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674A -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674A
KR20160024674A KR1020140111796A KR20140111796A KR20160024674A KR 20160024674 A KR20160024674 A KR 20160024674A KR 1020140111796 A KR1020140111796 A KR 1020140111796A KR 20140111796 A KR20140111796 A KR 20140111796A KR 20160024674 A KR20160024674 A KR 20160024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hydrangea tea
extract
hydrangea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선
장경택
조익현
이래협
Original Assignee
이스트힐(주)
이래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힐(주), 이래협 filed Critical 이스트힐(주)
Priority to KR102014011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674A/ko
Publication of KR2016002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으로 미백효과가 인정되고, 우수한 주름 개선 및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수국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AGING PREVEN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YDRANGEA MACROPHYLLA VAR. THUNBERGII AND MANUFA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미백 효과, 주름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국차는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자생하여 온 나무이지만 흔하게 볼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일교차가 큰 고산지대에서 자라기 때문으로 해발 700m의 강원도 강릉의 고산지대에서 많이 자란다. 수국차에는 필로둘신(phyllodulcin)이라는 감미성분이 들어있는데, 신선한 잎에는 필로둘신이 배당체인 8-베타-글루코사이드(8-ㅯ-glucoside)의 형태로 들어있어 단맛이 없으나 건조하는 과정에서 효소작용으로 분해되어 단맛을 낸다. 필로둘신의 단맛은 설탕의 1000배에 달하는 맛으로 부드러운 단맛과 은은한 박하향이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
인간 노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자 현대과학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삶이 점점 윤택해지면서 신체의 내적인 노화뿐만 아니라 외적인 부분에 발생하는 노화를 막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외적 노화 연구에서는 피부를 이용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의 노화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관과 동반하여 피부의 구조와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퇴되는 내인성노화(Chronologic aging)와 장기간에 걸친 태양광선의 노출로 인한 피부조직의 변화인 외인성노화(Photoaging)가 있다. 이러한 노화 과정으로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주름이 생기고 피부는 탄력을 잃게 된다. 피부노화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igen species)이다. 이들은 자연적으로 생체 내에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공해, 태양 자외선, 화학 산화제 및 미생물 등에 의해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자유전자나 활성산소종은 피부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은 멜라닌과 주름 생성의 원인물질로 여겨진다. 이들 활성 산소종은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피부 항산화 방어막을 붕괴시키고 생체분자의 산화적 변형, 피부 장벽의 손상과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등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등 피부노화를 가속 시킨다.
한편, 멜라닌 생성 혹은 멜라노사이트의 증식에 의해 야기되는 색소 침착은 다양한 방법으로 억제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멜라닌합성의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억제, 멜라노사이트의 기능감소, 자동산화 반응의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의 감소,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 억제 등 다양한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피부의 주름을 일으키는 효소들의 억제, 색소침착을 진행하는 효소의 활성억제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4115호에는, 항산화효과, 피부노화 방지효과, 피부주름 개선효과, 미백효과를 갖는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자연 지향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소비 추세에 따라 다양한 천연 소재를 이용한 미백 기능을 가진 제품들의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의 미백, 주름 개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수국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수국차잎, 수국차 줄기, 수국차 뿌리 등과 같은 수국차에서 추출할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국차는 수국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국차잎은 수국차잎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발효시 온도는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녹색색소가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녹색색소는 클로로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로로필은 식물의 녹색색소이고, 엽록체인 틸라코이드에 존재하고 광합성에서의 광에너지의 포집에 관여한다.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에 녹고 물에는 녹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수국차 추출물의 함유성분 중 하나로 하기의 화학식을 가지는 필로둘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효시킨 수국차에서 추출 및 클로로필의 제거에 의한 미정제액은 상기의 필로둘신 이외의 다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일 구체예에서, 1) 수국차잎을 비비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수국차잎을 발효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발효된 수국차잎에서 수국차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수국차잎 추출물에서 클로로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국차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2) 단계의 발효단계는 발효 온도가 3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수국차잎, 수국차 줄기, 수국차 뿌리 등과 같은 수국차에서 추출할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국차는 수국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국차잎은 