대조비, 명도 또는 선예도의 보정 또는 실시간 영상의 노이즈 제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간 영상의 보정은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 보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는 실시간 영상의 전체 구역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고 실시간 영상의 일부 구역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프로그램(112)을 이용하여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는 피사체(99)에 조영제를 주입하기 전에 촬영된 영상과 피사체(99)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에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감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에 의하면 조영제가 이동하는 피사체(99)인 인체 내의 혈관 등이 보다 선명하게 추출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프로그램(112)의 동작에 따라 복수의 영상의 감산 처리를 수행하여 특정 부분이 추출된 새로운 조영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는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프로그램(112)을 통하여 새로운 조영제 영상과 기존의 영상을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을 통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에서 전송된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은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실행되어 응답 신호를 빠른 시간 내에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은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되어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114)은 응답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응답 신호는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로 통신 모듈(130)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응답 신호는 확인 신호를 전송한 장치(200, 300)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응답 신호는 주기적으로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송될 응답 신호는 패킷 처리 프로그램(116)에 의해 패킷화된 후 통신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115)을 이용하여 획득한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전달받은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부(100)는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115)을 실행시켜 실시간 처리부(100)에 저장된 실시간 영상 또는 조영제 영상을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데이터는 실시간 영상의 세부 정보 또는 실시간 영상 처리와 관련된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의 세부 정보는 실시간 영상의 생성 시각, 수정 시각, 방사선 촬영부(400)의 제조사나 모델 등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영상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일정 주기에 따라 또는 임의적인 시간에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이미 처리된 데이터, 일례로 이미 생성된 실시간 영상 및 조영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이미 처리된 데이터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처리부(100)는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115)의 실행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의 각종 설정 사항에 변경이 생기면 변경된 설정 사항을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저장 장치에 변경된 설정 사항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은 실시간 처리부(100)의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과 동기화될 수 있고,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동일한 설정으로 실시간 영상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패킷 처리 프로그램(116)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를 패킷화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이르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그램(datagram)의 형태로 패킷화할 수도 있다. 데이터그램은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를 데이터가 전송될 수신자 및 데이터를 전송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그램은 헤더에 발신자와 수신자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그램의 헤더에는 발신자 주소, 수신자 주소 및 패킷 순서가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는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될 장애 발생 알림 신호,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송될 각종 데이터 또는 각 부품에 전달될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117)을 통하여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117)이 실행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구동부(490)나 전원(492)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포트(101)를 통하여 대응하는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반도체 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래픽 처리 유닛(GPU, graphic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래픽 처리 유닛은 그래픽 칩과 같은 반도체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각종 데이터나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롬(ROM, 121) 또는 램(RAM, 122)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와 같이 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콤팩트 디스크나 디비디(DVD) 등과 같이 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30)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모듈(130)은 랜 카드(LAN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모듈(130)은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0)은 복수의 통신 포트(101a, 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포트(101a, 101b) 각각은 서로 상이한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포트(101a)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와 연결되고, 제2 통신 포트(101b)는 중앙 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포트(101a, 101b)는 유티피 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될 수도 있고, 범용 직렬 버스 단자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 12는 비실시간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방사선 촬영부(400)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비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비실시간 영상 처리, 입체 영상 처리, 볼륨 데이터의 처리, 확인 신호 처리, 데이터 동기화, 패킷 처리 및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프로세서(210), 저장부(220) 및 통신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거나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각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11)을 로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11)은 여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프로그램(212 내지 21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11)은 비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212), 입체 영상 처리 프로그램(213), 삼차원 복원 프로그램(214),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215),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216), 패킷 처리 프로그램(217) 및 비실시간 제어 프로그램(218)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11)은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11)에서 비실시간 제어 프로그램(218)은 생략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11)의 각각의 프로그램 역시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실행될 수도 있고, 다른 프로그램과 별도로 실행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비실시간 애플리케이션(211)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212)을 실행시켜 방사선 촬영부(400)에서 전달되는 가공 전 데이터인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비실시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비실시간 영상은 표시부(6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비실시간 영상은 제2 표시부(612)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처리 프로그램(112)의 실행에 따라 비실시간 영상에 대해 영상의 대조비, 명도 또는 선예도의 보정 또는 실시간 영상의 노이즈 제거 등의 영상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영상 처리가 비실시간 영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비실시간 영상의 영상 처리 역시 영상의 전체 구역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 구역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입체 영상 처리 프로그램(212)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체 영상은 편광 안경이나 셔터 글라스 안경을 이용하는 스테레오 그라피 방식에 따라 입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입체 영상일 수도 있고, 렌티큘러 방식에 따라 입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입체 영상일 수도 있다. 