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855A - 견과류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견과류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855A
KR20160028855A KR1020140117935A KR20140117935A KR20160028855A KR 20160028855 A KR20160028855 A KR 20160028855A KR 1020140117935 A KR1020140117935 A KR 1020140117935A KR 20140117935 A KR20140117935 A KR 20140117935A KR 20160028855 A KR20160028855 A KR 2016002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tting
elastic member
cutting devic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수
Original Assignee
박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수 filed Critical 박흥수
Priority to KR102014011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855A/ko
Publication of KR2016002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4Machines for pee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과류 커팅 장치로서,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와, 상기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와, 제 1 관통홀을 가지는 누름판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제 1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과류 커팅 장치{NUTS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견과류를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는 견과류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은 밤나무의 열매로, 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ㆍ칼슘ㆍ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발육과 성장에 도움을 주는 과실로 알려져 있다.
밤의 껍데기를 칼, 가위 등을 이용하여 껍떼기(껍질)를 까고 있으나, 밤의 껍데기가 딱딱하며 밤의 형상이 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껍질을 까는 과정에서 칼이나 가위 등의 수단이 미끄러지면서 인체에 상해를 일으킴은 물론 껍질 까기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종류의 밤깎이용 가위, 일명 밤가위라 통칭되는 가위들이 대거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09-0004260호 (2009.05.07)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밤을 까서 먹는 경우도 있으나, 밤을 반으로 잘라서 먹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밤을 칼, 가위 등을 이용하여 자르고 있으나, 밤의 껍데기가 딱딱하며 밤의 형상이 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밤을 자르는 과정에서 칼이나 가위 등의 수단이 미끄러지면서 인체에 상해를 일으킴은 물론 껍질 까기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견과류 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는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와, 상기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와, 제 1 관통홀을 가지는 누름판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제 1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승강부는 상기 제 1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 1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승강부를 가이드하는 제 1 승강부 가이드홀 및,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제 1 헤드부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는 다각형 기둥이고, 승강부 가이드홀은 상기 다각형 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다각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누름판은 제 2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제 2 승강부를 더 포함하되, 커팅부는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2 승강부는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 2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승강부를 가이드하는 제 2 승강부 가이드홀 및,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제 2 헤드부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팅부는 끝부분에 톱니날을 구비하되, 상기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을 가질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은 상기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일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상기 커팅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제 3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일측은 상기 제 3 관통홀을 통과하고, 타측은 상기 누름판과 결합되는 제 4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제 3 관통홀은 상기 누름판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제 3 관통홀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커팅부는 상기 커팅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수단은 결합공이며, 커버는 상기 결합공과 결합될 수 있다.
누름판은 상기 커팅부를 가지는 제 1 누름판과, 상기 제 1 관통홀을 가지는 제 2 누름판 및 상기 제 1 누름판 및 상기 제 2 누름판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누름판 및 상기 제 2 누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본체와 제 2 누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5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승강부는 상기 누름판이 상기 제 1 승강부에 대해 설정된 각도로 세워지도록 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의 주변에 형성되며, 커팅된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는 이탈 방지부 및 본체 또는 누름판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판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부는 상기 고정바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가 작동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가 작동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도 7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가 작동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견과류 커팅 장치(100)는 본체(110), 누름판(120), 커팅부(130), 제 1 관통홀(140), 승강부(150), 제 1 탄성부재(160), 분리부(170, 172), 고정홈(180), 및 이탈 방지부(19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 대상물은 견과류, 과일, 야채 등과 같은 식재료 뿐만 아니라 커팅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물건일 수 있다.
본체(110)는 고정홈(18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180)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홈(180)은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돌기(181)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0)는 슬롯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롯홈(미도시)은 커팅부(150)가 본체(11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팅부(130)가 예상보다 많이 고정홈(180)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팅부(130)와 고정홈(180)이 부딪쳐 커팅부(130)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커팅부(1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판(120)은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130) 및 제 1 관통홀(140)을 가질 수 있다.
커팅부(130)는 누름판(120)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12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 커팅부(130)를 배치함으로써, 누르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팅부(13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 중 일부분이 남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의 하부가 2mm 정도 남을 수 있도록, 커팅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130)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일 수 있다.
