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701A - 견과류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견과류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701A
KR20160022701A KR1020140108594A KR20140108594A KR20160022701A KR 20160022701 A KR20160022701 A KR 20160022701A KR 1020140108594 A KR1020140108594 A KR 1020140108594A KR 20140108594 A KR20140108594 A KR 20140108594A KR 20160022701 A KR20160022701 A KR 2016002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device
elastic member
hole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수
Original Assignee
박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수 filed Critical 박흥수
Priority to KR102014010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701A/ko
Publication of KR2016002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6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chest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과류 커팅 장치로서,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와, 상기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를 가지는 누름판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견과류 커팅 장치{NUTS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견과류를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는 견과류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은 밤나무의 열매로, 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ㆍ칼슘ㆍ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발육과 성장에 도움을 주는 과실로 알려져 있다.
밤의 껍데기를 칼, 가위 등을 이용하여 껍떼기(껍질)를 까고 있으나, 밤의 껍데기가 딱딱하며 밤의 형상이 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껍질을 까는 과정에서 칼이나 가위 등의 수단이 미끄러지면서 인체에 상해를 일으킴은 물론 껍질 까기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종류의 밤깎이용 가위, 일명 밤가위라 통칭되는 가위들이 대거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09-0004260호 (2009.05.07)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밤을 까서 먹는 경우도 있으나, 밤을 반으로 잘라서 먹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밤을 칼, 가위 등을 이용하여 자르고 있으나, 밤의 껍데기가 딱딱하며 밤의 형상이 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밤을 자르는 과정에서 칼이나 가위 등의 수단이 미끄러지면서 인체에 상해를 일으킴은 물론 껍질 까기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견과류 ㅋ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는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와, 상기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를 가지는 누름판;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 사이에, 견과류 커팅 장치가 작동되기 전과 후에, 상기 누름판이 상기 본체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제 1 탄성 부재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탄성 부재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탄성 부재 가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는 상기 커팅부의 수직축과 상기 힌지부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는 끝부분에 톱니날을 구비하되, 상기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을 가질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은 상기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일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상기 커팅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커팅부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분리부는 일측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고, 타측은 상기 누름판과 결합되는 제 2 탄성 부재일 수 있다.
관통공은 상기 누름판의 회전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관통공은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제 2 관통공에 비해 길이가 더 짧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3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4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커팅부는 상기 커팅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수단은 결합공이며,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공과 결합될 수 있다.
본체는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를 가지며,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고정홈을 구비될 수 있다.
본체는 상기 커팅부가 상기 본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슬롯홈을 구비할 수 있다.
누름판은 상기 누름판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촉하되, 상기 누름판이 설정된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견과류 커팅 장치(100)는 본체(110), 누름판(120), 힌지부(130), 제 1 탄성 부재(140), 탄성부재 가이드(141), 커팅부(150), 분리부(160), 고정홈(17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 대상물은 견과류, 과일, 야채 등과 같은 식재료 뿐만 아니라 커팅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물건일 수 있다.
본체(110)는 고정홈(170) 및 슬롯 홈(171)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170)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홈(170)은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돌기(172)를 구비할 수 있다.
슬롯홈(171)은 본체(110)에 구비되며, 커팅부(150)가 본체(11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팅부(150)가 예상보다 많이 고정홈(170)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팅부(150)와 고정홈(170)이 부딪쳐 커팅부(150)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커팅부(1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홈(171)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판(120)은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150)를 가질 수 있다.
누름판(120)은 스토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21)는 누름판(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본체(100)와 접촉할 수 있다. 스토퍼(121)는 누름판(120)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130)는 본체(110)와 누름판(120)을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부(13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40)는 본체(110)와 누름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4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되기 전, 누름판(120)이 본체(110)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상물을 본체(100) 위에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4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되기 후, 누름판(120)이 본체(110)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누름판(120)을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141)는 제 1 탄성 부재(140)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140)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부재(140)는 본체(100)와 탄성 부재 가이드(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150)는 커팅부(150)의 수직축과 힌지부(130)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부(150)를 배치하여 누름판(120)의 회전 방향과 일치 시킴으로써, 누르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팅부(15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 중 일부분이 남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의 하부가 2mm 정도 남을 수 있도록, 커팅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150)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일 수 있다.
커팅부(150)는 끝부분에 톱니날(151, 152)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151)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152)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152)은 크면서도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팅부(150)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대상물에 삽입되어,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과정에서 대상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150)가 대상물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커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152)은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150)는 커팅부(150)를 덮을 수 있는 커버(156)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1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153)은 결합공(153)일 수 있으며, 커버(156)는 결합공(153)과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과류 커팅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156)를 커팅부(150)에 결합시킴으로써, 커팅부(150)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56)는 커팅부(150)를 감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부(160, 161)는 커팅부(150)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150)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이 점성이 있는 경우, 커팅된 대상물이 커팅부(150)에 붙을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160)를 이용하며, 위와 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커팅부(150)는 관통공(154, 155)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160, 161)는 일측은 관통공(154, 155)을 통과하고, 타측은 누름판(120)과 결합되는 제 2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판(120)이 본체(100)에 가까워 지는 쪽으로 이동하여 작동되는 경우, 제 2 탄성 부재는 대상물과 접촉하여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 다음, 누름판(120)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경우, 제 2 탄성 부재는 가지고 있던 탄성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15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대한 설명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분리부(160, 161)는 관통공(154, 155)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162, 16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과 분리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부(160, 161)는 관통공(154, 155)을 통과하는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대상물이 원형인 경우, 오목한 형상은 대상물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분리부(160, 161)가 오목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대상물이 원형인 경우 분리부(160, 161)와 대상물이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부(160, 161)가 대상물을 분리시킬 때, 대상물이 본체(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154, 155)은 누름판(120)의 회전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공(154, 155)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판(120)이 이동하는 경우, 관통공(154, 155)를 관통한 분리부(160, 161)가 걸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관통공은 제 1 관통공(154) 및 제 2 관통공(155)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관통공(154)은 제 2 관통공(155)에 비해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탄성 부재는 제 1 관통공(154)을 관통하는 제 3 탄성 부재(160) 및 제 2 관통공(155)을 관통하는 제 4 탄성 부재(161)를 구비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에 대상물을 놓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누름판(120)을 눌러서, 커팅부(150)에 의해 대상물이 커팅되도록 한다. 이 때, 분리부(160, 161)는 대상물과 접촉하여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팅부(15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의 하부가 2mm 정도 남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누름판(120)에서 손을 떼면, 누픔판(120)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분리부(160, 161)는 가지고 있던 탄성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15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손쉽게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견과류 커팅 장치(100)
110 : 본체
120 : 누름판
130 : 힌지부
140 : 제 1 탄성 부재
141 : 탄성부재 가이드
150 : 커팅부
160 : 분리부
170 : 고정홈

