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160B1 -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160B1
KR102536160B1 KR1020220137370A KR20220137370A KR102536160B1 KR 102536160 B1 KR102536160 B1 KR 102536160B1 KR 1020220137370 A KR1020220137370 A KR 1020220137370A KR 20220137370 A KR20220137370 A KR 20220137370A KR 102536160 B1 KR102536160 B1 KR 102536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extract
reactant
primrose
preparation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그림
이경주
김유아
유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에 의하면, 폴리페놀을 포함한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손상 억제 효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Carbohydrate hydrolase reaction product of primula veris extrac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nti-aging composition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참여와 화장품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젊고 아름다운 피부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아름다운 피부의 상징은 맑고 깨끗한 피부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항산화제가 감소되고, 피부에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되며, 활성산소종인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초과산화물 라디칼(superoxide radical) 및 지질 퍼옥사이드 라디칼(lipid peroxide radical) 등은 반응성이 매우 높아 피부의 주요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과 반응하여 세포에 손상을 주고 피부 노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피부에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체계의 균형을 무너뜨려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상태를 초래하여 피부는 거칠고 윤기가 없어지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은 주름 유발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천연 항산화제(antioxidant)의 항산화 효과는 합성 항산화제와는 다르게 부작용이 거의 없어, 노화방지의 솔루션으로 부각되었으며, 각종 천연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물종에 따라 다양한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유효성분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각종 식물종으로부터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추출물을 얻기 위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효성분을 얻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황산앵초 추출물에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주름 개선 및 피부 손상 억제 효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3710호
일 양상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황산앵초 건조물을 저온 추출 공정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황산앵초 추출물에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황산앵초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황산앵초(Primula veris)는 쌍떡잎식물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일반명은 Cowslip, Keyflower, Palsywort 및 Paigel 등으로 불리고 있고, 주요 구성성분은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등이며 주로 꽃을 약용 또는 식용하고 때때로 뿌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는 비스코자임(Viscozyme),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AMG), 텀마밀(Termamyl) 및 울트라플로(Ultraflo)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일 수 있다. 비스코자임은 Novozyme사의 복합효소제로서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β-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를 함유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는 효소 반응 시 반응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0.05 내지 4.0 중량% 또는 0.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은 1 내지 100℃, 5 내지 75℃ 또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 반응은 1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황산앵초를 추출한 추출물에 효소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이를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고주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저온 추출 공정으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온 추출 공정은 1 내지 15℃, 3 내지 10℃ 또는 4℃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저온 추출 공정은 12시간 내지 7일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5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효소 반응물 내에 폴리페놀을 90 내지 200, 100 내지 150 또는 110 내지 130 μg GAE/mg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효소 반응물 내에 퀘르세틴(Quercetin)을 80 내지 2000, 100 내지 1500 또는 150 내지 1200 pp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효소 반응물 내에 캄페롤(Kaempferol)을 300 내지 5000, 500 내지 4500 또는 700 내지 4000 pp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효소 반응물 내에 폴리페놀을 100 내지 150 μg GAE/mg, 퀘르세틴(Quercetin)을 800 내지 1200 ppm 및 캄페롤(Kaempferol)을 2500 내지 4000 pp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손상 억제용인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효소 반응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유액, 로션, 크림, 페이스트, 젤, 용액, 현탁액, 오일, 왁스, 팩,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밀크로션, 파우더, 에센스, 아이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비누, 팩, 스틱상 제품, 밤(Balm) 타입 제품,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점증제, 분산제,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기능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또는 젤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손상 억제인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손상 억제를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효소 반응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일 양상은 황산앵초 건조물을 저온 추출 공정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황산앵초 추출물에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1 내지 100℃, 5 내지 75℃ 또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1 내지 96시간, 3 내지 72시간 또는 6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온 추출 공정은 1 내지 15℃, 3 내지 10℃ 또는 4℃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온 추출 공정은 12시간 내지 7일간, 1 내지 5일간 또는 3일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에 의하면, 폴리페놀을 포함한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손상 억제 효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황산앵초 추출물 및 황산앵초 효소 반응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황산앵초 추출물 및 황산앵초 효소 반응물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황산앵초 추출물 및 황산앵초 효소 반응물의 엘라스틴 생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황산앵초 추출물 및 황산앵초 효소 반응물의 콜라겐 생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일반 추출물은 효소 반응을 시키지 않은 추출물을 의미하고, 효소 반응물은 추출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반응을 시킨 추출물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추출 공정
1.1. 저온추출
황산앵초 건조물 2g에 증류수 98g을 부가하고, 4℃에서 3일간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380 mesh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열수추출
황산앵초 건조물 2g에 증류수 98g을 부가하고, 60℃에서 3시간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380 mesh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3. 에탄올추출
황산앵초 건조물 20g에 70% 에탄올 1200g을 부가하고, 3일씩 두번 추출하였다. 0.45μm로 여과하고 감압농축,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5.3g)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파우더 1g에 증류수를 99g 부가하고 용해시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효소 반응 공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효소 Viscozyme L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150 rpm, 3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90℃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반응물을 원심분리(4000rpm, 10 min)하고 상층액을 0.45μm로 여과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고, -80도에서 예비동결을 한 후, 동결건조를 3일동안 수행하여 최종 효소 반응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통해 하기 표와 같이 제조예를 제조하였다.