수국차잎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상기 발효는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녹색색소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수국차잎, 수국차 줄기, 수국차 뿌리 등과 같은 수국차에서 추출할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국차는 수국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국차잎은 수국차잎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효는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녹색색소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수국차잎, 수국차 줄기, 수국차 뿌리 등과 같은 수국차에서 추출할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희석제, 분산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산, 인산염, 항산화제,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천연 또는 합성 풍미제, 착색제,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또는 사과산일 수 있으며, 인산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일 수 있으며, 항산화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페놀, 카테킨, α-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또는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분말제, 액제,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죽, 빵, 음료, 바, 초콜릿, 쿠키, 차, 드링크제, 비타민 복합제, 육류, 소시지, 캔디, 면, 젤리 등과 같은 임의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음료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 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해당된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제형 또는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전술한 부형제들과 같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 또는 형태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수국차잎, 수국차 줄기, 수국차 뿌리 등과 같은 수국차에서 추출할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수국차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수국차 추출물에 의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미백,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일 경우, 피부에 1일 1회, 2회 또는 3회 정도 적당량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마사지 크림,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 비누, 팩의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 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젤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 주름 개선 및 항산화 효능이 있는 수국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에 관한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멜라닌 생성 저해에 관한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엘라스티아제 활성 억제에 관한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DPPH 분석 결과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5는 ABTS 분석 결과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자이모그래피(Zymography) 분석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제조예]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료의 제조
수국차잎을 수확한 후 유념기에 넣어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킨 후 수국차잎을 발효기에서 12시간 동안 35 내지 37℃의 온도에서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된 수국차잎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였다. 분쇄된 차잎가루의 부피 대비 2-3배의 에탄올을 넣어 추출하고, 60 mesh 체로 통과시킨 후 농축과정과 클로로필 제거과정을 거쳐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발효과정 중 발효물을 용해시키고 배양한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동정되었다.
[비교예 1]
수국차잎 표면을 손상 및 발효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하게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클로로필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하게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료의 미백 효과 측정
1-1.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측정
제조예에 의한 추출물 시료, 0.1M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buffer) 완충액(pH 6.8) 210㎕ 및 1.5mM L-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L-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용액 40㎕를 96well 플레이트에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온도를 유지시켰다. 그 후 머시룸티로시나제(1500unit/mL) 20㎕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9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시험에 있어 대조군은 실시예 1에 의한 추출물 시료 대신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dimethyl sulfoxide)를 넣었고, 블랭크(blank)는 티로시나제 용액 대신 0.1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을 넣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2.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측정 결과 분석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ppm 내지 100ppm에서 23.87% 내지 74.87%의 억제시키는 걸로 확인된 점에 비추어,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수국차잎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멜라닌 생성 저해 측정
6 well dish에 B16F10 cell을 1.5X105개로 seeding(일반 DMEM 3ml) 후 37 ℃에서 하루 배양하고, PBS 1ml로 수세 후 a-MSH 5nM 처리 한 Phenol red free DMEM 넣고(control제외) 물질 처리 후 2~3일간 배양하였다. 배지색이 변하면(O.D.측정시 1.5-2배정도 높으면 됨) 배지를 1ml씩 따서 5000rpm에 3분간 원심 분리하여 405nm파장에서 O.D.측정하였다. 6well cell pellet에 20mg/ml MTT 300ul 넣고 4시간 동안 37℃ 정치 후 상등액 버리고 cell pellet에 DMSO 2~3ml넣고 37℃ 에서 녹여 540nm에서 O.D.측정하였다. 측정한 멜라닌 시크릭션(secretion)을 MTT 값으로 보정하여 값을 비교하였다.