Claims (17)

  1.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
    상기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를 가지는 누름판;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 사이에, 견과류 커팅 장치가 작동되기 전과 후에, 상기 누름판이 상기 본체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탄성 부재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탄성 부재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커팅부의 수직축과 상기 힌지부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끝부분에 톱니날을 구비하되, 상기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을 가지는, 견과류 커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톱니날은,
    상기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인, 견과류 커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상기 커팅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일측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고, 타측은 상기 누름판과 결합되는 제 2 탄성 부재인, 견과류 커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누름판의 회전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제 2 관통공에 비해 길이가 더 짧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3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4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커팅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결합공이며,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공과 결합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를 가지며,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커팅부가 상기 본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슬롯홈을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누름판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촉하되, 상기 누름판이 설정된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KR1020140108594A 2014-08-20 2014-08-20 견과류 커팅 장치 KR20160022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94A KR20160022701A (ko) 2014-08-20 2014-08-20 견과류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94A KR20160022701A (ko) 2014-08-20 2014-08-20 견과류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701A true KR20160022701A (ko) 2016-03-02

Family

ID=5558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94A KR20160022701A (ko) 2014-08-20 2014-08-20 견과류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38A (ko) * 2017-02-15 2018-08-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탬플러 방식 웨이퍼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38A (ko) * 2017-02-15 2018-08-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탬플러 방식 웨이퍼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0117A1 (en) Mango Slicer
ATE467493T1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kartoffeln oder ähnlichem gemüse
ATE410277T1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früchten, insbesondere gemüse oder obst
JP6913235B2 (ja) ナイフアセンブリおよびナイフアセンブリを備えた切断装置
RU2569599C2 (ru) Нож для режущего диска машины для резки
US10674871B2 (en) Food processing device
KR20160022701A (ko) 견과류 커팅 장치
CN205630745U (zh) 新型用于水果的切瓣器
KR101682675B1 (ko) 견과류 커팅 장치
KR20160028855A (ko) 견과류 커팅 장치
KR101546378B1 (ko) 채칼
US20160106140A1 (en) Fruit cutting device with pusher
JP2010511485A (ja) 刃物表面への食物の付着を防止する刃物付属品
KR101483394B1 (ko) 절단물 부착 방지용 기구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CN107214747B (zh) 一种切片机
GB2473242A (en) Meat cleaver
US1636287A (en) Paring knife
US966496A (en) Kitchen implement.
KR20180007399A (ko) 손가락보호를 위한 주방용 칼날안전장치
JP3185082U (ja) 缶詰ポークの切断加工具
CN214446562U (zh) 不会累积沾住切下来的肉、菜、果的菜刀
CN106346515A (zh) 一种安全菜刀
WO2007004918A8 (fr) Couteau d'epluchage de fruits ou de legumes
KR200373693Y1 (ko) 채썰기용 보조가이드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