생성된 입체 영상은 입체 영상의 표현이 가능한 소정의 표시부(6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삼차원 복원 프로그램(213)을 실행시켜 볼륨 데이터를 이용한 삼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다량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피사체(99)에 대한 삼차원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삼차원 영상 역시 표시부(6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215)을 통하여 실시간 처리부(10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확인 신호는 통신 모듈(230)의 제2 통신 포트(201b)를 통하여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될 확인 신호는 패킷 처리 프로그램(217)에 의해 패킷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215)을 통하여 중앙 제어부(300)에서 전송된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215)은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실행되어 응답 신호를 빠른 시간 내에 생성할 수도 있고, 확인 신호가 수신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되어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확인 신호 처리 프로그램(215)은 주기적으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답 신호는 주기적으로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응답 신호는 패킷 처리 프로그램(217)에 의해 패킷화된 후 전송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216)을 이용하여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획득된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저장 장치에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변경된 설정 사항을 수신받고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은 실시간 처리부(100)의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과 동기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하여 실시간 처리부(100)가 동작 불가인 경우에도 실시간 처리부(100)와 동일한 데이터 및 동일한 설정 사항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패킷 처리 프로그램(217)을 실행시켜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를 패킷화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패킷 처리 프로그램(217)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를 데이터가 전송될 목적지 및 출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그램의 형태로 패킷화할 수도 있다.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는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될 장애 발생 알림 신호,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될 확인 신호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비실시간 제어 프로그램(218)을 통하여 방사선 촬영부(400)의 비실시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실시간 제어 프로그램(218)이 실행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구동부(490)나 전원(492)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포트(201)를 통하여 대응하는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210)는 반도체 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 및 그래픽 처리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각종 데이터나 설정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롬(221)이나 램(222)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콤팩트 디스크 또는 디비디(DVD) 등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및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은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111)과 동종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은 실시간 처리부(100)의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115)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데이터 동기화 프로그램(216)의 실행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의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과 동기화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모듈(230)은 랜 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모듈(230)은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복수의 통신 포트(201a, 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포트(201a, 201b) 각각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서로 상이한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30)의 제1 통신 포트(201a)는 실시간 처리부(100)와 연결되고, 통신 모듈(230)의 제2 통신 포트(201b)는 스위처(6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포트(101a, 101b)에는 유티피 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될 수도 있고, 범용 직렬 버스 단자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각각 서로 물리적으로 독립된 워크 스테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워크 스테이션이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워크 스테이션이 실시간 처리부(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복수의 워크 스테이션이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상술한 것 이외에도 하우징이나 각종 인터페이스 장치 등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300)는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 발생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제어 권한을 갖고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중앙 제어부(30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방사선 촬영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3은 중앙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부(300)는 프로세서(310), 저장부(320) 및 통신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 제어(311), 비실시간 처리부 제어(312), 방사선 촬영부 제어(313), 구동부 제어(314), 확인 신호의 생성(315), 장애 판단(316) 및 기록(317)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모든 기능(311 내지 317)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들 중 일부 기능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부(300)의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명령을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311).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동작 개시 명령이나 동작 중지 명령 등을 전송하여 실시간 처리부(100)가 동작을 시작하거나 또는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실시간 처리부(100)에 동작 중지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고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빼앗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는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제어 명령을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하여 실시간 처리부(100)로 제어 신호(341)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부(400), 스위처(6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여 제어 신호가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될 것이다. 프로세서(310)는 제1 통신 포트(301a) 및 제2 통신 포트(301b) 모두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처리부(100)는 양 방향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300)의 프로세서(31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명령을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312).