2-2. 멜라닌 생성 저해 측정 분석 결과
도 2이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 저해 측정 결과 100ppm에서 51.6%로 측정되었고, 이외에는 89% 내지 95%의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료의 주름 개선 효과 측정
1-1. 엘라스타이제 활성 억제 확인 실험
완충 용액으로 0.267M Tris 용액을 0.267M 염산용액으로 pH 8.0이 되도록 조정하고, 완충용액 1ml에 엘라스티아제 기질 Succ-Ala-Ala-p-nitroanilide를 4mg 넣고 섞어 8mM의 기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효소인 돼지 췌장 엘라스타아제를 완충욕액으로 10㎍/ml의 농도로 만들어 효소 용액을 제조하고, 6 well plate에 완충용액 60ul, 효소액 20ul,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시료 및 기질액 20ul 을 넣었다. 블랭크는 효소를 넣지 않고, 완충용액 20ul 및 상기 시료와 동일한 양의 DMSO를 넣었다. 5℃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반응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2. 엘라스티아제 활성 억제 실험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수국차잎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 엘라스티아제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20% 내지 65%로 엘라스티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자이모그래피(Zymography) 분석
8.3 ml의 젤라틴 용액, 5.25ml의 Tris용액, 7ml의 아크릴아마이드-바이스아크릴아미이드, 0.165ml의 글리세롤, 0.165ml의 SDS, 0.01ml의 TEMED, 0.100ml의 APS를 혼합하여 10%의 아크릴아마이드 젤라틴 젤을 제조하고,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샘플과 4x 자이모그래피 샘플 완충용액, 4.4ml의 ddH20, 1.0ml의 Tris-HCl, 0.8ml의 글리세롤, 1.6ml의 SDS, 0.2ml의 브로모페놀 블루 및 젤라티나아제(MMP-2 및 MMP-9)를 포함하는 샘플완충을 섞은 후 실혼에서 10분간 방치시켜 자이모그래피 분석에 사용할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을 로딩(loading)시키고, 러닝(Running)이 끝나면 Gel 카세트 한쪽면을 분리한 뒤 comb부분만 잘라낸다. 젤을 Renaturing buffer(50ml의 1M Tris(pH7.4)와 20ml의 Triton X-100로 총 1L의 Renaturing buffer를 제조한다)로 RT에서 30분동안 천천히 흔들어주며 인큐베이션하였다. renaturing buffer를 버리고, Developing buffer(50ml의 1M Tris(pH8.0), CaCl2 0.735g, NaN3 0.2g로 총 1L의 Developing buffer를 제조한다)로 다시 RT에서 30분동안 천천히 인큐베이션하였다. 새로운 developing buffer로 교체한 후 37°C의 물 베스(bath)에서 48시간 동안 흔들면서 인큐베이션하였다. 0.1%의 Coomassie Blue R-250으로 30분동안 염색하였다.EtOH 250ml, acetic acid 80ml로 총 1L를 제조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DMSO를 사용하고, 양성대조군으로 아데노신을 사용하여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샘플과 동일하게 자이모그래피 분석을 실시하였다.