커팅부(130)는 끝부분에 톱니날(131, 132)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131)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132)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132)은 크면서도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팅부(130)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대상물에 삽입되어,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과정에서 대상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130)가 대상물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커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132)은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130)는 커팅부(130)를 덮을 수 있는 커버(136)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133)은 결합공일 수 있으며, 커버(136)는 결합공(133)과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과류 커팅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136)를 커팅부(130)에 결합시킴으로써, 커팅부(130)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36)는 커팅부(130)를 감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승강부(150)는 본체(110)와 결합되고, 제 1 관통홀(1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150)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151) 및 헤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50)는 다각형 기둥, 원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 가이드(151)는 제 1 탄성 부재(160)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160)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부재(160)는 본체(100)와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1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부(152)는 제 1 관통홀(140)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부(152)는 누름판(120)이 승강부(15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60)는 본체(110)와 누름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6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누름판(120)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탄성 부재(160)가 승강부(15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탄성 부재(160)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15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분리부(170, 172)는 커팅부(130)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130)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이 점성이 있는 경우, 커팅된 대상물이 커팅부(130)에 붙을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170, 172)를 이용하며, 위와 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커팅부(130)는 제 3 관통홀(134, 135)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170, 172)는 일측은 제 3 관통홀(134, 135)을 통과하고, 타측은 누름판(120)과 결합되는 제 4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판(120)이 본체(100)에 가까워 지는 쪽으로 이동하여 작동되는 경우, 제 4 탄성 부재는 대상물과 접촉하여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 다음, 누름판(120)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경우, 제 4 탄성 부재는 가지고 있던 탄성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13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대한 설명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분리부(170, 172)는 제 3 관통홀(134, 135)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171, 17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과 분리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부(170, 172)는 제 3 관통홀(134, 135)을 통과하는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대상물이 원형인 경우, 오목한 형상은 대상물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분리부(170, 172)가 오목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대상물이 원형인 경우 분리부(170, 172)와 대상물이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부(170, 172)가 대상물을 분리시킬 때, 대상물이 본체(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관통홀(134, 135)은 누름판(120)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판(120)이 이동하는 경우, 제 3 관통홀(134, 135)을 관통한 분리부(160, 161)가 걸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90)는 고정홈(180)의 주변에 형성되며,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 방지부(190)는 커팅 후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탈 방지부(190)의 모양은 사각형, 원형, 오목형, 볼록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홈(180) 주변을 둘러싸는 폐곡면, 고정홈(180) 주변 중 일부를 개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 방지부(190)는 고정홈(180)에서 커팅된 대상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90)는 도 4 내지 도 11에 기재된 견과류 커팅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150)는 제 1 관통홀(140)에 삽입되는 헤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통홀(140)은 제 1 승강부 가이드홀(140-1) 및, 제 1 헤드부 수용홀(1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승강부 가이드홀(140-1)은 승강부(15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1 헤드부 수용홀(140-2)은 헤드부(152)를 수용할 수 있다.
승강부(150)가 다각형 기둥인 경우, 제 1 승강부 가이드홀(140-1)은 다각형 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다각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1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가 작동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견과류 커팅 장치(200)는 본체(210), 누름판(220), 커팅부(230), 제 1 관통홀(240), 제 2 관통홀(241), 제 1 승강부(250), 제 2 승강부(260), 제 1 탄성부재(270), 제 2 탄성부재(271), 분리부(281) 및, 고정홈(290)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 대상물은 견과류, 과일, 야채 등과 같은 식재료 뿐만 아니라 커팅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물건일 수 있다.
본체(210)는 고정홈(29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290)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홈(290)은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돌기(291)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10)는 슬롯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롯홈(미도시)은 커팅부(230)가 본체(21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팅부(230)가 예상보다 많이 고정홈(290)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팅부(230)와 고정홈(290)이 부딪쳐 커팅부(230)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커팅부(2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판(220)은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230), 제 1 관통홀(240) 및 제 2 관통홀(241)을 가질 수 있다.