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실시간 처리 권한을 전달하거나 또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키라는 명령을 전달하여 비실간 처리부(200)가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실시간 처리 권한을 전달하거나 또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키라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동작 개시 명령이나 동작 중지 명령 등을 전송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동작의 개시 및 중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부(3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어느 통신 포트(201a, 201b)와도 직접 연결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하여 제어 신호(342)를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달한 후, 실시간 처리부(100)를 경유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제어 신호(342)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방사선 촬영부(400)와 연결된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하여 제어 신호(347)를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송하고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을 경유하여 제어 신호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1 통신 포트(301a) 및 제2 통신 포트(301b) 모두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양 방향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방사선 촬영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제어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313). 제어 신호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전원(492)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10)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통신 포트 또는 어댑터(493)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하여 방사선 촬영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345)를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달한 후,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등을 경유하여 방사선 촬영부(4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1 통신 포트(301a) 및 제2 통신 포트(301b) 모두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부(400)는 양 방향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구동부(49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제어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400)의 구동부(49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방사선 조사부(410) 및 방사선 검출부(4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구동부(490)의 어댑터(491) 또는 통신 포트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하여 방사선 촬영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346)를 구동부(490)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달한 후,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등을 경유하여 구동부(49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방사선 검출 패널(440), 반 산란 그리드(431)을 경유하여 구동부(490)로 전달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1 통신 포트(301a) 및 제2 통신 포트(301b) 모두를 통하여 구동부(49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부(490)는 양 방향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주기적으로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확인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315). 프로세서(31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임의적인 시각에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각각에 전송되는 확인 신호를 서로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것일 수도 있다. 만약 확인 신호가 데이터그램의 형태로 주어진 경우 실시간 처리부(100)에 전송되는 확인 신호와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전송되는 확인 신호의 수신자의 주소는 서로 상이할 것이다.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하여 실시간 처리부(100)로 확인 신호(343)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310)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하여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중앙 제어부(300)가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어느 통신 포트(201a, 201b)와도 직접 연결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하여 확인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달하고, 실시간 처리부(100)는 수신한 확인 신호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방사선 촬영부(400)와 연결된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확인 신호가 방사선 촬영부(400), 스위처(6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등을 경유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1 통신 포트(301a) 및 제2 통신 포트(301b) 모두를 통하여 확인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러면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양 방향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수신한 응답 신호(344)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316). 프로세서(310)는 확인 신호를 생성(315)하여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클락(323)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은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응답 신호를 생성 가능한 시간에 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응답 신호(344)는 제1 통신 포트(301a) 및 제2 통신 포트(302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프로세서(310)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장애 발생 사실을 저장부(320)에 기록(317)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롬(321)이나 램(322)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콤팩트 디스크 또는 디비디 등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및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3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반도체 칩은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에는 상술한 저장부(320)로 기능하는 롬(321)이나 램(322),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스위처(600)는 입력된 신호를 분배하여 복수의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처(600)는 입력된 영상을 복수의 표시부(611, 612)로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부(611, 612)는 분배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위처(600)는 설정에 따라서 입력된 영상을 상응하는 표시부(611, 61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처(6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생성된 실시간 영상은 제1 표시부(611)로 전달하고 제1 표시부(611)는 실시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처(600)는 비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생성된 비실시간 영상은 제2 표시부(612)로 전달하고 제2 표시부(612)는 비실시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콘솔 장치(603)는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콘솔 장치(603)에는 키보드 등의 각종 물리 버튼, 스위치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트랙볼, 트랙 패드, 조종 스틱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98)의 조작에 따라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콘솔 장치(603)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범용 직렬 버스 포트나, 콤팩트 디스크 리더(CD reader) 또는 디비디 리더(DVD reader) 등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콘솔 장치(603)는 사용자(98)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 등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장치(603)는 중앙 제어부(300)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610)는 획득한 영상이나 또는 방사선 촬영의 제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10)는 복수 개의 표시부(611, 6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부(611, 