효소처리 농도 (반응액 총 중량 대비 중량%)
0%(미처리) 0.10% 0.50% 1%
저온추출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열수추출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에탄올추출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실험예 1.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
효소처리에 의해 폴리페놀 함량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예 1 및 4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Total polyphenol content)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제조예 1 및 4를 1000ppm으로 희석하고, Etube에 20μl씩 분주하고, 2N Folin-ciocalteau reagent(F9252, Sigma-Aldrich) 40μl를 첨가하고, 증류수를 400μl 첨가하고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20% Na2CO3 400μ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Ultraspec 2100pro, Amersham Co., Sweden)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Gallic acid를 정량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고, gallic acid equivalent(μg GAE/mg)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소를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약 1.5배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000ppm)
총 폴리페놀 함량
(μg GAE/mg)
제조예 1 81.75
제조예 4 119.12
실험예 2. 유효성분 함량의 측정
2.1. 제조예별 유효성분 함량
제조예에 따른 주요 유효성분의 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황산앵초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Quercetin 및 Kaempferol을 HPLC를 통해 측정하였다.
Quercetin 및 Kaempferol의 HPLC 분석조건은 하기와 같다.
-Standard: Rutin, Quercetin, Kaempferol 100, 1000ppm
-Sol A. 3DW / Sol B. 0.02% TFA in ACN
-PDA: 280nm
-Injection volume: 10μl
-Flow rate: 1mL/min
-Oven: 25℃
그 결과를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표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추출방법에 비해 3일간 저온추출한 경우에 유효성분 함량이 가장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물에 효소를 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구체적으로 1 중량%로 효소를 처리한 제조예 4의 경우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제조예 1 대비 Quercetin은 약 13.37배, Kaemperol은 약 11.9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uercetin Conc (ppm) Conc (ppm) Conc (ppm)
제조예 1 79.44 제조예 5 - 제조예 9 -
제조예 2 183.45 제조예 6 - 제조예 10 -
제조예 3 734.32 제조예 7 - 제조예 11 -
제조예 4 1062.36 제조예 8 - 제조예 12 864.36
Kaempferol Conc (ppm) Conc (ppm) Conc (ppm)
제조예 1 292.65 제조예 5 - 제조예 9 -
제조예 2 871.36 제조예 6 - 제조예 10 -
제조예 3 2479.63 제조예 7 - 제조예 11 667.87
제조예 4 3495.74 제조예 8 - 제조예 12 1666.26
상기의 결과로부터, 저온추출을 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추출물에 효소 처리를 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2. 효소처리 농도별 유효성분 함량
효소처리 농도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1의 저온추출을 통해 수득한 추출물(일반 추출물)에 실시예 2와 같이 효소를 1 중량% 및 5 중량%의 농도로 처리하여 수득한 효소 반응물에서 황산앵초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Quercetin 및 Kaempferol을 HPLC를 통해 측정하였다.
Quercetin 및 Kaempferol의 HPLC 분석조건은 하기와 같다.