2-2. 자이모그래피(Zymography) 분석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샘플(HSS1 및 HSS2)은 음성대조군 및 주름개선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아데노신인 양성대조군에 비해 더 작고 미세하게 밴드로 나타난 점에 비추어, 젤라티나아제의 활성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료의 항산화 활성 측정
1-1. DPPH 분석
400uM DPPH 15.7732mg과 100ml의 에탄올을 빛을 차단하고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고,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시료 5ul, 95ul의 에탄올 및 100ul의 DPPH 시약을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 시켰다. 반응 후 515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블랭크(blank)는 DPPH 시약 100ul 과 에탄올 100ul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1-2. DPPH 분석 결과
DPPH 분석 결과,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5.54% 내지 29.90%의 DPPH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DPPH 분석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2-1. ABTS 분석
3.5mM의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 11.8268mg, 2mM의 ABTS 시약 13.717mg 및 12.5ml의 물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 암조건에서 30분간 저어주고, 87.5ml의 물을 추가로 넣어주어 8배 희석 후, 암조건에서 14시간 동안 놓아두어 시약을 만들었다.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시료 5ul, 에탄올(EtOH) 95ul 및 ABTS 100ul을 넣고 암조건에서 5분간 반응을 진행한다. 반응 후, 72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2. ABTS 분석 결과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9.63% 내지 41.51%로 ABTS 라디칼을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에 비추어,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수국차잎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시료의 미백 효과 측정
1-1. 발효시키지 않은 수국차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율 측정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시료를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시료와 동일한 실험방법에 의해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1-2. 클로로필을 제거하지 않은 수국차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율 측정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시료를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시료와 동일한 실험방법에 의해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1-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티로시나제 저해율 측정 결과 분석
    1 2 3 평균 티로시나제 저해율(%)
비교예1 33ppm HSS-D(비발효) 0.301 0.304 0.302 0.302333 -24.4
비교예2 33ppm HSS-F(발효_클로로필 함유) 0.285 0.269 0.283 0.279 -12.8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시료로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1은 -24,4%로 나타났고, 비교예 2는 -12.8%로 나타난 점에 비추어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수국차잎 추출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3)

  1.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는 수국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잎은 수국차잎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녹색색소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색소는 클로로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1) 수국차잎을 비비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수국차잎을 발효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발효된 수국차잎에서 수국차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수국차잎 추출물에서 클로로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국차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발효단계는 발효 온도가 3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차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는 수국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잎은 수국차잎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녹색색소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6.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는 수국차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잎은 수국차잎 표면 왁스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차 추출물은 녹색색소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2.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23. 발효된 수국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KR1020140111796A 2014-08-26 2014-08-26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4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96A KR20160024674A (ko) 2014-08-26 2014-08-26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96A KR20160024674A (ko) 2014-08-26 2014-08-26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74A true KR20160024674A (ko) 2016-03-07

Family

ID=5554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796A KR20160024674A (ko) 2014-08-26 2014-08-26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6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08B1 (ko) * 2016-06-30 2018-07-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006A (ko) * 2019-10-22 2021-05-03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필로둘신(Phyllodulc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의 멜라닌 색소 조절용 조성물
KR20210064443A (ko) * 2019-11-25 2021-06-03 박주현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페그마타이트를 함유하는 수국차 혼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수국차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0893B1 (ko) 2022-03-16 2022-10-06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수국 잎 유래 엑소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08B1 (ko) * 2016-06-30 2018-07-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04293A3 (ko) * 2016-06-30 2018-08-09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14399A (zh) * 2016-06-30 2019-03-01 科丝美诗株式会社 包含八仙花发酵物的皮肤刺激缓解及皮肤炎症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20210048006A (ko) * 2019-10-22 2021-05-03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필로둘신(Phyllodulc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의 멜라닌 색소 조절용 조성물
KR20210064443A (ko) * 2019-11-25 2021-06-03 박주현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페그마타이트를 함유하는 수국차 혼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수국차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0893B1 (ko) 2022-03-16 2022-10-06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수국 잎 유래 엑소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893B1 (ko) 새싹삼의 생리활성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
CN102224131B (zh) 化合物ramalin及其应用
KR20170094903A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24674A (ko)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912A (ko) 흑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710A (ko)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90098A (ko) 다량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연자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6160B1 (ko)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1980142B1 (ko)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40068679A (ko) 피부 주름 생성 억제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백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8190695A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9637B1 (ko) 씨벅톤에 함유된 팔미톨레산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133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4106A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28774A (ko)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93560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수렴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36175B1 (ko)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80120120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366932B1 (ko) 무궁화 연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처 재생용 조성물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47224A (ko) 세모가사리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050262A (ko) 항산화 항염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