612)는 서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표시부(611, 612)는 서로 상이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611)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생성된 실시간 영상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612)는 실시간 영상 외에 시술이나 진단과 관련된 정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삼차원 영상 등의 비실시간 영상, 피사체(99)에 대한 정보 또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표시부(611, 612)는 서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서로 격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611)는 촬영실(95) 내에 설치되고, 제2 표시부(612)는 촬영실(95)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표시부(611, 612)가 격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표시부(611, 612)는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각각의 표시부(611, 612)는 스위처(600)에 의해 분류되어 전달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6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z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음극선관(CRT, cathode-ray tube)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부(610)는 영상의 표시를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사체(99)는 인체나 동물 등과 같은 생물뿐만 아니라 무생물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피사체(99)에는 조영제가 투여될 수 있다. 조영제는 각 조직의 방사선 흡수 정도를 변화시켜 조직 간의 방사선 흡수 차이를 증가시켜 영상의 대조도를 증가시켜주는 약품을 의미한다. 조영제는 요오드 함유 조영제, 황산 바륨, 공기, 가스 또는 탄산 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98)는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에 피사체(99)에 대한 방사선 영상을 얻고, 조영제를 투여한 후에 피사체(99)에 대한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해 복수 회수로 피사체(99)를 촬영하도록 방사선 촬영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장애 발생을 판단하고, 장애 발생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을 더 실행시키고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에 장애(111a)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는 실행되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 자체의 장애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110)의 장애일 수도 있으며, 이외 다른 하드웨어 장치의 장애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장애는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장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하 기술되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은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 장애(111a)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신호(141)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은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에서 응답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에서 생성된 장애 발생 알림 신호(141)는 통신 모듈(130)의 제1 통신 포트(101a)를 통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통신 포트(101a)를 통하여 장애 발생 알림 신호(141)가 출력되고, 다른 장치를 경우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장애 발생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은 실시예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더 전달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는 프로세서(110) 이외에 장애 판단을 위한 장애 판단부(119)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장애 판단부(119)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10)와 상이한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 판단부(119)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내장된 별도의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장애 판단부(119)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에 장애(111a)가 발생하거나 또는 프로세서(110) 자체에 장애(110a)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신호(141)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생성된 장애 발생 알림 신호(141)는 통신 모듈(130)의 제1 통신 포트(101a) 또는 제2 통신 포트(101b)를 통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비실시간 애플리케이션(211)을 실행하고 확인 신호를 생성(215)한 후 실시간 처리부(100)와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통신 포트(101a, 201a)를 통하여 확인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수신한 확인 신호에 따라 응답 신호를 생성(114)하고 실시간 처리부(100)와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통신 포트(101a, 201a)를 통하여 응답 신호를 비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110a, 111a)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는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응답 신호가 수신하지 않은 경우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실시간 처리부(100)에 의해 수행되던 실시간 영상 처리나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100a)가 발생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프로세서(21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실시간 처리 권한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은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수행하던 실시간 처리 또는 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100a)가 발생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223)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전달되는 장애 발생 알림 신호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전달되지 않으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223)이 활성화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프로세서(21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수행하던 실시간 처리 또는 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14 내지 도 17b를 통해 설명한 과정은 중앙 제어부(300)가 생략된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 발생 판단과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실시간 제어 권한 획득은 중앙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8은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확인 신호 및 응답 신호의 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 제어부(300)는 확인 신호 및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300)는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임의적으로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실시간 처리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확인 신호에 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영상 처리(151)를 수행하는 도중에 확인 신호를 수신(152)하면, 영상 처리(151)를 중단하거나 또는 중단하지 않고 바로 응답 신호를 생성(153)하여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응답 신호를 전송(153)한 후 실시간 영상 처리(154)를 지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영상 처리(155)를 수행하는 도중에 확인 신호를 수신(156)하면 실시간 영상 처리(157)를 더 수행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응답 신호를 생성(158)할 수도 있다. 