-Standard: Quercetin, Kaempferol 1, 10, 100ppm
-Sol A. 0.1%phosphoric acid in 3DW / Sol B. ACN
-PDA: 280nm
-Injection volume: 10μl
-Flow rate: 1mL/min
-Oven: 35℃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중량% 효소로 처리한 경우 Quercetin 및 Kaemperol의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uercetin
Conc (ppm)
Kaempferol
Conc (ppm)
일반 추출물(제조예 1) 284.12 393.03
1% 효소반응물(제조예 4) 1088.22 2422.27
5% 효소반응물 398.75 703.33
실험예 3. 세포 독성의 확인
제조예 1 및 제조예 4의 효소 반응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CD-986sk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00μ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양액으로 교체해준 후 16시간 배양된 세포에 기존 배양액을 버리고, 제조예 1 및 제조예 4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2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CCK-8 용액을 well 당 10μL 처리하여 동일 배양 조건 하에 2시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실험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및 제조예 4의 처리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 및 제조예 4를 50μg/ml 이하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0μg/ml 초과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항산화 효능의 측정
효소 처리 유무에 따라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CCD-986sk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00μ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양액으로 교체해준 후 16시간 배양된 세포에 기존 배양액을 버리고, 제조예 1 및 제조예 4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Hydrogen peroxide solution (H2O2)을 각 well 당 800 μM씩 처리하여 동일 배양 조건 하에 4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CCK-8 용액을 well 당 20μL 처리하여 동일 배양 조건 하에 2시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외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능은 (실험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으로 도출하였으며 H2O2 만을 처리한 음성 대조군인 Blank 대비 흡광도가 높게 측정될수록 외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그 결과를 도 2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일반 추출물) 및 제조예 4(효소 반응물) 모두 라디칼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소 처리한 제조예 4의 경우 효소 처리를 하지 않은 제조예 1보다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샘플 일반 추출물(제조예 1) 효소 반응물(제조예 4)
농도(μg/mL) 10 50 10 50
효과(%) 41 33 42 52
실험예 5. 주름 개선 효능의 측정
5.1. 엘라스틴 생성 효과
황산앵초 추출물(일반 추출물, 제조예 1) 및 황산앵초 효소 반응물(효소 반응물, 제조예 4)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기질 유전자인 엘라스틴(elastin)의 발현 촉진 효과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CD-986sk 세포주를 6 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m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양액으로 교체해준 후 24시간 동안 동일 배양조건 하에 배양하였다. 제조예 1 및 제조예 4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각 well에 Trizol (Invitrogen) 1mL 처리하여 RNA를 추출하고, 클로로포름, 2-프로판올, 75% EtOH 및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RNA 응축 및 워싱을 진행하였다. RNA 건조 후 Nuclease free water 적정량 넣고 Nano drop (ALLSHENG)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 RNA를 동일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후 cDNA Synthesis Kit (PhileKorea)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합성된 cDNA 및 Primer (Elastin Oligonucleotide), SYBR green,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Real time PCR 장비 (Applied Biosystem, Quantstudio 5)를 사용하여 RT-qPCR 수행하였다. PCR 결과 분석은 ΔΔCt 값을 산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효능평가 시 사용한 인자는 엘라스틴 인자로 이에 대한 발현 정도가 무처리 군인 Controls 대비 샘플의 mRNA 발현이 높게 측정될수록 내인성 주름 형성 억제 효능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그 결과를 도 3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일반 추출물)을 1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와, 제조예 4(효소 반응물)를 10 μg/mL 및 5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 엘라스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효소처리한 제조예 4의 경우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제조예 1보다 엘라스틴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샘플 일반 추출물(제조예 1) 효소 반응물(제조예 4)
농도(μg/mL) 10 50 10 50
효과(%) 20 -5 57 34
5.2. 콜라겐 생성 효과
황산앵초 추출물(일반 추출물, 제조예 1) 및 황산앵초 효소 반응물(효소 반응물, 제조예 4)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UV에 의해 감소된 콜라겐(collagen type I alpha 1, COL1A1)의 발현 촉진 효과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CD-986sk 세포주를 6 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m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HBSS를 넣은 후, UV irradiation system(VILBER LOURMAT, UV-irradiation BIO-SUN)을 이용하여 UVA 30 J/cm2를 조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시간, 25 ℃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 종료 후 Serum Free 배지로 교체하고, UVA 조사한 세포에 제조예 1 및 제조예 4를 농도 별로 처리 후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각 well에 Trizol (Invitrogen) 1mL 처리하여 RNA를 추출하고, 클로로포름, 2-프로판올, 75% EtOH 및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RNA 응축 및 워싱을 진행하였다. RNA 건조 후 Nuclease free water 적정량 넣고 Nano drop (ALLSHENG)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 RNA를 동일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후 cDNA Synthesis Kit (PhileKorea)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합성된 cDNA 및 Primer (Elastin Oligonucleotide), SYBR green,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Real