커팅부(230)는 누름판(220)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22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 커팅부(230)를 배치함으로써, 누르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팅부(23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 중 일부분이 남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대상물의 하부가 2mm 정도 남을 수 있도록, 커팅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230)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일 수 있다.
커팅부(230)는 끝부분에 톱니날(231, 232)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231)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232)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232)은 크면서도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팅부(230)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대상물에 삽입되어,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과정에서 대상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230)가 대상물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커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232)은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230)는 커팅부(230)를 덮을 수 있는 커버(235)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2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233)은 결합공일 수 있으며, 커버(235)는 결합공(233)과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과류 커팅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235)를 커팅부(230)에 결합시킴으로써, 커팅부(230)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35)는 커팅부(230)를 감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승강부(250)는 본체(210)와 결합되고, 제 1 관통홀(2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될 수 있다.
제 1 승강부(250)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251) 및 제 1 헤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승강부(250)는 다각형 기둥, 원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 가이드(251)는 제 1 탄성 부재(270)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270)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부재(270)는 본체(100)와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2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헤드부(252)는 제 1 관통홀(240)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헤드부(252)는 누름판(120)이 제 1 승강부(25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승강부(260)는 본체(210)와 결합되고, 제 2 관통홀(241)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될 수 있다.
제 2 승강부(260)는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261) 및 제 2 헤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승강부(260)는 다각형 기둥, 원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 가이드(261)는 제 2 탄성 부재(271)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탄성 부재(271)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탄성 부재(271)는 본체(100)와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2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헤드부(262)는 제 2 관통홀(241)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헤드부(262)는 누름판(120)이 제 2 승강부(26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270)는 본체(110)와 누름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27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누름판(120)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탄성 부재(270)가 제 1 승강부(25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탄성 부재(270)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25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탄성 부재(271)는 본체(110)와 누름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271)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누름판(120)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탄성 부재(271)가 제 2 승강부(26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탄성 부재(271)는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26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분리부(281)는 커팅부(230)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230)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이 점성이 있는 경우, 커팅된 대상물이 커팅부(230)에 붙을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281)를 이용하며, 위와 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커팅부(230)는 제 3 관통홀(2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 3 관통홀(234)는 1개 또는 다수개 존재할 수 있다.
분리부(281)는 제 3 관통홀(234)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28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과 분리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부(281)는 제 3 관통홀(234)을 통과하는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대상물이 원형인 경우, 오목한 형상은 대상물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분리부(281)가 오목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대상물이 원형인 경우 분리부(281)와 대상물이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부(281)가 대상물을 분리시킬 때, 대상물이 본체(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관통홀(234)은 누름판(120)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판(120)이 이동하는 경우, 제 3 관통홀(234)를 관통한 분리부(281)가 걸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대상물을 손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구조도 간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승강부(250)는 제 1 관통홀(240)에 삽입되는 제 1 헤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통홀(240)은 제 1 승강부 가이드홀(240-1) 및, 제 1 헤드부 수용홀(2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승강부 가이드홀(240-1)은 제 1 승강부(25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1 헤드부 수용홀(240-2)은 제 1 헤드부(252)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 승강부(250)가 다각형 기둥인 경우, 제 1 승강부 가이드홀(240-1)은 다각형 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다각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부(2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승강부(260)는 제 2 관통홀(241)에 삽입되는 제 2 헤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관통홀(241)은 제 2 승강부 가이드홀(241-1) 및, 제 2 헤드부 수용홀(2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승강부 가이드홀(241-1)은 제 2 승강부(26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 헤드부 수용홀(241-2)은 제 2 헤드부(262)를 수용할 수 있다.
제 2 승강부(260)가 다각형 기둥인 경우, 제 2 승강부 가이드홀(241-1)은 다각형 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다각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승강부(26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견과류 커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견과류 커팅 장치(300)는 본체(310), 누름판(320), 커팅부(330), 제 1 관통홀(340), 승강부(350), 제 1 탄성부재(360), 제 5 탄성부재(361), 분리부(370, 372), 스토퍼(380) 및, 고정홈(390)을 포함한다.
본체(310)는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 대상물은 견과류, 과일, 야채 등과 같은 식재료 뿐만 아니라 커팅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물건일 수 있다.