생성된 응답 신호(158)는 중앙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응답 신호를 전송(158)한 후 실시간 영상 처리(159)를 지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부가 확인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시차는, 실시간 처리부(100)가 바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의 제1 시차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경우 중앙 제어부(300)는 더 긴 시간 동안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만약 중앙 제어부(300)가 적절한 시간, 일례로 제1 시차 또는 제2 시차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전달되는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장애가 발생(100a)한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한 후 제2 통신 포트(101b)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300)에 장애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물론 실시간 처리부(100)는 제2 통신 포트(101a)로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장애 발생 알림 신호는 여러 장치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부(3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100a)가 발생하면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전달받거나 또는 중앙 제어부(300)의 저장부(3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351)을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300)에서 실시간 처리 권한(351)이 전달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프로세서(210)는 전달받은 실시간 처리 권한(351)에 따라서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을 실행시켜 실시간 처리 또는 실시간 제어를 대신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앙 제어부(300)의 실시간 처리 권한은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100a)가 발생하였으므로 실시간 처리부(100)를 경유(350)하여 전달될 수는 없고, 다른 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장치의 배열에 따라서 중앙 제어부(3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와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장치의 경유 없이 실시간 처리 권한이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시 중앙 제어부에 의해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100a)가 발생하면 중앙 제어부(3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352)을 전달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352)에 따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223)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처리 권한(223)은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223)이 활성화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프로세서(210)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240)을 로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수행하던 실시간 처리 또는 실시간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중앙 제어부(300)의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352)은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100a)가 발생하였으므로 실시간 처리부(100)를 경유(350)하여 전달될 수는 없다. 따라서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352)은 장치의 배열에 따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직접 또는 다른 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중앙 제어부가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3 및 도 24는 중앙 제어부가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부(300)의 제1 통신 포트(301a)는 실시간 처리부(100)의 제2 통신 포트(1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시간 처리부(100)의 제1 통신 포트(101a)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제2 통신 포트(2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제1 통신 포트(201a)는 스위처(600)의 제2 통신 포트(6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위처(600)의 제1 통신 포트(601a)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일 어댑터(4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방사선 촬영부(400)의 다른 어댑터(401a)는 중앙 제어부(300)의 제2 통신 포트(301b)와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는 고리형 네트워크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 신호 또는 확인 신호는 제1 통신 포트(301a)를 통해 실시간 처리부(100) 방향으로 전송(L)되거나 또는 제2 통신 포트(301b)를 통해 방사선 촬영부(400) 방향으로 전송(N)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가 고리형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스위처(6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중앙 제어부(300)는 방사선 촬영부(400)로 직접 제어 신호를 전달(N)할 수도 있으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스위처(6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순의 경로(L-M-P-O)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방사선 촬영부(4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중앙 제어부(300)는 양 방향(L-M-P-O, N) 모두를 통해 방사선 촬영부(4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 제어부(300)는 일반적인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대한 제어 신호, 일례로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을 실시간 처리부(100)를 경유하여 전송(L-M)하거나,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를 경유하여 전송(N-O-P)하거나 또는 양 경로(L-M, N-O-P)를 모두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중에 장애가 발생(100a)한 장치, 일례로 실시간 처리부(100)가 존재하는 경우 장애가 발생한 장치를 통한 전송은 불가능해질 수 있다(L-M1). 따라서 이 경우 중앙 제어부(300)는 직접 제어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송(M)하거나,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장치들(400, 600)을 경유하여 제어 신호를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전송(N-O-P)하게 된다. 중앙 제어부(300)는 장애의 발생(100a)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의 발생(100a) 여부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전송할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로부터 전달된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로부터 일정한 시간 동안 응답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전송할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일반적인 경우 모든 포트(201a, 201b)로 영상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또한 모든 포트(201a, 201b)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장애가 발생(100a)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실시간 처리부(100)를 경유하지 않는 다른 경로(O-P)만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방사선 촬영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리형 네트워크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가 연결됨으로써 장치 중 일부에 장애가 생긴 경우에도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10)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중앙 제어부(300) 및 스위처(6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중앙 제어부(300)가 생략된 경우 실시간 처리부(100) 또는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각각 별도로 방사선 촬영부(4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와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서로 연계하여 방사선 촬영부(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방사선 촬영부(400)는 필요에 따라서 어댑터(412, 432, 434, 491, 4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412, 432, 434, 491, 493)는 구방식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방사선 촬영부(400)의 각 동작부(411, 431, 440, 490, 493)가 고성능 직렬 필드버스를 구현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은 고리형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5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러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부팅될 수 있다. 부팅이 종료되면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등은 예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하면, 방사선 촬영부(400)는 피사체(99)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피사체(99)에 대한 가공 전 데이터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실시간 처리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21). 