time PCR 장비 (Applied Biosystem, Quantstudio 5) 사용하여 RT-qPCR 수행하였다. PCR 결과 분석은 ΔΔCt 값을 산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효능평가 시 사용한 인자는 콜라겐 인자이기 때문에 UV 조사시 이에 대한 발현 정도가 무처리 군인 Blank 대비 낮아지며 UVA 처리한 음성 대조군 대비 샘플의 mRNA 발현이 높게 측정될수록 광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 효능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그 결과를 도 4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일반 추출물)을 1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와, 제조예 4(효소 반응물)를 1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 UV에 의해 감소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효소처리한 제조예 4의 경우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제조예 1보다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샘플 EGCG (uM) 일반 추출물(제조예 1) 효소 반응물(제조예 4)
농도(μg/mL) 10 10 10
효과(%) 133 121 176

Claims (13)

  1.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로서,
    상기 황산앵초 추출물은 1 내지 15 ℃에서 저온 추출 공정으로 추출되는 것인, 효소 반응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는 비스코자임(Viscozyme),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AMG), 텀마밀(Termamyl) 및 울트라플로(Ultraflo)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효소 반응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인 것인 효소 반응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는 효소 반응 시 반응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인 효소 반응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황산앵초를 추출한 추출물에 효소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인 효소 반응물.
  6. 제1항에 있어서,
    효소 반응물 내에 폴리페놀을 100 내지 150 μg GAE/mg, 퀘르세틴(Quercetin)을 800 내지 1200 ppm 및 캄페롤(Kaempferol)을 2500 내지 400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효소 반응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반응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손상 억제용인 것인 효소 반응물.
  8. 제1항의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의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0. 황산앵초 건조물을 1 내지 15 ℃에서 저온 추출 공정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황산앵초 추출물에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6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추출 공정은 1 내지 5일간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220137370A 2022-10-24 2022-10-24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2536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70A KR102536160B1 (ko) 2022-10-24 2022-10-24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70A KR102536160B1 (ko) 2022-10-24 2022-10-24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160B1 true KR102536160B1 (ko) 2023-05-30

Family

ID=8652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370A KR102536160B1 (ko) 2022-10-24 2022-10-24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752B1 (ko) * 2023-11-02 2024-03-06 한국콜마주식회사 황산앵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또는 모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710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84810A (ko) * 2020-12-14 2022-06-21 어업회사법인 월드푸드서비시즈 주식회사 콜라겐 함량이 높은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710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84810A (ko) * 2020-12-14 2022-06-21 어업회사법인 월드푸드서비시즈 주식회사 콜라겐 함량이 높은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기사, 황산앵초잎추출물, 다각적인 항노화 작용(21.02.2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752B1 (ko) * 2023-11-02 2024-03-06 한국콜마주식회사 황산앵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또는 모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994B1 (ko) 갈산 함량이 증대된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US20150196610A1 (en) Ultrasound-assisted high throughput continuous extraction for complete fragmentation of cocoa beans into valuable fractions and their formulations thereof
KR102536160B1 (ko) 황산앵초 추출물의 당 가수분해 효소 반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2298042B1 (ko)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692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KR102154566B1 (ko)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4005293A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また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機能性食品、ならびに抗酸化用組成物
KR102476670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4674A (ko)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4628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00099A (ko) 흑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611916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46B1 (ko)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15362B1 (ko) 세모가사리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139632A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달래추출물
KR20160091037A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80000813A (ko) 대두 배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20120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500081B1 (ko)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33835B1 (ko) 플럼바긴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90062845A (ko)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