본체(310)는 고정홈(39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390)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홈(390)은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돌기(391)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310)는 슬롯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롯홈(미도시)은 커팅부(330)가 본체(31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팅부(330)가 예상보다 많이 고정홈(390)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팅부(330)와 고정홈(390)이 부딪쳐 커팅부(330)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커팅부(3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판(320)은 제 1 누름판(321), 연결부(322). 및 제 2 누름판(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누름판(321)은 커팅부(330)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322)는 제 1 누름판(321) 및 제 2 누름판(323)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 1 누름판(321) 및 제 2 누름판(323)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22)는 제 1 누름판(321) 및 제 2 누름판(323)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힌지 형태로 형성되거나,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누름판(323)은 제 1 관통홀(340) 및 제 1 관통홀(340)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정바(345)를 가질 수 있다.
커팅부(330)는 누름판(320)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32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 커팅부(330)를 배치함으로써, 누르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팅부(330)는 끝부분에 톱니날(331, 332)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331)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332)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332)은 크면서도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팅부(330)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대상물에 삽입되어,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과정에서 대상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330)가 대상물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커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돌출형 톱니날(332)은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330)는 커팅부(330)를 덮을 수 있는 커버(336)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3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333)은 결합공일 수 있으며, 커버(336)는 결합공(333)과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과류 커팅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336)를 커팅부(330)에 결합시킴으로써, 커팅부(330)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336)는 커팅부(330)를 감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승강부(350)는 본체(310)와 결합되고, 제 1 관통홀(3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350)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351), 헤드부(352), 및 가이드홀(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 가이드(351)는 제 1 탄성 부재(360)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360)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부재(360)는 본체(100)와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3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부(352)는 제 1 관통홀(340)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부(352)는 누름판(320)이 제 1 승강부(35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홀(353)은 승강부(350)에 형성되며, 고정부(345)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45)가 가이드홀(353)에 내부에 관통되어 배치됨으로써, 승강부(35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름판(320)이 승강부(3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354)는 누름판(320)이 승강부(350)에 대해 설정된 각도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부(35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35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사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경사부(354)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351)에 홈으로 형성되며, 일정항 각도를 가지는 사선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고정바(345) 및 가이드홀(353)은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 탄성 부재(360)는 본체(310)와 누름판(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360)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누름판(320)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탄성 부재(360)가 승강부(35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탄성 부재(360)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35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5 탄성 부재(361)는 본체(310)와 제 2 누름판(3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5 탄성 부재(361)는 견과류 커팅 장치(100)가 작동된 후, 누름판(320)이 승강부(350)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원 위치')하도록 복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부(370, 372)는 커팅부(330)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330)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이 점성이 있는 경우, 커팅된 대상물이 커팅부(330)에 붙을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370, 372)를 이용하며, 위와 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커팅부(330)는 제 3 관통홀(334, 335)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370, 372)는 제 3 관통홀(334, 335)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371, 37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과 분리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380)는 본체(310) 또는 누름판(3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380)는 본체(310)로부터 돌출되며, 제 5 탄성 부재(36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380)는 본체(310)와 누름판(320)이 설정된 거리내로 가까워지지 않도록, 누름판(3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 2 누름판(323)은 스토퍼 수용홈(3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수용홈(381)은 사용자가 누름판(320)을 누르는 경우, 스토퍼(380)를 수용할 수 있다.