여기서 실시간 영상 처리는 실시간 방사선 영상의 생성, 방사선 영상의 실시간 보정 또는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처리는 영상 데이터의 획득에 연관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피실시간 처리부(20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비실시간 영상 처리는 비실시간 방사선 영상의 생성, 방사선 영상의 비실시간 보정, 입체 방사선 영상의 생성, 삼차원 입체 영상의 생성 또는 볼륨 데이터 등의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부(400)는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방사선 촬영부(400) 및 스위처(600)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동작은 실시간 처리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s22),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s23), 획득한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가 수행하던 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실시간 제어를 포함하는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24).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 발생 여부(s22)는 비실시간 처리부(200) 또는 중앙 제어부(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는 실행되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장애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10) 자체의 장애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의 획득은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의해 수행되되,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중앙 처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 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실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s24), 실시간 처리부(100)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처리부(1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재부팅되거나, 복원 모드로 운영 체계(OS, operating system)을 실행시켜 장애를 복구하거나, 또는 초기화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가 해소되면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다시 획득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처리를 다시 수행하기 시작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비실시간 처리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애가 해소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장애 해소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실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6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6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하고 이에 따라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25).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도중 실시간 처리부(100) 장애가 발생하면(s26), 실시간 처리부(100)는 직접 장애의 발생을 감지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로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하거나, 실시간 처리 권한을 전송하거나, 또는 장애 발생 알림 신호 및 실시간 처리 권한을 모두 전송할 수 있다(s27). 여기서 장애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실행 중에 발생한 장애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10) 자체의 장애도 포함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과 별도의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을 이용하여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동작 중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별도의 장애 판단부(119)를 통하여 프로세서(110),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 또는 다른 여타 하드웨어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28).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장애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장애 발생 신호에 따라서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실시간 처리 권한을 전달받아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확인 신호를 실시간 처리부(100)에 전송한 후,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전달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획득한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200)를 대신하여 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등과 같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29).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실시간 처리부(100)는 장애를 수리하고 복구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가 해소되면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다시 획득하여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실하여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를 수행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발생 신호 또는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의 복구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실시간 처리부(100)의 복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실시간 처리 권한을 폐기하여 상실할 수도 있다.
도 27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시간 처리부(100) 및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부팅될 수 있다(s30).
방사선 촬영부(400)가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면 실시간 처리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관련된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31). 실시예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s31), 중앙 제어부(40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2). 확인 신호는 데이터그램의 형태로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확인 신호의 전송은 중앙 제어부(300)의 부팅이 종료되면 바로 개시될 수 있다. 확인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s33)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s34) 중앙 제어부(400)는 실시간 처리부(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한 후(s33)에도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s34) 중앙 제어부(4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5). 아울러 중앙 제어부(4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련 내용을 장애 발생 히스토리에 기록해놓을 수 있다. 여기서 장애는 실시간 처리부(100)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장애뿐만 아니라 실시간 처리부(100)의 프로세서(110) 자체의 장애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36).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실시간 처리 권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가진 후에도 실시간 처리부(100)가 장애로부터 복구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간 처리부(100)로 확인 신호를 계속 전송할 수도 있다.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37).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중앙 제어부(400)가 전송한 실시간 처리 권한과 관련된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을 수신한 경우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획득한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200)를 대신하여 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등과 같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38).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실시간 처리부(100)는 장애를 수리하고 복원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가 해소되면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다시 획득하여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에 전송된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다시 수신되기 시작하면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중앙 처리부(300)는 실시간 처리부(100)로부터 실시간 처리부(100)가 장애로부터 복구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복구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구 완료 신호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의 장애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8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하고,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실시간 처리부(100), 비실시간 처리부(200), 중앙 제어부(300) 및 방사선 촬영부(400)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부팅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s40).
방사선 촬영부(400)는 피사체(99)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실시간 처리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관련된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1).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판단 애플리케이션(118) 또는 장애 판단부(119)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중앙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s43). 여기서 장애는 실행되는 실시간 처리 애플리케이션(111)의 장애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10) 자체의 장애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300)는 장애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실시간 처리부(1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장애 발생 사실을 로그에 기록할 수 있다(s44).
이와 동시에 또는 이시에 중앙 제어부(300)는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고(s45),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중앙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46). 이 경우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실시간 처리 권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중앙 제어부(400)가 전송한 실시간 처리 권한과 관련된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4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저장부(220)에 실시간 처리 권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면 비실시간 처리부(200)는 획득한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200)를 대신하여 실시간 영상 처리 또는 방사선 촬영부(400)의 실시간 제어 등과 같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7). 비실시간 처리부(200)가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실시간 처리부(100)는 장애를 수리하고 복구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부(100)는 장애로부터 복구된 경우 중앙 처리부(300)에 복구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중앙 처리부(300)는 복구 완료 신호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부(100)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다시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실시간 처리부(100)가 아니라 비실시간 처리부(2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또는 일부의 변형을 거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처리부(100)는 비실시간 처리부(200)의 비실시간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 : 영상 촬영부 2 : 실시간 처리부
3 : 비실시간 처리부 10 : 방사선 촬영 장치
100 : 실시간 처리부 200 : 비실시간 처리부
300 : 중앙 제어부 400 : 방사선 촬영부
410 : 방사선 조사부
412, 432, 434, 491, 493 : 어댑터
430 : 방사선 검출부 490 : 구동부
600 : 스위처 603 : 콘솔 장치
610 : 표시부

Claims (46)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게 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상기 신호의 내용을 기초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장애 발생을 알리는 방사선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신호는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를 전송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중앙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는 고리형 네트워크(ring network)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에 따라서 제어 경로를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를 경유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사실을 기록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 실시간 처리부 및 비실시간 처리부는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방사선 촬영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는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와 미리 정의된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피사체에 조사될 방사선을 생성하고 피사체 방향으로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부, 상기 방사선 발생부에서 발생된 방사선을 여과하는 콜리메이터,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여과하는 반 산란 그리드 및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적어도 두 개는 각각에 마련된 통신 포트를 통하여 직접 연결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실시간 영상 처리에 따라 획득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실시간 영상의 세부 정보 또는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와 관련된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한 경우,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실시간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영상 처리는 삼차원 방사선 영상의 생성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는 실시간 방사선 영상의 생성 및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 처리(DSA,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9.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 권한에 따라서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하는 실시간 처리부;
    상기 영상촬영부의 비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권한에 따라서 상기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영상 촬영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31.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비실시간 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촬영부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상기 신호의 내용을 기초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처리부 또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중앙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비실시간 처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가 실시간 처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는 상기 제어 권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실시간 처리 권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는 고리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에 따라서 제어 경로를 변경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여부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는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 및 상기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동작부와 미리 정의된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처리부가 상기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하면서 상기 비실시간 처리부로 실시간 영상 및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12450A 2014-08-27 2014-08-2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7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50A KR102076527B1 (ko) 2014-08-27 2014-08-2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4/807,027 US10076300B2 (en) 2014-08-27 2015-07-23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5/007793 WO2016032133A1 (en) 2014-08-27 2015-07-27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5835486.0A EP3186619A4 (en) 2014-08-27 2015-07-27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50A KR102076527B1 (ko) 2014-08-27 2014-08-2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29A true KR20160025329A (ko) 2016-03-08