견과류 커팅 장치는 커팅부와 본체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누름판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누르는 부분의 폭은 유지한 채 큰 대상물도 손쉽게 커팅을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도 7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에서 이미 설명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락하겠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견과류 커팅 장치(300)에 대상물을 놓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누름판(320)을 눌러서, 누름판(320)이 경사부(354)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누름판(320)을 눌러서, 커팅부(330)에 의해 대상물이 커팅되도록 한다. 이 때, 분리부(370, 372)는 대상물과 접촉하여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팅부(330)는 견과류 커팅 장치(300)가 작동된 후, 대상물의 하부가 2mm 정도 남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누름판(320)에서 손을 떼면, 누름판(320)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분리부(370, 372)는 가지고 있던 탄성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팅된 대상물을 커팅부(33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 커팅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손쉽게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견과류 커팅 장치
110 : 본체
120 : 누름판
130 : 커팅부
140 : 제 1 관통홀
150 : 승강부
160 : 제 1 탄성 부재
170 : 분리부
180 : 고정홈

Claims (23)

  1.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
    상기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는 커팅부와, 제 1 관통홀을 가지는 누름판;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제 1 승강부를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 1 탄성 부재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부는,
    상기 제 1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 1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승강부를 가이드하는 제 1 승강부 가이드홀 및,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제 1 헤드부 수용홀을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다각형 기둥이고,
    상기 승강부 가이드홀은 상기 다각형 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다각형 형태의 홀인, 견과류 커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제 2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제 2 승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 사이에 배치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누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선형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 2 탄성 부재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부는,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 2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승강부를 가이드하는 제 2 승강부 가이드홀 및,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제 2 헤드부 수용홀을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끝부분에 톱니날을 구비하되, 상기 톱니날은 다른 톱니날에 비해 크면서 인접한 돌출형 톱니날을 가지는, 견과류 커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톱니날은,
    상기 대상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구비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반달 형상의 디스크 형태인, 견과류 커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대상물을, 상기 커팅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제 3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일측은 상기 제 3 관통홀을 통과하고, 타측은 상기 누름판과 결합되는 제 4 탄성 부재인, 견과류 커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관통홀은,
    상기 누름판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 위에 형성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제 3 관통홀을 통과하는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과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커팅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결합공이며,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공과 결합되는, 견과류 커팅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커팅부를 가지는 제 1 누름판;
    상기 제 1 관통홀을 가지는 제 2 누름판; 및
    상기 제 1 누름판 및 상기 제 2 누름판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누름판 및 상기 제 2 누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 2 누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5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부는,
    상기 누름판이 상기 제 1 승강부에 대해 설정된 각도로 세워지도록 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의 주변에 형성되며, 커팅된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는 이탈 방지부;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누름판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부는,
    상기 고정바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
KR1020140117935A 2014-09-04 2014-09-04 견과류 커팅 장치 KR20160028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35A KR20160028855A (ko) 2014-09-04 2014-09-04 견과류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35A KR20160028855A (ko) 2014-09-04 2014-09-04 견과류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855A true KR20160028855A (ko) 2016-03-14

Family

ID=5554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935A KR20160028855A (ko) 2014-09-04 2014-09-04 견과류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18B1 (ko) * 2018-11-12 2020-02-05 홍성은 견과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18B1 (ko) * 2018-11-12 2020-02-05 홍성은 견과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3767A1 (en) Juice Extractor With Safety Device
JP6913235B2 (ja) ナイフアセンブリおよびナイフアセンブリを備えた切断装置
WO2006019792A3 (en) Medical waste disposal device
US20140290069A1 (en) Device for cake slicing, display and transport
KR20160028855A (ko) 견과류 커팅 장치
US10674871B2 (en) Food processing device
KR101682675B1 (ko) 견과류 커팅 장치
US20170274550A1 (en) Circle Cutting System
KR20160022701A (ko) 견과류 커팅 장치
KR20100062018A (ko) 미끄럼 방지용 전지가위
KR101483394B1 (ko) 절단물 부착 방지용 기구
KR20150128017A (ko) 안전 손톱깎이
CN204263189U (zh) 一种玉米切片装置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CN204232992U (zh) 多功能手持电动搅拌器刀盘组件机构装置
CN101722523A (zh) 波纹菜刀
CN205852853U (zh) 一种裁剪光伏eva、背板的装置
CN106333731B (zh) 一种带包皮内板切口保护套的凹形座装置
KR20190019786A (ko) 음식물이 달라붙지 않게하는 조절기능이 있는 칼
KR200475768Y1 (ko) 채칼
CN221044821U (zh) 一种果蔬处理器的防脱结构
KR200489150Y1 (ko) 호박칼
CN203576342U (zh) 多功能切菜器
EP2481327B1 (en) Juice extractor with brake device
KR101478219B1 (ko) 안전 채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