KR102076527B1 KR102076527B1 (ko) 2020-04-02

Family

ID=5539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450A KR102076527B1 (ko) 2014-08-27 2014-08-2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76300B2 (ko)
EP (1) EP3186619A4 (ko)
KR (1) KR102076527B1 (ko)
WO (1) WO20160321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27A (ko) * 2015-05-29 2016-1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복합 이미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1394B2 (en) 2017-02-28 2021-01-26 Sap Se Manufacturing process data collection and analytics
US10678216B2 (en) 2017-02-28 2020-06-09 Sap Se Manufacturing process data collection and analytics
JP7071095B2 (ja) * 2017-11-15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
CN108020568A (zh) * 2017-12-21 2018-05-11 中国航发贵州红林航空动力控制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多零件射线实时成像的检测工装
ES2689375A1 (es) 2017-12-28 2018-11-13 Sociedad Española De Electromedicina Y Calidad, S.A. Equipo multifunción para hacer radiografías, tomografía y fluoroscopia
CN111837226B (zh) * 2018-03-05 2024-03-08 科磊股份有限公司 三维半导体结构的可视化
US10794839B2 (en) * 2019-02-22 2020-10-06 Kla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structures
US11382594B2 (en) * 2018-12-31 2022-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ventional radiology with remote processing
CN115137377A (zh) * 2021-03-31 2022-10-04 睿生光电股份有限公司 X射线图像的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4824A1 (en) * 2001-04-20 2002-10-24 Bjorn Christensson Method for processing a stream of pictures
WO2002083002A1 (en) * 2001-04-13 200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cal imag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e in a safety critical environment
US6701341B1 (en) * 1998-12-31 2004-03-02 U-Systems, Inc. Scalable real-time ultrasou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10170667A1 (en) * 2010-01-14 2011-07-1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utomated Medical Imaging System Fault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476A (ja) 2001-08-03 2003-02-12 Konica Corp コンピュータ支援診断システム
US6907099B2 (en) * 2002-05-01 200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d tomography imaging
KR100993606B1 (ko) 2008-02-04 2010-11-10 (주)지엔에스티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26518A1 (ja) 2010-08-27 2012-03-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像システム、放射線撮像装置
US8745467B2 (en) * 2011-02-16 2014-06-03 Invensy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ult tolerant computing using generic hardwa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341B1 (en) * 1998-12-31 2004-03-02 U-Systems, Inc. Scalable real-time ultrasou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02083002A1 (en) * 2001-04-13 200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cal imag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e in a safety critical environment
US20020154824A1 (en) * 2001-04-20 2002-10-24 Bjorn Christensson Method for processing a stream of pictures
US20110170667A1 (en) * 2010-01-14 2011-07-1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utomated Medical Imaging System Fault De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27A (ko) * 2015-05-29 2016-1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복합 이미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8406A1 (en) 2016-03-03
KR102076527B1 (ko) 2020-04-02
EP3186619A1 (en) 2017-07-05
EP3186619A4 (en) 2018-04-18
US10076300B2 (en) 2018-09-18
WO2016032133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527B1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JP6413534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139361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治療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US7680247B2 (en) Combined image processing computer for medical diagnostics in the fields of radiography and fluoroscopy
JP5580969B2 (ja) X線システムにおけるホットスワップ可搬型検出器のための方法と装置
US9060731B2 (en) Radiograph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exposure in radiographing system, and radiological image detection device
US10974067B2 (en) Radiation irradiating apparatus and radiation dose management system
KR102324192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52152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並びに線源制御装置
US9619906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2090472A1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WO2012120841A1 (ja) 放射線画像撮影方法および装置
JP6310118B2 (ja) 画像処理装置、治療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60089762A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0111628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a location of a surgical tool on a displayed image
JP2019013672A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10004469B2 (en) Flat panel X-ray imaging device—twin flat detector signal synchronization
KR102120867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 제어방법
JP6430239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2105787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9273672A (ja) X線撮影装置及びx線画像システム
JP2017217483A (ja) X線診断装置及び医用情報処理装置
JP2019000460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99543A1 (ja) 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方法、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BE1020625A4 (nl) Werkwijze voor het bepalen van de standaard instelwaarde voor de vertragingstijd van een radiografisch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